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22B1 -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22B1
KR970001722B1 KR1019910012822A KR910012822A KR970001722B1 KR 970001722 B1 KR970001722 B1 KR 970001722B1 KR 1019910012822 A KR1019910012822 A KR 1019910012822A KR 910012822 A KR910012822 A KR 910012822A KR 970001722 B1 KR970001722 B1 KR 97000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ip
retaining
cylinder rod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렌타루노닛켄
기시 히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96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356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20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64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4320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243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50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64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555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64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0343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1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54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0538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렌타루노닛켄, 기시 히로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렌타루노닛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도.
제3도는 제2도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주요 구성인 신축 기구의 사시도를 부분 절단한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 화살표를 따른 횡단면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인 신축 이동핀에 대한 기구를 가지는 아암의 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구성 성분의 분해 사시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떼고 붙임 기구의 구성인 신축 이동핀에 대한 기구를 가지는 아암의 횡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구성 성분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제2변형에 의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도.
제16도는 제2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인 신축 이동핀에 대한 기구를 가지는 아암의 횡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구성 성분의 분해 사시도.
제18도는 유지핀의 조립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
제19(a)도 내지 제19(c)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제3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인 신축 이동핀에 대한 기구를 가지는 아암의 횡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주요 구성 성분의 분해 사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의 굴착기의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도.
제24도는 제22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주요 구성인 신축기구의 사시도를 일부 절단한 확대도.
제25도는 제23도의 XXV-XXV 화살표를 따른 횡단면도.
제26(a)도 내지 제26(c)도는 제4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28도는 제27도에서 나타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도.
제29도는 제5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인 유지핀들에 대한 기구를 가지는 아암의 선단의 횡단면도.
제30도는 제29도의 작동부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1(a)도 내지 제32(c)도는 제5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하는 굴착기의 사시도.
제33도는 제32도의 굴착기의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확대 사시도.
제34도는 버킷이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35도는 버킷이 아암의 선단에 부착되기 바로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6도는 버킷이 아암의 선단에 의해 걸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7도는 버킷이 유지핀들에 의해서 아암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8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아암의 내부의 횡단면도.
제39도는 제38도의 유지핀들을 구동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사용한 굴착기의 사시도.
제41도는 제40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
제42도는 제41도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 및 버킷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3도는 떼고 붙임 가능 기구가 버킷과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44도는 버킷의 아암의 선단에 부착되기 바로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5도는 버킷이, 상승된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46도는 제7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아암의 선단에 부착된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47도는 제7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와 버킷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8도는 제7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와 버킷이 걸어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이동 차체 102 : 무한궤도
103 : 아암 104 : 제1유압 실린더
105 : 붐(boom) 106 : 제2유압 실린더
107 : 버킷 실린더 108 : 실린더 로드
109 : 상승링크 110 : 연결링크
111 : 신축체 112 : 상부훅크
113 : 하부훅크 114 : 버킷
115 : 부착체 116 : 제1유지핀
117 : 제2유지핀 121,122,123 : 피버트 핀
124 : 상부덮개 125 : 하부덮개
126 : 훅크면 127 : 가이드면
128 : 훅크면 130 : 유압 실린더
131 : 연결부 132,133 : 칼라
134 : 정지링 135 : 실린더 로드
136 : 큰직경부 137,138 : 칼라
139 : 유지링 205 : 아암
207 : 버킷 실린더 208 : 실린더 로드
209 : 상승링크 210 : U자형 폴호울더
211 : 훅크 212 : 피버트 핀
213 : 지지링크 214 : 피버트 핀
215,216 : 유지핀 217 : 버킷
218 : 부착부 219 : 유지핀
220,221 : 핀구멍 227 : 한쌍의 지지편
228 : 훅크면 229 : 경사 가이드면
230 : 유압실린더 231 : 실린더 로드
232 : 작동판 233 : 가이드홈
234,235 : 블록형 가이드체 236,237 : 가이드 돌기
240 : 미끄럼 이동 개구 241 : 삽입홈
242,243 : 경사 작동면 244,245 : 삽입부
246 : 삽입홈 247 : 경사 작동면
250,251 : 정지핀 252 : 코일 스프링
253,254 : 정지핀 255 : 코일 스프링
260 : 유압 실린더 261 : 실린더 로드
305 : 아암 307 : 버킷 실린더
308 : 실린더 로드 309 : 상승링크
310 : U자형 폴 호울더 311 : 훅크
312 : 핀 313 : 지지링크
314 : 유지핀 316 : 유지핀
327 : 한쌍의 지지편 328 : 훅크면
329 : 경사 가이드면 330 : 유압 실린더
331 : 실린더 로드 332 : 삼각형상 작동판
333 : 가이드홈 334 : 블록형 가이드체
336,337 : 가이드 돌기 340 : 미끄럼 이동개구
341 : 삽입홈 342,343 : 작동면
344,345 : 삽입부 346 : 삽입홈
347 : 작동면 350 : 점검덮개
351,352 : 가이드 슬릿 353,354 : 핀구멍
355,356 : 작동핀 358,359 : 측개구부
360 : 점검개구 370 : U자형 작동체
371 : 상부 측부 372 : 하부측 부
373,374 : 가이드슬릿 375,376,377,378 : 원호부
379,380 : 핀구멍 381,382 : 작동핀
410 : 연결링크 411 : 신축체
412 : 상부훅크 413 : 하부훅크
414 : 압력후크 415 : 버킷
417,418 : 유지핀 422,423 : 핀
424,425 : 상부 및 하부 덮개 426 : 에이프런(apron)
427 : 연결판 429 : U자형 오목부
430 : 훅크면 431 : 경사 가이드면
433 : 연동체 434 : 상부
435 : 반원호 누름면 440 : 유압 실린더
441 : 연결부 442,443 : 칼라
444 : 정지링 445 : 유압 실린더
446 : 제2큰 직경부 447,448 : 칼라
449 : 유지링 505 : 아암
507 : 버킷 실린더 509 : 상승링크
510 : 폴 호울더 511 : 상부훅크
515 : 유지홈 517 : 버킷
519 : 핀 520 : 유지핀
535 : 지지축 536 : 유지체
537 : 유지부 538 : 밀어올림체
539 : 해제 레버 540 : 스프링
541 : 스프링 시이트 546 : 실린더 로드
547 : 연장판 548 : 로드
601 : 차체 605 : 아암
607 : 버킷 실린더 608 : 실린더 로드
610 : 연결링크 611 : 유지링크
612 : 유지폴 613 : 핀 구멍
615 : 버킷 616 : 부착체
617 : 훅크핀 618 : 핀 구멍
619 : 핀 623 : 유지홈
624 : 핀 625 : 칼라
626 : 베어링 630 : 축지지대
631 : 링형상 부품 632,633 : 나사
634 : 와셔 635 : 분할핀
637,638 : 연결핀 640 : 유압 실린더
641 : 실린더 로드 642 : 삼각형상 작동판
643 : 가이드홈 644,645 : 가이드체
646,647 : 가이드 돌기 650 : 미끄럼 이동개구
651 : 삽입홈 652,653 : 경사 작동편
654 : 상부 656 : 삽입홈
657 : 경사 작동핀 660: 상부 정지핀
661 : 하부 정지핀 662 : 코일 스프링
663 : 상부 정지핀 664 : 하부 정지핀
665 : 코일 스프링 670,671 : 측개구부
703 : 붐 704,706 : 유압 실린더
705 : 아암 708 : 실린더 로드
709 : 상승링크 710 : 연결링크
711 : 떼고 붙임 가능 몸체 712 : 상부 고정폴
713 : 상부 이동폴 714 : 하부 고정폴
715 : 하부 이동폴 716 : 유압 실린더
717 : 버킷 719,720 : 유지핀
723,724 : 핀 725 : 조립체
726,727 : 핀 728 : 직사각형 창
729 : 훅크면 730 : 연동체
731,732,733 : 훅크면 734 : 평편한 지지판
735 : 신축 실린더 로드 741 : 조립체
742 : 직사각형 창 743 : 상부 고정폴
744 : 훅크면 745 : 하부 고정폴
746 : 훅크면 747 : L자형 앵글
748 : 유압 실린더 749 : 실린더 로드
750 : 앵글 751 : 연동체
752 : 상부 이동폴 754 : 하부 이동폴
757,758,759 : 유지핀 753,755 : 훅크면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붐(boom)에 부속품을 떼고 붙임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떼고 붙임 가능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굴착기, 백 호(back hoe)등과 같이 지면에 홀 또는 배수관을 파기위한 건설기 기계에서, 건설기계의 붐에 부착되는 부속품은 작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부속품으로 교환될 수 있다.
굴착기는 통상 지상 작업 또는 건설 작업에 사용되었고, 붐의 선단에 연결되는 버킷(bucket)을 포함한다. 붐 및 버킷이 요동되면서, 토사는 홀 또는 배수관을 형성하기 위해 파내진다.
그러나, 굴착기는 버킷에 의해서 홀 또는 배수관을 파내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그의 기계를 이용하여 다른 작업 목적에도 전용될 수 있다.
즉, 버킷 대신에, 다른 부속품을 붐에 연결하여, 특정의 토목공사 또는 건설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폭을 굴착하는데 적합한 크기를 가지도록 버킷이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굴착기가 토사의 경도 및 홀 또는 배수관의 폭에 의해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브레이커는 붐의 선단에 연결되거나 또는 맞물림 장치가 파괴작업 또는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들 다양한 종류의 부속품 조합으로 굴착기가 다양한 작업들을 위해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건설 작업 현장에서의 응용성이 향상된다. 버킷이 다른 부속품으로 교환될 때, 버킷은 제거되고, 다른 작업 목적을 위한 다른 부속품은 수작업으로 붐에 연결된다. 이러한 작업에서, 붐 및 버킷을 연결하는 핀은 제거되므로, 버킷은 붐으로부터 분리된다.
그후에, 다른 부속품이 붐에 연결되고, 부속품과 붐을 관통하도록 핀을 삽입하고, 부속품 및 붐 양자는 상호간에 연결된다.
수반되는 분리 및 부착 작업은 인력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작업이 비능률적이 되는 부속품을 교환하고, 핀을 뽑고, 끼우기 위해서는 여러명의 작업원과 많은 시간이 걸린다.
특정 작업에 적용되는 붐에 부속품을 임의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부속품의 교환으로 인한 인력 및 작업 시간은 감소된다.
한명의 작업원이 혼자서 붐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하고 부속품을 붐에 부착할 수 있다면, 부속품을 교환하는데 필요한 다른 작업원이 제거될 수 있다.
굴착기의 한 작업원이 혼자서 부속품을 떼고 붙일 수 있고, 부속품에서 핀을 뽑고, 핀을 끼우는에 수반되는 조작을 제거할 수 있으면, 그 작업은 안전하게 부속품을 교환하기 위한 시간을 감소되도록 되고 작업 효율이 높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고, 건설기계의 아암으로부터 부속품을 분리하거나 또는 부속품을 부착할 수 있는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이동 차체와, 이동 차체상에 착설되고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붐과, 붐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아암과, 실린더 로드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되는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떼고 붙임 가능 기구 및, 떼고 붙임 가능 기구에 의해서 유지되는 부속품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 및,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그의 한 끝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부덮개가 핀으로 연결링크들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고, 하부덮개가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덮개가 상부덮개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그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덮개 및 하부덮개들을 각각 가지는 2개의 대칭적인 신축 기구로 구성되는 신축체와, 상부덮개들에 부착되는 한쌍의 상부훅크와, 하부덮개에 부착되는 한쌍의 하부훅크 및, 상부 및 하부 덮개들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부덮개의 내벽과 접촉하는 제큰 직경부와, 하부 덮개의 내벽과 접촉하는 제2큰 직경부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선단에 훅크를 가지는 대략 U자형 폴 호울더와,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폴 호울더의 정면에 연결되는 상단 및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하단을 가지는 지지링크와, 실린더 로드를 가지며 아암의 안쪽에 마련되는 유압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그의 상부 및 하부면에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경사측을 가지는 작동판과, 가이드홈과 걸어맞춤할 수 있는 그의 중심부에서 돌기를 가지고 아암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블록형 가이드체와, 아암의 내부에 마련되고, 작동판의 이동으로 아암의 선단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측개구부 안,밖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동 가능하게 삽입 홈을 가지고 아암 내부에 마련되는 원통형 유지핀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선단에서 훅크를 가지는 대략 U자형 폴 호울더와,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폴 호울더의 정면에 연결되는 상단 및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하단을 가지는 지지링크와, 아암 내부에 마련되고, 실린더 로드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그의 상부 및 하부면에서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경사측면을 가지고 또한 그의 경사측과 평행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을 더욱 가지는 작동판과, 그의 중심부에서 가이드롬과 걸어맞춤할 수 있는 돌기를 가지고, 아암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블록형 가이드체와, 아암 내부에 마련되고, 삽입홈을 가지고, 작동판의 이동에 의해 아암의 선단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측개구부의 안,밖으로 신축성있게 이동 가능하고 또한, 작동판의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핀이 통과하는 핀구멍을 더욱 가지는 원통형 유지핀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그의 한 끝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하부 덮개들은 상부 덮개들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 덮개들은 하부덮개들이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면서, 핀에 의하여 연결링크들의 다른 끝단에 연결되는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덮개 및 하부 덮개들을 각각 가지는 2개의 대칭적인 신축 기구들로 구성되는 신축체와, 그의 상부 중실부에서 U자형 오목부를 가지고 상부덮개들을 씌우기 위한 에이프런과, 에이프런에 부착되는 한쌍의 상부훅크와, 하부덮개들을 씌우기 위한 연결판과, 연결판에 부착되는 한쌍의 하부훅크와, 소정 간격으로 에이프런 뒤에 배치되는 중심부와, 압력 훅크를 가지는 상부로 구성되는 연동체와, 상부 및 하부덮개들 내부에 각각 수용되고 상부덮개의 내벽과 접촉하는 제1큰 직경부와 하부덮개의 내벽과 접촉하는 제2큰 직경부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들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실린더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선단에서 훅크를 가지는 대략 U자형 폴 호울더와,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폴 호울더의 정면에 연결되는 상단 및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하단을 가지는 지지링크와, 아암의 선단에서 개방되는 슬릿형 유지홈과, 아암 내부에 위치되고, 유지홈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되며 그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지체를 가지는 지지축과, 그의 기초부에서 해제 레버 및 그의 중심부에서 스프링 및 부속폼의 유지핀을 접촉하기 위해 그의 선단에서 유지부를, 가지는 유지체와, 아암 내부에 위치되는 실린더 로드를 가지는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실린더 로드와 평행하게 로드를 가지며, 이 로드가 유지체의 해제 레버의 측면으로 향하는 연장판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그의 한 끝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핀에 의하여 그의 한 끝단에서 연결링크에 연결되고, 그의 다른 끝단에서 베어링에 의하여 아암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의 정면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유지폴과, U자형의 유지홈들을 가지는 유지 링크들과, 실린더 로드를 가지고, 아암 내부에 마련되는 유압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그의 상부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경사측면을 가지는 작동판과, 아암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그의 중심부에서, 가이드홈과 걸어맞춤할 수 있는 돌기를 가지는 블록형 가이드체와, 아암 내부에 마련되고, 삽입홈을 가지고 작동판의 이동으로 아암의 선단의 좌,우측에 형성되는 측개구부의 바깥 및 그 안에 신축성 있게 이동 가능한 원통형 유지핀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그의 상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하단에서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그의 한 끝단에서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다른 끝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한 끝단과 아암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다른 끝단과를 가지고, 또한 그의 상부 정면부에서 개방된 창을 가지는 조립체와, 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되고, 창위에 위치되는 한쌍의 상부 고정폴과, 조립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부 고정폴과, 상부 고정폴과 하부 고정폴들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 이동폴과, 하부 고정폴 아래에 마련되는 하부 이동폴과, 조립체 내부에 미끄럼 가능하게 마련되고, 창을 관통하는 상부 이동폴의 하부에 연결되는 상단과 그와 함께 직각으로 하부 이동폴에 연결되는 하단과를 가지는 연동체와, 하부 고정폴들 사이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지지판에 고정되는 기초부와 상부 이동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와로 구성된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이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얻어진 이하 설명으로부터 보다 뚜렷해진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5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부속폼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건설기계는, 그 위에 착설되는 엔진등을 가지는 이동 차체(101)와, 그의 하부의 좌,우측에서 앞 뒤 좌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한궤도(102)로 구성된다.
이동 차체(101)는 대략 C자형 구성을 가지고 수직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그의 정면 부분에 부착되는 아암(103)을 가진다. 이동 차체(101)의 정면 부분에서 그의 중심부의 좌,우측의 아암(103) 사이에 한쌍의 제1유압 실린더(104)가 마련되어 있어, 아암(103)은 제1유압 실린더(104)의 작동에 의해서 수직으로 요동될 수 있게 된다. 대략 긴 형상을 가지는 붐(105)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아암(103)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2유압 실린더(106)는 그의 배면에서 아암(103)의 중심부와 붐(105)의 후단 사이에 개재되고, 붐(105)은 제2유압 실린더(106)의 작동에 의해서 아암(103)에 대하여 수직으로 요동될 수 있다.
버킷 실린더(107)는 붐(105)의 배면 중심부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후단과 실린더 로드(108)가 마련되는 선단을 가진다.
부속품 부착기구는 실린더 로드(108)의 좌,우측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한쌍의 상승링크(109)들을 포함한다. 상승링크(109)들의 하단은 그의 양측에서 붐(105)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된다.
한쌍의 연결링크(110)들은 그의 좌,우측에서 실린더 로드(108)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된다.
압력유에 의해서 신축적으로 이동 가능한 신축체(111)는 연결링크(110)들의 선단과 붐(105)의 선단 사이에 피버트 지지되게 부착된다.
대략 사각형 링크 기구는 한쌍의 상승링크(109), 한쌍의 연결링크(110) 및 신축체(111)에 의해서 형성된다.
신축체(111)는 상부의 좌,우측에서 그에 고정되는 상부훅크(112) 및 하부의 좌,우측에서 그에 고정되는 하부훅크(113)를 가진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114)은 공지된 구성을 가지며, 그의 일부 주위에서 그에 연결되는 부착체(115)를 가진다.
제1 및 제2유지핀(116) 및 (117)들은 소정 간격으로 부착체(115)의 측면에 고정된다.
유지핀(116) 및 (117)들은 공지 구성의 버킷(114)내에 형성되는 핀구멍내로 삽입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신축체(111)는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승링크(109) 및 연결링크(110)는 피버트 지지할 수 있도록 그의 좌,우측에서 실린더 로드(108)의 선단에 연결된다.
상승링크(109)의 하단은 각각, 피버트 핀(121)에 의해서 그의 양측에서 붐(105)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연결된다.
신축제(111)는 그의 일부 프레임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부덮개(124) 및 하부덮개(125)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대칭적 신축기구로 구성된다.
상부덮개(124)가 연결링크(110)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피버트 핀(122)으로 연결링크(110)의 선단에 연결되면서, 하부덮개(125)는 상부덮개(124)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된다.
하부덮개(125)는 붐(105)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피버트 핀(123)으로 그의 좌,우측에서 붐(105)의 선단에 연결된다.
상부덮개(124)는 상호간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그의 정면 상부에 부착된 대략 L자형으로 그들을 굴곡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한쌍의 훅크(112)를 가진다.
상부훅크(112)는 그의 돌출 상부면에서 반원호 형상의 훅크면(126)을 가지며, 훅크면(126)은 상부 방향에서 개방된다.
가이드면(127)은, 훅크면(126)에서 연장되고, 피버트 핀(122)의 측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부덮개(125)는 L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호간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그의 정면 하부에서 그에 부착되는 하부훅크(113)를 가진다.
하부훅크(113)는 그의 하부측에서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훅크면(128)을 가진다.
신축체(111)의 내부 구성은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양 상부덮개(124) 및 하부덮개(125)들은 유압 실린더(13)가 상부덮개(124)에 대하여 하부덮개(125)를 신축성 있게 이동하기 위해 수용되는 그의 내부에는 각각 속이 빈 공간이다.
유압 실린더(130)는 그의 후단에 형성되고 큰 직경을 각각 가지는 제1연결부(131)를 가진다.
연결부(131)는 상부덮개(124)의 상부에 위치되고, 칼라(132) 및 (133)에 의해서 상부덮개(124)의 내벽과 접촉된다.
피버트 핀(122)은 연결부(131) 및 칼라(132) 및 (133)을 관통한다.
정지 스프링(134)은 피버트 핀(122)의 양 끝단상에 삽입되고, 키에 의해서 그에 고정된다.
실린더 로드(135)의 선단은 유압 실린더(130)에 의해 신축적으로 이동되고, 제2큰 직경부(136)를 각각 가진다.
큰 직경부(136)의 좌,우측은 칼라(137) 및 (138)에 의해서 하부덮개(124)의 내벽과 접촉된다.
피버트 핀(123)은 하부덮개(125), 칼라(137) 및 (138) 및 큰 직경부(136)내로 관통한다.
유지링(139)은 피버트 핀(123)의 양 끝단상에 삽입되고 키에 의해서 그에 고정된다.
신축체(111)는 버킷(114) 대신에 공지된 굴착기의 붐의 선단과 연결링크(110)의 선단 사이에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은 제5(a)도, 제5(b)도 및 제5(c)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5(a)도는, 붐(105)이 그의 선단에서 부속품을 가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부속품으로서의 버킷(114)은 붐의 선단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버킷 실린더(107)는, 최대 길이로 신축되면서 신축체(111)내의 유압 실린더(130)는 최대로 수축되고, 상부훅크(112)와 하부훅크(113) 사이의 간격 또는 공간이 회소한도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암(103) 및 붐(105)은, 상부훅크(112)가 버킷(114)의 유지핀(116)으로 향하여 이동되게 하도록, 유압 실린더(104) 및 (106)의 작동으로 수직으로 요동된다.
버킷 실린더(107)가 최대로 신축됨에 따라서, 상부훅크(112)들은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선두에 위치되고, 하부훅크(113)들은 이동 차체(1)의 측면에 위치되므로, 하부훅크(113)는 유지핀(117)을 접촉하지 않는다.
제5(b)도는, 유지핀(116)이 상부훅크(112)들의 훅크면(126) 내부 둘레를 접촉하도록 허용된 후 붐(105)이, 유압 실린더(104) 및 (106)를 작동시킴으로써 주어진 각도로 약간 경사지게한 상태를 나타낸다.
핀(116)은 상부훅크(112)에 의하여 결려지고, 버킷(114)은 그 상태대로 매달려진다.
그리고 나서, 버킷 실린더(107)는, 버킷(114)이 상부훅크(112)에 의해서 매달려질 때 수축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상승 링크(109)는 피버트 핀(12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로 이하여 연결 링크(110)가 우측방향으로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신축체(111)는 또한 전체로써 우측방향으로 당겨지고, 피버트 핀(123)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버킷(114)은 붐(105)의 선단을 향하여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하부 유지핀(117)은 하부훅크(113)를 향하여 비교적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연속하여, 하부훅크(113)는 유지핀(116) 및 (11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된다.
하부훅크(113)가 유지핀(117)의 상부를 관통하고, 유지핀(116) 및 (117)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때, 유압실린더(130)들은 신축된다.
실린더 로드(135)는 유압 실린더(130)의 작동으로 밀려지고, 그로 인하여 피버트 핀(122) 및 (123)들간의 간격이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부 덮개(124)에 고정되는 상부훅크(112)와 하부덮개(125)에 고정되는 하부훅크(113) 사이의 간격은 연장되므로, 하부훅크(113)는 유지핀(117)의 상부면에 대하여 이동된다.
하부훅크(113)이 훅크면(128)이 유지핀(117)을 접촉할 때, 2개의 유지핀(116) 및 (117)들은 한쌍의 상부훅크(112) 및 한쌍의 하부훅크(113)에 의해서 확장 및 클램프되고, 버킷(114)은 제5(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붐(105)의 선단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130)내의 압력유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때, 상부훅크(112)의 훅크면(126) 및 하부훅크(113)의 훅크면(128)은 항상 유지핀(116) 및 (117)을 접촉하고 이들에 대해서 바이어스되므로, 버킷(114)은 붐(105)의 선단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이전의 부착 작동과 반대로, 버킷(114)을 붐(105)의 선단으로부터 제거할때, 제5(c)도, 제5(b)도, 제5(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의 작동을 계속적으로 한다.
한 조작원은 혼자 다양한 부속품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부속품을, 다양한부속품이 그에 고정되는 유지핀을 가지며, 유지핀이 버킷(114)의 유지핀(116) 및 (117)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마련되는 붐(105)의 선단에 부착할 수 있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종래 굴착기의 아암의 선단에 마련되고, 건설 작업에서 사용되고 교환될 부속품은 그에 고정되는 평행 유지핀들을 가지므로, 토목 작업 또는 건설 작업에서 각각 사용되기 위한 아암에 버킷등과 같은 다양한 부속품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조작원의 도움없이 한 조작원 혼자서 붐에 부속품을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제6도 내지 제13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6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부분은 100씩 증가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구성은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건설기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버킷 실린더(207)의 실린더 로드(208)의 선단의 양측에 피버트 지지되게 부착되는 한쌍의 상승 링크(209)를 포함한다.
상승 링크(209)는 그의 하단에서 아암(205)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의 양측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된다.
대략 U자형 폴 호울더(210)는 실린더 로드(208)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선단에 한쌍의 훅크(211)를 가진다.
훅크(211)는 상부 방향으로 지시되는 폴의 구성을 가진다.
지지링크(213)는 그의 정면 부분에 폴 호울더(21)의 평행한 좌우편들 사이의 피버트 핀(212)에 의해 연결되는 상단을 가지고, 피버트 핀(214)에 의해서 아암(205)의 선단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하단을 가진다.
상승링크(209), 폴 호울더(210), 지지링크(213) 및 아암(205)은 대략 평행 사변형 결합을 형성한다.
유지핀(215) 및 (216)은 아암(205)의 선단의 좌,우측에 마련되며, 아암(205)의 선단의 양측에서 신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7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핀(225)은 실린더 로드(208)의 선단을 관통하고, 폴 호울더(21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양측을 가진다.
상승 링크(209)의 상단은 폴 호울더(210)의 좌우 외부측에 연결된다.
상승 링크(209)는, 회전 가능하도록 핀(226)에 의해서 그의 하단에서 아암(205)의 양측에 연결된다.
폴 호울더(210)는 철판을 굴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되고, 정면 폐쇄편 및 정면 폐쇄편에서 연장되는 2개의 편들로 구성된다.
피버트 핀(212)은 정면 폐쇄편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폴 호울더(21)의 2개의 편들에 의해서 피버트 지지되게 지지지고 위치된다.
지지 링크(213)의 상단은 피버트 핀(212)의 중심에 연결된다.
한쌍의 지지편(227)은 아암(205)의 선단에 인접하는 상부면에서 돌출한다.
지지링크(213)의 하단은 한쌍의 지지편(227)들 사이에 삽입되고 피버트 핀(214)에 의해서 그에 연결된다.
한쌍의 훅크(211)는 용접등으로 폴 호울더(210)의 정면에 고정되고, 철판을 절단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훅크면(228)은 반원호 형상으로 오목지고, 훅크(211)의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훅크(211)는 훅크면(228)에서 연장되고 폴 호울더(210)의 정면 폐쇄편에서 종료되는 경사 가이드면(229)을 가진다.
유지핀(215) 및 (216)의 미끄럼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는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암(205)은 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유압 실린더(230)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230)의 실린더 로드(231)는 아암(205)의 정면으로 향하게 된다.
실린더 로드(231)의 선단은 그의 중심 바닥에서 삼각형상 작동판(232)에 연결된다.
작동판(232)의 2개의 경사측은 아암(205)의 측면에 대하여 주어진 각도를 가지도록 결정된다.
가이드홈(233)은, 실린더 로드(231)를 향하여 작동판(232)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작동판(232)의 상부 및 하부면에 형성된다.
블록형 가이드체(234) 및 (235)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아암(205)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가이드체(234)의 하부면과 가이드체(235)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작동판(232)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
양 가이드체(234)의 하부면과 가이드체(235)는 그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236) 및 (237)를 가진다.
가이드 돌기(236) 및 (237)는 가이드홈(233)내에 걸어맞춤된다.
작동판(232)은, 가이드 돌기(236) 및 (237)가 가이드홈(233)내에 걸어맞춤되고, 작동판(232)의 상부 및 하부면이 가이드체(234) 및 (235)의 내부면을 접촉할때, 실린더 로드(231)에 의해서 작동된다.
작동판(232)은 실린더 로드(231)의 힘으로 작동되고, 실린더 로드(231)의 길이방향으로 단독으로 작동된다.
유지핀(215) 및 (216)의 형상은 이하에 설명한다.
유지핀(215) 및 (216)은 원통형이고 핀구멍(220) 및 (2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유지핀(215)은 그와 동축으롤 내부에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개구(240)를 가진다.
횡단면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는 삽입홈(241)은 미끄럼 이동개구(240)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미끄럼 이동개구(240)의 개구측에 형성된다.
경사 작동면(242) 및 (243)은 삽입홈(241)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작동면(242) 및 (243)의 경사 각도는 바닥측에 대하여 경사측의 경사 각도에 일치된다.
유지핀(216)은, 일체로 형성되고 핀구멍(22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진다.
유지핀(216)은 아암(205)의 내부측에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삽입부(244) 및 (245)를 가지고, 핀(215)의 미끄럼 이동개구(240)내로 삽입할 수 있다.
삽입부(244) 및 (245)의 중심부는 유지핀(216)의 축선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그의 절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삽입홈(246)을 가진다.
삽입홈(246)은 그의 바닥면으로서 경사 작동면(247)을 가진다.
작동면(247)의 경사 각도는 작동판(232)의 경사측의 경사 각도에 일치한다.
유지핀(215) 및 (216) 및 작동판(232)은 다음 순서로 조립된다.
실린더 로드(231)는 유압 실린더(230)의 내부로 향하여 제일 먼저 인입되고, 작동판(232)은 제9도에서 도시된 가이드체(234) 및 (235)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정지된다.
유지핀(215) 및(216)은 아암(205)의 측개구부내로 각각 삽입되고, 유지핀(216)의 삽입부(244) 및 (245)는 각각 유지핀(215)의 미끄럼 이동개구(240)로 삽입된다.
이때에, 삽입홈(241) 및 (246)은 상호간에 각각 동일면이 되도록 위치된다.
삽입부(244) 및 (245)가 미끄럼 이동개구(240)의 가장 깊은 부분에 삽입될때, 유지핀(215) 및 (216)의 양끝단을 아암(205)의 측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아암(205)의 측면은 유지핀(215) 및 (216)의 각 헤드와 동일면에 위치된다.
아암(205) 내부에 유지핀(215) 및 (216)의 배열을 완료후에, 유압 실린더(230)는 실린더 로드(231)를 밀도록 작동되므로, 작동판(232)은 삽입홈(241) 및 (246)을 통과하고, 가이드체(234) 및 (235)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내로 삽입된다.
이때에, 가이드 돌기(236) 및 (237)는 작동판(232)이 미끄럼 이동될 때, 작동판(232)이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홈(233)내에 걸어맞춤된다.
실린더 로드(231)가 실린더로부터 더욱 밀려져 나올 때, 작동판(232) 양측의 경사 각도는 실린더 로드(231)가 밀려져 나오는 방향에 일치하므로, 그의 외부측으로 유지핀(215) 및 (216)을 밀도록 작동판(232)의 경사면은, 작동면(242),(243) 및 (247)을 접촉한다.
따라서, 양 유지핀(215) 및 (216)은 아암(20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아암(205)의 측개구부로부터 떨어져 그 안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은 제10(a)도 내지 제10(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킷(217)이 아암(205)에 연결될 때, 실린더 로드(231)는 유압 실린더(230)를 향하여 견인되고, 유지핀(215) 및 (216)의 헤드는 아암(205)의 측개구부로부터 아암(205)의 내부로 밀려진다.
유지핀(215) 및 (216) 들이 미끄럼 이동개구(240) 내로 삽입부(244) 및 (245)를 삽입함에 의해서 상호간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양 유지핀(215) 및 (216)들은 안내되는 동안 내부측내로 밀려진다.
그 부속품을 다른 부속품(이 경우에는 버킷)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아암(205)에 버킷(217)을 연결하기 위해서, 언급된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0(a)도는, 건설 작업을 위한 부속품(이 경우 버킷)이 아암(205)의 선단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버킷(217)을 아암(205)에 연결하기 위한 작동은 제10(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시작한다.
건설 작업 시작전에, 버킷 실린더(207)의 전체 길이는 극대화되고, 가능한한 정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204) 및 (206)은, 훅크(211)가 버킷(217)의 유지핀(219)을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수직으로 아암(205) 및 붐(203)을 요동하도록 작동된다.
유지핀(219)은, 훅크(211)의 가이드면(229)을 접촉하면서 훅크면(228)에 안내되고 훅크(211)에 의해서 용이하게 걸려진다.
유지핀(219)의 주위가 훅크(211)의 훅크면(228)을 접촉할 때, 유압 실린더(204) 및 (206)는 제10(b)도에서 도시된 아암(205)이 약간 경사지도록 작동된다.
제10(b)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핀(219)은 훅크(217)에 의해서 걸려지고, 버킷(217)은 현재 상태로 걸려진다.
버킷 실린더(7)는 버킷(217)이 훅크(211)에 의해서 걸려지는 상태에서 수축된다.
상승 링크(209)는 핀(226)에 대해서 제10(b)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폴 호울더(210)는 그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훅크(211) 및 버킷(217)도 또한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버킷(217)의 부착부(218)는 유압 실린더(205)의 선단을 향하여 접근되도록 힘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아암(205)의 선단은 부착부(218)내로 삽입되므로, 유지핀(215) 및 (216)의 중심축이 핀구멍(20) 및 (221)의 축에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유압 실린더(230)는 유지핀(215) 및 (216)의 중심축이 핀구멍(220) 및 (221)의 축에 일치하는 상태에서 실린더 로드(231)를 밀도록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작동판(232)은 실린더 로드(231)에 의해서 밀려지고, 가이드체(234)를 향하여 이동된다.
작동판(232)의 경사측이, 각각 경사지고 작동면(242),(243) 및 (247)을 접촉하기 때문에 그에 인가되는 힘은 작동면(242),(243) 및 (247)을 외부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분력된다.
따라서, 유지핀(215) 및 (216)은 제8도에서 F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205)의 개구로부터 외부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미끄럼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유지핀(215)은 핀구멍(220)내로 삽입되고, 유지핀(216)은 핀구멍(221)내로 삽입되어, 버킷(217)이 제10(c)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되도록 아암(205)에 연결된다.
건설기계는 통상의 굴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버킷(217)이 아암(205)의 선단에서 제거될 때, 버킷(217)은 지면상에 위치되고, 유압 실린더(230)는 역으로 작동되므로, 실린더 로드(231)는 유압 실린더(231)는 유압 실린더(230)내로 견인되고, 작동판(232)은 작동면(242),(243) 및 (247)에서 분리된다.
그후에, 유지핀(215) 및 (216)은 아암(205) 내부로 수작업으로 밀려지므로, 유지핀(215) 및 (216)은 핀구멍(220) 및 (221)에서 제거된다.
연속작동은 제10(c)도, 제10(b), 및 제10(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운전석상에 앉은 조작원은 각 유지핀(215) 및 (216)을 밀어내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부속품이 아암(205)에 의해서 유지될 때, 운전석 상에 앉는 조작원은 아암(205)에 그러한 부속품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제1차 변형(제11도 및 제12도)
제2실시예의 제1차 변형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되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유지핀(215)은 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아암(205) 내부에 위치되는 정지핀(250) 및 (251)을 가진다.
코일 스프링(252)은 정지핀(250) 및 (251)과 아암(205)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고, 유지핀(215) 주위에 감겨진다.
유지핀(216)은 그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아암(205) 내부에 위치되는 정지핀(253) 및 (254)을 가진다.
코일 스프링(255)은 정지핀(250) 및 (251)과 아암(205)의 내벽 사이에 개재되고 유지핀(216) 주위에 감겨진다.
정지핀(250) 및 (251)은 항상 아암(205)의 중심을 향하여 코일 스프링(252) 및 (255)에 의해서 바이어스 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30)가 실린더 로드(231)를 밀어내도록 작동될 때, 작동판(232)의 경사측은 작동면(242),(243) 및 (247)을 접촉하므로, 유지핀(215) 및 (216)은 코일 스프링(252) 및 (253)을 압축하면서, 아암(205)의 측개구부로부터 돌출된다.
그러나, 실린더 로드(231)가 제11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작동판(232)을 이동하게 되도록 수축되면, 유지핀(215) 및 (216)은 코일 스프링(252) 및 (255)이 탄성력에 의해서 아암(205) 내부로 견인된다.
유지핀(215) 및 (216)은 유압 실린더(230)를 작동함에 의해서 아암(205)의 측개구로부터 밖으로 이동되어 나오거나 또는 그 안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버킷(217)이 아암(205)의 선단에 부착될 때, 유압 실린더(230)는 실린더 로드(231)를 신축적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되므로, 유지핀(215) 및 (216)은 핀구멍(220) 및 (221)에서 해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제2변형(제13도)
제2실시예의 제2변형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구성 부분은 동일부호로 표시되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유압 실린더(260)는 유압 실린더(260)의 기초부가 피버트 핀(214)에 의해서 한쌍의 유지판(227)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면서 아암(205)의 선단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유지판(227)들 사이에 삽입되는 기초부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260)의 실린더 로드(261)는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그의 상부 끝단에서 피버트 핀(212)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260)가 작동될때, 실린더 로드(261)는 신축적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승 링크(209) 및 폴 호울더(210)에 의해서 형성되는 평행사변형의 링크의 한측은 신축으로 이동되므로, 훅크(211)의 위치는 유지핀(215) 및 (216)에 대하여 수직으로 변동될 수 있다.
버킷(217)에 마련되는 부착체(218)의 유지핀(219)과 핀구멍(220) 및 (221) 사이의 간격이 차이질 때, 유압 실린더(260)는, 유지핀(219)과 핀구멍(220) 내지 (221) 사이의 간격에 그들을 조정하기 위해서, 훅크(211)와 유지핀(215) 및 (216) 사이의 간격을 변동하게 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버킷 또는 다른 부속품들이 유지핀(219)과 핀구멍(220) 내지(221) 사이의 다른 간격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유지핀(215) 및 (216)은 확고하게 핀구멍(220) 및 (221)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및 그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부속품들이 종래 굴착기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유지핀 및 핀구멍이 부속품에 마련되면, 아암의 유지핀(215) 내지 (216)은 핀구멍내고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부속품이 유지핀에 의해서 아암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부속품과 아암 사이의 결합력은 강하다.
더욱이, 부속품이 횐전될 수 있으므로, 그에 연결되는 부속품을 가지는 건설기계는 종래 굴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부속품은, 조작원이 운전상에 앉는 동안 아암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지상 조작원은 불필요하게 되고, 부착 작업에 걸리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제3실시예(제14도 내지 제19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14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00씩 증가된 동일한 부호는 제2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한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이러한 구성은 제2실시예의 것과 대체로 동일하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버킷 실린더(307)의 실린더 로드(308)의 선단 양측에 피버트 지지되게 부착되는 한쌍의 상승 링크(309)를 포함한다. 그의 하단의 상승 링크(309)는 아암(305)의 선단에 인접한 부분의 양측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된다.
한쌍의 대략 U자형 폴 호울더(310)는 실린더 로드(308)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의 선단에 훅크(311)를 가진다.
훅크(311)는 상부 방향을 향하게 되는 폴의 구성을 가진다.
지지링크(313)는 그의 정면부에서 폴 호울더(310)사이에 연결되는 상단을 가지며, 핀(314)에 의해서 아암(305)의 선단의 상부면에 연결되는 하단을 가진다.
상승링크(309), 폴 호울더(31), 지지링크(313) 및 아암(305)은 대략 평행사변형 결합을 형성한다.
유지핀(315) 및 아암(305)의 선단에 마련되고 아암(305)의 선단 양측에서 신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15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핀(325)은 실린더 로드(308)의 선단을 관통하고, 폴 호울더(310)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양측을 가진다.
상승 링크(309)의 상단은 폴 호울더(310)의 좌우 외부측에 연결된다.
상승 링크(309)는 그의 하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핀(226)에 의해서 아암(305)의 양측에 연결된다.
폴 호울더(310)는 철판을 굴곡함에 의해서 U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정면 폐쇄편 및 정면 폐쇄편에서 연장되는 2개의 편들과로 구성된다.
핀(312)은 정면 폐쇄편들에 인접한 부분에서 폴 호울더(310)의 2개의 편들에 의해서 배치되어 피버트 지지된다.
지지링크(313)의 상단은 핀(312)의 중심에 연결된다.
한쌍의 지지편(327)들은 아암(305)의 선단에 인접한 상부면에서 돌출된다.
지지링크(313)의 하단은 한쌍의 지지편(327)들 사이에 삽입되고 핀(314)에 의해서 그에 연결된다.
훅크(311)의 쌍은 용접등에 의해서 폴 호울더(310)의 정면에 고정되고 철판을 절단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반원형상의 오목 훅크면(328)은 각 훅크(311)의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게 된다.
훅크(311)는 훅크면(328)에서 연장되고 폴 호울더(310)의 정면 폐쇄편에서 종료되는 경사 가이드면(329)을 가진다.
점검 덮개(350)는, 유지핀(315) 및 (316)을 규칙적으로 점검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아암(305)의 선단 상부면에 마련된다.
핀(315) 및 (316)의 미끄럼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를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암(305)은 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유압 실린더(330)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330)의 실린더 로드(331)는 아암(305)의 정방향을 향하게 된다.
실린더 로드(331)의 선단은 그의 중심 바닥에서 삼각형상 작동판(332)에 연결된다.
작동판(332)의 2개의 경사측은 아암(305)의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결정된다.
가이드홈(333)의 실린더 로드(331)를 향하여 작동판(332)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작동판(332)의 상부 및 하부면에 형성된다.
가이드 슬릿(351) 및 (352)은 작동판(332)을 관통함에 의해서 그의 경사측과 평행하게 작동판(332)의 경사측의 인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불록형 가이드체(334) 및 (335)는 각각 상호간에 평행하게 아암(305)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가이드체(334)의 하부면과 가이드체(335)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작동판(332)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양 가이드체(334) 및 (335)들은 그의 중심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336) 및 (337)를 가진다.
가이드 돌기(336) 및 (337)들은 가이드홈(333)내에 걸어맞춤된다.
작동판(332)은, 가이드 돌기(336) 및 (337)가 가이드홈(333)내에 걸어맞춤되고, 작동판(332)의 상부 및 하부면이 가이드체(334) 및 (335)의 내부면을 접촉할 때, 실린더 로드(331)에 의해서 작동된다.
작동판(332)는 실린더 로드(331)의 길이방향으로 단독으로 작동한다.
유지핀(315) 및 (316)은 원통이고 버킷상의 핀구멍(320) 및 (3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유지핀(315)은 그와 동축적으로 안쪽에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개구(340)를 가진다.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삽입홈(341)은 미끄럼 이동개구(340)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미끄럼 이동개구(340)의 개구끝단에, 또한 유지핀(315)의 한 끝단에 형성된다.
경사 작동면(342) 및 (343) 삽입홈(341)의 내부 바닥면을 형성한다.
작동면(342) 및 (343)의 경사 각도는 작동판(332)의 경사측의 경사 각도에 일치된다.
핀구멍(353)은 유지핀(315)의 미끄럼 이동개구(340)의 주위 상부면에 형성된다.
슬릿(315)을 관통하는 핀(355)의 핀구먼(353)에 고정된다.
유지핀(316)은, 핀구멍(32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일체 부분을 가진다.
유지핀(316)은, 아암(305)의 내부측에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삽입부(344) 및 (345)를 가지며 미끄럼 이동개구(340)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344) 및 (345)의 중심부는 유지핀(316)의 축선과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그를 절단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삽입홈(346)을 가진다.
삽입홈(346)은 그의 바닥면에서 경사 작동면(347)을 가진다.
작동면(347)의 경사 각도는 작동판(332)의 경사측의 경사 각도에 일치한다.
핀구먼(354)은 그의 주위 중심부에서 유지핀(316)의 상부면내에 형성되고, 가이드 슬릿(352)을 관통하는 작동핀(356)은 핀구멍(354)에 고정된다.
유지핀(315) 및 (316)과 작동판(332)은 이하 순서로 조립된다.
유지핀(315) 및 (316)과 작동판(332)의 조립시에, 점검덮개(350)는 아암(305)에서 제거되므로, 삽입개구(360)가 개방된다.
실린더 로드(331)는 유압 실린더(330)의 내부로 향하여 제일 먼저 견인되고, 작동판(332)은 제1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체(334) 및 (335)에서 떨어진 위치에 정지된다.
유지핀(315) 및 (316)은 각각 아암(305)의 측개구내로 삽입되고, 유지핀(316)의 삽입부(344) 및 (345)는 각각 유지핀(315)의 미끄럼 이동개구(340)내로 삽입된다.
이때에, 삽입홈(341) 및 (346)은 상호간에 각각 동일면에 위치된다.
삽입홈(344) 및 (345)이 미끄럼 이동개구(340)의 가장 깊은 부분내로 삽입될 때, 유지핀(315) 및 (316)의 양 끝단은 아암(305)의 측개구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아암(305)의 측면은 유지핀(315) 및 (316)의 각 헤드와 동일면이다.
아암(305) 내부에 유지핀(315) 및 (316)의 배치를 완료한 후에, 유압 실린더(330)는 작동판(332)이 삽입홈(341) 및 (346)을 통과하기 위해 실린더 로드(331)를 밀도록 작동되고, 가이드체(334) 및 (335) 사이에 형성된 틈내로 삽입된다.
이때에, 가이드 돌기(336) 및 (337)는, 작동판(332)이 미끄럼 이동될 때, 작동판(332)이 길이 방향으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홈(333)내에 걸어맞춤된다.
작동판(332)의 선단은 가이드체(334) 및 (335) 사이에 형성되는 틈내에 삽입된다.
작동판의 양 경사면이 작동면(342),(343) 및 (347)을 접촉할 때, 유압 실린더(330)의 작동은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후에, 작동핀(355) 및 (356)은 점검개구(360)에서 삽입된다.
작동핀(355)은 핀구먼(353)을 통과하고, 다음에 가이드 슬릿(351)을 통과하고, 작동핀(356)은 핀구먼(354)통과하고 나서, 가이드 슬릿(352)을 통과한다.
따라서, 양 유지핀(315) 및 (316)과 작동판(332)은 작동핀(355) 및 (356)에 의해서 상호간에 연결된다.
이들 구성 성분의 조립 완료후에, 점검개구(360)는 점검덮개(350)에 의해서 씌워진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은 제19(a)도 내지 제19(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킷(317)이 아암(305)에 연결될 때, 실린더(331)는 유압 실린더(330)내로 견인되므로, 가이드 슬릿(351) 및 (352)은 아암(305)의 중앙을 향하여 작동핀(355) 및 (356)을 견인하고, 유지핀(315) 및 (316)의 헤드는 그의 측개구로부터 아암(305) 내부로 밀려진다.
유지핀(315) 및 (316)이 삽입부(344) 및 (345)를 미끄럼 이동개구(340)내에 삽입함에 의해서 상호간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유지핀(315) 및 (316) 모두는 안내되는 동안 내부측내로 밀려진다.
부속품을 다른 부속품(이 경우에는 버킷)으로 교환하기 위해서, 아암(305)에 버킷(317)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언급된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9(a)도는, 어떠한 부속품(이 경우에는 버킷)도 아암(305)의 선단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버킷(317)을 아암(305)에 연결하기 위한 작동은 제19(a)도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시작한다.
처음에, 버킷 실린더(307)의 길이는 극대화되고, 훅크(311)는 가능한한 정방향을 향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304) 및 (306)는, 훅크(311)가 버킷(317)의 유지핀(319)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수직으로 붐(303) 및 아암(305)을 요동토록 작동된다.
유지핀은(319)은. 훅크(311)이 가이드면(329)을 접촉함으로써, 훅크면(328)에 안내되고 용이하게 훅크(311)에 의해서 걸려진다.
유지핀(319)의 주위가 훅크(311)의 훅크면(328)을 접촉할 때, 유압 실린더(304) 및 (306)는 제1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305)이 약간 경사지도록 작동된다.
제1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핀(319)은 훅크(311)에 의해 걸려지고 버킷(317)이 걸려진다.
버킷 실린더(307)는, 버킷(317)이 훅크(311)에 의해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수측된다.
상승링크(309)는 핀(326)에 대하여 제19도(b)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폴 호울더(310)는 우측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훅크(311) 및 버킷(317)도 또한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버킷(317)의 부착부(318)는 아암(305)의 선단으로 향하여 접근하도록 힘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아암(305)의 선단은 부착부(318)내로 삽입되므로 유지핀(315) 및 (316)의 중심축이 핀구멍(320) 및 (321)의 축에 일치하는 위치에 이동되도록 힘을 받는다.
따라서, 작동판(332)이 실린더 로드(331)에 의해 밀려져 나오고, 가이드체(334) 및 (335)를 향하여 이동된다.
작동핀(355) 및 (356)은 작동판내에 형성되는 양 가이드 슬릿(351) 및 (352)을 관통하므로, 경사 가이드 슬릿(351) 및 (352)은 작동핀(355) 및 (356)을 밀고, 그로 인하여 유지핀(315) 및 (316)은 좌우방향으로 밀려진다.
따라서, 유지핀(315) 및 (316)은 제16도에서 F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방향으로 개구부에서 돌출하도록 미끄럼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유지핀(315)은 핀구멍(320)내로 삽입되고, 유지핀(316)은 핀구먼(321)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하여 버킷(317)이 제19(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도록 아암(305)에 연결된다.
다음에 건설기계는 통상의 굴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버킷(317)이 아암(305)의 선단에서 제거될 때, 버킷(317)은 지면상에 위치되고 유압 실린더(330)는 역으로 작동되므로, 실린더 로드(331)는 유압 실린더(330)내로 견인된다.
작동판은, 가이드 슬릿(351) 및 (352) 사이의 간격을 감소하게 되도록 실린더 로드(331)에 의해서 이동되므로, 양 작동핀(355) 및 (356)은 아암(305)의 중심으로 향하여 견인된다.
결과적으로, 양 유지핀(315) 및 (316)은, 핀구멍(310) 및 (321)에서 유지핀(315) 및 (316)을 분리하게 되도록 아암(305)의 측개구부(358) 및 (359) 내부로 수용된다.
연속 작동은 제19(c)도, 제19(b)도 및 제1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운전석상에 앉아있는 조작원은 각 유지핀(315) 및 (316)이 밀려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부속품이 아암(305)에 의해서 유지될 때, 운전석상에 앉아 있는 조작원은 아암(305)에 그러한 부속품들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변형(제20도 및 제21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가구는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측면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대략 U자형 작동체(370)는 그의 중심부에서 실린더 로드(331)의 선단에 연결되고 그의 정방향에서 개방된다.
작동체(370)는 삼각형상 상부 및 하부 측부(371) 및 (372)를 가진다. 상부 측부(371)는 그의 경사측에 인접한 부분에 가이드 슬릿(373)을 가지며,하부 측부(372)는 그의 경사측에 인접하는 부분에 가이드 슬릿(374)을 가진다.
유지핀(315) 및 (316)은 각각 90°의 각도 간격을 위해 그의 축선을 따라 분리되고, 그의 대칭형상의 2개의 부분으로 절단된다. 따라서, 유지핀(315) 및 (316)의 반쪽부분은 원호부(375), (376), (377) 및 (398)을 가진다.
원호부(377) 및 (376)는 그의 원주방향으로 90°의 각벽을 위해 원호부(377)및 (378)와 엇갈려 있으므로, 양 유지핀(315) 및 (316)은 상호간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핀구멍(379)은 원호부(376)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핀구먼(380)은 원호부(377)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가이드 슬릿(374)에 관통되는 작동핀(381)은 핀구멍(379)내로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 슬릿(373)에 관통되는 작동핀(382)은 핀구멍(380)내로 삽입될 수 있다.
작동체(370) 및 유지핀(315) 및 (316)은 조립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변형의 작동은 다음에 설명한다.
유지핀(315) 및 (316)이 각각 90o의 각 간격을 위해 그의 반쪽 부분에서 노치부를 가지고, 그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원호부(375),(376),(377) 및 (378)가 그 위에 유지되더라도, 유지핀(315) 및 (316)들은, 유지핀(315) 및 (316)의 원호부(375),(376),(377) 및 (378)가 상호간에 엇갈려져 있으므로, 그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다.
유압 실린더(330)의 실린더 로드(331)가 신축적으로 이동될 때, 실린더 로드(331)에 연결되는 작동체(370)는 동시에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힘의 성분은 가이드 슬릿(373) 및 (374)이 경사지므로, 가이드 슬릿(373) 및 (374)에 관통되는 작동핀(381) 및 (382)에 발생되어 인가되고, 좌우 방향으로 밀려지는 힘은 작동핀(381) 및 (382)에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작동력이 작동핀(381) 및 (382)을 각각 고정하는 유지핀(315) 및 (316)에 인가되므로, 유지핀(315) 및 (316)은 각각 아암(305)의 측개구로부터 떨어져 이동되거나 또는 그 안으로 이동된다.
양 유지핀(315) 및 (316)들이 원호부(375),(376),(377) 및 (378)에서 상호간을 접촉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유지핀(315) 및 (316)은 굴곡응력을 강하게 견딜 수 있다.
유지핀(315) 및 (316)은, 제조 처리가 측면을 4등분하여 방사상의 절단가공의 단계로 구성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간단한 구성으로, 다양한 부속품이 종래 굴착기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가 유지핀 및 핀구멍이 마련되면, 아암의 유지핀을 부속품의 핀구멍내로 삽입함에 의해서 부속품을 아암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압 실린더는 힘을 매시간 유지핀에 인가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부속품은 확실하게 아암에서 분리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제4실시예(제22도 내지 제26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22도 내지 제2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것과 대체로 동일하며 그 대응하는 부분을 머리숫자 4를 가지는 변경된 동일한 참고부호로 나타낸다.
신축체(411)는, 대칭적 구성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상부덮개(424)와, 대칭적 구성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하부덮개(425)와, 한쌍의 상부덮개(424)를 씌우기 위한 에이프런(426)과, 한쌍의 하부덮개(425)를 씌우기 위한 연결판(427)과로 구성되는 미끄럼 이동기구로 구성된다.
에이프런(426) 및 연결판(427) 양자는 각각 평편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신축체(411)의 강도를 증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쌍의 하부덮개(425)는 한쌍의 상부덮개(424)내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한쌍의 상부덮개(424)는 핀(42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핀(422)으로 연결링크(410)의 선단에 연결된다. 하부덮개(425)는, 핀(423)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핀(423)에 의해서 그의 좌,우측에서 아암(405)의 선단에 연결된다.
상부 및 하부덮개(424) 및 (425)는 각각 횡단면으로 사각형이고 그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 가능하고, 핀(422) 및 (423) 사이의 간격은 변동될 수 있다.
대략 사각형상의 평편한 에이프런(426)은 한쌍의 상부덮개(424)의 정면에 고정되며, 그의 상부 중앙에서 대략 U자형 오목부(429)를 가진다.
한쌍의 상부훅크(412)는 대칭적 구성으로 오목부(429)의 좌,우측 부근에 고정된다.
상부훅크(412)는그의 상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반원호 훅크면(430)을 가진다.
경사 가이드면(431)은 훅크면(430)의 핀(422)의 측면에 형성되며 훅크면(430)으로부터 연장된다.
긴 연결판(427)은 그의 정면 하부에서 한쌍의 하부덮개(425)를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한쌍의 하부훅크(413)는 대칭 구성으로 연결판(427)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떨어진 좌우에 고정된다.
하부훅크(413)는 그의 하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반원호 훅크면(432)을 가진다.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된 연동체(433)는 그의 하부에서 연결판(427)의 중앙 후면에 고정되는 하부 다리를 가진다.
연동체(433)가 굴곡, 예를들면, 길고 얇은 철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동체(433)의 중앙부는, 연동체(433)의 중앙부가 에이프런(426)에서 떨어져 위치되면서, 에이프런(426)을 접촉하지 않고 에이프런(426)과 평행하게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동체(433)는 에이프런(426)의 면과 직각으로 굴곡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부(434)를 가지고, 상부(434)는 오목부(429)위에 위치된다.
압력후크(414)는 상부(434)의 선단에 형성된다.
압력후크(414)는 반원형이고 그의 내부 둘레 하부면에서 반원호 누름면(435)을 가진다.
따라서, 연동체(433)의 상부(434)는 오목부(429)의 공간내에서 에이프런(426)과 직각으로 위치되면서 그의 중앙에서 에이프런(426)의 후부에 위치되고, 압력후크(414)가 오목부(429)의 공간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되지 않는다.
신축체(411)의 내부 구성은 제24도 및 제25도를 참보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덮개(424) 및 하부덮개(425) 양자는 각가 유압 실린더(440)가 수용되는 그의 내부에 중공으로 있다.
유압 실린더(440)는 큰 직경을 각각 가지고 그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441)을 가진다.
연결부(441)는 상부덮개(424)의 상부에 위치되고, 칼라(442) 및 (443)에 의해서 상부덮개(424)의 내벽과 접촉된다.
핀(422)은 연결부(441) 및 칼라(442) 및 (443)를 관통한다.
정리링(444)은 핀(422)의 양 끝단내로 삽입되고 정지링(444)이 키등에 의해서 그에 고정된다.
실린더 로드(445)의 선단은 유압 실린더(440)에 의해서 신축으로 이동되고, 각각 제2큰 직경부(446)를 가진다.
큰 직경부(446)의 좌,우측은 칼라(447) 및 (448)에 의해서 하부덮개(424)의 내벽과 접촉된다.
핀(423)은 하부덮개(425), 칼라(447) 및 (448), 및 큰 직경부(446)내로 관통된다.
유지링(449)은 핀(423)의 양 끝단내로 삽입되고, 유지링(449)이, 키등에 의해 그에 고정된다.
버킷(415) 대신에, 신축체(411)는 공지된 굴착기의 붐 선단과 연결링크(410)의 선단 사이에 연결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한 기구의 작동은 제26(a)도, 제26(b)도 및 제26(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6(a)도는, 붐(405)이 그의 선단에 어떤 부속품도 가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속품으로서의 버킷(415)의 붐의 선단에 부착될 준비가 되어 있다.
버킷 실린더(407)의 신축체(411)내의 유압 실린더(440)가 최대로 수축되면서 그의 최대 길이로 신축되며, 상부훅크(412)와 하부훅크(413) 사이의 간격은 최소로 된다.
연동체(433)는 연결판(421)에 고정되므로, 상부훅크(412)와 압력후크(414) 사이의 간격은 최대한으로 연장되고, 그로 인하여 상부 및 압력후크(412) 및 (414) 사이의 공간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암(403) 및 붐(405)들은 상부훅크가 버킷(415)의 유지핀(417)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도록 유압 실린더(404) 및 (406)의 작동으로 수직으로 요동된다.
버킷 실린더(407)가 최대로 신축되기 때문에, 하부훅크(412)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선두에 위치되고, 하부훅크(413)는 이동 차체(401)의 측면에 위치되므로, 하부훅크(413)는 유지핀(417)을 접촉하지 않는다.
압력후크(414)가 상부훅크(412)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부훅크(412)와 압력후크(414) 사이의 간격은 연장되므로, 유지핀(417)이 상부 및 압력후크(412) 및 (414)들 사이의 공간내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제26(b)도는, 붐(405)이, 유지핀(417)을 상부훅크(412)의 훅크면(430)을 접촉하는 것이 허용한 후에, 유압 실린더(404) 및 (406)를 작동함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약간 경사지게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핀(417)은 상부훅크(412)에 의해서 걸려지고, 버킷(415)은 매달려진다.
그리고 나서, 버킷 실린더(407)는 버킷(415)이 상부훅크(412)에 의해서 매달려질 때,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승링크(409)는 핀(42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링크(410)는 우측 방향으로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신축체(411)도 또한 전체로써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고 핀(423)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진되므로, 버킷(415)은 붐(405)의 선단을 향하여 당겨진다.
따라서, 하부 유지핀(418)은 상대적으로 하부훅크(413)로 향하여 이동한는 것이 허용된다.
연속하여, 하부훅크(413)는 유지핀(417) 및 (418)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로 미끄러진다.
하부훅크(413)가 유지핀(418)의 상부위를 관통하고, 유지핀(417)과 (418)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때, 유압 실린더(440)는 신축된다.
실린더 로드(445)는 유압 실린더(440)의 작동에 의해 밀려지고, 핀(422) 및 (423) 사이에 간격이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상부덮개(424)에 고정되는 에이프런(426)은 하부덮개(425)에 고정되는 연결판(427)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상부훅크(412)와 하부훅크(413) 사이의 간격은 연장되고, 그로 인하여 하부훅크(413)는 유지핀(418)의 상부면으로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하부훅크(413)의 훅크면(432)이 유지핀(418)을 접촉할 때, 2개의 유지핀(417) 및 (418)은 서로 떨어져서 조여지고 한쌍의 상부훅크(412) 및 한쌍의 하부훅크(413)에 의해서 클램프된다.
동시에, 연결판(427)이 하부 방향으로 신축될 때, 연결판(427)에 고정되는 연동체(433)도 또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압력후크(414)도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훅크면(435)은 유지핀(417)의 상부면을 접촉한다.
따라서, 유지핀(417)은, 그의 상부면에서 훅크(414)를 접촉하도록 힘을 받으면서, 하부면에서 상부훅크(412)를 접촉하도록 힘을 받으므로, 유지핀(417)은 상부훅크(412) 및 압력후크(414) 사이에서 클램프된다.
결과적으로, 버킷(415)은 붐(405)의 선단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440)내의 압력유가 항상 일정하게 위치될 때, 상부훅크(412)의 훅크면(430)과 하부훅크(413)의 훅크면(432)은 항상 유지핀(417) 및 (418)에 의해서 바이어스되고, 접촉하고, 동시에 압력후크(414)의 누름면(435)은 유지핀(417)의 상부면을 접촉한다.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2개의 유지핀들이 서로 수직으로 떨어져서 조여지고, 상부측으로부터 말물려지기 때문에, 버킷(415)은 붐(405)의 선단에 확고하게 유지된다.
버킷(415)이 이전의 부착 작동과 역으로 붐(405)의 선단에서 제거될 때, 제26(c)도, (b), (a)도의 단계에 의한 작동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제5실시예(제27도 내지 제31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27도 내지 제3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은 대체로 제2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며 그 대응하는 부분은 머리숫자 5를 가지는 변경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유지홈(515)은 아암(505)의 선단내에서 개방된다.
유지홈(515)은 그의 측면 방향으로 슬릿 형상이고, 아암(505)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다.
지지축(535)은 아암(505) 내부에 위치되고, 유지홈(515)의 가장 깊은 끝단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된다.
지지축(535)은 그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낫형상 유지체(536)을 가진다.
유지체(536)는 유지홈(515)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지부(537)를 형성하기 위해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는 선단을 가진다.
유지부(537)는 유지홈(515)의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지므로, 유지부(537)는 유지홈(515)의 가장 깊은 부분에 위치될 때, 유지홈(515)의 개구측에서 버킷(517)에 마련된 유지핀(520)을 접촉한다.
횡단면으로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는 밀어올림체(538)는 유지부(537)의 정면에 고정된다.
해제 레버(539)는 지지축(535)에 인접한 부분에서 유지체(536)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유지체(536)는 유지체(536)의 중심부에서 유지되는 한 끝단과 아암(505)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스프링 시이트(541)에 의해서 유지되는 다른 끝단을 가지는 스프링(540)을 가진다.
따라서, 유지체(536)는 항상 지지축(535)에 대하여 스프링(540)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유압 실린더(536) 해제 작동을 위해 아암(505) 내부에 위치되고, 지지축(535)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실린더 로드(546)를 가진다.
실린더 로드(546)는, 연장판(547)이 연결되어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선단을 가진다.
연장판(547)은 실린더 로드(546)와 평행하게 되도록 그의 하단에서 로드(548)를 가진다.
로드(548)는 그의 선단에서 헤제 레버(539)의 측면을 향하게 된다.
제5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은 제31(a)도 내지 제31(c)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부속품(이 경우에는 버킷(517)의 부착 작동이 시작되는 상태는 제10(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와 동일 한 제31(a)도에서 도시되고, 따라서 그의 설명은 생략된다.
핀(519)은 상부훅크(511)에 의해 걸려지고 버킷(517)은 아암에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버킷 실린더(507)는, 버킷(517)이 상부훅크(511)에 의해서 매달려질 때,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승링크(509)는 핀(526)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폴 호울더(510)는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부훅크(511) 및 버킷(517) 양자는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버킷(517)의 유지핀(52)은 아암(505)의 선단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유지홈(515)이 아암(505)의 선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유지핀(520)이 유지홈(515)내로 삽입된다.
유지핀(520)이 밀어올림체(538)의 후면을 접촉할 때, 밀어올림체(538)의 후면이 경사져서, 유지핀(520)은 유지홈(515)의 가장 깊은 끝단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유지체(536)는 스프링(540)의 탄성력에 대하여 지지축(536)에 대해 회전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연속하여, 유지핀(520)이 유지홈(515)의 가장 깊은 끝단에 위치될 때, 유지체(536)는 스프링(540)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유지부(537)는 유지홈(515)의 개구를 막기 위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유지핀(520)은 유지홈(515)의 밖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이 방지되고, 그로 인하여 유지핀(520)는 제29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05)의 선단에 연결된다.
제31(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핀(519)은 상부훅크(511)에 의해서 걸려지고, 유지핀(520)은 유지홈(515) 내부에 고정되므로, 버킷(517)은 아암(505)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유지홈(515)은 유지부(537)에 의해서 폐쇄되므로, 유지핀(520)은 아암(505)의 선단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버킷(517)은 유압 실린더(507)의 작동에 의해서 유지핀(5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므로, 떼고 붙임 가능 기구를 가지는 건설기계는 종래의 굴착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아암(505)의 선단으로부터 버킷(517)의 제거 작동은 다음에 설명한다.
버킷(517)의 선단은 지면을 접촉하도록 힘을 받게 되며, 유압 실린더(545)는 실린더 로드(546)를 밀도록 작동된다.
로드(548)는 아암(505)의 선단을 향하여 이동하고, 로드(548)의 선단은 해제 레버(539)를 밀어올리므로, 유지체(536)는 스피링(540)의 탄성력에 대하여 지지축(535)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유지홈(515)을 폐쇄하는 유지부(537)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핀(520)은 유지홈(515)내에서 이끄럼 이동되고, 아암(505)의 선단의 외부로 당겨진다.
이들 작동은 제31(c)도, 제41(b)도 및 제41(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제6실시예(제32도 내지 제39도)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32도 내지 제3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실시예의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것과 대체로 동일하며 그 대응하는 부분은 머리숫자 6을 가지는 변경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한쌍의 연결링크(610)는 버킷 실린더(607)의 실린더 로드(608)의 선단에 연결된다.
한쌍의 유지링크(611)는 연결링크(610)의 선단과 아암(605)의 선단 사이에 상호간에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위치되고, 유지링크(611)는 연결링크(610)의 선단 및 아암(605)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가능한 4개의 봉 링크기구는 아암(605), 상승링크(609), 연결링크(610) 및 유지링크(611)에 의해서 형성된다.
핀구멍(613)은 아암(605)의 선단내 및 유지링크(611)의 하단을 관통한다.
유지링크(611)들은 상호간에 평행하게 그의 좌우에서 아암(605)의 선단에 각각 배치된다.
그의 상부에서 상승링크(609)와 유지링크(611) 사이의 거리는 그의 하부에서의 것보다 크다.
유지훅크 또는 유지폴(612)은 유지링크(611)의 정면상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돌출한다.
유지링크(611)는 유지폴(612)에 의해서 형성되는 U자 형상을 각각 가지는 유지홈(623)을 형성한다.
유지링크(611)들은 핀(624)에 의해서 연결링크(610)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칼라(625)는 연결링크(610)사이에 개재되고 또한 핀(624) 둘레에 있다.
유지링크(611)는 베어링(626)에 의해서 그의 하단에서 아암(605)의 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어링(626)은 그에 관통되는 핀구멍(613)을 가진다.
유지홈(623)의 바닥과 핀구멍(613) 사이의 간격은, 버킷(615)에 마련되는 핀구멍(618) 사이의 것에 일치한다.
제34도는, 버킷(615)이 아암(605)의 선단에 연결될 때, 연결핀(619)이 핀구멍(613) 및 (618)내로 삽입되는 아암(605)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의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축지지대(630)는 그의 양 끝단에서 플랜지를 가지고, 중공 내부는 아암(605)의 선단에 고정된다.
유지링크(611)의 하단은 축지지대의 양 측면을 접촉한다.
그의 한측면에서 플랜지를 가지는 베어링(626)은 유지링크(611)와 축지지대(630) 사이에 삽입되고, 그의 다른 끝단에서 링형상 부품(631)을 접촉한다.
부품(631)와 베어링(626)은 나사(632)에 의해서 상호간에 연결되고, 부품(631) 및 유지링크(611)는 나사(633)에 의해서 상호간에 연결된다.
부품(631)은 유지링크(611)중의 하나에 고정되므로, 양 유지링크(611)들은 아암(60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아암(605)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유지된다.
베어링(626)을 관통하는 개구는 핀구멍(613)에 대응한다.
버킷(615)의 부착제(616)의 내부면은 베어링(626)의 측면과 부품(631)의 측면을 접촉하도록 힘을 받고, 연결핀(619)은 부착제(616)의 핀구멍(618) 및 핀구멍(613)내로 삽입되고, 버킷(615)의 부착체(616)는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아암(605)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것은, 와셔(634)가 연결핀(619)의 선단내로 삽입되고, 그후에, 분할핀(635)이 연결핀(6119)내로 삽입됨에 의해서, 연결핀(619)이 아암(605)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실시예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작동은 제35도 내지 제3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5도는, 훅크핀(617)이 유지홈(623)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유압 실린더(604) 및 (606)는 상부방향으로 아암(605)을 약간 상승하도록 협조하여 작동되고, 버킷 실린더(607)는 시계 방향으로 상승링크(609)를 회전하도록 수축된다.
연결링크(610)는 상승링크(609)의 회전에 의해서 당겨지므로, 유지링크(611)는 유지홈(623)의 가장 깊은 부분내로 훅크핀(617)이 미끄럼 이동되도록 베어링(626)에 대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버킷(615)은 유지홈(623)에 의해서 걸려지므로, 버킷(615)은 유지링크(611)에 의해서 아암(605)으로 유지된다.
버킷 실린더(607)가 더욱 수축되고, 훅크핀(617)이 유지홈(623)내에 걸려지는 제3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615)은 자체 중량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핀구멍(618)은 핀구먼(613)과 동축으로 위치된다.
버킷 실린더(607)가 수축되고, 유지링크(611)가 상승되도록 힘을 받을 때, 훅크핀(617)은 유지홈(632)의 가장 깊은 부분내로 미끄럼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홈(623)과 핀구먼(613) 사이의 간격은 훅크핀(617)과 핀구멍(618)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므로, 핀구멍(613)의 축선은 항상 핀구멍(618)의 동일 위치에 위치된다.
그 상태에서, 제3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의 조작원은 이동 차체(601)를 하강하고, 연결핀(619)을 핀구멍(618)내로 삽입한다.
결과적으로, 버킷(615)은 연결핀(619)에 의해서 아암(605)의 선단에 연결된다.
그후에, 와셔(634)는 연결핀(619)의 선단내로 삽입되고, 계속해서 분할핀도 또한 연결핀(619)의 선단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하여, 연결핀(619)이 아암(605)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6실시예의 변형(제38도 내지 제39도)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변형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제38도 및 제3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결핀(619)은 제6실시예에 따른 핀구멍(613) 및 (618)내로 수작업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연결핀(637) 및 (638)은 압력유에 의해서 아암(605)의 측개구부(670) 및 (671)로부터 신축적으로 이동되어 나오고 그 안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부속품은 자동으로 아암(605)의 선단에서 분리되고 또한 부착될 수 있다.
아암(605)은 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내부에 수용되는 유압 실린더(640)를 가진다.
유압 실린더(640)의 실린더 로드(641)는 아암(605)의 정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실린더 로드(641)의 선단은 그의 중심 바닥에서 삼각형상 작동판(642)에 연결된다.
작동판(642)의 2개의 경사측은 아암(605)의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결정된다.
가이드홈(643)은 작동판(642)의 선단으로부터 실린더 로드(641)를 향하여 연장되는 작동판(642)의 상부 및 하부면에 형성된다.
블록형 가이드체(644) 및 (645)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아암(605)의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가이드체(644)의 하부면과 가이드체(645)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은 작동판(642)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
가이드체(644) 및 (645) 양자는 그의 중심부에서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646),(647)를 가진다.
가이드 돌기(646) 및 (647)는 가이드홈(643)내에 걸어맞춤된다.
작동판(642), 가이드 돌기(646) 및 (647)가 가이드홈(643)내에 걸어맞춤되고, 작동판(642)의 상부 및 하부면이 가이드체(644) 및 (645)의 내변을 접촉할 때, 실린더 로드(641)에 의해서 작동된다.
작동판(642)은 실린더 로드(641)에 의해서 그에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 미끄럼 이동되고,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유지핀(637) 및 (638)의 형상은 다음에 설명한다.
유지핀(637) 및 (638)은 원통형이고, 핀구멍(670) 및 (67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유지핀(637)은 이와 동축으로 그의 내부에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개구(650)를 가진다.
횡단면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는 삽입홈(651)은 미끄럼 이동개구(650)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미끄럼 이동개구(650)의 개구끝단에 형성된다.
경사 작동면(652) 및 (653)은 삽입홈(651)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고, 작동면(652) 및 (653)의 경사 각도는 작동판(642)의 경사측의 경사 각도에 일치한다.
유지핀(638)은 미끄럼 이동홈(67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는 부분을 가진다.
유지핀(638)은 아암(605)의 내부측에서 작은 외경을 가지는 삽입부(654) 및 (655)를 가지고, 미끄럼 이동개구(650)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는 상부(654) 및 하부(655)를 형성하기 위해 그의 중심부에서 그것을 절단함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홈(656)을 가진다.
그 홈은 유지핀(637)의 축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삽입홈(656)은 그의 바닥면에서 경사 작동면(657)을 가진다.
작동면(657)의 경사 각도는 작동판(642)의 경사측의 경가 각도에 일치한다.
유지핀(637) 및 (638)은 아암(605)의 측개구부(670) 및 (671)로부터 자동으로 밖으로 이동되고 또한 안으로 이동된다.
상부 및 하부 정지핀(660) 및 (661)은 유지핀(637)에서 돌출되고, 아암(605)내부에 위치된다.
코일 스프링(662)은 유지핀(637)의 주위둘레에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정지핀(660) 및 (661)과 아암(605)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다.
상부 및 하부 정지핀(663) 및 (664)은 유지핀(638)에서 돌출되고 아암(605) 내부에 위치된다.
코일 스프링(665)은 유지핀(638)의 주위둘레에 마련되고, 상부 및 하부 정지핀(663) 및 (664)과 아암(605)의 내벽 사이에 개재된다.
유지핀(637) 및 (638)은 코일 스프링(662) 및 (665)에 의해서 아암(605)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640)가 실린더 로드(641)를 밀어올리도록 작동될 때, 작동판(642)의 경사측은, 유지핀(637) 및 (638)이 측개구부(670) 및 (671)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도록 작동면(652),(653),(657)을 접촉하고, 코일 스프링(662) 및 (665) 및 (663),(664)과 아암(605)의 내벽 사이에 압축된다.
그러나, 실린더 로드(641)가 수축되고, 작동판(642)이 제38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유지핀(637) 및 (638)은 각각 코일 스프링(662) 및 (665)에 의해서 아암(605) 내부로 끌어당겨진다.
그러한 방식에서, 유압 실린더(640)는 측개구부(670) 및 (671)의 외부로 또는 그 안으로 유지핀9637) 및 (6380을 신축적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버킷(615)이 아암(605)의 선단에 부착될 때, 훅크핀(617)은 제37도에서 타나낸 바와 같이 유지폴(612)에 의해서 걸려지고, 버킷(615)은 유지링크(611)에 의해서 유지되고, 그 후에 유압 실린더(640)는 신축된다.
결과적으로 실린더 로드(641)는 신축되므로, 유지핀(637) 및 (638)은 자동으로 측개구부(670) 및 (671)로부터 이동되어 나온다.
따라서, 유지핀(637) 및 (638)은 자동으로 핀구먼(618)내로 삽입된다.
제6실시예의 변형의 구성으로, 조작원은 측개구부(670) 및 (671)의 외부 또는 내부로 유지핀(637) 및 (638)을 이동하도록 굴착기의 좌석상에 착석하는 조작 요소들을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원이 제6실시예에서 만들어진 분리 및 부착 작동을 수행하도록 굴착기를 내리는 것이 필요하지 않고, 버킷(615)의 분리 및 부착 작동이 신속하게 될 수 있다.
제6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부속품들은 그러한 단순한 구성으로 종래의 굴착기의 선단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유지폴을 가지는 링크는 단지 종래 굴착기의 아암에 연결되므로, 아암을 큰 범위로 개조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굴착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건축, 토목작업에서 사용되기 위한 버킷등과 같은 부속품의 구성은, 상호간에 다른 부속품들과 상호 교환이 가능하다.
제7실시예
실시예 7에 따른 떼고 붙임 기구는 제40도 내지 제4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또한 이전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은 머리숫자 7를 가지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떼고 붙임 가능 몸체(711)는, 그 상부의 좌,우측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상부 고정폴 또는 훅크(712)와 그 하부의 좌,우측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하부 고정폴 또는 훅크(714)를 가진다.
아래쪽으로 향하는 상부 이동폴 또는 훅크(713)는, 상부 고정폴(712)과 하부 고정폴(714) 사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며 윗쪽으로 향하는 이동폴 또는 훅크(715)는 고정폴(714) 아래에 미끄럼 가능하게 마련된다.
폴(713) 및 하부 이동폴(715)은 모두 동시적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716)는 부착 및 분리조작을 위하여 하부 고정폴(714)과 상부 이동폴(713) 사이에 끼워진다.
상승링크(709)와 연결링크(710)는 각각 회전되도록 핀(723)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708)의 앞끝단 좌,우측에 연결된다.
상승링크(709)의 하부 끝단은 각각 핀(724)에 의하여 아암(705)의 앞끝단 부근의 좌,우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떼고 붙임 가능 몸체(711)의 기초부를 형성하는 조립체(725)는, 강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상부에서 보아 U자형상 단면을, 양측면에서 보아 C자형상을 가진다.
조립체(725)의 U자형 상부의 안쪽에는 아암(705)의 앞끝단과 연결링크(710)의 앞끝단을 덮고, 조립체(725)의 상부 끝단과 연결링크(710)의 앞끝단이 회전되도록 핀(72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조립체(725)의 하부와 아암(705)의 앞끝단은 회전이 되도록 핀(72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직사각형 창(728)은 조립체(725)의 상부 정면 평면부에서 열리며 L자형상으로 구부려진 한쌍의 고정폴(712)이 창 상부의 좌,우측에 고정된다.
상부 고정폴(712)에 형성되며, C자형상으로 구부려진 훅크면(729)이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한쌍의 하부 고정폴(714)은, 조립체(725)의 정면 하부에 고정되며, 동시에 하부 고정폴(714)에 형성되고 C자형상으로 구부려진 훅크면(733)이 아랫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조립체(725)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긴 길이를 갖는 아암연동체(730)는 조립체(725) 안쪽에 미끄럼 가능하게 마련된다.
연동체(730)의 상부 끝단 또는 다리는 창(728)을 통해서 통과하는 상부 이동폴(713)에 연결된다.
연동체(730)의 하부 끝단 또는 다리는 조립체(725)의 하부 끝단에서 직각으로 돌출되며, 하부 이동폴(715)에 연결된다.
U자형상 구조는 동시에 수직이동이 가능한, 연동체(703), 상부 이동폴(713) 및 하부 이동폴(715)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이동폴(713)에 형성되고 C자형상으로 구부려진 훅크면(731)은 상부 고정폴(712)의 훅크면(729)를 대향하도록 윗쪽으로 향하고 있다.
C자형상으로 구부려지고 하부 이동폴(715)에 형성된 훅크면(732)은 하부 고정폴(714)의 훅크면(733)을 대향하도록 윗쪽으로 향하고 있다.
평편한 지지판(734)은 그의 앞끝단에 한쌍의 하부 고정폴(714)사이에 고정되며, 유압 실린더(716)의 기초부는 지지판(734)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716)은 상부 이동폴(713)에 연결되는 신축 실린더 로드(735)의 앞끝단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린더 로드(735)는 유압 실린더(716)의 동작에 의하여 신축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상부 이동폴(713), 연동체(730) 및 하부 이동폴(715)이 동시적으로 수직 이동된다.
가장 깊은 끝단에서 훅크면(729)과 (733) 사이의 간격은, 버킷(717)의 부착제(718)에 고정되는 유지핀(719) 과 (720) 사이의 간격에 일치한다.
가장 깊은 끝단에서 훅크면(731)과 (732)의 간격은, 유지핀(715)와 (720) 사이의 간격에 일치한다.
실시예 7에 따른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조작은, 제43도 내지 제4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4도에서, 버킷(717)와 같은 부속품은 아암(715)의 앞끝단에 부착되지 않는다.
실린더 로드(735)는 유압 실리더(716)내에서 이동되며, 이에 의하여 상부 이동폴(713), 연동체(730) 및 하부 이동폴(715)이 각각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낮아진다.
제42도에서, 훅크면(729)과 훅크면(731) 사이의 공간 및 훅크면(732)과 훅크면(733) 사이의 공간이 각각 크게 넓어지고, 상부 고정폴(712)과 상부 이동폴(713)의 앞끝단, 및 하부 고정폴(714)과 하부 이동폴(715)의 앞끝단의 사이의 공간이 각각 증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704) 및 (706)은 붐(703)과 아암(705)를 요동하도록 서로 협동되고 이에 의하여 제4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717)의 떼고 붙임 가능 몸체(711)를 접근시킨다.
제43도는, 상부 고정폴(712)과 하부 공정폴(714)이 버킷(717)의 유지핀(719) 및 (720)를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떼고 붙임 가능 몸체(711)가 버킷(717)에 접근할 때, 유지핀(719)는 상부 고정폴(712)과 하부 이동폴(71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통과하고, 다음에, 훅크면(729)와 훅크면(731)에 의하여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내로 이동한다.
유지핀(720)이, 하부 고정폴(714)와 하부 이동폴(71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통과한 다음 훅크면(732)와 훅크면(733)에 의하여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내로 이동한다.
계속하여, 유압 실리더(704) 및 (706)이 작동되어, 유지핀(719)의 상부면이 훅크면(729)의 내부 둘레에 접촉되고, 유지핀(720)의 상부면이 훅크면(733)의 내부 둘레에 접촉된다.
다음에 유압 실리더(716)가 실린더 로드(733)를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그 결과, 상부 이동폴(713), 연동체(730) 및 하부 이동폴(715)이 동시적으로 제43도에서 A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지핀(719)의 하부면이 상부 이동폴(713)의 훅크면(731)과 접촉 이동된다.
동시에, 하부 이동폴(715)이 연동체(730)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유지핀(720)의 하부면이 하부 이동폴(715)의 훅크면(732)과 접촉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핀(719)의 전체 둘레가 상부 고정폴(712)의 훅크면과 상부 이동폴(713)의 훅크면(732)에 의하여 조여지고, 유지핀(720)의 전체 둘레가 하부 고정폴(714)의 훅크면(732)과 하부 이동폴(715)의 훅크면(733)에 의하여 조여진다.
양쪽 유지핀(719) 및 (720)의 전체 둘레가 조여질 때, 버킷(717)은 제43도에서 1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705)의 앞끝단에 연결된다.
버킷(717)이 아암(705)에 연결될 때, 버킷(717)과 아암(705)이 조작될 수 있다.
아암(705)이 상승될 때, 버킷(717)도 또한 상승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704),(706) 및 (707)은 협동적으로 작동되고 이에 의하여 붐(703)과 아암(705)이 수직으로 요동하여, 버킷(717)이 통상의 굴착기와 같은 방식으로 굴착 또는 트렌칭 작업등과 같은 토목, 건축 작업에 작동될 수 있다.
버킷(717)이 아암의 앞끝단으로부터 제거될 때 버킷(717)이 제4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지면으로 낮아지고, 그다음, 유압 실린더(716)가 실린더 로드를 이동하도록 작동되어, 상부 이동폴(713)과 하부 이동폴(715)이 각각 유지핀(719) 및 (720)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이동된다.
따라서, 제43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폴(712)과 상부 이동폴(713)의 앞끝단 사이의 간격 및 하부 고정폴(714)과 하부 이동폴(715) 앞끝단 사이의 간격이 각각 확대된다.
계속해서, 유압 실린더(704) 및 (706)은 각각 아암(705)를 요동하도록 조절되며, 이에 의하여 상부 고정폴(712)과 상부 이동폴(71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유지핀(719)을 끌어당기고, 하부 고정폴(714)과 하부 이동폴(71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유지핀(720)을 당겨서, 버킷(717)이 아암(705)으로부터 떼어지게 된다.
그 작용 순서에 의하여, 버킷(717)이 아암(705)의 앞끝단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질 수 있다.
실시예 7의 변형예(제46도 내지 제48도)
실시예 7의 변형예는 제46도 내지 제48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연결링크(710)와 아암(705)의 앞끝단 사이에 삽입되는 조립체(741)은, 강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상부에서 보아 U자형상을, 그리고 그의 양측면에서 보아 C자형상을 가진다.
U자형상의 조립체(741)는 연결링크(710)의 앞끝단과 아암(705)의 앞끝단을 덮고, 연결링크(710)의 앞끝단과 조립체(741)의 상부 끝단은, 회전되도록 핀(72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아암(705)의 앞끝단과 조립체(741)의 하부는 회전되도록 핀(727)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조립체(741)의 평평한 정면부는 앞쪽으로 향한다.
직사각형 창(742)은 조립체(741)의 상부 정면 평면부에서 열려지고, L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한쌍의 고정폴(743)은 창(742)의 상부의 좌,우측에 인접 고정된다.
상부 고정폴(743)에 형성되고,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훅크면(744)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한쌍의 하부 고정폴(745)은 조립체(741)의 정면 하부의 좌,우측에 고정되며,하부 고정폴에 형성되고 C자형상으로 구부러진 훅크면(746)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L자형 앵글(747)은 조립체(741)의 안쪽 하부에 고정되며, 유압 실린더(748)의 기초부는 앵글(747)에 고정된다.
유압 실린더(748)는 압력유에 의하여 작동되며, 유압 실린더(748)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749)는 상부 방향을 향하게 되며 그의 상부 끝단에서 앵글(750)에 고정된다.
앵글(750)은, 조립체(741) 안쪽으로 수직 이동할 수 있는, 연동체(751)에 고정된다.
상부 이동폴(752)은, 창(742)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이와 직각으로 연동체(751)의 상부 끝단에 고정된다.
상부 이동폴(752)의 U자형 훅크면(755)는 윗쪽을 향하게 된다.
하부 이동폴(754), 창(742)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이와 직각으로 연동체(751)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고, 하부 이동폴(754)의 C자형 훅크면(755)는 윗쪽으로 향하게 된다.
상부 고정폴(743), 하부 고정폴(745),상부 이동폴(752) 및 하부 이동폴(754) 사이의 위치관계는 제47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부 고정폴(743)은, 조립체(741)의 중앙부에 대략 고정되고 하부 고정폴(745)은 조립체(741)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부 이동폴(752)는, 상부 고정폴(743)의 상부에 위치되며, 하부 이동폴(754)은 상부 고정폴(743)과 하부 고정폴(745) 사이에 위치된다.
버킷(717)의 부착제(718)에 각각 고정되는 유지핀(757),(758) 및 (759)는, 각각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유지핀(757),(758) 및 (759) 사이의 간격과 상부 고정폴(743), 하부 고정폴(745), 상부 이동폴(752) 및 하부 이동폴(754)사이의 위치관계는, 각각 제47도 및 제48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유지핀(758)과 (759) 사이의 간격은, 상부 고정폴(743)의 훅크면(744)과 하부 고정폴(745)의 훅크면(746) 사이의 간격에 일치되고, 유지핀(757)과 (758) 사이의 간격은, 상부 이동폴(752) 및 하부 이동폴(754)의 훅크면(753) 및 (755)최내부 사이의 간격에 일치된다.
유압 실린더(748)가 실린더 로드(749)를 이동하도록 작동될 때, 상부 이동폴(752) 및 하부 이동폴(754)는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동시적으로 이동되어, 상부 고정폴(743)과 하부 이동폴(754)의 앞끝단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다.
이때, 하부 고정폴(745)의 앞끝단과 상부 이동폴(752)의 앞끝단 사이의 간격은, 유지핀(757)의 하부 끝단과 유지핀(759)의 상부 끝단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부 고정폴(743)과 하부 이동폴(754)사이의 간격은 유지핀(758)의 외경보다 크다.
따라서, 조립체(741)가 제47도의 상태에서 대략 왼쪽으로 이동될 때, 상부 이동폴(752)과 상부 고정폴(743)이 유지핀(757)과 (75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안내되고, 하부 이동폴(754) 및 하부 고정폴(745)는 유지핀(758)과 (759)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로 안내된다.
유지핀(758)은 상부 고정폴(743) 및 하부 이동폴(754) 사이에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내로 삽입된다.
실시예 7의 변형예에 의한 작동은 다음에 설명된다.
유압 실린더(748)가 실린더 로드(749)를 이동하도록 작동될 때, 이것은 유지핀(758)이 안내되는 간격내로 상부 고정폴(743)과 하부 이동폴(754)의 앞끝단 사이의 간격을 확대시키며, 이에 의하여 유지핀(759)은 훅크면(744)과 훅크면(755)사이에 형성되는 타원형 공간내에 삽입된다.
동시에, 상부 이동폴(752)은 유지핀(757)과 (758) 사이의 공간내로 안내되고, 하부 고정폴(745)은 유지핀(758)과 (759) 사이의 공간내로 안내된다.
그다음, 아암(705)은 제47도의 조립체(741)를 약간 낮게 되도록 요동되며, 훅크면(744)은 유지핀(758)과 접촉하게 되며, 훅크면(746)은 제48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유지핀(759)의 상부 둘레와 접촉하게 된다.
제48도에서, 유지핀(758)은 상부 고정폴(743)에 의해 유지되며, 유지핀(759)은, 하부 고정폴(745)에 의해 유지된다.
계속하여, 압력유가 유압 실린더(748)의 밖으로 실린더 로드(749)를 이동하도록 같은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748)에 공급될 때, 이것은 제48도에서 B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앵글(750)과 연동체(751)을 이동한다.
그 결과, 하부 이동폴(754)과 연동체(751)에 연결되는 상부 이동폴(752)이 윗쪽으로 이동되어, 상부 이동폴(752)의 훅크면(753)이 유지핀(757)의 하부 둘레에 접촉하게 된다.
하부 이동풀(754)의 훅크면(755)은 유지핀(758)의 하부 둘레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749)가 제48도의 B에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지핀(758)의 전체 둘레가 훅크면(744) 및 (755)에 의하여 조여지고, 유지핀(757)의 하부 둘레가 훅크면(753)에 의하여 유지되며, 유지핀(759)의 상부 둘레가 훅크면(746)에 의하여 유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748)가 작동될 때, 유지핀(757),(758) 및 (759)은, 상부 고정폴(743), 하부 고정폴(745), 상부 이동폴(752) 및 하부 이동폴(754)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여지고, 이에 의하여 버킷(717)이 아암(705)의 앞끝단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구성에 의하여, 짧은 시간에 아암의 앞끝단에 여러가지 부속품을 떼고 붙임 가능하게 붙일 수가 있다.
떼고 붙임 가능 기구는 다수개의 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속품의 핀은 떼고 붙임 가능 기구의 폴들에 의하여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목적을 위해 상세히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부품의 재배열을 포함하여, 나타낸 장치의 변화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이동차체와, 이동 차체상에 착설되어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붐과, 붐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아암과, 실린더 로드를 갖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되어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및 떼고 붙임 가능 기구에 의하여 유지되는 부속품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로서: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상부 끝단이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하부 끝단이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한쪽 끝단이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각각 가지는 2개의 대칭 신축기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덮개가 상부덮개내로 미끄럼 움직임이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덮개가 핀에 의하여 연결링크의 다른쪽 끝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덮개가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신축체와; 상부 중심부에 U자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동시에, 그 양측에 한쌍의 상부훅크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덮개를 덮기 위한 에이프런과; 한쌍의 하부훅크가 장착되고, 하부덮개를 덮기 위한 연결판과; 상부훅크의 위쪽으로 형성되는 압력후크를 가지며, 에이프런 뒤쪽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동 연동체와; 상부 및 하부덮개의 안쪽에 수용되고, 각각의 상부 및 하부덮개와 각각 걸어맞춤되는 대향 끝단을 가지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2. 이동차체와, 이동 차체상에 착설되고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붐과, 붐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아암과, 실린더 로드를 갖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된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및 떼고 붙임 가능 기구에 의하여 유지되는 부속품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로서: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가, 상부 끝단에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하부 끝단에는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한쪽 끝단이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부 끝단에는 연결링크에 연결되고 하부 끝단에는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지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및 지지링크중 하나에 고정되고, 앞으로 돌출하는 유지훅크 또는 폴과; 아암의 안쪽에 마련되고 실린더 로드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와;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경사면 및 그 위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가지는 작동판과; 가이드홈과 맞물릴 수 있는 돌기를 가지며 아암의 선단에 고정되는 가이드; 및 작동판의 이동에 의하여 아암의 선단의 좌,우측에 형성된 측면 개구의 안밖으로 신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삽입홈을 가지며 아암 안쪽에 마련된 원통형 유지핀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링크는, 작동판의 이동에 의하여 아암의 선단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측면 개구의 바깥쪽 및, 그 선단에 상기 훅크를 가지며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대략 U자형 폴 호울더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지지링크는, 실린더 로드가 마련된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며 유압 실린더는 폴 호울더의 정면의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와 아암의 선단에 부착되는 기초부와를 갖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경사면과 평행하게 작동판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 및 작동판의 가이드 슬릿을 통하여 통과되는 핀이 통과하는 핀구멍을 더욱 가지는 원통형 유지핀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판은, 이들 사이의 주어진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삼각형 상부 및 하부 측부와, 그 대칭 형상으로 절단되고, 90°의 각 간격을 위해 그 축방향으로 라인을 따라 분리되는 원통형 유지핀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측부는, 대각선으로 위치된 가이드 슬릿을 가지며, 원통형 유지핀은, 가이드 슬릿을 관통하는 핀이 통과하는 핀구멍을 가지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유지핀을 점검 및 유지하기 위한 점검덮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9. 제2항에 있어서, 지지링크는, 상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고정되는 상기 훅크를 각각 가지는 한쌍의 유지링크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10. 이동 차체와, 이동 차체상에 착설되고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붐과, 붐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아암과, 실린더 로드를 갖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된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및 떼고 붙임 가능 기구에 의하여 유지되는 부속품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로서: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기구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그 선단에 훅크를 가지는 대략 U자형상의 폴 호울더와; 상부 끝단에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하부 끝단에는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폴 호울더의 정면에 연결되는 상부 끝단과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하부 끝단을 갖는 지지링크와; 아암의 선단에 개방된 슬릿형 유지홈과; 아암의 안쪽에 위치되고 또한 유지홈의 가장 깊은 끝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지체를 가지며, 상기 유지체가 기초부에 해제 레버 및 중심부의 스프링 및 부속품의 유지 핀을 접촉하기 위하여 그의 선단에 유지부를 가지는 지지축과; 아암 안쪽에 위치된 실린더 로드르 갖는 실린더; 및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연결되고, 실린더 로드와 평행하게 그의 하부 끝단에 로드를 가지며, 이 로드가 유지체의 해제 레버의 측면으로 향하는 연장판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11. 이동차체와, 이동 차체상에 착설되고 수직으로 요동할 수 있는 붐과, 붐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아암과, 실린더 로드를 갖는 유압 실린더가 마련된 아암의 선단에 연결되는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및 떼고 붙임 가능 기구에 의하여 유지되는 부속품과로 구성되는 건설기계로서: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기구는, 상부 끝단에는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고, 하부 끝단에는 아암의 선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상승링크와; 한쪽 끝단에 실린더 로드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연결링크의 다른 끝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한쪽 끝단과, 아암의 선단에 피버트 지지되게 연결되는 다른쪽 끝단을 가지며, 또한 그의 상부 정면부에 개방된 창을 더욱 가지는 조립체와; 창위에 배치되고, 조립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상부 고정폴과; 조립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하부 고정폴과; 상부 고정폴과 하부 고정폴 사이에 삽입되는 상부 이동폴과; 하부 고정폴 아래에 마련되는 하부 이동폴과; 하부 이동폴에 연결되는 하부 끝단과 상부 이동폴에 연결되고 창을 통하여 통과되는 상부 끝단과를 가지며, 조립체 안쪽에 미끄럼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동체와; 하부 고정폴에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부 이동폴에 연결되는 실린더 로드 및 지지판에 고정되는 기초부를 갖는 유압 실린더와로 구성되는 구성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조립체는, 유압 실린더의 기초부가 고정되는 L자형 앵글과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고정되는 앵글을 가지며; 상부 고정폴은 조립체의 중심부에 고정되고 동시에 하부 고정폴은 조립체의 정면 하부에 고정되며; 상부 이동폴은 연동체의 상부 끝단에 고정되고 동시에 하부 이동폴은 연동체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는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KR1019910012822A 1990-07-25 1991-07-25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KR970001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6763A JP2535653B2 (ja) 1990-07-25 1990-07-25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196763 1990-07-25
JP243203 1990-09-13
JP243204 1990-09-13
JP24320490A JPH0726423B2 (ja) 1990-09-13 1990-09-13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2243203A JPH04124324A (ja) 1990-09-13 1990-09-13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250697 1990-09-20
JP2250697A JPH0726424B2 (ja) 1990-09-20 1990-09-20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30555890A JPH0726425B2 (ja) 1990-11-09 1990-11-09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305558 1990-11-09
JP3103437A JPH083184B2 (ja) 1991-04-09 1991-04-09 建設機械のバケット着脱機構
JP103437 1991-04-09
JP19054791A JP2505381B2 (ja) 1991-07-04 1991-07-04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190547 1991-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22B1 true KR970001722B1 (ko) 1997-02-14

Family

ID=2756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22A KR970001722B1 (ko) 1990-07-25 1991-07-25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24162A (ko)
EP (1) EP0468771B1 (ko)
KR (1) KR970001722B1 (ko)
AU (1) AU651121B2 (ko)
DE (1) DE691077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791893A (en) * 1992-07-27 1994-02-14 Gilmore Transportation Services, Inc. Coupling for heavy-duty machine
US5546683A (en) * 1993-09-29 1996-08-20 Clark; George J. Bucket attachment device with remote controlled retractable pins
DE4410194A1 (de) 1994-03-24 1995-10-05 Karl Heinz Josef Leh Am Auslegerarm eines Bodenbearbeitungswerkzeuges, Baggers o. dgl. befestigbare Aufnahme- und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Werkzeug, einen Baggerlöffel o. dgl.
US5581917A (en) * 1995-10-18 1996-12-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ing device
US5727342A (en) * 1996-04-18 1998-03-17 Wain-Roy, Inc. Hydraulic latch pin assembly for coupling a tool to a construction equipment
US5951192A (en) * 1996-04-24 1999-09-14 Entek Manufacturing, Inc. Quick connect system for excavator buckets
US6058633A (en) * 1997-10-22 2000-05-09 Barden; William Mark Quick coupling device and method utilizing an over-center spring
BR0012438A (pt) 1999-07-12 2002-04-02 Jrb Co Inc Estrutura de braço de escavadeira com acoplamento integral rápido
US6431785B1 (en) 2000-06-05 2002-08-13 Wec Co. Direct pin quick coupler
AT410333B (de) * 2000-10-10 2003-03-25 Josef Martin Gmbh & Co Kg Anordnung zum auswechselbaren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z.b. einer baggerschaufel, an einem baggerausleger oder einem fahrzeug
EP1236833A3 (en) * 2001-02-23 2002-09-11 Viby Jern Danmark A/S Implement coupling for a loading machine
US6725584B2 (en) * 2001-05-22 2004-04-27 Jrb Company, Inc. Quick connect/disconnect system for an arm of excavator or other machine
US6902346B2 (en) 2002-03-15 2005-06-07 Hendrix Manufacturing, Ltd. Hydraulic coupler
AU2003249360A1 (en) 2002-06-24 2004-01-06 Jrb Company, Inc. Arm assembly for excav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DE10335667B3 (de) * 2003-08-04 2004-05-27 Josef Martin Gmbh & Co. Kg Anordnung zum auswechselbaren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z. B. einer Baggerschaufel, an einem Baggerausleger oder einem Fahrzeug
US20050229445A1 (en) * 2004-04-16 2005-10-20 Poquette Joseph E Excavator and backhoe attachment adapter
US7984575B2 (en) * 2007-07-05 2011-07-26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assembly
GB0720413D0 (en) * 2007-10-18 2007-11-28 Monaghan Conor A Coupler
US8596901B1 (en) * 2010-11-18 2013-12-03 Howard C. Popp Universal attachment device for machinery
US8974137B2 (en) 2011-12-22 2015-03-10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8869437B2 (en) 2012-05-30 2014-10-28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US8684623B2 (en) 2012-05-30 2014-04-01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having anti-release mechanism
US9217235B2 (en) 2012-05-30 2015-12-22 Caterpillar Inc.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CN102720514A (zh) * 2012-07-05 2012-10-10 吴迪 一种移动式液压煤矿巷道支护支架安装机
US20140165355A1 (en) * 2012-12-18 2014-06-19 Smith Truck Crane & Equipment, Inc. Jig manipulator
US9228314B2 (en) 2013-05-08 2016-01-05 Caterpillar Inc. Quick coupler hydraulic control system
US9611616B2 (en) * 2014-12-24 2017-04-04 Shun Maruyama Bucket attach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CN108972488B (zh) * 2018-09-03 2022-07-05 江苏瑞星减速机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用的移动式工具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4622A (en) * 1975-03-17 1976-06-22 Kent Manufacturing Co., Inc. Quick change mounting bracket for loader arms
DE2511819C3 (de) * 1975-03-18 1978-10-19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7951 Kirchdorf Hydraulikbagger
JPS5294601A (en) * 1976-02-03 1977-08-09 Caterpillar Mitsubishi Ltd Quick coupler
AU557890B2 (en) * 1982-09-01 1987-01-15 Jones, P.W. Quick-release hydraulic hitch for attaching parts to excavator arm
AU3499989A (en) * 1983-11-23 1989-09-14 Redbar Plant Hire Pty. Ltd. Earth working apparatus and a coupling device
SE458939B (sv) * 1984-04-24 1989-05-22 Bengt Karlsson Snabbfaeste foer arbetsredskap
US4643631A (en) * 1985-04-22 1987-02-17 J. I. Case Company Quick coupling and release mechanism for buckets
JPS6393934A (ja) * 1986-10-03 1988-04-25 スチユア−ト.アレキサンダ−.エセツクス 建設機械用連結組立体
SE457651B (sv) * 1987-01-28 1989-01-16 Fritiof Hulden Kopplingsanordning foer loesbar sammankoppliing av ett arbetsredskap och en graebmaskins manoeverarm
SE458534B (sv) * 1987-07-20 1989-04-10 Lidkoeping Svets & Maskinprod Anordning vid en snabbkoppling foer loesbar sammankoppling av ett arbetsredskap och en graevmaskins manoeverarm
US4813163A (en) * 1988-01-26 1989-03-21 Construction Technology, Inc. Alignment fitting for attaching implements to a backhoe
FR2631052B1 (fr) * 1988-05-04 1992-05-07 Sacmi Dispositif de prise et de depose automatique d'un outil de travail par le porte-outil d'une machine, notamment de terrassement
GB9005074D0 (en) * 1990-03-07 1990-05-02 Aubrey Martin J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68771A1 (en) 1992-01-29
EP0468771B1 (en) 1995-03-01
US5324162A (en) 1994-06-28
AU651121B2 (en) 1994-07-14
DE69107719D1 (de) 1995-04-06
AU8133391A (en) 1992-01-30
DE69107719T2 (de) 199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722B1 (ko) 건설기계의 부속품 떼고 붙임 가능 기구
JP2589974B2 (ja) 掘削機アームへの取着用迅速解放ヒツチ
US7014385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machinery
JPH1131555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迅速接続装置
US20140215866A1 (en) Thumb with detachable body
EP0508692B1 (en) Accessory detachable mechanism of construction machine
KR101843022B1 (ko) 장력 조절기능과 저비용 고효율 성능을 갖는 굴삭기의 다용도 집게용 안전장치
WO2003100176B1 (en)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KR100437486B1 (ko)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KR200251572Y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JP2000248752A (ja) 建設機械のアームへのクランプ式バケットの取付け装置
JPH04124325A (ja)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2505381B2 (ja)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KR101870713B1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연결구조체
US11261577B2 (en)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US20050042025A1 (en) Work tool locking device
KR100397586B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JPH0351396Y2 (ko)
JPH0729044U (ja) 油圧ショベル用アダプタ
KR200232130Y1 (ko) 굴삭기 버킷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장치
JPH0726425B2 (ja)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JPH04124324A (ja) 建設機械の付属品着脱機構
KR100188888B1 (ko) 중장비 작업장치의 착탈장치
JP2006097348A (ja) 作業具装着装置
KR200310978Y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의 안전키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