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759Y1 -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759Y1
KR0121759Y1 KR2019930010836U KR930010836U KR0121759Y1 KR 0121759 Y1 KR0121759 Y1 KR 0121759Y1 KR 2019930010836 U KR2019930010836 U KR 2019930010836U KR 930010836 U KR930010836 U KR 930010836U KR 0121759 Y1 KR0121759 Y1 KR 0121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roove
talker
present
portable telepho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0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86U (ko
Inventor
구재익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30010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759Y1/ko
Publication of KR950002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7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에관한 것으로 특히 송화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돌부(21)를 축으로 송화부(20)를 회전시키면 송화부(20)의 배면에 형성된 홈(23)이 전화기 몸체(20)에 형성된 돌기(16)를 이탈하게 되고, 이때 송화부(20)의 원형돌부(21)를 전화기 몸체(20)의 슬라이드홈(13)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 및 회전시켜 원호상으로 형성된 홈(23)이 전화기 몸체(10)에 형성된 돌기(16)에 삽입, 이탈되도록 송화부(20)를 회전시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간편하게 송화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화기 몸체 11:수화부
12:버튼부 13:슬라이드홈
14:접점용 판스프링 15:턱
16:돌기 20:송화부
21:원형돌부 22:접점용 판스프링
23:홈
본 고안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화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회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는 수화부와 송화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 휴대용 전화기는 소형,경량화 추세에 따라 점차 가볍고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수화부와 송화부의 거리가 짧아져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송화부가 입술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 상대방에게 의사전달이 원할하지 못하였다. 또 주위의 잡음이 함께 전달되어 수신자의 수신상태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송화부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화부와 송화부의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하고, 송화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를 형성한 전화기 몸체; 상기 전화기 몸체의 슬라이드홈에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을 형성한 원형 돌부를 돌출시켜 형성된 송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수화부 회전장치인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화기 몸체(10)는 하단에 횡으로 슬라이드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13)에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14)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13)의 상하에 돌기(16)를 돌출시키고, 슬라이드홈(13)에는 턱(15)이 형성한다.
송화부(20)는 전화기 몸체(10)의 가로길이정도로 형성하고 원형 돌부(21)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원형돌부(21)의 테두리에는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22)이 부착된다. 또한 송화부(20)의 배면에는 상기 돌기(16)와 대응되는 홈(23)을 형성하되, 원형돌부(21)의 부분에는 원호상으로 홈(23)을 복수로 형성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시에는 원형돌부(21)를 축으로 송화부(20)를 회전시키면 송화부(20)의 배면에 형성된 홈(23)이 전화기 몸체(20)에 형성된 돌기 (16)를 이탈하게 된다.
이때 송화부(20)의 원형돌부(21)를 전화기 몸체(20)의 슬라이드홈(13)에 가이드되면서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소정의 위치에 셋팅시킨다.
다시 셋팅된 송화부(20)를 회전시킨다.
이때 송화부(20)의 원형돌기(21) 부분에 원호상으로 형성된 홈(23)이 전화기 몸체(10)에 형성된 돌기(16)에 삽입, 이탈되도록 송화부(20)를 회전시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하여 사용한다.
전화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송화부(20)의 원형돌부(21)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시킨 다음 회전시켜 접게되면 이때 송화부(20)의 배면홈(23)이 전화기 몸체(10)의 돌기 (16)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간편하게 송화부의 위치는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화기에 있어서, 하부에 슬라이드홈(13)을 형성하고, 슬라이드홈(13) 내부에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14)을 형성한 전화기 몸체; 상기 전화기몸체(13)의 슬라이드홈(13)과 결합되는 원형돌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돌부(21)의 테두리에 접점용 판슬라이드홈프링(14)을 형성한 송화부(20)로 구성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3)의 상하에 돌기(16)를 돌출시키고, 상기 돌기(16와 대응되는 홈(23)을 송화부(23)의 배면에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KR2019930010836U 1993-06-18 1993-06-18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KR0121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36U KR0121759Y1 (ko) 1993-06-18 1993-06-18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0836U KR0121759Y1 (ko) 1993-06-18 1993-06-18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86U KR950002386U (ko) 1995-01-04
KR0121759Y1 true KR0121759Y1 (ko) 1998-08-01

Family

ID=1935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0836U KR0121759Y1 (ko) 1993-06-18 1993-06-18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7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86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428A (en) Cordless telephone headset
EP0661824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with improved antenna gain
KR20100065396A (ko) 휴대폰 자동 힌지모듈
GB2277422A (en) A headset accessory for a mobile telephone set
EP0651545B1 (en) Hand held radiotelephone with moveable receiver portion
US5706345A (en) Over the head hands free phone holder
AU717342B2 (en) Integrate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clip
WO2010062402A1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handset
KR0121759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송화부 회전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US6381338B1 (en) All directionally turnable radio microphone
KR0163257B1 (ko) 개선된 송수화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01033587B1 (ko) 반자동 슬라이드장치, 자동·반자동 겸용 슬라이드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302283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grip
JP3101417B2 (ja) 携帯用電話機及びホルダ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CN212537195U (zh) 移动终端支架
KR970004102Y1 (ko) 청각 장애자용 송수화기
KR200317089Y1 (ko) 귀걸이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KR0115434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용 마이크 장치
KR200282160Y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걸이
JPS584555Y2 (ja) 糸電話器
JP2001313704A (ja) 携帯型電話機
JPH1127353A (ja) フリップ開閉型携帯電話装置
JPH04139941A (ja) 折り畳み式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