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986Y1 -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986Y1
KR0118986Y1 KR2019950002394U KR19950002394U KR0118986Y1 KR 0118986 Y1 KR0118986 Y1 KR 0118986Y1 KR 2019950002394 U KR2019950002394 U KR 2019950002394U KR 19950002394 U KR19950002394 U KR 19950002394U KR 0118986 Y1 KR0118986 Y1 KR 0118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mpartment door
bus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127U (ko
Inventor
강수석
Original Assignee
차형동
쌍용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동, 쌍용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형동
Priority to KR2019950002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986Y1/ko
Publication of KR960029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2005/067Bent flaps gooseneck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하부일측에 설치되는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이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힌지축(5)의 양측 끝부분에 내측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편(56)이 갖추어지고, 상기 결합편(56)과 힌지지지대(4)의 결합편(44)과는 간격조정부재(7)를 매개로 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정부재(7)는 중앙에 다각형의 돌출편(72)을 형성하고 일측에 원통형의 축(74)을 형성하며 타측에 수나사부(76)를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나사부(76)에 결합되는 너트부재(78)를 갖춤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조정부재의 너트부재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의 간격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을 지속적으로 원할하게 행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제 1 도는 일반적인 버스 화물칸 도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화물칸 도어 힌지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분해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스화물칸 도어(Door) 3 : 지지바아
4 : 힌지지지대 5 : 힌지축
7 : 간격조정부재 44,56 : 결합편
72 : 돌출편 74 : 축
76 : 수나사부 78 : 너트부재
본 고안은 버스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이에 결합되는 양측 지지대 사이의 간격(유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힌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부의 힌지축과 그 양측의 힌지지지대 사이에 길이조절이 가능토록 된 간격조정부재를 설치함으로서 그 연결을 견고하게 함은 물론, 화물칸 도어의 개폐를 지속적으로 원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 도어(1)의 내측 가장자리부로 설치된 상, 하부 결합편(2)(2')의 각각에 지지바아(3)(3')의 일측끝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고, 이러한 지지바아(3)(3')중 상부지지바아(3)의 타측 끝부분은 힌지축(5)에 고정되며 하부지지바아(3')의 타측 끝부분은 힌지지지대(4)의 하부측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되며, 상기 힌지축(5)의 양측 끝부분은 힌지지지대(4)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토록 장착되어짐은 물론, 상기 상부 지지바아(3)의 힌지축(5)측 끝부분은 개폐실린더(6)에 연결되어 화물칸 도어(1)를 개폐하는 것이다.
즉, 상기 화물칸 도어(1)를 버스의 외측에서 당길 경우에 지지바아(3)(3')와 연결 설치된 힌지축(5)이 힌지지지대(4) 사이에서 회전동작을 하면서 개폐실린더(6)에 의해 화물칸 도어(1)가 개방되는 것이며, 그 개방되어진 화물칸 도어(1)를 버스의 외측에서 밀 경우에 상기와 반대동작을 하면서 개폐실린더(6)에 의해 화물칸 도어(1)가 폐쇄되는 것이다.
한편, 화물칸 도어(1)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칸 도어(1)의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4)의 내측 벽면에는 힌지축(5)측으로 중공원통형의 결합편(44)을 형성한 브라켓트(bracket)(42)가 고정되고, 힌지축(5)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의 돌출편(54)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5)의 돌출편(54)이 브라켓트(42)의 결합편(44)에 회전가능토록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화물칸 도어 힌지부는, 화물칸 도어(1)의 개폐시 양측 지지바아(3)와 고정되어 연결된 힌지축(5)의 돌출편(54)이 그 양측 끝부분의 힌지지지대(4)에 고정된 브라켓트(42)의 결합편(44) 내에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화물칸 도어(1)의 개폐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물칸 도어이 힌지부는 화물칸 도어(1)의 잦은 개폐시 힌지축(5)과 양측 힌지지지대(4)와의 사이에는 유격이 심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화물칸 도어(1)의 개폐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힌지축(5)과 양측 힌지지지대(4) 사이에 발생된 유격 조정시 지렛대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그 유격을 조정하였는 바, 힌지축(5) 및 이와 연결 설치된 지지바아(3)등의 파손을 초래하여 힌지부로서의 기능자체를 상실시켰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물칸 도어의 힌지축과 양측 힌지지지대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조정함이 용이하도록 하여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이 지속적으로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버스화물칸 도어를 개폐가능토록 하는 힌지축 결합구조에 있어서, 버스화물칸 도어의 전방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결합편 사이에 회전 가능토록 장착된 힌지축의 양측 끝부분은 내측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편을 갖추어 길이 조정이 가능한 간격조정부재를 매개로 힌지지지대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로서, 좌측에는 화물칸 도어(1)의 전방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4)의 상부측이 보이고, 우측에는 화물칸 도어(1)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일측 끝부분이 힌지연결된 상부지지바아(3) 및 상기 지지바아(3)의 양측 끝부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힌지축(5)이 보인다.
상기 힌지지지대(4)의 내측벽면에 힌지축(5)측으로 중공원통형의 결합편(44)을 형성한 브라켓트(42)가 고정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힌지축(5)의 양측 끝부분에 내측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중공원통형의 결합편(56)이 갖춰지고, 상기 브라켓트(42)의 결합편(44)과 힌지축(5)의 결합편(56) 사이에는 간격 조정부재(7)가 장착된다.
상기 간격조정부재(7)는 대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중앙부에 육각볼트 머리형의 돌출편(7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72)의 일측은 평활외주면을 가지는 축(74)으로 이루어지며 타측은 수나사산을 형성한 수나사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나사부(76)에는 내측에 암나사산(78a)을 형성한 너트부재(78)가 나사결합되어진다.
이러한 간격조정부재(7)의 축(74)은 결합편(44)에 공회전 가능토록 끼워지고 수나사부(76)는 결합편(56)에 나사결합되어지고, 돌출편(72)과 너트부재(78)는 결합편(44)(56)의 외경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토록 형성한다.
물론, 상기 간격조정부재(7)는 그 수나사부(76)가 결합편(44) 측으로 향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이때에는 결합편(44)(56)등의 중공부 길이등을 새로이 적정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 상세도이다.
너트부재(78)를 돌출편(72)측으로 근접토록 회전시킨 후 간격조정부재(7)를 힌지지지대(4)의 결합편(44)과 힌지축(5)의 결합편(56) 사이에 체결한 후 너트부재(78)를 회전시켜 결합편(56)측에 밀착시키면 간격조정부재(7)와 결합편(56)은 고정되어지고 결합편(44)(56) 사이의 간격(D)은 적정수준에서 유지되어 버스화물칸 도어(1)의 개폐동작을 원할하게 행하여 지도록 한다.
그리고, 화물칸 도어(1)의 잦은 개폐에 의한 힌지축(5)과 힌지지지대(4) 사이의 유격발생은 결합편(44)(56) 사이의 유격을 발생시키고, 이 유격은 간격조정부재(7)와 너트부재(78)의 회전에 의한 결합편(44)(56) 사이의 간격(D) 조정으로 용이하게 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버스화물칸 도어(1)의 힌지축(5)의 양측 끝부분에 장착된 간격조정부재(7)와 너트부재(78)를 풀고 조이는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에 의해 결합편(44)(56) 즉, 힌지축(5)과 힌지지지대(4)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구조에 의하면,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에 장착되는 간격조정부재와 너트부재를 풀거나 조임으로서 힌지축과 힌지지지대 사이를 견고하게 장착함은 물론, 그 사이의 간격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의해 화물칸 도어의 개폐동작을 지속적으로 원할하게 행할 수 있는 실용상의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버스화물칸 도어(1)의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힌지지지대(4)의 내측벽면에 중공원통형의 결합편(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44) 사이에는 지지바아(3)와 연결설치된 힌지축(5)이 회전가능토록 장착되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힌지축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의 양측 끝부분에 내측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결합편(56)이 갖춰지고, 상기 결합편(44)(56)은 간격조정부재(7)를 매개로 서로 연결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정부재(7)는 중앙에 다각형의 돌출편(72)을 형성하고 일측에 원통형의 축(74)을 형성하며 타측에 수나사부(76)를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나사부(76)에 결합되는 너트부재(78)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결합구조
KR2019950002394U 1995-02-15 1995-02-15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KR0118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394U KR0118986Y1 (ko) 1995-02-15 1995-02-15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394U KR0118986Y1 (ko) 1995-02-15 1995-02-15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27U KR960029127U (ko) 1996-09-17
KR0118986Y1 true KR0118986Y1 (ko) 1998-07-15

Family

ID=1940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394U KR0118986Y1 (ko) 1995-02-15 1995-02-15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9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127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6633B2 (en) Low friction adjustable roller pin
KR0118986Y1 (ko) 버스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구조
JP2000204827A (ja) 調整蝶番
KR970001523Y1 (ko) 버스 화물칸 도어의 간격조정이 가능한 힌지 결합장치
US3545134A (en) Cabinet frame and door for use with quickly attachable and detachable hinges
RU2398138C2 (ru) Комбинация монтажного элемента и пе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ете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к раме или створке
KR920007773Y1 (ko) 출입문용 경첩
KR200180536Y1 (ko) 출입문용 경첩
KR0130727Y1 (ko) 세탁기의 도어
YU21400A (sh) Držač rukavca šarke za prozore, vrata ili nameštaj
KR940004824Y1 (ko) 문짝 상부축의 지지장치
KR970006731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도어핸들
JPH0735083Y2 (ja) 扉体へのランナーの取り付け構造
JPH0645578Y2 (ja) ヒンジ
KR100455981B1 (ko) 도어 클로저
JP3000376U (ja) 戸 車
JPH0328686Y2 (ko)
KR950000180Y1 (ko) 잠금장치를 갖는 문 손잡이
JPH0330540Y2 (ko)
JPS5847772Y2 (ja) ケ−ブル延線ロ−ラ−
KR0148303B1 (ko)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KR19980019849U (ko) 조립식 경첩
KR200248874Y1 (ko) 천정 틈새 보상용 장농의 구조
KR960010404Y1 (ko) 출입문용 힌지장치
JP2533496Y2 (ja) 2つ折り戸のラッチ装置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