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17Y1 -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 Google Patents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17Y1
KR970001117Y1 KR2019940018810U KR19940018810U KR970001117Y1 KR 970001117 Y1 KR970001117 Y1 KR 970001117Y1 KR 2019940018810 U KR2019940018810 U KR 2019940018810U KR 19940018810 U KR19940018810 U KR 19940018810U KR 970001117 Y1 KR970001117 Y1 KR 970001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ior
operation switch
switch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652U (ko
Inventor
심종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8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117Y1/ko
Publication of KR960004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제1도는 종래 실내등의 전기배선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포토센서를 이용한 실내등의 전기배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내등 21 : 램프
23b : 자동접점 P1 : 포토센서
TR1 : 스위칭 소자
본 고안은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에 장착된 실내등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에 자동(Auto)접점을 선택하면 차량 실내의 일측에 장착된 포토센서에 의한 실내의 조도감지로 도어의 개폐에 상관없이 램프를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밧데리 전원의 소모를 줄이고 작동이 편리한 자동차의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실내등은 야간이나 도어를 개폐시에 실내를 조명하거나 독서 또는 지도 등을 볼 때에 실내를 조명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모든 전기 장치가 작동하는 점화스위치가 온(ON) 위치일 때 작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 첨부된 제1도와 같이 실내등(10)은 작동스위치(13)의 조작에 따라 램프(11)의 점멸작동이 각각 다르다. 즉, 작동스위치(13)를 온접점(13a)에 놓으면 도어의 개폐에 관계없이 램프(11)가 항상 점등된 상태이고, 작동스위치(13)를 도어접점(13b)에 두면 도어의 개폐시에만 램프(11)가 점멸된다. 또 작동스위치(13)를 오프접점(13c)으로 하면 도어의 개폐에 무관하게 램프(11)는 계속 소등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이 실내등 작동스위치(13)를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도어접점(13b)에 놓아두었다면 주간에도 도어가 개폐되면 램프(11)가 점멸하게 되고, 작동스위치(13)를 오프접점(13c)에 놓아두었다면 야간에는 작동스위치(13)를 다시 온접점(13a)이나 도어접점(13b)으로 상황에 적합한 접점위치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밧데리의 불필요한 방전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의 운행중에 실내등(10)을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기 위하여 작동스위치(13)를 조작하게 되면 운전에 방해가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도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실내 일측에 포토센서를 부착하여 도어의 개폐시에 실내의 조도에 따라 실내등이 자동으로 점멸되게 작동스위치에 구성한 자동접점을 선택함으로써 밧데리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실내등의 간편한 작동을 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와, 상기 작동스위치에 구성된 자동접점과, 상기 포토센서에 베이스단이 접속되고 상기 자동접점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며, 에미터단에 각 도어 개폐스위치가 접속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토센서의 조도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실내등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실내등의 작동에 따른 회로 구성도로, 통상의 작동스위치(13)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의 실내등(10)에 있어서,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P1)와, 상기 작동스위치(23)에 구성된 자동접점(23b)과, 상기 포토센서(P1)에 베이스단이 접속되고, 상기 자동접점(23b)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며 에미터단에 각 도어 개폐스위치(24a-24b)가 접속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칭 소자(TR1)로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실내등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등(20)의 작동스위치(23)를 온접점(23a)에 두면, 밧데리 전원(B+)이 도통되어 램프(21)는 도어의 개폐와는 상관없이 항시 점등되게 된다. 또한 작동스위치(23)를 자동접점(23b)에 두면, 차량의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실내의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P1)가 작동된다. 포토센서(P1)는 실내의 조도가 높아 기준치보다 크면 오프되어 밧데리 전원(B+)을 도통시키지 못하고, 실내의 조도가 낮아 기준치보다 작으면 온되어 밧데리 전원(B+)이 도통되어 저항(R1)을 통해 스위칭 소자(TR1)의 베이스단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TR1)는 턴온되어 컬렉터단의 자동접점(23b)으로부터 밧데리 전원(B+)이 도통되므로, 다이오드(D1)를 통해 각 도어의 도어 개폐스위치(24a-24d)에 걸리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가 열리고 실내의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램프(21)가 자동으로 점등되고, 도어가 열리더라도 실내의 조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포토센서(P1)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램프(21)는 점등되지 않는다.
또한 작동스위치(23)가 도어접점(23c)에 있을 경우는 실내의 조도에 상관없이 도어의 얼림시에 항상 램프(21)가 점등된다. 또 작동스위치(23)가 오프접점(23d)일 때는 램프(21)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실내등을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23)에 자동접점(23b)을 구성하고, 포토센서(P1)의 실내의 조도감지에 의해 각 도어 개폐스위치(24a-24d)의 작동에 따라 실내등(20)의 램프(21)가 점멸되게 함으로써 실내등(20)의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밧데리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작동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차의 실내등에 있어서, 실내의 일측에 장착되어 조도를 감지하는 포토센서(P1)와, 상기 작동스위치(23)에 구성된 자동접점(23b)과, 상기 포토센서(P1)에 베이스단이 접속되고, 상기 자동접점(23b)에 컬렉터단이 접속되며, 에미터단에 각 도어 개폐스위치(24a-24b)가 접속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칭 소자(TR1)로 구성한 특징으로 하는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KR2019940018810U 1994-07-27 1994-07-27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KR970001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10U KR970001117Y1 (ko) 1994-07-27 1994-07-27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810U KR970001117Y1 (ko) 1994-07-27 1994-07-27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652U KR960004652U (ko) 1996-02-16
KR970001117Y1 true KR970001117Y1 (ko) 1997-02-18

Family

ID=1938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810U KR970001117Y1 (ko) 1994-07-27 1994-07-27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1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652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117Y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실내등
CN209964348U (zh) 一种内顶灯控制电路
JPS643697Y2 (ko)
KR200257166Y1 (ko) 차량용 램프의 단선감지장치
CN2933965Y (zh) 汽车小夜灯组合结构
KR100187418B1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포그램프의 스위칭회로
JP3035821U (ja) 車両の補助灯
KR200142972Y1 (ko) 차량용 트렁크룸램프 자동점소등장치
JPS59114137A (ja) 車両用灯火制御装置
KR19980022811U (ko) 자동차용 실내등 및 트렁크등 무단점등 방지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200314317Y1 (ko) 자동차의 미등, 헤드라이트 자동점등장치
KR0157808B1 (ko) 차량의 엔진룸 내부 조명장치
KR0166283B1 (ko) 자동차의 후진등 밝기조절장치
KR100208618B1 (ko) 자동차 실내등 제어장치
KR0154518B1 (ko) 차량용 트렁크 후드 내측 램프
JP2000133472A (ja) 照明柱用自動点滅器
KR0148908B1 (ko) 자동차 조명제어장치
KR19980031508U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자동 조명장치
KR0139693Y1 (ko) 자동차용 스몰라이트 자동 점등장치
KR0171349B1 (ko) 차량용 실내등
KR19980031509U (ko) 자동차의 도어 핸들 자동 조명장치
JPS6253255A (ja) 自動車のオ−トライトコントロ−ル装置
JPH04317879A (ja) 自転車用テ−ルランプ
KR900001711Y1 (ko) 자동차 미등 및 전조동 자동점멸(on/off)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