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779B1 -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779B1
KR940008779B1 KR1019910026038A KR910026038A KR940008779B1 KR 940008779 B1 KR940008779 B1 KR 940008779B1 KR 1019910026038 A KR1019910026038 A KR 1019910026038A KR 910026038 A KR910026038 A KR 910026038A KR 940008779 B1 KR940008779 B1 KR 94000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message
redundancy
bus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578A (ko
Inventor
김원순
이성재
한운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 전기통신공사
이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 전기통신공사, 이해욱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1002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8779B1/ko
Publication of KR93001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No. 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구성도.
제2도는 MHB장애 발생시 이중화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프로그램 흐름도.
제3도는 BA-버스 장애 발생시 이중화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프로그램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CSP : Common Channel Signalling Processor
SPB : System Processor Board MHB : Massage Handling Board
본 발명은 CCS No. 7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기능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시지 처리 및 망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레벨 3프로토콜 처리부를 이중화하여 이들 이중화된 프로세서들간의 하드웨어 장애 감시, 소프트웨어 장애 감시 및 상호 메시지 교환을 통하여 장애에 강한 메시지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통신에 대한 기대는 국제적으로 고도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기위하여 종합정보통신망(ISDN) 서비스가 필요하게되었고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CCITT)에서 권고한 국제적인 프로토콜 No. 7 공통선 신호방식(CCS No. 7)중 메시지 전달부기능을 구현하게 되었다.
종래 TDX-1B 교환기에서는 그 기능상 시스템의 일시 자동 정지가 일반 전화 가입자에게 통화의 일시 중단 등, 큰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 부분을 이중화하여 이에 대비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으로는 운용 유지 보수 처리부인 OMP(Operations Maintenance Processor), 스위치 관리 및 번호 번역 처리부인 SNP(Switch & Number Translation Processor), 트렁크 관리 처리부인 TLP(Trunk Line Processor)등이 있는데, 이들은 공통적으로 두 개의 프로세서 복합체로 구성되어 어느 한쪽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한쪽에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이들 두 프로세서 복합체의 이중화 운용 방식은 외부와의 입력 및 출력을 담당하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측(이를 동작측이라 함)과 외부로부터 입력 및 내부 동작은 수행하나 외부 출력은 제한되어 서비스대기 상태인 측(이를 대기측이라 함)으로 운용하는 동작 대기 방식의 이중화를 채용하고 있다. 이는 동기식 이중화로서 이벤트 단위로 동기를 맞추어 양쪽 모두 동일하게 구동함으로써 장애 발생시 복구를 최대한 빠르게 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중화 운용 방식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각 이중화 이벤트 발생시 동작측 및 대기측이 처리 데이타의 손실 또는 중복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 빨리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것이다. 기존 TDX-1계열 프로세서의 이중화 시스템은 하나의 프로세서 보드에 입출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가 없는 보드들로 구성되므로 이중화의 책임은 전적으로 프로세서 보드에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이중화 프로세서가 하나의 주 프로세서 및 여러개의 독립적인 메모리 및 CPU를 갖는 종 프로세서의 복합체로 구성되므로 이중화 처리가 기존 방식과는 다른 복합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독립적인 한 프로세서에서 장애가 발생됐을 경우에도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지 않으며 동작측과 대기측이 서로 개별 프로세서들의 동작 모드를 알리는 기능을 두어 서로 프로세서 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두게 하여 효율적으로 이중화 처리를 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 전달부 레벨 3기능을 장애에 강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이중화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 부의 구성은 기존의 TLP에 공통선 신호 방식의 ISUP(ISdn User Part) 기능을 실장한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 메시지 전달부의 유지 보수 및 서비스 경로를 제공하는 MSP(Maintenance Service Processor), 망관리 및 메시지 분배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SPB(System Processor Board), SPB에 메모리를 제공하는 SMB(System Memory Board), 신호단말(Signalling Terminal)과의 통신 및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MHB(Message Handling Board),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와의 B-버스통신을 담당하는 BIOB(Ba-버스 Input Output Board), 이중화 보드인 DPB(Dual Pocessor Board), 기존의 TDX-1계열 교환기의 B-버스와 BIOB간의 통신로를 정합시켜 주는 BAB(BA-버스 Adaptor Board) 및 전원 모듈로 이루어지며 메시지 처리 흐름은 다음가 같다. 먼저 망관리 데이타인 경우 MSP를 통하여 BIOB의 MSP 접속부로 입력되면, 이 데이타는 SPB에 있는 망 관리 모듈로 옮겨져 처리되며, 사용자 부 메시지인 경우 DTLP에서 생성되어 BIOB로 입력되면 SPB로 옮겨지고 다시 SPB에서 MHB로 옮겨져 메시지 루팅을 거쳐 STB(Signalling Terminal Board)로 옮겨진다. 여기서 각 프로세서 보드간의 통신 채널에 대해 살펴보면 SPB와 BIOB간, SPB와 MHB간은 양쪽 프로세서가 동시에 엑세스가 가능한 이중 포트램이며 MSP와 BAB간, DTLP와 BAB간은 기존 TDX-1 교환기의 B-버스이고 BIOB와 BAB가 BA-버스로 구성되며 MHB와 STB간은 직렬 버스인 STG-버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은 메시지 처리 프로세서 복합체인 CCSP(Common Channel Signalling Processor)로서 SPB, SMB, MHB, BIOB, DPB및 전원 모듈로 구성되며, 두 개의 프로세서 복합체중 양쪽의 동시 초기화시 동작측으로 동작하는 쪽을 1측이라하며 대기측으로 동작하는 쪽을 2측이라 정의한다. 각각의 보드에서 발생하는 장애인 전원, 클럭, 소프트웨어 장애들이 발생하면 이를 하드웨어 장애인 경우 이중화 보드인 DPB에서 검지하여 SPB의 이중화 처리 모듈로 알리고 소프트웨어 장애인 경우 SPB의 이중화 처리모듈로 이를 알리게 하여 아래와 같은 이중화 절체 조건에 따라 동작되게 한다.
CCSP는 복합체 단위로 이중화 되어 있어 장애에 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하드웨어 장애 감지 기능, 프로세서 사이의 제어 및 통신 기능등을 이용하여 프로세서 이중화를 수행하는 부분이 이중화 모듈이다.
프로세서의 이중화 관리는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수행 상태 및 운용 모드에 따라 동작되는데, 프로세서의 상태는 데이타가 로드되어 있지 않은 비정상상태(Abnormal), B-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타 로딩을 받고 있는 상태(B로딩), X-버스를 이용하여 데이타 로딩을 받고 있는 상태(X로딩) 및 데이타 로딩이 끝난 정상동작 상태(Normal)로 구분되고 운용 모드는 메시지 전달 서비스중인 활성상태(동작측)와 비활성 서비스중인 대기 상태(대기측)로 구분되며 이들 상태를 양 프로세서가 서로 바꿔가며 동작되게 한다. 이들 두 프로세서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이벤트에는 프로세서의 기동, 한쪽 프로세서 모듈의 장애발생, 상대 프로세서로 부터의 이중화 메시지 수신, B-버스 및 X-버스 데이타 로딩 완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를 차례로 큐잉시켜 발생 순서대로 서비스되도록 하여 지정된 시간내에 이중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중화 프로세서 복합체사이에는 주프로세서 보드인 SPB의 경우 DPB를 통하여 상호 상대 프로세서의 위치적 타이머에 의한 프로그램 감시, 전원 장애 감시 및 클럭 장애 감시 기능등을 수행하여 이를 검지하면 즉각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다. 한편 MHB 및 BIOB의 경우에는 SPB에서 이들 프로세서 모듈의 장애를 검지하여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이중화 절체 기능을 실현한다. 먼저 MHB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제2도의 경우로서 자기측이 동작측인 경우(1) 상대측의 이중화 상태를 점검하여 상대측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4) 이중 장애로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재시작 절차를 수행하며(6) 그렇지 않으면(3) 자기측을 대기측으로 상대측을 동작측으로 초기화하는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다(5). 한편 자기측이 대기측인 경우에는(2) 상대측으로 이를 알린다.(7)
다음에 BIOB의 BA-버스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제3도의 경우로서 BIOB는 1대가 최대 4개의 DTLP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BA-버스를 처리하기 때문에 BA-버스별로 장애를 처리하며, 그 중 하나의 BA-버스가 MSP에 접속되므로 이 것은 별도로 처리한다. 즉 BA-버스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자기측이 동작측인 경우(8) MSP에 접속된 BA-버스에 장애가 발생하였으면(10) 상대측이 정상 상태인 경우인 가를 점검하여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13)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재시작 절차를 수행하며(15) 그렇지 않으면(12) 자기측을 대기측으로 상대측을 동작측으로 초기화하는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다.(14) 그 밖의 일반 DTLP에 접속된 BA-버스인 경우에는(11) 하나의 BA-버스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라도 다른 BA-버스가 정상 동작중이라면 MSP에 접속된 BA-버스를 통하여 원하는 DTLP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BA-버스의 실장 댓수에 따라 1/2이상의 장애가 발생된 경우가 아니면(17) 이중화 절체를 하지 않고 상대측으로 BA-버스 장애 발생을 알린다.(18) BA-버스가 1/2이상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16) 상대측이 정상 상태인 경우인 가를 점검하여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13)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상태로 초기화하는 재시작 절차를 수행하며(15) 그렇지 않으면(12) 자기측을 대기측으로 상대측을 동작측으로 초기화하는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다.(14) 자기측이 대기측인 경우에는(9) 상대측으로 BA-버스 장애 발생을 알린다.(18)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동작되는 본 발명은 TDX-1B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CCITT에서 권고한 국제적인 통신 프로토콜인 No.7 공통성 신호방식중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의 레벨 3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적용하여 복합체단위로 이중화하여 이들 이중화된 프로세서들간의 하드웨어 장애 감시, 소프트웨어 장애 감시 및 상호 메시지 교환을 통하여 장애에 강한 메시지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화 프로세서가 하나의 주 프로세서 및 여러개의 독립적인 메모리 및 CPU를 갖는 종 프로세서의 복합체인 구성된 시스팀의 이중화에 적용하면 효율적인 이중화 시스팀을 구형할 수 있다.

Claims (3)

  1. 망관리 및 메시지 분배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SPB(System Processor Board), 상기 SPB에 메모리를 제공하는 SMB(System Memory Board), 신호 단말과의 통신 및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MHB(Message Handling Board),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와의 B-버스 통신을 담당하는 BIOB, 및 이중화 보드인 DPB(Dual Processor Board)를 구비하고 있는 제1CCSP(Common Channel Signalling Board), 및 상기 제1CCSP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이중화 되어 있는 제2CCSP를 구비하여 전자 교환기의 No, 7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중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 기능인 신호망관리 및 메시지 처리기능을 이중화 절체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2. 망관리 및 메시지 분배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SPB(System Processor Board). 상기 SPB에 메모리를 제공하는 SMB(System Memory Board), 신호 단말과의 통신 및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MHB(Message Handling Board),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와의 B-버스 통신을 담당하는 BIOB, 및 이중화 보드인 DPB(Dual Processor Board)를 구비하고 있는 제1CCSP(Common Channel Signalling Board), 및 상기 제1CCSP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이중화 되어 있는 제2CCSP를 구비하여 전자 교환기의 No.7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중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기능인 신호망관리 및 메시지 처리기능을 이중화 절체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기능 구현방법에 있어서, 상기 CCSP에서의 MHB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자기측이 동작측인 경우 상대측의 이중화 상태를 점검하여 상대측이 비정상상태인 경우에는 이중장애로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제시작 절차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자기측이 대기측인 경우에는 상대측으로 이를 알리게 하여 이중화절체를 관리하는 제2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기능 구현방법.
  3. 망관리 및 메시지 분배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 보드인 SPB(System Processor Board), 상기 SPB에 메모리를 제공하는 SMB(System Memory Board), 신호 단말과의 통신 및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MHB(Message Handling Board), DTLP(Digital Trunk Line Processor)와의 B-버스 통신을 담당하는 BIOB, 및 이중화 보드인 DPB(Dual Processor Board)를 구비하고 있는 제1CCSP(Common Channel Signalling Board), 및 상기 제1CCSP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이중화 되어 있는 제2CCSP를 구비하여 전자 교환기의 No. 7공통선 신호방식 프로토콜중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기능인 신호망관리 및 메시지 처리기능을 이중화 절체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의 이중화 기능 구현방법에 있어서 BA-버스에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자기측이 동작측인 경우(8) MSP에 접속된 BA-버스에 장애가 발생하였으면(10) 상대측이 정상 상태인 경우인 가를 점검하여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13)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재시작 절차를 수행하며(15) 그렇지 않으면(12) 자기측을 대기측으로 상대측을 동작측으로 초기화 하는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제1단계, 이 밖의 일반 DTLP에 접속된 BA-버스인 경우에는(11), 하나의 BA-버스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라도 다른 BA-버스가 정상 동작중이라면 MSP에 접속된 BA-버스를 통하여 원하는 DPLP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BA-버스의 실장 댓수에 따라 1/2이상의 장애가 발생된 경우가 아니면(17) 이중화 절체를 하지 않고 상대측으로 BA-버스 장애 발생을 알리며(18). BA-버스가 1/2이상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16) 상대측이 정상 상태인 경우인 가를 점검하여 비정상 상태인 경우에는(13) 서비스 불능 상태로 되어 자기측을 비정상 상태로 초기화하는 재시작 절차를 수행하며(15) 그렇지 않으면(12) 자기측을 대기측으로 상대측을 동작측으로 초기화하는 이중화 절체를 수행하는 제2단계, 및 자기측이 대기측인 경우에는(9) 상대측으로 BA-버스 장애 발생을 알리게 하여(18) 이중화 절체를 관리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기능 구현방법.
KR1019910026038A 1991-12-30 1991-12-30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KR94000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6038A KR940008779B1 (ko) 1991-12-30 1991-12-30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6038A KR940008779B1 (ko) 1991-12-30 1991-12-30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78A KR930015578A (ko) 1993-07-24
KR940008779B1 true KR940008779B1 (ko) 1994-09-26

Family

ID=1932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6038A KR940008779B1 (ko) 1991-12-30 1991-12-30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8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04A (ko) * 2000-07-18 2000-11-06 신희영 차량번호 인식방법에 의한 기계식 주차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578A (ko) 199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283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ubstitution of card-based telephony bearer channel switch modules in a manner that preserves stable calls
US6002665A (en) Technique for realizing fault-tolerant ISDN PBX
US5548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SD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ctive and stand-by ISDN communication adaptors to maintain operation when trouble occurs
KR94000877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시지 전달부의 이중화 시스템 및 기능 구현방법
JPH1169393A (ja) T−s−t3段スイッチ制御方式
KR970002693B1 (ko) 사설전자교환시스템의 통화복구유지방법과 그 장치
KR0151905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의 구성 관리 방법
JP4017298B2 (ja) 構内電話交換機システム
JP3100464B2 (ja) パケット交換機
JP2561006B2 (ja) ルーティング制御方式
KR100442433B1 (ko) 교환기의 공통 제어 프로세서 이중화 장치
KR93001198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상태 온라인 백업방법
JP2006261980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2000295236A (ja) Atm伝送装置
KR016823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제어 보드와 프로세서간 통신 노드의 통합 방법
KR95000810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의 미예측/미정의/불합리 신호 정보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275445B1 (ko) 신호중계 교환시스템에서의 통신경로 이중화 방법
CN115412424A (zh) 一种mlag环境下双主设备检测方法及设备
JPH10150469A (ja) フレームリレー・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及びバックアップ方法
CN115190003A (zh) 一种网络设备
JPH0522348A (ja) パケツト交換網間接続中継方式
JP2003023407A (ja) ノード装置
JP2507609B2 (ja) Isdn加入者インタフェ―ス装置
JPH1013429A (ja) プロトコル状態同期化方法及び装置
JPH07312595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