KR0118965Y1 -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965Y1
KR0118965Y1 KR2019940030467U KR19940030467U KR0118965Y1 KR 0118965 Y1 KR0118965 Y1 KR 0118965Y1 KR 2019940030467 U KR2019940030467 U KR 2019940030467U KR 19940030467 U KR19940030467 U KR 19940030467U KR 0118965 Y1 KR0118965 Y1 KR 0118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door frame
present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0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879U (ko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음용기
현대종합목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음용기, 현대종합목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음용기
Priority to KR2019940030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965Y1/ko
Publication of KR9600178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8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9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3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for frame members having longitudinal screw receiving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 및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문짝 프레임 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문짝 프레임의 구조는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어 부품의 손상시 문짝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을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손상된 부품이나 알판만을 교체할 수 있어 A/S가 용이하며 소비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door frame)
제 1 도는 본 고안 문짝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문짝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제 4 도 (a)(b)는 본 고안의 실시예.
제 5 도는 (a)(b)는 종래의 문짝 조립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로프레임20 : 세로프레임
30 : 알판41 : 스크류
42 : 캡43 : 목다보
본 고안은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사시 분리 및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결합 구조를 갖는 문짝 프레임이다.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되는 문짝 프레임은 영구적으로 고정되는 결합구조를 갖고 있다.
제 5 도 (a)(b)는 이러한 종래의 문짝프레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이다.
(a)의 경우는 가로프레임(110)과 세로프레임(120)의 연결을 목다보(130)를 사용하고 이 목다보가 삽입되는 결합공(110a), (120a) 양측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압착 고정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네 귀를 고정하여 문짝을 완성하게 된다.
(b)는 목다보 대신 가로프레임(110)의 장부(140)를 형성하고 세로프레임(120)에 장부홈(120a)을 형성하여 이 장부홈에 접착제를 주입 장부맞춤으로 프레임을 고정한다.
(a), (b) 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모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완성된 문짝은 분리가 불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만약, 어느 한 부품의 파손으로 부득이하게 문짝을 분리하여 교체할 경우에는 외형적인 파손이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가구의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문짝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나 판매자 모두에게 부담을 안겨주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문짝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하여 문짝을 형성하는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결합되는 양측 중 적어도 한측을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한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목다보를 사용하여 고정하되 이 목다보가 삽입되는 목다보 삽입홈의 일측만 접착제를 주입 고정하고, 상기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 중 어느 한측에서 스크류를 통해 양프레임을 고정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해 형성된 문짝의 사시도이고 제 2 도, 제 3 도는 본 고안 프레임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및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연결수단으로는 목다보(43)와 스크류(41)를 사용하며 이때 목다보(43)는 양프레임의 목다보 삽입홈(11),(21) 중 어느 하나에만 접착제(50)를 주입하여 고정한다.
도면에는 가로프레임측 목다보 삽입홈(11)에만 접착제(50)를 주입하여 목다보(43)를 고정하고 세로프레임측 목다보 삽입홈(22)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끼워 고정된 것을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서로 바꾸어도 무관하다.
이 상태에서 세로프레임(20)에 형성된 나사공(22)을 통해 세로프레임(20)과 가로프레임(10)을 상기 스크류(41)로 고정한다.
상기 나사공(22)은 스크류(41)의 머리부분이 프레임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형성하고 이 스크류와 나사공에 끼워지는 캡(42)을 씌운다.
상기 캡(42)은 상기 스크류(41)나 나사공(22)이 외부에 잘 보이지 않도록 하여 문짝의 미감을 살리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세로프레임(20)의 하부도 동일한 방법으로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연결한다.
미설명부호 30은 프레임 사이에 끼워지는 알판으로 용도에 따라 이 알판의 패턴을 교체하면 가구에 색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제 4 도 (a), (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문짝프레임으로 하부의 연결구조는 상부와 대칭된 구조를 가지므로 생략하였다.
(a) 도는 좌측의 세로프레임(20)만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우측은 목다보(43) 양측을 접착제(50)를 주입하여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고정하였다.
(b)도는 양측의 프레임 모두 분리가 가능하도록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일측 또는 양측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상된 부품이나 알판의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손상된 부품이나 알판만을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문짝 전체를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을 결합시켜 문짝을 형성하는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결합되는 양측 중 적어도 한측을 분리할 수 있도록 연결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을 목다보(43)를 사용하여 고정하되 상기 목다보의 일단만 접착제를 주입 고정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 중 어느 한측에서 스크류(41)를 통해 양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9940030467U 1994-11-17 1994-11-17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KR0118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467U KR0118965Y1 (ko) 1994-11-17 1994-11-17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0467U KR0118965Y1 (ko) 1994-11-17 1994-11-17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79U KR960017879U (ko) 1996-06-19
KR0118965Y1 true KR0118965Y1 (ko) 1998-07-15

Family

ID=1939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0467U KR0118965Y1 (ko) 1994-11-17 1994-11-17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9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32B1 (ko) 2021-06-15 2022-02-08 위드팀버 주식회사 문짝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332B1 (ko) 2021-06-15 2022-02-08 위드팀버 주식회사 문짝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79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8965Y1 (ko)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US5974713A (en) Picture frame assembly
KR200261570Y1 (ko) 창틀프레임 연결구조
US6102540A (en) Decoration spectacles
WO2005071206A1 (en) A corner cap
KR200175791Y1 (ko) 목재 도어의 보강구조
KR200383005Y1 (ko) 서랍의 전면패널과 손잡이의 결합구조
JP438671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101878166B1 (ko) 착탈식 체결받이를 구비한 중공문짝
KR20010098270A (ko) 조립식 원목문
KR970003395Y1 (ko) 창틀 연결구
KR200246602Y1 (ko) 문짝설치용 문틀 조립구조
KR910002125Y1 (ko) 콜롬(Column)스피커의 조립식 전면(前面)판
KR940006577Y1 (ko) 조립식 창문틀의 모서리 결합연결부재
KR200371670Y1 (ko) 가구용 모서리 연결구
JP3444341B2 (ja) 門扉戸当りの端面納め構造
KR200194914Y1 (ko) 냉장고 도어의 핸들구조
KR950010245Y1 (ko) 조립식 액자테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KR970059462A (ko) 창문의 창문틀
JP2000120627A (ja) フレーム連結構造
KR930001450Y1 (ko) 진열대용 후레임 연결구
KR200258013Y1 (ko) 샤시 모서리 조립구조
KR200172092Y1 (ko) 특수창용 후레임
KR910000771Y1 (ko) 조립식 진열대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