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114B1 - 권상기 - Google Patents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114B1
KR970001114B1 KR1019930007618A KR930007618A KR970001114B1 KR 970001114 B1 KR970001114 B1 KR 970001114B1 KR 1019930007618 A KR1019930007618 A KR 1019930007618A KR 930007618 A KR930007618 A KR 930007618A KR 970001114 B1 KR970001114 B1 KR 97000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isting
piece
govern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365A (ko
Inventor
마사루 후지가와
Original Assignee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쯔다 슈우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쯔다 슈우사꾸 filed Critical 조오지루시 체인 블록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0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23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 B66C13/26Circuits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the load by a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상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전기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동 체인블록의 전체정면도.
제3도는 거버너와 스위치장치와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에 대하여 거버너가 동작했을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스위치장치만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A-A선의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B-B선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5도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판을 생략한 기판만의 평면도.
제9도는 권상 및 권하측 스위치가 모두 온동작하고 있는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
제10도는 권하시에 있어서, 권상측 스위치가 온동작하고 권하측 스위치가 오프동작하고 있는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
본 발명은 기동콘덴서를 가지는 콘덴서 시동 단상 모터를 사용하여 화물 등의 피권상물의 권상 또는 권하를 행하도록 한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덴서 시동형 단상모터를 사용한 권상기는, 상기 모터에 연동하는 구동축에 그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동작하는 거버너와 이 거버너의 동작으로 온·오프하는 거버너 스위치를 사용하고, 이 거버너 스위치를 시동콘덴서를 접속한 보조 권상회로에 개장하여 상기 모터가 운전 정지할 때는, 상기 거버너 스위치를 온동작시키고, 상기 모터를 시동시킬 때에는 상기 시동콘덴서를 작동시켜 작동시킴과 동시에, 시동후에는 상기 거버너 스위치를 오프동작시켜, 상기 시동콘덴서에의 통전을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단상모터는 시동토크가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동콘덴서를 사용하여, 콘덴서 시동방식으로 시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또 시동콘덴서를 사용할 경우, 시동후도 통전을 계속시키면, 상기 시동콘덴서에는 상기 모터의 전류치보다 몇배 높은 전류가 흘러 발열하기 때문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거버너를 사용하고, 이 거버너의 동작으로 오프하는 거버너 스위치의 오프동작으로 시동후 상기 시동콘덴서에의 통전을 차단하여 발열의 문제를 회피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화물이나 전동셔터에 있어서의 셔터 및 2단 주차기에 있어서의 팔레트 등의 피권상물을 승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체인블록이나 트롤리 등의 권상기에 있어서는, 권하지령으로 상기 모터를 권하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도중에, 권상지령을 출력하고, 상기 모터를 권하방향으로 구동으로부터 권상방향의 구동으로 변경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즉, 예를 들면 화물을 내리고 있을 때, 화물 내림 위치가 목적위치보다 너무 내려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권상기의 푸시버튼 스위치를 조작하여 권상지령을 내려 목적위치로 권상하도록 하는 조작이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모터가 권하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권상지령을 내렸을 경우, 그 지령에 관계없이 상기 모터가 권상방향으로 동작하지 않고 권하동작이 계속되는 일이 있다.
즉, 권하방향으로 부하가 작용하고 있으면, 권하동작 도중에 권상지령을 내려도, 상기 모터는 그 관성으로 권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상기 거버너의 동작으로 상기 거버너 스위치는 오프상태가 계속되어 시동콘덴서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에 권상지령이 출력되고, 이 지령에 의하여 정역전 전환회로가 전환되어도 권상측으로의 시동토크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권상방향의 회전으로 신속하게 전환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권하동작시에 권상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도, 시동콘덴서를 즉시 작용시켜 신속한 권상동작을 행할 수 있는 권상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동콘덴서(C1)와 외부지령으로 회전방향을 정역방향으로 전환하는 정·역 전환회로(19)를 가지는 콘덴서 단상모터(3)와 그 모터(3)로 정·역 구동되고, 피권상물의 권상, 권하를 행하는 구동부재(2)와, 상기 모터(3)의 구동 및 정지동작에 응동하여 동작하는 거버너(4)와, 이 거버너(4)의 동작에 추종하여 상기 시동콘덴서(C1)를 온·오프하는 스위치장치(5)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장치(5)는, 상기 전환회로(19)의 권상측선로(19a)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1 접편(31)과 상기 기동콘덴서(C1)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2 접편(32)으로 이루어지고, 항상 온동작하는 권상측 스위치(33)와, 상기 전환회로(19)의 권하측 선로(19b)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1 접편(34)과 상기 가동콘덴서(C1)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2 접편(35)으로 이루어지고, 항상 온동작하는 권하측 스위치(36)와,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추종하여 권상시 권하측 스위치(36)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상측 스위치(33)를 오프 조작시켜, 권하시, 권상측 스위치(33)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하측 스위치(36)를 오프조작시키는 스위치 조작판(3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거버너(4)는 모터(3)의 구동정지로 왕(往)동작하는 왕동작위치와, 구동으로 복(復)동작하는 복동작위치에 작동하는 조작원판(27)을 구비하고, 스위치 조작판(37)은 고정된 기판과 상기 스위치 조작판을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작동원판의 회전에 추종하여 일정범위 회동하고, 또한 상기 작동원판의 왕복작동에 추종하여 왕복동작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는 권상측 스위치와 권하측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조작판의 회전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에는 이 스위치 조작판의회전으로 상기 권상측 스위치와 권하측 스위치에 있어서의 가동측 접편의 한쪽과 선택적으로 계합하고, 상기 작동원판의 복동위치로의 복동작에 추종하는 상기 스위치 조작판의 복동동작으로 오프 조작하는 계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과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을 상기 가동측 접편을 오프 동작시키는 복동동작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개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작동원판(27)에 대향하고, 그 작동원판(27)의 왕동위치에서 접촉하는 환상접촉면(4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환상접촉면(44)은 예를 들면 나일론, 우레탄 고무, 폴리프로필렌 등의 마찰재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합편(45)은, 권상측 스위치(33) 및 권하측 스위치(36)의 각 가동측접편을 향하여 상반하는 경사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계지면(45d,45b)을 구비하고, 상기 각 가동측 접판은 그 각 선단측에, 상기 각 계지면(45a,45b)에 대향하는 갈고리형 피계지부(32a,35a)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기판에 입설하는 복수의 스테이(40)에, 일정범위 회동가능하고, 또한, 거버너(4)에 있어서의 작동원판(27)의 왕복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스테이(40)에는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권상 및 권하측 스위치(33,36)에 있어서의 가동측 접편의 오프동작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41,…)을 설치하고, 상기 각 가동측 접판에 근접하는 위치에 입설한 스테이(40)에 설치하는 스프링(41)의 탄성력을, 상기 각 가동측 접편의 오프동작시, 이 오프동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이겨낼수 있는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기 권상측 스위치(33)와 권하측 스위치(36)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을,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추종하여 권상시에는 권하측 스위치(36)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상측 스위치(33)를 오프조작 시키고, 또 권하시에는 권상측 스위치(33)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하측 스위치(36)를 오프조작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권하동작의 도중에서 권상지령을 출력하는 경우, 이 지령으로 정역전 전환회로가 전환되면, 상기 권상측 스위치(33)는 온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즉시 시동콘덴서(C1)가 작동하여, 권상측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최소의 하강에서 상승이 가능하게 되고, 피권상물의 목적위치에서의 위치설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거버너(4)에 작동원판(27)을 설치하고, 스위치 조작판(37)을 고정기판(30)에 상기 작동원판(27)의 회전에 추종하여 일정범위 회동하고, 또한, 상기 작동원판(27)의 왕복작동에 추종하여 왕복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에 상기 계합편(45)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과 기판(30)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41)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에 의한 권상측 스위치(33) 및 권하측 스위치(36)의 상기한 오프조작을 유효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에, 상기 작동원판(27)에 대향하여, 왕동위치에서 접촉하는 환상접촉면(44)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덜거덕거림이 있더라도,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이 오동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거버너(4)의 작동원판(27)에 추종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스위치 조작을 오동작 없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환상접촉면(44)을 마찰재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거버너(4)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스위치 조작을 더욱 오동작 없이 유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계합편(45)에 상기 계지면(45a,45b)을 설치하고, 가동측 접편에 갈고리형 피계지부(32b,35b)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모터(3)나 구동부재(2)의 구동회전으로 진동이 있어도, 상기 가동측 접편의 오프조작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고, 이 오프조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어서, 운전중에 있어서 기동콘덴서(C1)에 잘못하여 통전되는 것을 유효하게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복수의 스테이(40)에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스테이 (40)에 상기 스프링(41)를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측 접편에 근접하는 위치의 스테이(40)에 설치하는 스프링(41)의 탄성력을, 상기 가동측 접편의 오프동작시, 이 오프동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이겨내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상기 작동원판(27)의 복동위치에서의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복귀동작, 즉 모터(3)가 정지하여 작동원판(27)이 복동위치로 복동할때, 상기 스프링(41)의 작용으로 상기 권상 및 권하측 스위치(33,36)가 온동작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복귀조작을 기울어짐 없이 스테이(40)에 대하여 수직자세를 유지하여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권상기는 전동 체인블록으로서,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1,12)와, 이들 사이드 플레이트(11,12)의 양측에 설치되는 모터케이싱(13)과 기어케이스(14)로 이루어지는 체인블록 본체(1)를 구비하고, 이 체인블록 본체(1)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12) 사이에 피권상물의 권상및 권하를 로드시이브로 이루어지는 구동부재(2)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1,12)간의 상부에는 상 후크(15)를 설치하고, 상기 로드시이브(2)에는 피권상물을 매어다는 하후크(16)를가진 로드체인(17)을 걸어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모터케이싱(13)내에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기동콘덴서(C1)와, 상기 체인블록 본체(1)에 매다는 상태로 설치하는 푸시버튼 조작체(18)로부터의 외부지령으로 회전방향을 정역방향으로 전환하는 정역전 전환회로(19)를 가진 콘덴서 시동형 단상모터(3)와 이 모터(3)의 구동축(20)에 장착되어 그 모터(3)의 구동 및 정지동작에 응동하여 동작하는 거버너(4) 및 이 거버너(4)의 동작에 추종하여 상기 기동콘덴서(C1)를 온,오프하는 스위치장치(5)를 내장하고 있고, 또 상기 기어케이싱(14)에는 상기 모터(3)의 구동을 감속하여 상기 로드시이브(2)에 전달하는 감속기어기구(21) 및 상기 모터(3)에의 정지지령시 상기 로드시이브(2)에의 전달계의 제동을 행하는 전자브레이크(22)를 내장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거버너(4)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모터(3)의 구동축(20)에 설치되어 그 구동축(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체(23)와, 이 지지체(23)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 작용을 받아 선단측이 상기 구동축(20)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하는 한쌍의 중추(重錘)(24,25)와, 이들 중추(24,25)간에 개장되어, 원심력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각 중추(24,25)를 지름방향 안쪽으로 가세하는 스프링(26) 및 상기 중추(24,25)의 요동에 연동하는 연동부(27a)를 가지고, 상기 중추(24,25)의 요동에 연동하여 상기 구동축(20)의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작동원판(27)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모터(3)의 정지 및 구동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원판(27)을 제3도에 왕동위치와 제4도에 나타낸 복동위치에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즉, 모터(3)의 구동정지시에는, 원심력 작용이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26)의 작동으로 상기 중추(24,25)가 지름방향 안쪽으로 요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원판(27)은 제3도에 나타낸 왕동위치에 진출하는 것이고, 또, 모터(3)의 구동시에는 이 구동에 의한 상기 구동축(20)의 회전으로 상기 중추(24,25)가 원심력 작용을 받아, 상기 스프링(26)에 대항하여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하는 것으로서, 이 요동에 의하여 상기 작동원판(27)은 제4도에 나타낸 복동위치로 후퇴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원판(27)의 왕복동에 의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스위치장치(5)의 스위치 조작판(37)을 작동시켜 스위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스위치장치(5)를 제5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스위치장치(5)는, 상기 거버너(4)의 작동원판(27)이 대향하는 상기 모터케이싱(13)의 측판(13a)에 설치되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기판(30)과, 후기하는 상기 모터(3)의 정역전 전환회로(19)의 권상측 선로(19a)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1 접편(31)과 상기 시동콘덴서(C1)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2 접편(32)으로 이루어지고, 항상 온동작하는 권상측 스위치(33)와, 상기 정역전 전환회로(19)의 권하측 선로(19b)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1 접편(34)과 상기 시동콘덴서(C1)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2 접편(35)로 이루어지고, 항상 온동작하는 권하측 스위치(36)와, 상기 거버너(4)의 작동원판(27)의 동작에 추종하여 권상시 권하측 스위치(36)의 온등작을 유지하고 권상측 스위치(33)를 오프조작시켜, 권하시, 권상측 스위치(33)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하측 스위치(36)를 오프조작시키는 스위치 조작판(37)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상측 제 1 접편(31)과 권하측 제 1 접편(34)과를 고정접편으로 하여 상기 기판(30)에 고정하고, 그 일단측에 각각 고정접점(31a,34a)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각 접편(31,34)을 상기 권상측 선로(19a) 및 권하측 선로(19b)에 개별로 접속하고, 그리고 상기 권상측 제 2 접편(32)과 권하측 제 2 접편(35)을 가동접편으로 하여, 그 일단측을 상기 기판(30)에 설치하고, 타단측을 프리엔드로 하여 가동접점(32a,35a)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각 제 2 접편(32,35)을 그 배면부에 있어서 연결편(38)을 개재하여 연결하여 상기 시동콘덴서(C1)에의 접속선로(39)에 접속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제5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판(30)에 입설하는 3개의 스테이(40)에 상기 작동원판(27)의 왕복동 방향으로 일정범위 이동 가능하고, 상기 모터(3)의 구동회전 방향으로 일정범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각 스테이(40)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상기 가동측 접편, 즉 상기 권상측 및 권하측 제 2 접편(32,35)의 오프동작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41)을 개장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제5도와 같이, 평면형상을 대략 3각 형상으로 하여, 그 중심부에 구동축(20)의 축단측을 삽통하는 삽통구멍(42)을 설치함과 동시에, 대략 3각 형상의 각 꼭지점부에 긴 구멍(43)을 형성하고, 이들 각 긴구멍(43)에 상기 스테이(40)를 삽입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상기 긴구멍(43)의 범위에 걸쳐 상기 구동축(20)의 구등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상기 작동원판(27)에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상기 작동원판(27)의 왕동위치에의 진출로 그 작동원판(27)에 접촉하는 환상접촉면(44)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권상측 및 권하측 스위치(33,36)에 있어서의 가동측 접편, 즉 상기 각 제 2 접편(32,35)에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상기 제 2 접편(32,35)의 한쪽과, 선택적으로 계합하여 오프조작하는 계합편(45)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환상접촉면(44)은,.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표면에 직접 형성하여도 좋으나, 예를 들면 나일론, 우레탄 고무, 폴리프로필렌 등의 마찰판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합편(45)은, 상기스위치 조작판(37)을 잘라세워 일체로 헝성하는 것으로서, 제9도, 제10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V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동측 접편을 향하여 상반하는 경사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계지면(45a,45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동측 접편도, 제9도,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유(遊)단측을 스위치 조작판(37)에 대하여 상반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 상기 각 계지면(45a,45b)에 대향하는 갈고리형 피계지부(32b,35b)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 이상의 구성으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작동원판(27)이 복동위치로 후퇴할 때, 즉, 상기 구동축(20)이 회전하여, 그 원심력 작용을 받아 복동위치로 후퇴할 때 상기 스프링(41)의 작용으로, 상기 작동원판(27)의 복동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계합편(45)이 계합하는 상기 권상측 제 2 접편(32)과 권하측 제 2 접편(35)의 한쪽을 오프조작하는 것이나, 상기 각 제 2 접편(32,35)에 근접하는 위치에 입설한 스테이(40)에 설치하는 스프링(41)의 탄성력을, 다른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상기 각 제 2 접편(32 또는 35)의 오프조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상기한 복동 방향의 이동을 균등하게 즉 상기 기판(30)에 평행한 상태로 행할 수가 있어,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전동 체인블록의 전기회로를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터(3)의 전원선로(L1,L2)에는 트랜스(T1)를 거쳐 푸시버튼 조작체(18)의 권상용 푸시버튼 스위치(S1)와 권하용 푸시버튼 스위치(T2)를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선로에 상기 각 스위치(S1,S2)의 조작에 응동하여 작동하는 전자접촉기(K1,K2)를 개장하는 것이고, 또, 상기 전원회로(L1,L2)에는, 상기 전자접촉기(K1,K2)의 전환접점(K11,K21)을 가지고, 상기 각 스위치(S1,S2)의 조작으로, 상기 모터(3)의 회전방향을 정역방향으로 전환하는 정역 전환회로(19)를 접속하고, 이 전환회로(19)에 있어서의 권상측 선로(19a)에는 권상측 스위치(33)를 접속함과 동시에, 권하측 선로(19b)에는 상기 권하측 스위치(36)를 접속하고, 이들 권상측 및 권하측 선로(19a,19b)를 상기 시동콘덴서 (C1)를 개장한 상기 모터(3)의 보조권선(39)에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V1은 상기 모터(3)의 정지지령시 즉,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S1,S2)를 모두 비조작상태로 했을 때 동작하는 전자 브레이크(22)의 회로에 개방하는 바리스터이고, G1은 정류기이다.
또, C2는 렌용 콘덴서이고, S11은 상기 권상용 선로(19a)에 개장되어 상기 하후크(16)의 상한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상한용 리미트 스위치, S12는 상기 권하용 선로(19b)에 개장되어 하한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하한용 리미트 스위치이다. 또, X1, X2는 코넥터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하는 전동 체인블록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하후크(16)에 계지하는 화물 등의 피권상물을 정지위치로부터 권상하려면, 상기 푸시버튼 조작체(18)의 권상용 푸시버튼 스위치(S1)를 푸시조작하는 것으로서, 이 푸시조작에 의하여 전자접촉기(K1)가 여자되어, 상기 정역 전환회로(19)의 권상용 전환접점(K11)이 온동작함과 함께 상기 전자접촉기(K1)의 상개접점(Kl2)이 온동작한다.
이때, 상기 모터(3)는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거버너(4)의 중추(24,25)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작동원판(27)은 상기 스프링(26)의 작용으로 제3도에 나타낸 왕동위치에 진출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판(27)의 환상접촉편(44)에 접촉하여, 그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스프링(41)에 대향하여 왕동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결과, 상기 권하용 스위치(33) 및 권하용 스위치(36)는 제3도와 같이 모두 온동작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시동콘덴서(C1)가 작동하고, 이 시동콘덴서(C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모터(3)가 시동되어, 상기 피권상물은 위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모터(3)의 시동에 의하여 상기 작동원판(27)에 접촉하는 스위치 조작판(37)도, 상피 작동원판(27)의 회전에 추종하여 권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또, 상기 모터(3)의 시동에 따라 상기 구동축(20)의 원심력작용을 받아 상기 거버너(4)에 동작하고, 상기 작동원판(27)이 제3도에 나타낸 왕동위치로부터 제4도에 나타낸 복동위치로 후퇴하는 것으로서, 이 후퇴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상기 스프링(41)의 작용으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동 방항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이동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권상방향으로 회전시켜져 있어, 상기 계합편(45)은 권상측 스위치(33)의 권상측 제 2 접편(32)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상기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 2 접편(32)이 권상측 제 1 접편(31)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고, 상기 권상측 스위치(36)는 온동작을 유지하나 상기 권상측 스위치(33)는 제4도와 같이 오프조작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3)의 시동후, 구동축(20)이 거버너(4)로 설정하는 소정회전수를 초과했을 때에는, 상기 권상측 스위치(33)가 오프조작되기 때문에, 상기 시동콘덴서(C1)에의 통전은 차단되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피권상물을 상승시킨 후, 권하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버튼 조작체(18)의 권하용 푸시버튼 스위치(S2)를 푸시조작하는 것으로서, 이 스위치(S2)의 푸시조작에 의하여 전자접촉기(K2)가 여자되어 상기 전환회로(19)의 권하용 전환접점(K21)가 은동작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피권상물의 권상동작중에 권하지령을 내려도, 권상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권하측 스위치(36)은 온동작이 유지되는 것이므로 상기 각 접점 (K2l,K22)의 온동작시, 즉 권하지령시에는 시동콘덴서(C1)가 즉시 작동하여 권하측으로의 반전이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정지위치로부터 권하하는 경우는, 상기한 권하동작과 같아서 어느 경우도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동초기에 있어서 권하방향으로 회전하고, 또,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따라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원판(27)의 복동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이 이동에 의하여 상기 권하측 스위치(36)의 권하측 제 2 접편(35)이 권하측 제 1 접편(34)에 대하여 이반(離反)하고, 권하측 스위치(36)는 오프조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권하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권상시 권상측 제 2 접편(32)에 대향하고 있던 상기 계합편(45)은 제9도, 제10도와 같이 권하측 제 2 접편(35)에 대향하는 위치로 변하므로, 상기 권상측 제 2 접편(32)은 권상측 제 1 접편(31)에 근접 동작하여, 그 가동접점(32a)이 고정접점(31a)에 접촉하여 권상측 스위치(33)가 온동작함으로서, 권하시에는 상기 권상측 스위치(33)의 온동작이 유지된다.
따라서, 이 권하시에 있어서도 시동시에만 시동콘덴서(C1)에 통전되고, 시동후 거버너(4)로 설정하는 소정회전수를 초과했을 때에는 상기 시동콘덴서 (C1)에의 통전은 차단된다.
또, 이상과 같이 권하가 행해지고 있는 도중에는 귄상을 행하는 경우, 즉 피귄상물을 목표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권상, 권하의 동작이 반복하여 행하여지는 일이 있으나, 특히 권하도중에 권상지령을 내릴 경우, 종래예에서는 권상지령을 내려도 관성 회전에 의하여 상기 모터(3)를 즉시 권상측으로 반전시킬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권하동작시 상기 권상측 스위치(33)는 제10도와 같이 그 온동작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푸시버튼 조작체(18)의 권상용 푸시버튼 스위치(S1)를 푸시조작하여 권상지령을 내고, 상기 전환접점(K11) 및 상개접점(K12)은 온동작하면, 즉시 상기 시동콘덴서(C1)가 작동하고, 이 시동콘덴서(C1)의 작동으로 최소의 하강량으로 권상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에는 상기 작동원판(27)에 대향하는 환상접촉면(44)을 설치하고, 이 접촉면(44)에의 상기 작동원판(27)의 접촉으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상기 작동원판(27)에 추종하여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원판(27)의 동작이 덜거덕거림 등에 의하여 요동하여도,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오동작 적게 항상 확실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계합편(45)을 상기한 바와 같이 단면 V자형으로 하고, 가동측 접편에 갈고리형 피계지부(32b,35b)를 설치함으로서 모터 (3) 등의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각 스위치(33,36)의 온· 프가 전환되는 일은 없으므로 상기한 작용을 정확하게 실행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권상측 선로(19a) 및 권하측 선로(19b)에 접속하는 권상측 제 1 접편(31) 및 권하측 제 1 접편(34)을 고정접편으로 하여 시동콘덴서(C1)에 접속하는 권상측 제 2 접편(32) 및 권하측 제 2 접편(35)을 가동접편으로 했는데, 반대이더라도 좋다.
또, 이상은 체인블록 본체(11)에 상후크(15)를 설치한 전동체인 블록의 적용예를 나타냈으나, 전동 트롤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권상기의 형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권상측 스위치(33)와 권하측 스위치(35)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을,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추종하여 권상시에는 권하측 스위치(36)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상측 스위치(33)를 오프조작시키고, 또 권하시에는 권상측 스위치(33)의 온동작을 유지하고, 권하측 스위치(36)를 오프조작 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권하동작의 도중에서 권상지령을 출력하는 경우, 이 지령으로 정역전 전환회로가 전환되면, 상기 권상측 스위치(33)는 온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즉시 시동콘덴서(C1)가 작동하여, 권하측에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서 최소의 하강으로 상승이 가능하게 되어, 피권상물의 목적위치에의 위치설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거버너(4)에 작동원판(27)을 설치하고, 스위치 조작판(37)에 이 작동원판(27)에 대향하여, 왕동위치에서 접촉하는 환상접촉면(44)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거버너(4)의 동작에 덜거덕거림이 있어도,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이 오동작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거버너(4)의 작동원판(27)에 추종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스위치 조작을 오동작 없이 확실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계합편(45)에 상기 계지면(45a,45b)을 설치하고, 가동측 접편에 갈고리형 피계지부(32b,35b)를 설치함으로서 상기 모터(3)나 구동부재(2)의 구동회전으로 진동이 있어도, 상기 가동측 접편의 오프조작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고, 이 오프조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운전중에 있어서 기동콘덴서(C1)에 잘못되어 통전되는 것을 유효하게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환상접촉면(44)을 마찰재에 의하여 형성할 경우, 상기 거버너(4)에 추종하여 동작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스위치 조작을 더욱 오동작 없이 유효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을 복수의 스테이(40)에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 스테이(40)에 상기 스프링(41)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측 접편에 근접하는 위치의 스테이(40)에 설치하는 스프링(41)의 탄성력을, 다른 스테이(40)에 설치하는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상기 가동측 접편의 오프동작시, 이 오프동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을 가산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상기 작동원판(27)의 복동위치에서의 상기 스위치 조작판(37)의 복귀동작, 즉 모터(3)가 정지하여 작동원판(27)이 복동위치로 복동작할 때, 상기 스프링(41)의 작용으로 상기 권상 및 권하측 스위치(33,36)가 온동작하는 방향으로 복귀하는 스위치 조작판(37)의 복귀 조작을 경사없이 스테이(40)에 대하여 수직자세를 유지하여 원활하에 행할 수가 있다.

Claims (6)

  1. 피권상물을 권상하거나 권하하는 권상기에 있어서, a. 시동콘덴서와 외부지령으로 회전방향을 정역방향으로 전환하는 정역전환회로를 가지는 콘덴서 시동형 단상모터와, b. 상기 모터로 정역 구동되어, 상기 피권상물의 권상, 권하를 행하는 구동부재와, c.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지동작에 응동하여 동작하는 거버너와, d. 이 거버너의 동작에 추종하여 시동콘덴서를 온·오프하는 스위치장치를 구비하고, 이 스위치장치는 d-1. 상기 모터의 정역 전환회로의 권상측 선로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1 접편과, 상기 시동콘덴서에 접속되는 권상측 제 2 접편을 구비하고, 이들 각 접편의 한쪽이 고정측 접편이 되고, 다른쪽측이 가동측 접편이 되어 이들 각 접편이 항상 온동작하는 권상측 스위치와, d-2. 상기 모터의 정역 전환회로의 권하측 선로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1 접편과, 상기 시동콘덴서에 접속되는 권하측 제 2 접편을 구비하고, 이들 각 접편의 한쪽이 고정측 접편이 되고, 다른쪽측이 가동측 접편이 되어 이들 각 접편이 항상 온동작하는 권하측 스위치와, d-3. 상기 거버너의 동작에 추종하여, 상기 거버너의 회전방향으로 일정범위 회전함과 동시에 왕복동작하여, 권상시 권하측 스위치의 온동작을 유지하여 권상측 스위치를 오프조작시키고, 권하시 권상측 스위치의 온동작을 유지하여 권하측 스위치를 오프조작시키는 스위치 조작만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버너는 모터의 구동정지에서 왕동하는 왕동작위치와, 모터의 구동으로 복동하는 복동위치와 왕복 작동하는 작동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장치는, 고정의 기판과, 상기 스위치 조작판을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작동원판의 회전에 추종하여 일정범위 회동하고, 또한 상기 작동원판의 왕복작동에 추종하여 왕복동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판에는 권상측 스위치와, 권하측 스위치가, 상기 스위치 조작판의 회전방향에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에는 이 스위치 조작판의 회전으로 권상측 스위치와 권하측 스위치에 있어서의 가동측 접편의 한쪽과 선택적으로 계합하고, 상기 작동원판의 복동작위치의 복동에 추종하는 상기 스위치 조작판의 복동작으로 오프조작하는 계합편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과 기판과의 사이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을 상기 가동측 접편을 오프동작시키는 복동동작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개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판은, 상기 작동원판에 대향하고, 그 작동원판의 왕동으로 접촉하는 환상접촉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작판은, 상기 환상접촉면이 마찰판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5. 제2항이 있어서, 상기 계합편은, 상기 권상측 스위치 및 권하측 스위치의 각 가동측 접편을 향하여 상반하는 경사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계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측 접편은 그 각 선단측에 각 계지면에 대향하는 갈고리헝 피계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복수의 스테이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판이 상기 스테이에 일정범위 회동 가능하게, 또한, 상기 작동원판의 왕복동 방향으로 왕복동작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에 상기 스위치 조작판을 상기 권상측 스위치 및 권하측 스위치의 가동측 접편을 오프동작시키는 복동동작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스프링 중, 상기 가동측 접편에 근접하는 위치의 스테이에 설치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가동측 접편을 오프동작시키는 스위치 조작판의 복동동작시, 상기 가동측 접편의 오프동작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에 이겨낼 수 있는 값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KR1019930007618A 1992-06-15 1993-05-04 권상기 KR970001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55246A JPH0674116B2 (ja) 1992-06-15 1992-06-15 巻上機
JP92-155246 199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365A KR940000365A (ko) 1994-01-03
KR970001114B1 true KR970001114B1 (ko) 1997-01-28

Family

ID=1560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618A KR970001114B1 (ko) 1992-06-15 1993-05-04 권상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37432A (ko)
EP (1) EP0575045B1 (ko)
JP (1) JPH0674116B2 (ko)
KR (1) KR970001114B1 (ko)
CN (1) CN1039799C (ko)
DE (1) DE69324297T2 (ko)
ES (1) ES2130223T3 (ko)
HK (1) HK1010360A1 (ko)
TW (1) TW2127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5673A (en) * 1996-03-27 1999-06-29 Kazerooni; Homayoon Pneumatic human power amplifer module
US5865426A (en) 1996-03-27 1999-02-02 Kazerooni; Homayoon Human power amplifier for vertical maneuvers
DE10324881A1 (de) * 2003-05-30 2004-12-3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Schnittstellenschalt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und Schaltungsanordnung für die Ansteuerung eines Elektromotors hiermit
DE102004005625B3 (de) * 2004-02-04 2005-10-2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Verfahren zur Parametereinstellung von elektronischen Motorsteuerungen bei Hebezeugen
US7334776B2 (en) * 2004-07-08 2008-02-26 Homayoon Kazerooni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on-board cargo handling system
US7559533B2 (en) * 2006-01-17 2009-07-14 Gorbel, Inc. Lift actuator
EP1995205B1 (de) * 2007-05-21 2012-07-11 Müller Martini Holding AG Hubwerk mit einem einphasigen Elektromotor
EP2405567B1 (de) * 2010-07-09 2013-10-23 Müller Martini Holding AG Schaltung zum Betrieb eines Hubwerks
CN103723645B (zh) * 2014-01-20 2016-09-21 安徽柳工起重机有限公司 强夯机快放卷扬控制系统
KR101533044B1 (ko) * 2015-04-08 2015-07-02 주식회사 대산이노텍 3단 감속기를 구비한 전동 체인 호이스트
CN105947919A (zh) * 2016-06-14 2016-09-21 温州向强机电有限公司 一种电动葫芦的电控系统
US10662036B2 (en) * 2016-12-19 2020-05-26 Warn Industries, Inc. Winch including integrated contactor and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3844A (en) * 1951-08-24 1954-07-13 Edward J Schaefer Reversing switch for electric motors
US3575562A (en) * 1969-09-24 1971-04-20 Gen Motors Corp Centrifugal switch assembly for a motor starting circuit
US3971971A (en) * 1974-11-15 1976-07-27 Ingersoll-Rand Company Electric hoist control and braking system
US4353022A (en) * 1980-01-17 1982-10-05 The Ceco Corporation Torque reversing motor control structure and method
CA1173104A (en) * 1981-05-28 1984-08-21 Doorlec Corporation-Corporation Doorlec Instant reverse control circuit for a single phase motor
US4636962A (en) * 1983-05-24 1987-01-13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Microprocessor-controlled hoist system
US4665286A (en) * 1986-03-03 1987-05-12 Emerson Electric Co. Motor starting and automatic reversing switch
JP2518128Y2 (ja) * 1986-05-23 1996-11-20 株式会社キト− 無段変速電気チエ−ンブロツク
EP0257647B1 (en) * 1986-08-29 1993-11-03 Kabushiki Kaisha Kito Operating device for electric hoist
JPS6360898A (ja) * 1986-08-29 1988-03-16 株式会社 キト− 電気チエ−ンブロツクの操作装置
US5139156A (en) * 1988-12-28 1992-08-18 Mitsubishi Denki K.K. Variable speed electric ho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4297T2 (de) 1999-11-04
EP0575045A2 (en) 1993-12-22
EP0575045B1 (en) 1999-04-07
CN1080615A (zh) 1994-01-12
JPH0640696A (ja) 1994-02-15
DE69324297D1 (de) 1999-05-12
EP0575045A3 (ko) 1994-04-20
HK1010360A1 (en) 1999-06-17
TW212784B (en) 1993-09-11
US5437432A (en) 1995-08-01
KR940000365A (ko) 1994-01-03
ES2130223T3 (es) 1999-07-01
CN1039799C (zh) 1998-09-16
JPH0674116B2 (ja) 199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114B1 (ko) 권상기
US3971971A (en) Electric hoist control and braking system
US3469657A (en) Automatic emergency relevelling device for lifts
US3214664A (en) Reversible polyphase motor with phase protective device
KR930002024Y1 (ko)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US2949178A (en) Slow speed inspection device for moving stairway
JPH08143281A (ja) 巻上装置の巻上制御方法
US3087102A (en) Door lift electrical circuit
JP2991858B2 (ja) 二重速式可変速形電動巻上機
JP3306968B2 (ja) インバータ制御によるホイスト
JP2639892B2 (ja) 天井走行クレーン巻上装置の制動方法
JPS6059835B2 (ja) 正逆変換回転機器における制御保全装置
JPH079889Y2 (ja) 複数台同時駆動の巻上機における制御回路
SU10341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двухдвигатель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JPH03264493A (ja) エスカレータの駆動装置
KR200146489Y1 (ko) 타워크레인 트롤리의 가변속제어회로
JPS6037430Y2 (ja) ホイストの自動インチング装置
RU2031081C1 (ru) Подъемни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224757B2 (ko)
RU22853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рможения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привода моста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SU1404430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электромагнит
JPH085195Y2 (ja) 横行二重速度ホイスト
JPS61197394A (ja) 電動巻上機
SU13120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чной остановки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еханизма
JPH0529457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