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693B1 -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693B1
KR970002693B1 KR1019920000965A KR920000965A KR970002693B1 KR 970002693 B1 KR970002693 B1 KR 970002693B1 KR 1019920000965 A KR1019920000965 A KR 1019920000965A KR 920000965 A KR920000965 A KR 920000965A KR 970002693 B1 KR970002693 B1 KR 97000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call
operating
standb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462A (ko
Inventor
김성신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693B1/ko
Publication of KR93001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 2 도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설교환기의 시스템 블럭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의한 시스템 동작 흐름도.
제 4 도(a)~(b)는 제 2 도에 의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블럭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의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제 7 도와 제 8 도는 제 5 도에 의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제 1 제어부 20,200 : 제 2 제어부
11,110 : 제 1 프로세서 21,210 : 제 2 프로세서
12,22,120,220 : ROM 13,23,130,230 : RAM
140,240 : 공통메모리 30 : 버스감시 및 선택회로
40,41 : 국선가입자회로 50 : 통화교환회로
60 : 내선가입자회로 51 : 디지탈가입자회로
61 : 아날로그 내선가입자회로 71 : 부가메모리
81 : 서비스회로
본 발명은 사설전자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회된 주프로세서와 이중화프로세서가 공용할 수 있는 부가메모리를 사용하여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운용중에 심각한 에러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현재의 통화 및 그 통화에 관한 제반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에서는 그 운용중에 심각한 에러동작상태가 발생되는 경우 그 통화상태를 복구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제안되어 있는 바, 그 일예가 제 1 도에 도시된 방법이다.
즉, 제 1 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시스템의 전원을 ON하거나, 시스템을 리셋트시키거나 또는 시스템에서 심각한 에러가 발생하여 리셋트가 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든 시스템의 기동시에는 그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완전히 초기화하고(A1 단계), 이러한 초기화 이후의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을 매개하는 통화 또는 기능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된다(A2,A3 단계).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도중에 예기치 못한 중대한 에러가 발생되면 재차 데이타베이스를 초기화하므로 현재의 모든 통화라인이 단절되게 되고, 사용자가 등록한 특수한 기능들도 모두 소거되며, 더욱이 프로세서에 치명적인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의 기능이 정지된다는 문제가 있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 통화 복구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특허공보 제91-3941호에 게시된 이중화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에러발생시 통화복구가 가능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제 2 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사설교환기의 시스템블록도로서 동작프로세서(active processor) 및 대기프로세서(standby processor)로 동작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제어부(10, 20)와, 이 제 1 및 제 2 제어부(10, 20)의 버스를 감시하고 에러발생시에는 버스제어권을 전환하고 에러상태를 표시하는 버스감시 및 선택회로(30)와, 제 1 및 제 2 제어부(10, 20)의 제어하에 국선과 시스템을 인터페이싱하는 국선가입자회로(40)와, 제 1및 제 2 제어부(10, 20)의 제어하에 가입자와 시스템을 인터페이싱하는 내선가입자회로(50)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제 2 도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과정도로서 우선 시스템이 기동되면 제 1 프로세서(11)는 제 1 제어부(10)내의 하드웨어구성과 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구성을 초기화하는 한편 제 2 프로세서(21)는 제 2 제어부(20)내의 하드웨어구성만 초기화시키게 된다.(B1 단계). 이어 B2 및 B3 단계에서 이중화기능이 수행될 수 없는 경우 동작프로세서를 재기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통화기능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외한 모든 데이터를 초기화 한 다음, 통화서비스 및 기능서비스가 수행되고(B5 단계), 동작상태의 제 1 프로세서(11)는 시스템을 통해 발생되는 각 통화, 기능메시지를 선입선출(FIFO) 큐(Que)방식의 정보교환버스에 의해 대기상태의 제 2 프로세서(21)로 전송하게 되며(B4 단계), 또 필요한 경우 정보교환버스를 통해 제 2 프로세서(21)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B6 단계).
이와 같이 기동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에서 에러가 발생되는 경우 프로세서의 제어기능을 이양하여 통화를 유지할 수 있는 통화복구방법의 흐름도가 제 4 도(a)와 (b)에 도시되어 있는 바 제 4 도(a)는 동작프로세서에 의한 통화복구과정을 설명하는 것이고, 제 4 도(b)는 대기프로세서에 의한 통화복구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 4 도(a)~(b)의 흐름도에서 도시하는 순서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동작프로세서는 에러발생여부를 계속적으로 검사하여 만일 에러가 발생되면 동작프로세서는 그 에러상태를 감지하여(C7 단계), 버스감시 및 선택회로(30)를 매개하여 대기프로세서로 제어전환데이터를 전송하고(C8 단계), 그 동작 프로세서는 대기상태로 변경된다. 한편, 동작프로세서로부터 통화, 기능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프로세서가 제어전환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D5 단계), 동작프로세서로 기능전환되어(D6 단계) 시스템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다음(C1 단계), 통화,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저장하여(C2 단계) 통화상태를 복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제 2 도 내지 제 4 도에 의한 종래의 다른 예에서는 대형의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경우, 발생되는 각 통화메시지를 모두 대기프로세서로 전송하려면 동작프로세서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통화폭주가 발생되는 경우 시스템이 오동작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 4 도(a)에 설명하는 C3 과정에서 통화가 복구되기 이전에 통화, 기능에 관련되지 않는 데이터를 초기화함으로써 초기화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경우 통화단절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 초기화도중 통화당사자들간의 통화종료시에도 이를 C2 단계에서 감시할 수 없으므로 종료된 통화를 재복구시키는 경우가 초래된다.
더욱이, 제어부(10, 20)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2개의 제어부중 하나의 제어부카드보드를 시스템에서 분리하게 되면 각 제어부내의 프로세서는 내부의 메모리만을 참조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를 마친 제어부카드보드를 다시 시스템에 삽입하여 동작프로세서를 운용할 경우 현재의 통화나 기능서비스를 제대로 유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예를들어, 제 2 제어부(20)를 분리시키는 경우 현재까지 파장된 통화, 기능데이터가 모두 소멸되므로 다시 제 2 제어부(20)를 시스템에 장착하고 나서 예기치 못한 에러에 의해 대기상태로 유지되는 제 2 프로세서가 동작상태로 전환되면 정상적인 동작이 실행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프로세서간의 통신없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수단을 부가하여 통화, 기능관련데이터를 기록, 독출함으로써 통화가 발생되거나 소멸될 때마다 그 내용을 대기프로세서에 알려줄 필요가 없도록 하여 동작, 대기프로세서간의 통신에 의한 과부하라든지 데이터손실의 우려없이 완벽한 통화, 기능서비스를 복구할 수 있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운용시에 발생되는 에러에 대해 신속한 통화복구를 하기 위하여 시스템이 리셋트되는 경우 동작, 대기프로세서의 역할을 전환하여 우선적으로 현재의 통화를 유지시키고 나서,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하도록 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정상동작중의 동작프로세서에 인터럽트에 의해 이상발생을 알리는 제 1과정과, 제 1과정후 대기중인 프로세서의 유, 무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제2과정 수행후 대기프로세서가 있으면 동작프로세서가 대기상태로 변환되는 반면 대기프로세서가 없으면 재차 동작상태로 운용되는 제3과정과, 이 제3과정 수행후 각 제어부의 운영체제를 기동시키고 제어부내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4과정과, 이 제4과정 수행후 상대측 프로세서가 동작상태인지 아닌지를 감시하여 상대측이 비동작상태이면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5과정과, 이 제5과정후 통화, 기능관련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동작프로세서의 RAM에 초기화하는 제6과정과, 제6과정후 통화가 발생되거나 기능서비스가 등록되면 복구를 위해 그 데이터들을 부가메모리에 등록하여 운용하는 제7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통화운용체제와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상대측이 동작상태인지 여부를 계속 감시하는 대기프로세서가 상대측이 비동작상태임을 인지하는 경우 자신이 동작상태로 변환되는 제 1과정과, 이 제 1과정후 부가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기능데이터를 기초로 통화를 복구하는 제2과정과, 이 제2과정후 부가메모리의 통화정보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시스템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3과정과, 이 제3과정후 통화, 기능외 데이터를 제어부의 RAM에 초기화한 다음 통화, 기능서비스의 재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 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장치에 있어서, 동작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통화 및 기능관련데이터가 등록되어 대기프로세서에 의한 통화복구시 내부에 등록된 통화 및 기능관련데이터를 참조하도록 된 부가메모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도면의 참조부호 100과 200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 1 및 제 2 제어부로서, 각각 동작, 대기프로세서로서 기능하는 제 1 및 제 2 프로세서(110, 210)와 시스템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ROM(120, 220), RAM(130, 230), 및 양 프로세서(110, 210)가 공동으로 억세스 할 수 있는 공통메모리(140, 240)를 구비한다. 또 참조부호 41은 주제어부의 제어하에 국선과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국선가입자회로이고, 51은 디지탈단말기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디지탈가입자회로이고, 61은 아날로그단말기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아날로그가입자회로이다.
도면의 참조부호 71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부가메모리로서, 내부적으로는 ROM과 RAM에 의해 구성되어 이중화 된 제어부(100, 200)중 동작상태의 프로세서(110 또는 210)에 의해서만 공동으로 억세스 할 수 있다. 또, 참조부호 81은 각 가입자회로에 하드웨어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교환회로, 톤(tone)발생회로, DTMF수신, 발신회로로 구성되어 주제어부의 제어하에 운용되는 서비스회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상태에 대해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6 도의 단계 2A에서 시스템의 전원이 ON되면 단계 2B에서 제 1 및 제 2 제어부(100, 200)내의 프로세서(110, 210)는 자신이 마스터(Master)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확인은 제어부카드보드를 시스템에 장착할 때 마스터측에다 삽입하면 그 마스터측에 삽입되는 프로세서는 자신이 마스터임을 나타내는 비트를 특정 어드레스에 세트하게 되고, 슬레이브(slave)측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슬레이브임을 나타내는 비트를 특정 어드레스에 리셋트하게 되므로 그 특정 어드레스를 참조함으로써 자신이 마스터카드인지 슬레이브카드인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 제 1 프로세서(110)를 마스터프로세서, 즉 동작프로세서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단계 2B에서 만일 제 1 프로세서(110)는 자신이 마스터로 판별되는 한편 상대측 프로세서(210)가 비동작상태이면(단계 2D) 자신이 동작상태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특정 어드레스에 기록한 다음 동작프로세서로서 세트된다(단계 2E).
이에 대해 자신이 슬레이브임을 판정한 제 2 프로세서(210)는 일정시간을 대기한 다음(단계 2C) 상대측이 동작상태인지를 판별하여(단계 2D) 동작상태이면 자신을 대기상태로 유지하게 되고(단계 2F), 이때 자신이 슬레이브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특정번지에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각 제어부(100, 200)의 공통메모리(140, 240)에 기록되고 독출되므로 결국 마스터측과 슬레이브측에 함께 기록, 독출될 수 있게 된다.
이어, 자신이 동작상태에서 또는 대기상태인지를 등록한 각 제어부(100, 200)는 각각의 운영체제와 자신의 하드웨어, 즉 내부의 ROM(120, 220)과 RAM(130, 230) 및 계시장치등을 초기화하고(단계 2G), 이러한 초기화가 종료되면 각 프로세서(110, 210)는 상대측이 동작상태인지를 판정하여(단계 2H) 비동작상태이면 자신의 시스템하드웨어의 초기화를 개시하고(단계 2I)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하게 된다(단계 2J).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의 초기화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ON시 또는 리셋트버튼의 ON부속, 단일프로세서모드로 동작하는 중의 자기재기동(self restart)의 경우에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되는 바, 부가메모리(71)에 등록된 통화, 기능 데이터는 항상 초기화하지 않는 반면 각 제어부(100, 200)내의 데이터만을 초기화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예기치 못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복구를 위한 데이터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단일프로세서모드로 동작하거나 이중화프로세서모드로 동작하거나 관계없이 초기화과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자신의 상태를 판별해야 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전원을 ON하는 경우에도 부가메모리(71)의 내용이 메모리의 특성상 등록된 내용은 소거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화하지 않더라도 오동작의 염려는 없게 된다.
제 6 도에서의 설명과 같이 하여, 통화를 위한 제반준비가 완료되면 통화서비스, 기능서비스등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단계 2K), 서비스수행중에는 항상 통화, 기능데이터가 동작상태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부가메모리(71)에 기록되거나 독출됨으로써 통화복구시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거나 대기프로세서(210)에 전달해 줄 필요는 없게 된다.
이어, 제 7 도와 제 8 도를 참조하여 시스템의 에러발생시 통화복구유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의 이상(예를들어, 에러발생, 리셋트버튼 조작, 동작제어부카드보드의 분리 등)이 감지되어 하드웨어적인 인터럽트가 걸리면(단계 3A), 이상이 감지된 동작프로세서(110)에서는 대기상태의 프로세서(210)가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즉, 이중화프로세서 구성여부)를 판별하여(단계 3B) 만약 대기상태의 프로세서가 있다면 공통메모리(140)의 특정 어드레스에 자신이 대기상태로 되는 데이터를 등록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하게 된다(단계 3D). 이와 달리, 대기프로세서가 없는 경우에는 그 동작상태의 프로세서(110)는 자기재기동을 위해 자신을 계속 동작프로세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 다음(단계 3C) 상기 제 6 도의 단계 2G, 즉 운용체제 및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다음(3E, 제 6 도의 2G 단계)로 진행하여 이후의 절차를 제 6 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다음, 제 8 도를 참조하여 대기중인 프로세서(210)가 동작프로세서(110)의 이상을 감시하여 자신이 동작프로세서로 전환되어 통화복구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대기프로세서(210)는 자신의 운영체제와 하드웨어의 초기화를 완료하고 나서(단계 4A), 동작프로세서가 대기상태로 변환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특정 어드레스에 기록하고서 대기상태로 되는가를 공통메모리(140)를 억세스하여 주기적으로 감시하게 된다(단계 4B). 이러한 상태에서 동작프로세서(110)가 대기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인지한 경우 대기프로세서(210)는 즉시 자신을 동작상태로 전환하여(단계 4C) 통화교환회로를 초기화하고 나서 부가메모리(71)에 등록된 통화, 기능서비스 데이터를 기초로 이상발생이전의 통화상태로 신속하게 복구하게 된다(단계 4D). 따라서, 통화당사자들은 시스템에서 발생된 이상을 거의 인식하지 못한채 통화를 할 수 있다. 통화복구를 완전히 종료하고 나서 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가 초기화되는데, 이 초기화는 부가메모리(71)에 등록된 통화서비스데이터를 참조하여 그 내용을 기초로 선별적인 초기화를 수행하게 되고(단계 4E), 이에 따라 복구된 통화들이 다시 단절되지 않고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어, 제어권을 넘겨 받게 되는 동작프로세서(110)는 그 제어부내의 RAM에서 통화, 기능관련이외의 데이터를 초기화하여(단계 4F) 정상적인 호처리를 재개한다(단계 4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에 의하면, 대기상태에서 제어권을 이양받은 동작프로세서가 우선적으로 통화를 복구하게 되므로 통화당사자는 거의 아무런 불편없이 통화를 계속 할 수 있고, 또 통화기능서비스테이터를 보관하는 부가메모리(71)를 사용하므로 통화발생시 또는 소멸시 그 내용을 대기프로세서에 알려줄 필요가 없게 되어 동작, 대기측 프로세서간의 통신에 의한 오버헤드 또는 데이터손실의 우려없이 완벽하게 통화, 기능서비스를 복구할 수 있다. 또한 동작프로세서가 에러발생유무를 계속적으로 감시하지 않더라도 하드웨어인터럽트에 의해 통화복구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한편, 상대적으로 할당된 작업이 적은 대기프로세서가 동작프로세서의 이상여부를 검사하므로 부하가 분배될 수 있으며, 하나의 프로세서에 이상이 발생되어 해당제어부를 시스템에서 분리, 수거한 다음 수리된 제어부를 다시 시스템에 장착하여 동작프로세서를 동작시켜도 이하의 통화기능데이터는 부가메모리에 그대로 유지되므로 통화복구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4)

  1.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정상동작중의 동작프로세서의 인터럽트에 의해 이상발생을 알리는 제 1과정(단계 3A)과, 제 1 과정 후 대기중인 프로세서의 유, 무를 판단하는 제 2 과정(단계 3B)과, 상기 제 2 과정후 대기프로세서가 있으면 동작프로세서가 대기상태로 전환되는 반면 대기프로세서가 없으면 재차 동작상태로 운용되는 제 3 과정(단계 3C와 3D)과, 이 제 3 과정후 각 제어부의 운영체제를 기동시키고 제어부내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 4 과정(단계 3E 또는 2G)과, 이 제 4 과정후 상대측 프로세서가 동작상태인지 아닌지를 감시하여 상대측이 비동작상태이면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 5 과정(단계 2H, 2I)과, 이 제 5 과정후 통화, 기능관련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를 동작프로세서의 RAM에 초기화하는 제 6 과정(단계 2J)과, 이 제 6 과정후 통화가 발생되거나 기능서비스가 등록되면 복구를 위해 그 데이터들을 부가메모리(71)에 등록하여 운용하는 제7과정(단계 2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메모리(71)는 통화복수용 통화, 기능서비스데이터를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가 공동으로 억세스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
  3.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유지방법에 있어서, 통화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상대측이 동작상태인지 여부를 계속 감시하는 대기프로세서가 상대측이 비동작상태임을 인지하는 경우 자신이 동작상태로 변환되는 제 1 과정(단계 4C)과, 이 제 1 과정후 부가메모리(71)에 저장된 통화, 기능데이터를 기초로 통화를 복구하는 제 2 과정(단계 4D)과, 제 2 과정후 부가메모리(71)의 통화정보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시스템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제 3 과정(단계 4E)과, 이 제 3 과정후 통화, 기능외 데이터를 제어부의 RAM에 초기화한 다음 통화, 기능서비스를 재개하는 제 4 과정(단계 4F, 4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 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
  4. 동작프로세서와 대기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이중화프로세서로 운용되는 사설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 장치에 있어서, 동작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수행되는 통화 및 기능관련데이터가 등록되어 대기프로세서에 의한 통화복구시 내부에 등록된 통화 및 기능관련데이터를 참조하도록 된 부가메모리(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장치.
KR1019920000965A 1992-01-24 1992-01-24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KR97000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965A KR970002693B1 (ko) 1992-01-24 1992-01-24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965A KR970002693B1 (ko) 1992-01-24 1992-01-24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2A KR930017462A (ko) 1993-08-30
KR970002693B1 true KR970002693B1 (ko) 1997-03-08

Family

ID=1932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65A KR970002693B1 (ko) 1992-01-24 1992-01-24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943B1 (ko) * 1998-12-30 200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환기의이중화시스템에서운용체제오류처리방법
KR100407347B1 (ko) * 2001-10-13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형 전화기에서 시스템 정지시 통화 안정화 장치 및 그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62A (ko) 199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8362C (zh) 一种实现软件上主备双机热备份的方法
US6002665A (en) Technique for realizing fault-tolerant ISDN PBX
KR970002693B1 (ko)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JP2776977B2 (ja) Isdn通信システムの障害処理方法およびisdn通信システム
JPS61234690A (ja) 交換機の障害時に於ける再開処理方法
JPH05244260A (ja) 外部記憶装置切替えによる二重化運転方式
US7577135B2 (en) IP telephone system
KR94000877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JP2606107B2 (ja) プロセッサ冗長化方式
KR910003941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통화 복구방법
JPS59214397A (ja) 呼情報救済方式
JPS625759A (ja) 呼情報救済方式
KR101397993B1 (ko) 접속 교환 프로세서 이중화 시스템 및 방법
JPH0427239A (ja) Lan接続装置の制御方法
JP3363579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100735435B1 (ko) 이중화 보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4017298B2 (ja) 構内電話交換機システム
JP3100464B2 (ja) パケット交換機
JP3411309B2 (ja)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
KR9300119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JPS6015181B2 (ja) 交換制御系予備方式
KR0136396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간 메세지 복구 버스구조 및 억세스 방법
JPS63279646A (ja) 網管理装置の自動再開処理方式
JPS6399653A (ja) 回線アダプタの障害回復方式
JPH01228232A (ja) 自動回線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