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6549A -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6549A
KR20010036549A KR1019990043615A KR19990043615A KR20010036549A KR 20010036549 A KR20010036549 A KR 20010036549A KR 1019990043615 A KR1019990043615 A KR 1019990043615A KR 19990043615 A KR19990043615 A KR 19990043615A KR 20010036549 A KR20010036549 A KR 2001003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housing
auxiliary
battery
auxilia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필
김태용
민동욱
정영균
Original Assignee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900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6549A/ko
Publication of KR2001003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특히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의하면, 크기 및 두께가 다른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휴대폰 배터리 충전시의 편리성을 제공해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CHARGER FOR CELLULAR PHONE BATTERY}
본 발명은 휴대폰 배터리(Battery)용 충전기(Charg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Model)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따라 각각 외형이 다르게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때문에, 자신의 모델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충전시킬 수 없었고, 이로인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 충전기를 휴대하지 않은채 장시간 다른 장소로 이동하여 생활할 경우, 자신의 모델과 다른 휴대폰 충전기를 통해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없어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어,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는, 불특정한 휴대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시켜 주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있어서,
전면에 배터리가 부착된 불특정한 휴대폰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안착되도록 제 1 휴대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보조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주 하우징과; 상기 주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하우징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면에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과 대칭되도록 제 2 휴대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하우징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 및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하부 전면에 각각 상향 돌출되어, 휴대폰 안착시 휴대폰의 하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휴대폰 이탈 방지벽과; 상기 보조 하우징이 주 하우징내 보조하우징 삽입홈으로 삽입될 때 소정 길이만큼씩 단계별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해주는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과;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이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과;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의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다수개의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의 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 배터리의 마이너스(-)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다수개의 제 2 전원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A-A' 선단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휴대폰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 하우징 110 : 제 1 휴대폰 안착홈
120 : 보조하우징 삽입홈 200 : 보조 하우징
210 : 제 2 휴대폰 안착홈 300 : 휴대폰 이탈 방지벽
400 :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 410 : 제 1 돌기 삽입홈
420 : 제 2 돌기 삽입홈 430 : 제 1 돌기
440 : 제 2 돌기 500 :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
510 : 주하우징 보조판 520 : 제 1 고탄성 스프링
600 :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 610 : 보조하우징 보조판
620 : 제 2 고탄성 스프링 700 : 제 1 전원단자
800 : 제 2 전원단자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는 주 하우징(Housing)(100), 보조 하우징(200), 휴대폰 이탈 방지벽(300),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500),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600), 다수개의 제 1 전원단자(700) 및 다수개의 제 2 전원단자(8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 하우징(100)은 전면에 배터리가 부착된 불특정한 휴대폰(1)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안착되도록 제 1 휴대폰 안착홈(110)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일측면에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슬라이드(Slide)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폰(1) 충전시 휴대폰(1)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하우징(200)은 상기 주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면에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과 대칭되도록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휴대폰(1) 충전시 휴대폰(1)을 보조적으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휴대폰 이탈 방지벽(300)은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및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의 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휴대폰(1) 안착시 휴대폰(1)의 하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은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주 하우징(100)내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으로 삽입될 때 단계별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10),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420), 다수개의 제 1 돌기(430) 및 다수개의 제 2 돌기(44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10)은 상기 주 하우징(100)내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의 상단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1 돌기(430)가 삽입되는 홈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420)은 상기 부 하우징(100)내 보조하우징 삽입홈의 하단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2 돌기(440)가 삽입되는 홈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 다수개의 제 1 돌기(430)는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상부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10)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으로,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 다수개의 제 2 돌기(440)는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하부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420)에 단계적으로 삽입됨으로, 상기 보조 하우징(20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500)은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1)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및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에 안착될 때 휴대폰(1)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1)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주하우징 보조판(510) 및 제 1 고탄성 스프링(Spring)(5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500)내 주하우징 보조판(510)은 상부가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의 상단 중앙에 힌지(Hinge)방식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휴대폰(1)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에 안착될 때 휴대폰(1) 배터리의 후면부와 접촉되어 상기 휴대폰(1)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500)내 제 1 고탄성 스프링(520)은 상기 주하우징 보조판(510)의 하부 소정지점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의 하부 소정지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주하우징 보조판(510)의 하부에 고탄성력을 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600)은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1)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및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에 안착될 때 휴대폰(1)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1)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며, 보조하우징 보조판(610) 및 제 2 고탄성 스프링(6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600)내 보조하우징 보조판(610)은 상부가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의 상단 중앙에 힌지방식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휴대폰(1)이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에 안착될 때 휴대폰(1) 배터리의 후면부와 접촉되어 상기 휴대폰(1)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600)내 제 2 고탄성 스프링(620)은 상기 보조하우징 보조판(610)의 하부 소정지점과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의 하부 소정지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하우징 보조판(610)의 하부에 고탄성력을 가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제 1 전원단자(700)는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휴대폰(1)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1)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단자와 접속됨으로, 상기 휴대폰(1)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단자로 플러스(+) 전원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제 2 전원단자(800)는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210) 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휴대폰(1)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1) 배터리의 마이너스(-) 전원단자와 접속됨으로, 상기 휴대폰(1) 배터리의 마이너스(-) 전원단자로 마이너스(-) 전원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조립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A-A'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2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휴대폰이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주 하우징(100) 및 보조 하우징(200)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주 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하우징 삽입홈(120)에 상기 보조 하우징(200)을 끼운다. 그러면, 상기 주 하우징(100) 및 보조 하우징(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되게 된다.
그런후, 사용자는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을 이용하여, 불특정한 상기 휴대폰(1)의 폭과 일치하도록 상기 보조 하우징(200)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하우징 삽입홈(120)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보조 하우징(200)을 보조하우징 삽입홈(120)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키면,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제 1 돌기(430)는 상기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10)에 단계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제 2 돌기(440) 역시 상기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420)에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후, 사용자가 상기 휴대폰(1)의 폭과 일치하는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좌/우 이동동작을 중단하면,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제 1 돌기(4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410)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400)내에 장착된 다수개의 제 2 돌기(4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420)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200)을 고정시킨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휴대폰(1)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 하우징(100)의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및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500)내 주하우징 보조판(510)은 상기 제 1 고탄성 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1)의 뒷면 하단부를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은 상기 휴대폰 이탈 방지벽(300)과 상기 주하우징 보조판(510)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주 하우징(100) 및 보조 하우징(2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된다.
또한,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600)내 보조하우징 보조판(610)은 상기 제 2 고탄성 스프링(6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폰(1)의 뒷면 하단부를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1)은 상기 휴대폰 이탈 방지벽(300)과 상기 보조하우징 보조판(610) 사이에 밀착 고정되어, 상기 주 하우징(100) 및 보조 하우징(2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때, 상기 휴대폰(1)이 상기 주 하우징(100)의 제 1 휴대폰 안착홈(110) 및 상기 보조 하우징(200)의 제 2 휴대폰 안착홈(210)에 고정되면, 다수개의 상기 제 1 전원단자(700)중 해당 제 1 전원단자(700)는 상기 휴대폰(1)의 플러스(+)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한편, 다수개의 상기 제 2 전원단자(800)는 상기 휴대폰(1)의 마이너스(-) 전원단자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폰(1)의 플러스(+) 전원단자에는 플러스(+)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상기 휴대폰(1)의 마이너스(-) 전원단자에는 마이너스(-)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의하면, 크기 및 두께가 다른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델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의 호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휴대폰 배터리 충전시의 편리성을 제공해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불특정한 휴대폰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시켜 주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에 있어서,
    전면에 배터리가 부착된 불특정한 휴대폰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안착되도록 제 1 휴대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 보조하우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주 하우징과; 상기 주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하우징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전면에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과 대칭되도록 제 2 휴대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 하우징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 및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하부 전면에 각각 상향 돌출되어, 휴대폰 안착시 휴대폰의 하부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휴대폰 이탈 방지벽과; 상기 보조 하우징이 주 하우징내 보조하우징 삽입홈으로 삽입될 때 소정 길이만큼씩 단계별로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해주는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과;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불특정한 휴대폰이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을 외부로 밀쳐냄과 동시에 휴대폰의 두께에 상관없이 안착가능하도록 해주는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과;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의 하부 중앙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 배터리의 플러스(+)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다수개의 제 1 전원단자와;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의 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시 휴대폰 배터리의 마이너스(-)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다수개의 제 2 전원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좌/우 조절수단은, 상기 주 하우징내 보조하우징 삽입홈의 상단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과; 상기 주 하우징내 보조하우징 삽입홈의 하단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과; 상기 보조 하우징의 상부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1 돌기 삽입홈에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 돌기와; 상기 보조 하우징의 하부에 일정간격의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조 하우징이 상기 보조하우징 삽입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때 상기 다수개의 제 2 돌기 삽입홈에 단계적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2 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은, 상부가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의 상단 중앙에 힌지방식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휴대폰이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 배터리의 후면부와 접촉되어 휴대폰을 지지해 주는 주하우징 보조판과; 상기 주하우징 보조판의 하부 소정지점과 상기 제 1 휴대폰 안착홈의 하부 소정지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주하우징 보조판의 하부에 탄성력을 가해주는 제 1 고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하우징 휴대폰 안착수단은, 상부가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상단 중앙에 힌지방식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휴대폰이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에 안착될 때 휴대폰 배터리의 후면부와 접촉되어 휴대폰을 지지해 주는 보조하우징 보조판과; 상기 보조하우징 보조판의 하부 소정지점과 상기 제 2 휴대폰 안착홈의 하부 소정지점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하우징 보조판의 하부에 탄성력을 가해주는 제 2 고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1019990043615A 1999-10-09 1999-10-0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KR20010036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615A KR20010036549A (ko) 1999-10-09 1999-10-0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615A KR20010036549A (ko) 1999-10-09 1999-10-0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549A true KR20010036549A (ko) 2001-05-07

Family

ID=196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615A KR20010036549A (ko) 1999-10-09 1999-10-09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6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97B1 (ko) * 2003-05-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용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97B1 (ko) * 2003-05-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용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1246B2 (en) Handy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phones
US6821670B2 (en) Mobile phone battery
JP2000505935A (ja) バッテリ式装置及びバッテリユニット
KR200700002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고정 수단
JPH11289367A (ja) 蓄電装置を含む電話方式装置及びこの電話方式装置に適した蓄電装置
JPH08213929A (ja) 携帯電話
KR20010036549A (ko) 휴대폰 배터리용 충전기
JPH0716249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385176B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JPH1032934A (ja) 携帯電話用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20029723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와 배터리팩 결합장치
KR100446736B1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0217356Y1 (ko) 각도조정이가능한휴대폰의충전기
CN218246057U (zh) 一种眼镜收纳盒
KR200168272Y1 (ko) 휴대전화기용충전기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0270409Y1 (ko) 핸드폰용 충전어댑터
KR200255431Y1 (ko) 슬롯형 휴대폰 배터리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
KR200224041Y1 (ko) 휴대폰용 배터리 및 배터리 충전기
JPH07273849A (ja) 充電端子構造
JP3258912B2 (ja) 携帯電話機の親機ユニット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100256924B1 (ko) 휴대전화 충전장치의 충전물 고정판 구조와 고정 브라켓트 구조
WO2000046547A1 (en) Flashlight or emergency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