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03B1 -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303B1
KR0148303B1 KR1019950057556A KR19950057556A KR0148303B1 KR 0148303 B1 KR0148303 B1 KR 0148303B1 KR 1019950057556 A KR1019950057556 A KR 1019950057556A KR 19950057556 A KR19950057556 A KR 19950057556A KR 0148303 B1 KR0148303 B1 KR 014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r shaft
bracket
driver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346A (ko
Inventor
권정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303B1/ko
Publication of KR97003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15/10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 E05D15/10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the wing being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horizontal plan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1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the track rotating around its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05D2015/102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 E05D2015/103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with only the wing moving transversely the wing supported on arms extending from the carri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드라이버 샤프트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와 바디와의 간격을 서로 맞추기가 힘들은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정 위치에 구멍(104)이 형성된 브라켓을 용접 설치한 도어(100)와; 수직봉으로 형성하여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드라이버 샤프트(110)와; 일단에는 상기 브라켓(102)의 구멍(104)으로 끼워져 체결구(120)로 고정되도록 나사축(142)을 입설하며, 타단에는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의 외주연에 설치토록 한 결합 브라켓(144)이 설치된 연결봉(140)으로 구성된 것으로, 수직봉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샤프트에 연결봉을 구비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써 드라이버 샤프트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도어와 바디의 간격을 편리하게 맞춰줌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제1도는 종래 도어에서 드라이버 샤프트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어 102 : 브라켓
104 : 구멍 110 : 드라이버 샤프트
120 : 체결구 130 : 실린더
140 : 연결봉 142 : 나사축
144 : 결합 브라켓 150 : 볼트
본 발명은 연결봉을 구비하여 드라이버 샤프트와 도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도어와 바디와의 간격을 맞출 때 편리함에 따라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사람 및 물건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전방의 일측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도어는 차 내외부에서 수동작업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 개폐시키도록 한 것과, 시내 버스와 같이 운전자가 레버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열리도록 한 것과, 도어를 약간 연다음 그 상태 그대로 후방으로 자동 개폐되게 한 것 등이 있다.
이중 두 번째 방법으로 개폐되는 도어에 있어, 종래에는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바디에 설치된 드라이버 샤프트(10)의 하단부는 실린더(30)와 결합되어 있으며, 소정 부위에는 ㄱ 자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가이드봉(12)이 일정 간격 떨어져 수평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이드봉(12)의 끝단은 요크 어셈블리(20)를 이용 도어(1)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렇게 조립 형상함으로써, 상기 도어(1)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데,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0)를 축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도어(1)는 드라이버 샤프트(10)를 축으로하여 자동으로 닫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드라이버 샤프트(10)에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봉(12)은 움직이지 않고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1)와 바디와의 간격을 서로 맞추기가 힘들었다. 다시 말해 드라이버 샤프트(10)의 가이드봉(12) 위치를 변경하기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차체의 바디에 조립할 때 드라이버 샤프트를 상하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드라이버 샤프트와 연결봉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와 도어(100)에 각각 설치되어 하단이 실린더(130)에 의해 도어(100)를 개폐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에 있어서서, 도어(100)와 드라이버 샤프트(110)와 연결봉(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00)는 소정 위치에 구멍(104)이 형성된 브라켓(102)을 용접설치한다.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는 수직봉으로 형성하여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연결봉(140) 일단에는 상기 브라켓(102)의 구멍(104)으로 끼워져 체결구(120)로 고정되도록 나사축(142)을 입설하며, 타탄에는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의 외주연에 설치토록 한 결합 브라켓(144)이 설치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상기 도어(100)에 용접 설치된 브라켓(102)의 구멍(104)으로 상기 연결봉(140)의 나사축(142)을 하방으로부터 끼운후 브라켓(102) 상부로 돌출된 상기 나사축(142)에 체결구(120)를 이용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140)은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이어, 상기 연결봉(140)의 타단에 설치된 결합 브라켓(44)에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를 댄 상태로 볼트(150)로써 바디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의 상 하단을 바다에 삽입 설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의 하단은 상기 실린더(130)에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그 실린더(130)에 의해 상기 도어(10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봉(140)의 결합 브라켓(144)에 고정된 드라이버 샤프트(110)를 상하로 위치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 브라켓(144)에 체결된 볼트(150)를 푼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를 조절한 후 다시 고정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바디와 도어(100)와의 간격 맞추기가 힘이드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사프트 구조에 따르면, 수직봉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샤프트에 연결봉을 구비하여 설치하게 됨으로써 드라이버 샤프트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게 되어 도어와 바디의 간격을 편리하게 맞춰줌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발명이다.

Claims (1)

  1. 바디와 도어(100)에 각각 설치되어 하단의 실린더(130)에 의해 도어(100)를 개폐 가능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에 있어서, 소정 위치에 구멍(104)이 형성된 브라켓(102)을 용접 설치한 도어(100)와; 수직봉으로 형성하여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드라이버 샤프트(110)와; 일단에는 상기 브라켓(102)의 구멍(104)으로 끼워져 체결구(120)로 고정되도록 나사축(142)을 입설하며, 타단에는 상기 드라이버 샤프트(110)의 외주연에 설치토록 한 결합 브라켓(144)이 설치된 연결봉(1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KR1019950057556A 1995-12-27 1995-12-27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KR014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56A KR0148303B1 (ko) 1995-12-27 1995-12-27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56A KR0148303B1 (ko) 1995-12-27 1995-12-27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346A KR970035346A (ko) 1997-07-22
KR0148303B1 true KR0148303B1 (ko) 1998-10-15

Family

ID=1944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556A KR0148303B1 (ko) 1995-12-27 1995-12-27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30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346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4942A (en) Vehicle tail light construction
KR960003895A (ko) 팽창래치 조립체
KR0148303B1 (ko) 버스의 도어용 드라이버 샤프트 구조
EP1213183A1 (fr) Rétroviseur extérieur et système de fixation
KR100455981B1 (ko) 도어 클로저
JP2606510B2 (ja) ウインドシールドモールデイングの取付構造
JPS59248Y2 (ja) 車両用サイドウインドの取付構造
JPH088220Y2 (ja) 自動車用開閉体のヒンジ構造
JP3170566B2 (ja) 門扉の電気錠装置取付け構造
KR0155208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920007773Y1 (ko) 출입문용 경첩
JPH0223729Y2 (ko)
KR970003350Y1 (ko) 교통신호제어기용 경첩(hinge)
KR0136328B1 (ko) 자동차 도어록의 스트라이커
KR100380336B1 (ko) 테일게이트용 아웃사이드 핸들
JP2888247B2 (ja) 自動車用着脱式ハッチの取付部構造
KR940007246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유리창 개폐장치
KR0128111Y1 (ko) 사이드 도어힌지구조
KR930001036Y1 (ko) 도어클로우져 장착장치
KR0181868B1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로드 고정구조
JPH0558774U (ja) ドアロック装置
KR0152615B1 (ko) 강제 압착 방식이 자동차 테일 게이트 힌지 구조
KR200163081Y1 (ko) 자동차의 외측 도어핸들
KR970006731Y1 (ko) 가스오븐렌지의 오븐도어핸들
KR970004449Y1 (ko) 차량용 회전창의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