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523Y1 -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523Y1
KR970001523Y1 KR2019940029763U KR19940029763U KR970001523Y1 KR 970001523 Y1 KR970001523 Y1 KR 970001523Y1 KR 2019940029763 U KR2019940029763 U KR 2019940029763U KR 19940029763 U KR19940029763 U KR 19940029763U KR 970001523 Y1 KR970001523 Y1 KR 970001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hinge shaft
compartment doo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351U (ko
Inventor
한숭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형동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9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523Y1/ko
Publication of KR960017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5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버스화물칸 도어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2도는 종래 화물칸 도어 힌지부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 힌지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힌지부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힌지지지대 22 : 브라켓트
23 : 결합편 24 : 지지바아
25 : 힌지축 27 : 스크류
28 : 힌지스토퍼 29 : 너트
본 고안은 버스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이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대 사이의 간격(유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힌지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힌지부의 힌지축과 그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지지대를 견고한 상태로 결합고정토록 함은 물론,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힌지스토퍼 및 너트를 풀고 조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힌지부의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물칸 도어(1)의 내부양측 단부에 결합편(2)이 착설되는 S자 형상의 지지바아(3)를 개재하여 양측 힌지지지대(4)에 횡설되는 힌지축(5)과 연결설치되며, 상기 지지바아(3)를 일단에는 개폐실린더(6)가 연설되어 화물칸 도어(1)가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화물칸 도어(1)를 당길 경우, 양측 지지바아(3)와 연설된 힌지축(5)이 힌지지지대(4) 사이에서 회전동작을 하면서 개폐실린더(6)에 의해 화물칸 도어(10)가 개방토록 된다.
한편, 화물칸 도어(1) 개폐를 위한 힌지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화물칸 도어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힙지지지대(11)의 내측벽면에 브라켓트(12)를 개재하여 원통상의 결합편(1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결합편(13) 사이에 지지바아(14)와 연설된 힌지축(15) 양측 단부의 회동편(16)이 각각 내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화물칸 도어 힌지부는, 화물칸 도어(1)의 개폐시 양측 지지바아(14)와 연설된 힌지축(15)이 그 양측단부에 고정된 힌지지지대(11)의 결합편(13)내에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화물칸 도어(1)의 개폐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화물칸 도어의 잦은 개폐시, 힌지축(15)이 횡설되는 양측 힌지지지대(11)의 유격이 심하게 발생되며, 이로인하여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격이 심한 힌지지지대(11)의 외측으로부터 지렛대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힌지지지대(11)를 강제로 밀어서 유격을 조절할 경우, 힌지축(15) 및 이와 연설된 지지바아(14)가 파손되어 힌지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그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지지대를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결합 규정함은 물론,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힌지스토퍼 및 너트를 풀고 조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힌지부의 간격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인한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힌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양측 힌지지지대의 결합편 사이에 횡설되는 힌지축의 양측단부인 회동편 외주면에 스크류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의 스크류에는 힌지스토퍼와 너트를 각각 체결토록 하며, 회동편의 일단이 힌지지지대의 결합편내에 회동가능하게 내설되는 힌지 결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의 힌지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히지부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버스화물칸 도어의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21)의 내측벽면에 브라켓트(22)를 개재하여 원통상의 결합편(2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결합편(23) 사이에는 지지바아(24)와 연설된 힌지축(25) 양측단부의 회동편(26)이 각각 내삽되는 힌지축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 사이에 횡설되는 힌지축(25) 양측단부의 회동편(26) 외주면에 스크류(27)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26)의 스크류(27)에는 힌지스토퍼(28)와 너트(29)가 각각 체결토록 되며, 회동편(26)의 일단은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내에 회동가능하게 내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버스화물칸 도어의 전방양측에 설치된 힌지지지대(21)의 원통형 결합편(23) 사이에 힌지축(25)을 횡설하여 고정시킬 경우, 상기 힌지축(25)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회동편(26)의 외주면에 스크류(27)를 형성시킨 후, 상기 스크류(27)상에 너트(29)와 힌지스토퍼(28)를 차례로 체결토록한다.
너트(29)와 힌지스토퍼(28)가 체결된 힌지축(25)은, 그 양측단부의 회동편(26)단부를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 내에 삽입시킨 후, 너트(29)를 돌려주게 되며, 이와 일체로 힌지스토퍼(28)가 전진하여 결합편(23)과 밀착 고정토록 되며, 이에 따라서, 힌지축(5)은 양측 힌지지지대(21) 사이에 견고한 상태로 결합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지지대(21) 사이에 횡설된 힌지축(25)의 간격을 조정할 경우에는 힌지축(25) 양측단부에 결합된 너트(29)와 힌지스토터(29)를 풀어주는 동작에 의해 힌지축(25)과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 사이에 유격(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 버스화물칸의 힌지축(25)은, 그 양측단부에 체결된 힌지스토퍼(29)와 너트(29)를 풀고 조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힌지지지대(21) 사이의 간격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 장치에 의하면,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그 양측에 결합되는 힌지지지대를 가일층 견고한 상태로 결합 고정함은 물론,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힌지스토퍼 및 너트를 풀고 조이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힌지부의 간격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인한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버스화물칸 도어의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21)의 내측벽면에 브라켓트(22)를 개재하여 원통상의 결합편(23)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결합편(23) 사이에는 지지바아(24)와 연설된 힌지축(25) 양측단부의 회동편(26)이 각각 내삽되는 힌지축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양측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 사이에 횡설되는 힌지축(25) 양측단부의 회동편(26) 외주면에 스크류(27)를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26)의 스크류(27)에는 힌지스토퍼(28)와 너트(29)가 각각 체결토록 되며, 회동편(26)의 일단은 힌지지지대(21)의 결합편(23)내에 회동가능하게 내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KR2019940029763U 1994-11-10 1994-11-10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KR970001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763U KR970001523Y1 (ko) 1994-11-10 1994-11-10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763U KR970001523Y1 (ko) 1994-11-10 1994-11-10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51U KR960017351U (ko) 1996-06-17
KR970001523Y1 true KR970001523Y1 (ko) 1997-03-14

Family

ID=1939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763U KR970001523Y1 (ko) 1994-11-10 1994-11-10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5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51U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895A (ko) 팽창래치 조립체
KR970001523Y1 (ko)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JP3510960B2 (ja) 三連式引き戸装置
KR0118986Y1 (ko)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CN210925806U (zh) 一种机械式横移门闭锁装置
JP2002537506A (ja) 施錠用回転動作及び施錠用並進動作が組み合わせられた鍵操作式ラッチ
JP2004308175A (ja) 二段階開放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CH613747A5 (en) Device for locking a vehicle door
KR970009937B1 (ko) 디지탈 피아노의 건반덮개 개폐장치
KR0130727Y1 (ko) 세탁기의 도어
KR200176762Y1 (ko) 버스스윙도어의드라이브샤프트결합구조
JP2536371Y2 (ja) 開閉扉
JP3146825B2 (ja) 窓の開閉装置
JP3595459B2 (ja) 折れ戸
KR940000237Y1 (ko) 도어클로우저
JP2676309B2 (ja) 引戸框のロック装置
JPS5919555Y2 (ja) タイバ−引抜装置
KR0120433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외측 핸들
KR960005220Y1 (ko) 방음문의 잠금장치
JPH09317154A (ja) 点検口
JP3692596B2 (ja) ラッチ装置
KR0122332B1 (ko) 디지탈 피아노의 건반덮개 개폐장치
JPH10148046A (ja) 共用ストライク
KR100265879B1 (ko)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