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979Y1 -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979Y1
KR970000979Y1 KR92007104U KR920007104U KR970000979Y1 KR 970000979 Y1 KR970000979 Y1 KR 970000979Y1 KR 92007104 U KR92007104 U KR 92007104U KR 920007104 U KR920007104 U KR 920007104U KR 970000979 Y1 KR970000979 Y1 KR 970000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handset
spring
compac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71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519U (ko
Inventor
김광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071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979Y1/ko
Publication of KR930024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보관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송화부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수화부가 사용시의 상태로 들어올려진 일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수화부가 보관시의 상태로 안착된 일부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수화부를 분리한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수화기 몸체 2 : 송화부
3 : 수화부 4 : 송화부 안치홈
5 : 수화부 안치홈 6 : 회전축
7,8,15 : 스프링 9 : 회동판
10,11 : 걸림홈 12 : 이젝트핀
13,14 : 후크 16 : 이젝트 버튼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의 사용할 때에 송화부와 수화부가 돌출되도록 한 무선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송수화기는 전체를 콤팩트형으로 얇게 형성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수화부와 송화부가 다이얼 버튼 부위보다 돌출되거나 전체적인 형상이 반달형으로 구부러지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관시 입체적인 공간을 많이 요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송수화기를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하여 얇고 납작한 판상으로 제조하게 되면, 사용할 때에 다이얼 버튼 부위가 뺨에 먼저 닿게되어 귀에 수화부를 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관시에는 송.수화부가 몸체에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얇은 직선형이 되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몸체 측면의 이젝트버튼에 의해 송.수화부가 돌출되어 수화부가 귀에 밀착되고 송화부가 입 가까이 위치 할수 있는 송수화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송수화기 몸체(1)를 얇은 직선형으로 되도록 형성하여 양단의 송화부(2)와 수화부(3)를 각각 송화부 안치홈(4)과 수화부 안치홈(5)에 안치시키도록 하되, 송화부(2)는 스프링(7)이 탄지된 회전축(6)에 의해 송수화기 몸체(1)에 결합되도록 하고, 수화부(3)는 스프링(8)에 탄지된 회동판(9)에 의해 송수화기 몸체(1)와 결합되도록하며, 송수화부(2)(3)의 하부에는 각각 걸림홈(10)(11)을 형성하여 이젝트핀(12)의 양단에 형성된 후크(13)(14)에 걸리도록 하고, 이젝트핀(12)은 스프링(15)에 의해 탄지되며 이젝트 버튼(16)은 송수화기 몸체(1)의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17은 다이얼 버튼, 18은 안테나, 19는 마이크, 20은 리시버, 21은 스프링(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 22는 회전축(6)을 삽입하는 삽입홈, 23은 이젝트핀(12)을 안내하는 가이드이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도와 같이 보관시에는 송수화기 몸체(1)의 송화부 안치홈(4)과 수화부 안치홈(5)에 각 각 송화부(2)와 수화부(3)를 수평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는 송화부(2)와 수화부(3)의 하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0)(11)에 이젝트핀(12)의 후크(13)(14)가 걸리게 되어 송수화기 몸체(1)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할 때에는 송수화기 몸체(1)의 측면에 위치한 이젝트 버튼(16)을 안테나(18)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젝트핀(12)도 스프링(15)을 누르면서 안테나(18)의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후크(13)(14)는 걸림홈(10)(11)으로부터 동시에 이탈되고, 이에 따라 송화부(2)는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축(6)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되어 예시도면 제1도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되며, 수화부(3)는 회동판(9)이 스프링(8)에 의해 송화기 몸체(1)와 수직상태로 됨에 따라 송수화기 몸체(1)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약간 높게 수평상태로 돌출된다. 즉, 회동판(9)은 그 양단에 회전축을 갖는 것으로서 송수화기 몸체(1)와 연결된 부분과 수화부(3)에 결합된 부분이 모두 회전축의 역할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예시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수화부(3)의 작동상태를도시한 것으로서 예시도면 제5도의 상태에서 화살표와 같이 좌측하방(약 45°)으로 눌러주면, 예시도면 제6 도와 같은 상태로 되며, 제6도와 같은 상태에서 이젝트 버튼(16)을 이동시키면 제6도의 우측화살표 방향(약 45°)으로 수화부(3)가 상승되는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을 하는 경우에, 수화부(3)가 돌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귀에 밀착될 수 있고, 송화부(2) 역시 사용자의 입과 알맞는 각도를 이루게 되며, 특히 수화부(3)는 스프링(8)의 탄성에 의존하므로 사용자의 귀에 밀착된 상태에서 알맞는 쿳션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이 끝난 후에는 송화부(2)와 수화부(3)를 동시에 송수화기 몸체(1)의 하방(안테나의 반대방향)으로 밀면서 눌러주게 되면, 송화부(2)는 회전축(6)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수화부(3)는 대각선 방향으로 하향되어 후크(13)(14)가 순간적으로 안테나(18)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홈(10)(11)에 걸리게 되고 다음 순간에 이젝트핀(12)은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보관 또는 휴대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송수화기 몸체(1)의 상.하부에 각 각 송화부(2)와 수화부(3)를 몸체(1)와 나란히 밀착시켜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얇고 직선형인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송화부(2)와 수화부(3)를 돌출시킴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정정)송수화기 몸체(1)를 얇은 직선형으로 되도록 형성하여 양단의 송화부(2)와 수화부(3)를 각각 송화부 안치홈(4)과 수화부 안치홈(5)에 안치시키도록 하되, 송화부(2)는 스프링(7)이 탄지된 회전축(6)에 의해 송수화기 몸체(1)에 결합되도록 하고, 수화부(3)는 스프링(8)에 탄지된 회동판(9)에 의해 송수화기 몸체(1)와 결합되도록 하며, 송수화부(2)(3)의 하부에는 각각 걸림홈(10)(11)을 형성하여 이젝트핀(12)의 양단에 형성된 후크(13)(14)에 걸리도록 하고, 이젝트핀(12)은 스프링(15)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며, 이젝트 버튼(16)은 송수화기 몸체(1)의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송화부(2)는 부채꼴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고, 수화부(3)는 송수화기 몸체(1)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평 상태로 돌출되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3. (정정)제1항에 있어서, 이젝트핀(12)의 양단에 형성된 후크(13)(14)는 송화부(2)와 수화부(3)의 걸림홈(10)(11)에 동시에 걸리거나 이탈되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4. (정정)제1항에 있어서, 송화부(2)와 수화부(3)의 두께가 각각 송화부 안추홈(4)과 수화부 안치홈(5)의 깊이와 일치되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5. (정정)제1항에 있어서, 후크(13)(14)의 일면이 경사지도록하여 송화부(2)와 수화부(3)를 누르면 후크(13)(14)가 일측으로 밀리면서 걸림홈(10)(11)내로 미끄러져 삽입되어 잠기도록 한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KR92007104U 1992-04-28 1992-04-28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KR970000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04U KR970000979Y1 (ko) 1992-04-28 1992-04-28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7104U KR970000979Y1 (ko) 1992-04-28 1992-04-28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519U KR930024519U (ko) 1993-11-27
KR970000979Y1 true KR970000979Y1 (ko) 1997-02-14

Family

ID=1933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7104U KR970000979Y1 (ko) 1992-04-28 1992-04-28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519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342A (en) Mobile telephone fastening
US5463688A (en) Telephone mounting receptacle having opposed retractable latch members
JPH06215741A (ja) 充電用電池取り出し装置
JPH0955784A (ja) 携帯電話機用車載アダプタ
US7308095B2 (en) Hold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970000979Y1 (ko) 무선 전화기의 콤팩트형 송수화기
KR200295482Y1 (ko) 휴대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CN212914479U (zh) 一种旋转式游戏手柄
KR20010106065A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JP2665189B2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保持着脱装置
JPH0540599Y2 (ko)
KR200364981Y1 (ko) 휴대폰
JP4659997B2 (ja) 収納ケース
JP3683703B2 (ja) 携帯機器用スタンド兼ベルトフック
CN213693827U (zh) 一种手机壳
CN217048018U (zh) 打印机
JPH11331331A (ja) 移動型電話送受話器
JPH0748766B2 (ja) コードレス電話器の電池蓋
JP2501736Y2 (ja) 無線電話機用クリップ
KR012175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US4683585A (en) Telephone hooking post and assembly
JPH03160852A (ja) 電話機の取付装置
JP3143842B2 (ja) 卓上壁掛兼用電話機用ハンドセット係止機構
JP2000011978A (ja) 電池パック取り外し装置
JPS5830241A (ja) 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