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065A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065A
KR20010106065A KR1020000040952A KR20000040952A KR20010106065A KR 20010106065 A KR20010106065 A KR 20010106065A KR 1020000040952 A KR1020000040952 A KR 1020000040952A KR 20000040952 A KR20000040952 A KR 20000040952A KR 20010106065 A KR20010106065 A KR 20010106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ntact terminal
charger
contac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5176B1 (ko
Inventor
강현찬
김서곤
Original Assignee
강현찬
김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찬, 김서곤 filed Critical 강현찬
Priority to AU20012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01258881A1/en
Priority to JP2001585375A priority patent/JP3829094B2/ja
Priority to PCT/KR2001/000795 priority patent/WO2001089057A1/en
Priority to CNB018112668A priority patent/CN100446379C/zh
Publication of KR2001010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가 개시된다. 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삽입된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지지수단;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서 휴대폰 배터리 후면단자와 접촉하는 수직접촉단자부와 상기 배터리 저면단자와 접촉하는 수평접촉단자부로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단자부는 양극접촉단자부과 음극접촉단자부로 분리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부의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하부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여러종류의 휴대폰 배터리를 한개의 충전기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 공공장소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충전기의 교체에 따르는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충전기 내부에서 휴대폰의 고정이 용이하고 접촉단자부의 이송구조가 간단하면서 편리하여 배터리의 단자와 충전기의 접촉단자부의 접촉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Battery charger for multiformity types of cellular-phone}
본 발명은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종류의 휴대폰을 한개의 충전기로 충전가능하게 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비지니스맨이나 젊은층 그리고, 학생에 이르기까지 각 분야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보와 통신에 있어서 진보 및 신속, 편리성을 추구하고자 유선 전화가 아닌 무선 전화기 즉 휴대폰을 소유하여 편리성 및 기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휴대폰은 휴대폰의 소유자에 의해 이동이 되면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대방으로부터 언제든지 수신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 휴대폰은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는 반드시 전기를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하여야만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휴대폰 사용자 모두는 가정이나 혹은 직장에 충전기를 비치하고서 배터리에서 전기가 방전이 되어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을시에는 충전기에 배터리를 꽂은 다음 전원을 연결하여 일정시간 배터리를 충전시킨 후에 사용한다.
그런데, 휴대폰 제조회사에서는 판매량을 늘이기 위해 휴대폰을 더욱 편리하고 미적감각의 형태로 디자인함에 따라 회사별로 또는 모델마다 그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고, 이에 대응하여 휴대폰 충전기도 휴대폰의 모델에 맞추어 형태나 구조가 다르다.
따라서, 외출중에 배터리가 나가거나 충전기를 분실하였을 경우 같은 충전기를 빌려 사용하기는 매우 어렵고, 분실시에는 다시 그 휴대폰 모델의 충전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휴대폰을 새로운 모델로 교체할 경우에 전에 쓰던 충전기는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 개인의 경제적 손실 뿐아니라 휴대폰 가입자 1000만명 시대에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휴대폰을 한개의 충전기로 충전시킬 수 있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11: 몸체부
12: 삽입부 13: 측면 지지대
14: 후면 지지대 20: 후면 가이드홈
23: 압축 스프링 26: 측면 가이드홈
30: 가변이송부 35: 양극접지바
39: 음극접지바 40: 피니언
42: 조정다이알 50: 접촉단자부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삽입된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지지수단;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서 휴대폰 배터리 후면단자와접촉하는 수직접촉단자부와 상기 배터리 저면단자와 접촉하는 수평접촉단자부로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단자부는 양극접촉단자부과 음극접촉단자부로 분리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부의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상기 충전기의 전면하부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삽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잠금과 해제할 수 있는 록장치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휴대폰을 상기 삽입부의 중앙으로 몰아주는 측면지지대와 후면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면지지대와 후면지지대를 출입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지지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가이드홈을 갖는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삽입부에 자력을 갖는 마그넥틱을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을 고정한다.
또, 상기 접촉단자부는 복수개의 상기 수직접촉단자부 단자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높이의 차이를 두어 다양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단자 높이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가변이송부는 상기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의 저면에 높이의 차이를 둔 기어부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기어부 사이에 피니언을 치합하여,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부가 이동하면서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를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깝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는 전면에 휴대폰(1)을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부(12)를 갖는 몸체부(11), 그리고 몸체부(11)의 하단에 위치하여 휴대폰(1) 배터리(2)의 단자(3)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부(50)로 구성된다.
또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는 삽입부(12)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지지대(13), 삽입부(12)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지지대(14), 및 접촉단자부(50)를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30)를 더 구비한다.
후면지지대(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후면(15)이 개방되고 내부면의 중앙에서 고정돌기(16)가 돌출형성되며, 상하끝단에는 걸림단(17)이 외부방향으로 형성된다.
충전기 삽입 부(12)의 후면에는 후면지지대(14)가 출입가능하도록 후면지지대(14)의 외형과 동일한 후면가이드홈(20)이 형성되고, 후면가이드홈(20)의 저면에는 후면지지대(14)의 고정돌기(16)에 대응하여 고정바(21)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후면가이드홈(20)의 상하면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후면지지대(14)의 걸림단(17)이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가능하나 이탈되는 현상은 방지한다. 후면지지대(14)의 고정돌기(16)와 후면가이드홈(20)의 고정바(21) 사이에 압축스프링(23)이 장착된다.
따라서, 휴대폰(1)이 충전기 몸체부(11)의 삽입부(12)에 삽입되면 후면지지대(14)가 충전기(10)의 후면가이드홈(20)을 따라 밀려 들어가고, 압축스프링(23)은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후면지지대(14)에 제공하여 휴대폰(1)을 전방으로 밀어준다.
측면지지대(13)는 사각형상으로 전면(25)은 오목한 라운드가 형성되어 후면지지대(1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충전기 삽입부(12)의 측면가이드홈(26)에 삽입되어 휴대폰(1)을 좌우에서 중앙으로 밀어준다.
접촉단자부(50)는 충전기 삽입부(12)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양측 사각홀(51)에서 돌출되어 휴대폰(1) 배터리(2)의 후면 하부에 있는 단자(3)와 접촉된다. 이 접촉단자부(50)의 단자(57)는 탄력성을 가지며 배터리(2) 단자(3)와의 접촉부위에는 슬라이더 볼(54)이 장착되거나 라운드형상으로 되어 단자(3)의 접촉을 위한 이동시 슬라이드가 원활히 되게 한다.
가변이송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쇄기홈(33)을 갖는 양극단자(31)와 음극단자(32)가 상하로 회로기판(미도시)에서 연장되 나오고, 이 쇄기홈(33)에 이탈방지되면서 좌우로 슬라이더 가능하게 걸림턱(34)을 갖는 양극접지바(35)와 음극접지바(38)가 상하로 각각 결합된다.
양극접지바(35)의 일단 상면에는 양극접촉단자(52) 두개가 상향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기어(36)가 형성된다.
음극접지바(38)는 일단에는 양극접지바(35)와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턱(37)이 형성되고 이 턱(37)위에 두개의 음극접촉단자(53)가 형성된다. 상면에는 양극접지바(35)와 동일한 기어(39)가 형성된다.
양극접지바(35)의 하면기어(36)과 음극접지바(38)의 상면기어(39) 사이에는 피니언(40)이 치합되고, 이 피니언(40)의 전면에는 축(41)이 형성되어 충전기(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축(41)의 끝단에는 접촉단자(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다이알(42)이 결합된다.
따라서, 조정다이알(42)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고 연동하여 피니언(40)의 상부와 하부에 치합된 기어(36,39)가 움직이면서 양극접촉단자부(52)와 음극접촉단자부(53)의 거리가 멀어진다. 반대로, 조정다이알(4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양극접촉단자부(52)와 음극접촉단자부(53)의 거리가 가까워 진다.
충전기(10)의 전면 하부에는 접촉램프(55)와 충전램프(56)가 형성되어, 배터리(2)의 단자(3)에 접촉단자부(50)가 접촉되면 접촉램프(55)가 점등되어 조정다이알(42)로 접촉단자(50)의 이동시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램프(56)가 점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삽입부(12)에 휴대폰(1)을 삽입하면 후면지지대(14)와 측면지지대(13)가 가이드홈(20,26)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압축스프링(23)의 복원력으로 인해 휴대폰(1)을 중앙 전면으로 밀어주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 휴대폰(1)이 놓이게 한다.
삽입된 휴대폰의 배터리 단자가 충전기의 접촉단자부에 접촉되면 접촉램프(55)가 점등되어 접촉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만약 접촉이 안되면 접촉단자부(50)를 이동시킨다.
즉, 조정다이알(42)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양극접촉단자(52)와 음극접촉단자(53)의 거리가 멀어진다. 반대로, 조정다이알(4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양극접촉단자(52)와 음극접촉단자(53)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때, 접촉단자부(50)의 접촉부위에 슬라이더 볼(54)이 삽입되어 배터리(2)면에 부드럽게 슬라이드되고 단자(3)와 접촉이 되면 램프(55)가 켜지게 된다.
충전기(10)의 전면에 있는 조정다이알(42)을 돌리면서 접촉단자부(50)가 배터리(2)의 단자(3)와 접촉유무를 접촉램프(55)의 점등을 통해 확인한다.
이에따라, 휴대폰(1)의 크기와 형상에 관계없이 휴대폰(1)이 충전기(10)의 삽입부(12)에 삽입되고, 접촉단자부(50)와 접촉되면서 충전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0)는 휴대폰(1)을 고정하기 위하여 수직부(102)와 수평부(103)를 갖는 몸체부(101), 몸체부(101)에 돌출되어 휴대폰(1)의 배터리(2) 단자(3)와 접촉되는 접촉단자부(120), 접촉단자부(1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130), 및 몸체부(101)에 고정된 휴대폰(1)을 보호하는 커버(150)로 구성된다.
몸체부(101)는 수직부(102)의 전면 하단에 접촉단자부(120)가 돌출되면서 이동가능하게 직사각형의 단자홀(104)이 좌우로 형성되며, 전면 상단부에는 커버(150)가 힌지결합되기 위하여 양단부에 힌지축(105)이 돌출된다. 또한, 전면의 중앙부에는 휴대폰(1)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마그넥틱(106)이 고정리브(107)에 의해 부착된다.
몸체부(101)의 수평부(103)는 상면에 직사각형의 단자홀(115)이 좌우로 형성되며, 내부에 가변이송부(13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돌기(108)가 전후로 돌출된다. 이 고정돌기(108)는 끝단에 홈(109)이 형성되어 이 홈(109)으로 가변이송부(130)가 이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면부에는 배터리 충전완료 유무를 나타내는 충전램프(110)와 배터리(2)의 단자(3)가 접촉단자부(120)와 접촉됨을 나타내는 접촉램프(111)가 좌우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커버(150)를 개폐조절하는 록장치(112)가 부착된다.
접촉단자부(120)는 휴대폰(1) 배터리(2)의 후면단자(3)에 접촉되는 수직접촉단자부(121,122)와 배터리(2)의 저면단자(4)에 접촉되는 수평접촉단자부(125,126)로 구성된다.
수직접촉단자부(121,122)는 배터리(2)의 후면단자(3)의 높이가 모델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단자(123)높이를 외부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높아지도록 하여 양극과 음극 수직접촉단자부(121,122)의 돌기높이는 'V'자 형태를 갖도록 한다.
접촉단자부(120)의 단자(123)는 탄력성을 가지며 배터리(2) 단자(3,4)와의 접촉부위에는 슬라이더 볼(54)이 장착되거나 라운드형상으로 되어 단자(3,4)의 접촉을 위한 이동시 슬라이드가 원활히 되게 한다.
가변이송부(130)는 접촉단자부(120)를 고정하는 고정대(131)와 고정대(131)에 결합되어 고정대(131)를 이동시키는 기어부(134,136), 그리고 기어부(134,136)와 치합된 피니언(138)으로 구성된다.
고정대(131)는 수직대(132)와 수직대(132)의 하단에서 연장된 수평대(13)를 갖는다. 수직대(132)의 상면에는 수직접촉단자부(122)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평대(133)의 상면에는 수평접촉단자부(126)가 수평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수평대(133)의 하단 전후면에는 몸체부(101)의 고정돌기(108)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고정되도록 슬라이드 리브(145)가 돌출된다.
또한, 양극 고정대(142) 저면에는 상면(135)에 기어가 형성된 'ㄴ'자형의 하부기어(134)가 결합된다. 그리고, 음극 고정대(143)는 하면(137)에 기어가 형성된 상부기어(136)가 결합된다.
또한, 하부기어(134)와 상부기어(136)의 사이에는 피니언(138)이 치합된다. 이 피니언(138)의 중앙부에는 연결축(139)이 결합되고 연결축(139)의 끝단에는 조정다이알(141)이 장착된다. 그리고, 연결축(139)의 소정위치에는 외주면에 홈(140)이 형성되어 이 홈(140)으로 몸체부(101)에서 돌출한 회전홀(113)의 걸림단(114)이 삽입되어 연결축(139)이 회전은 가능하나 이탈은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정다이알(14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138)이 회전하게 되고, 연동하여 치합된 상,하부기어(134,136)가 외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양극접촉단자부(121,125)와 음극접촉단자부(122,126)의 사이가 이격된다. 그리고, 조정다이알(14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극접촉단자부(121,125)와 음극접촉단자부(122,126)의 사이가 좁혀진다.
충전기(100)의 커버(150)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고, 상단의 양측에는 몸체부(101)의 힌지축(105)에 삽입되도록 홀을 갖는 힌지돌기(151)가 형성되고, 하단은 몸체부(101)의 록장치(112)와 결합되어 휴대폰(1)을 충전기(100)에 고정한 후 커버(150)를 덮고 열쇠로 잠금을 하면 공공장소에서 충전되는 동안 외부이동시라도 분실의 위험이 없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0)는 휴대폰(1)을 충전기의 몸체부(101) 중앙에 접근시키면 수직부(102)의 마그넥틱(106)이 휴대폰(1)을 당겨 수직부(102)에 밀착시킨다. 마그넥틱(106)에 의해 밀착된 휴대폰(1)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몸체부(101)의 수평부(103)에 접촉시키면 휴대폰(1)의 배터리 단자(3,4)와 접촉단자부(120)가 접촉하게 되고 접촉램프(111)가 점등된다.
만약 접촉이 안되면 접촉램프(111)에 불이 들어오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접촉유무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한다.
그러면, 조정다이알(141)을 돌리면서 접촉단자부(120)를 좌우로 이동시켜 배터리(2)의 단자(3,4)와 접촉시킨다.
즉, 조정다이알(141)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접촉단자부(120) 음극접촉단자부(122,126)와 양극접촉단자부(121,125)의 사이가 멀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접촉단자부(120) 음극접촉단자부(122,126)와 양극접촉단자부(121,125)의 사이가 가까워진다. 배터리(2)의 단자(3,4)와 접촉단자부(120)와 접촉되면 접촉램프(111)가 점등되어 접촉상태를 확인한다.
그후, 커버(150)를 닫고 충전할 동안 볼일이 있으면 열쇠로 록장치(112)를 잠금상태로 한 다음 이동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휴대폰 충전기(100)는 충전기의 몸체부(101) 하단부에 동전투입구(155)를 부설하여 충전하려면 동전을 동전투입구(155)에 삽입하여야만 충전이 되게 하여 업소에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여러종류의 휴대폰 배터리를 한개의 충전기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 공공장소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사용할 수 있고, 충전기의 교체에 따르는 비용을 전국적으로 상당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기 내부에서 휴대폰의 고정이 용이할 뿐아니라 접촉단자부의 이송구조가 간단하면서 편리하여 배터리의 단자와 충전기의 접촉단자부의 접촉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휴대폰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몸체부;
    상기 삽입된 휴대폰을 고정시키는 지지수단;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서 휴대폰 배터리 후면단자와 접촉하는 수직접촉단자부와 상기 배터리 저면단자와 접촉하는 수평접촉단자부로 배열되며 각각의 상기 단자부는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로 분리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부의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전면하부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점등되는 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삽입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잠금과 해제할 수 있는 록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휴대폰을 상기 삽입부의 중앙으로 몰아주는 측면지지대와 후면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측면지지대와 후면지지대를 출입가능하게 하면서 상기지지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장착된 가이드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삽입부에 자력을 갖는 마그넥틱을 장착하여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는
    복수개의 상기 수직접촉단자부 단자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높이의 차이를 두어 다양한 상기 휴대폰의 배터리 단자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송부는
    상기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의 저면에 높이의 차이를 둔 기어부를 각각 결합하고 상기 기어부 사이에 피니언을 치합하여,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부가 이동하면서 양극접촉단자부와 음극접촉단자부를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10-2000-0040952A 2000-05-16 2000-07-18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10038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1258881A AU2001258881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JP2001585375A JP3829094B2 (ja) 2000-05-16 2001-05-16 多機種携帯フォーン用バッテリー充電器
PCT/KR2001/000795 WO2001089057A1 (en) 2000-05-16 2001-05-16 A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 of cellular phone
CNB018112668A CN100446379C (zh) 2000-05-16 2001-05-16 用于各类型蜂窝式电话的电池充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201 2000-05-16
KR1020000026201 2000-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65A true KR20010106065A (ko) 2001-11-29
KR100385176B1 KR100385176B1 (ko) 2003-05-22

Family

ID=196687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65U KR200201081Y1 (ko) 2000-05-16 2000-05-16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10-2000-0040952A KR100385176B1 (ko) 2000-05-16 2000-07-18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65U KR200201081Y1 (ko) 2000-05-16 2000-05-16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108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265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에스제이이테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KR100517997B1 (ko) * 2003-05-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용 충전기
KR101041187B1 (ko) * 2011-03-03 2011-06-13 주식회사 알파트로닉스 다기종 배터리 충전장치
US8939441B2 (en) 2010-08-19 2015-01-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8803A1 (en) * 2004-03-18 2005-09-22 Alpha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KR100673577B1 (ko)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954A (en) * 1992-07-09 1993-10-26 Jeff Chen Battery pack charging device
KR19990039777U (ko) * 1998-04-18 1999-11-15 김종배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265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에스제이이테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KR100517997B1 (ko) * 2003-05-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용 충전기
US8939441B2 (en) 2010-08-19 2015-01-27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KR101041187B1 (ko) * 2011-03-03 2011-06-13 주식회사 알파트로닉스 다기종 배터리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81Y1 (ko) 2000-11-01
KR100385176B1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7318A (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US5059885A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positioning and support apparatus
KR100385176B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GB2260040A (en) Battery charger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KR101848780B1 (ko)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CN207743719U (zh) 一种手机充电背夹及充电电池
CN209675557U (zh) 设有托架的插排设备
US20030073346A1 (en) Charge adapter
CN219393945U (zh) 多功能拖线板
CN219419741U (zh) 兼具手机支架功能的插线板
JP3458061B2 (ja) 充電器
CN212517669U (zh) 兼作手机支架的插座
EP1162702A2 (en) Pivotal power supply plug device
JP3258912B2 (ja) 携帯電話機の親機ユニット
CN209675556U (zh) 插排设备
JPH0817503A (ja) 端子および充電器装置
KR20050093197A (ko) 다기종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20010036549A (ko)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150992Y1 (ko) 휴대폰 충전기의 로킹장치
RU60287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зарядная станция для сотовых телефонов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200284089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0357573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