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6261A -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 Google Patents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6261A
KR960706261A KR1019960702362A KR19960702362A KR960706261A KR 960706261 A KR960706261 A KR 960706261A KR 1019960702362 A KR1019960702362 A KR 1019960702362A KR 19960702362 A KR19960702362 A KR 19960702362A KR 960706261 A KR960706261 A KR 96070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anagement
resolution image
recorded
dir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보루 코야마
후미히코 카이세
히로에 혼마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96070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2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6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a video-frame or a video-field (P.I.P.)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onitoring actual compressed data size at the memory before deciding storage at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04N19/1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including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value of an encoding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79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ion ratio or quality level being adapted to circumstances, e.g. to the available recording spa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16Seek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for preparing an access to a specific addr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스캐너부(1부)에 의해 예를 들면 사진등으로부터 화상을 읽어, 이 화상 데이터를 근거로, 제거, 압축 신장 처리 블록(4)가 프린트용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모니터 표시용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인덱스 표시용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부(5)가 광 디스크에 기록하여, 계층 디렉토리 구조로 관리를 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사진을 한장의 광 디스크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복수개의 사진 정리등을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 기록 장치, 화상 기록 방법, 화상 재생 방법, 기록 매체, 관리 방법을 적용한 정지 화상 기록 재생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제2도는 상기 정지 화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는 스캐너부의 블럭도이다. 제3도는 상기 정지 화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는 프린터부의 블럭도이다. 제4도는 상기 정지 화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는 화상 처리 블럭의 블럭도이다. 5도는 상기 정지 화상 기록 재생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는 추출, 압축/신장 블럭의 블럭도이다.

Claims (238)

  1.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근거로,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으로부터의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는 부호화 수단과,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서 부호화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데이타 길이가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상기 부호화 수단 및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따라서 기록되는 부호화 화상 데이터의 데이타 길이가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일정한 데이타 길이가 되도록 상기 부호화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갖는 화상 화일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리 데이터를 갖는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화상 화일 및 관리 화일에 의한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2의 영역을 갖추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관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기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서 부호화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이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부호화된 수단에 의해서 부호화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이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다른 화상 화일의 화상 데이터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이 제1의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이 종료된 후에, 상기 갱신한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 상기 기록 매체상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덮어 쓰기 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를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저해상도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 하여, 각각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되고,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되고,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복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인덱스 화일로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로 되어 있고, 상기 관리 화일은, 제1의 관리화일 및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제1의 인덱스 화일 및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렉토리안에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모든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상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각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레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된 제2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를 근거로, 인덱스 화일이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화일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1화상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서의 표시순으로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영역 중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래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의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은, 이 제2의 영역을 기록 매체인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러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 및 디렉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의 기억 수단에,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상기 제2의 블럭관리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상기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4항에 기재한 화상 기록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를 형성할 때에, 이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의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을 형성함과 함께, 이 제3의 관리 블럭 중에, 상기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인 제2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화상을 형성할 때에,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 안에, 상기 새로운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이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상기 저해상도 데이터를 기록한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 및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각 화일이 기록 매체상에서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각각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과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을 다시 갖고,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는,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화일을, 일단,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상기 메모리 수단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중에 기록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는,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상기 지정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 일단, 상기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메인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저해상도 데이터를 상기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매체상의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메인 메모리)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후,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이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 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화일 및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2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의 영역의 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이 지정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7.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 위한 화상 기록 방법에서 (a) 상기 기록 매체의 개서 가능 영역에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서브 디렉토리를 형성하고, (b) 상기 디렉토리안에,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제1의 관리 화일과, 이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안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이르 나타내기 위한 제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c)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이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관리 화일과,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 기록하는 화상 기록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d)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마다 설정된 일정한 데이타 길이가 되도록 부호화하고,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각각 기록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화상 화일, 및 상기 제1, 제2의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에서의 상기 화상 화일 및 상기 제1및 제2의 관리 화일에 의한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소정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2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텝을 (d)에서 상기 제1및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으로 기억하는 스텝을 더 가지며, 상기 스텝 (d) 에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1및 제2의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d) 에서, 상기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 해상도마다 지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2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관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d)에서, 각 해상도마다 일정한 데이타 길이가 되도록 부호화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고, (e)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기록 매체로의 기록에 따라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각 관리 화일 및 정보 관리 테이블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e)후에, 상기 화상 화일의 기록 제어와 함께 갱신된 제1,2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2 관리 화일 및 관리 데이터에 덮어 쓰기 하는 스텝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형성하는 스텝을 더 갖고, 상기 스텝(d) 에서, 상기 제1, 2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데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고해상도 데이터를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로 하여,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스쳅(d) 에서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으로 기억하는 스텝을 더 가지며,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d) 에서, 상기 디렉토리안에 제1의 관리 화일 및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스텝(c) 에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제2의 관리 정보 및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테이블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디렉토리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모든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상 화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각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 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스텝(d)에서,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스텝(c) 에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스텝(d) 에서, 상기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화일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서의 표시순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d)에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함과 함께,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의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 및 디렉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구비하고, 를 갖추고,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블럭, 상기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스텝(d) 에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를 형성할 때에, 제1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가 위한 제3의 관리 블럭을 형성함과 함께, 이 제3의 관리 블럭 중에, 상기 제2의 영역내에서의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화상을 형성할 때에,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 중에,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새로운 화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 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1의 제3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고,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 및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각 화일이 기록 매체상에 각 화일을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각각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화일을,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모든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록된 인덱스 화일에 대한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메모리 수단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로 부터 읽어내고, 이것을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제2의 기억수단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데이터를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제2의 인덱스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록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상기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제2의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이 기록 매체의 기록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상기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 할때,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화일 및 제2의 관리 화일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상기 지정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2.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형성된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 해상도마다 기록한 복수개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에서 각 화일간의 대응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2의 영역을 구비하며, (a)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b)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마다 설정된 일정한 데이타 길이가 되도록 부호화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스텝(b) 에서,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화상 화일,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관리 데이터를 갖는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에서의 상기 화상 화일 및 관리 화일에 의한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2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텝(b)에서,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상기 제1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b)에서, 상기 제1의 기록 수단에 기억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용량을 연산하는 스텝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b) 에서, 상기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7. 제52항에 있어서, 각 해상도마다 일정한 데이타 길이가 되도록 부호화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스텝(b)에서, 각 해상도마다 설정된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상에 각각 기록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기록에 따라, (c)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을 갱신하는 스텝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c) 후에, 상기 화상 화일의 기록 제어와 함께 갱신된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상의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에 덮어 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59. 제54항에 있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형성하는 스텝을 더욱 다지며,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전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b) 에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 하고,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의 영역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b)에서,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하고,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인덱스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관리 화일은 제1의 관리 화일과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스텝(b) 에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렉토리안에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디렉토리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모든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상 화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3.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각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4.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5.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소하는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6.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인덱스 화일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따라서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서 표시순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가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함과 함께,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이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의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기록 매체인 상기 기록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러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 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 및 디렉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제2의 관리 블럭및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블럭,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텝(b) 에서 상기 화상 화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를 형성할 때, 이 제1의 영역내에서 이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제3의 관리 블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중에, 상기 제2의 영역내에서의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새로운 화상을 형성할 때,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중에, 상기 새로운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새로운 화일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1.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제2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제3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고,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 및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각 화일이 기록 매체상에서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을 각각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인덱스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어 있는 인덱스 화일을,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화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모든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인덱스 화일에 대한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메모리 수단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3.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된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텍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을 기록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기록 매체로 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일단 이 기억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상기 제2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된 후,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데이터를 갖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 하는 영역에 이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디렉토리인 제2의 인덱스 화일 로서 기록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제1, 제2의 관리 화일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일단,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2의 기억수단 (메인 메모리)에 기억하고, 부호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함과 함께, 상기 부화화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인덱스 화일한에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에 부호화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이 종료된후,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복수개의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데이터를 갖는 상기 제1, 제2의 인덱스 화일을 제2의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상기 기록 매체의 연속하는 영역에 이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가 되도록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및 상기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에,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화일 및 제2의 관리 화일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각각 지정하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2의 관리 블럭을 기초로, 상기 부호화 수단에 의해 부호화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및 상기 지정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서 상기 기록 매체에 각각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77.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원래 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마다 기록된 복수개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에서의 각 화일간의 대응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상대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는 제2의 영역을 구비하고, (a)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b)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된 관리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방법.
  78. 제77항에 있어서, (c) 상기 관리 화일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화상 화일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얻은 스텝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고, 이것을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스텝(b) 에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화일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0.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c)에서,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각 해상도마다의 화상 화일로부터,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b)에서, 상기 제1의 기록 수단에 기억된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스텝(c)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인덱스 화일로부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2.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상기 기록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고해상도의 화일과,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복수의 제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c) 에서,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덱스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스쳅(b) 및 (c) 에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모든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상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a) 에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의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디렉토리가 지정되고, 상기 스텝(b) 에서, 이 지정된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화일 정보를 근거로,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각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재생을 기초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서브 디렉토리안에서, 각각의 서브 디렉토리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재생을 근거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6.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 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7.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 디렉토리와,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a)에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 기록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의 데이터를 기초로 서브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상기 스텝 (b)에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의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화상 정보 유닛을 기초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8.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의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기록 매체인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기록 단위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 및 디렉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구비하고,상기 스텝(b)에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블럭,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화일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 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1의 제3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과리 화일을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제1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지정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기록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제3의 블럭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제3의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디렉토리와,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개의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 기록된 상기 디렉토리 정보 유닛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재생 순서와 대응하여 서브 디렉토리가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서브 디렉토리안의 제2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화상 정보 유닛을 기초로, 제3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재생 순서와 대응하여,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제1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지정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기록된 서브 디렉토리와 대응하는 제3의 블럭이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제2의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각각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1.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화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는, 개서 가능영역에서,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가 형성되고,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드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이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a)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 및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서브 디렉토리가 지정되고, (b)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 및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화상 화일 및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관리 데이터를 갖는 관리 화일이 기록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영역에서의 화상 화일 및 관리 화일에 의한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이 기록되는 제2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텝(b)에서, 상기 제1,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와, 정보 관리 테이블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3.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스텝(b)에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화상 화일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4.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고, 이것을 이 기록 매체와는 다른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욱 가지며, 상기 스텝(b)에서, 상기 제1의 상기 기록 수단에 기억된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5.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각 해상도마다의 화상 화일로부터 상기 스텝(b)에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6. 제94항에 있어서, 제1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인덱스 화일로부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7.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분의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복수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갖는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b)에서, 상기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덱스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데이터를, 상기 인덱스 화일로부터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각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스텝을 더욱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8.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고 있고,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모든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상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a) 에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의 디렉토리 정보를 기초로 디렉토리가 지정되고, 상기 스텝(b) 에서, 이 지정된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화일 정보를 근거로,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0.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각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재생을 기초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형성되어 있는 모든 서브 디렉토리안에서, 각각의 서브 디렉토리에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고,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재생을 근거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1.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는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 및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및 관리 정보 테이블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2.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디렉토리와,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디렉토리와,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스텝(a)에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안에 기록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의 데이터를 기초로 서브 디렉토리를 지정하고, 상기 스텝 (b)에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의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화상 정보 유닛을 기초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3.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의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기록 매체인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 및 디렉토리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구비하고,상기 스텝(b)에서,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제1의 관리 블럭, 제2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화상 화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4.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화일은, 제1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제2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제3의 데이타 길이에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의 기억 수단에 기록된 상기 관리 화일을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제1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지정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일이 기록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제3의 블럭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제3의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5. 제10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디렉토리와,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복수개의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안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이 기록되고, 상기 제1의 화일안에 기록된 상기 디렉토리 정보 유닛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데이터의 재생순에 대응하여 서브 디렉토리가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서브 디렉토리안의 제2의 관리 화일에 기록된 화상 정보 유닛을 기초로, 제2의 인덱스 화일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재생순서에 대응하여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제1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지정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기록된 서브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제3의 블럭이 지정되고, 상기 지정된 제3의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 및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로부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각각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재생 방법.
  106.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개서 불능 영역 및 개서 가능 영역을 관리하는 제1의 관리 정보 테이블과, 상기 제1의관리 정보 테이블로 관리되는 개서 가능 영역내에 마련되고, 각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별로 분류한 복수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서의 각 화일간의 대응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제1의 영역과, 상기 제1의 관리 정보 테이블로 관리되는 상기 제1의 영역 이외의 개서 가능한 영역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의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화상 화일 및 관리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상대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제2영역으로 이루어진 화일 구조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의 중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진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의 중에 포함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포함되는 제2의 관리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9. 제10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중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0.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1.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해상도의 화상 데이타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타,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화상 파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부위의 정수분의 1이 되는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3.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4.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2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2의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5.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ㅁ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6.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7.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의해,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화면상에서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8. 제1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9.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0.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1.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기록된 제1의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서,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2.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3.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4. 제1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의 상기 원화상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 중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일 정보가 포함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포함하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에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테이블 중에 기록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기록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8.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9.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된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관리가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0. 화상 화일을 기록 재생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의 계층 디렉토리를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1.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디렉토리,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각 화일을 기록하기 위한 화일 영역과, 상기 화일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를 하는 매니지먼트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은,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된 상기 디렉토리와 상기 서브 디렉토리에 의한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각 화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3.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4.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이한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화상 파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파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파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5.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분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한 기록 매체.
  136.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7.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의해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화면상에서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8.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39.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은,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을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화일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디렉토리, 상기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0.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기록된 제1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부터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1.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139항에 기재한 기록 매체.
  142.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3.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4.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포함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5. 제1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의 관리 화일에 의해 기록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6.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화일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제1 및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의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7.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니지먼트 영역에 기록된는 화상 화일은, 상기 제1 및 제2의 관리 화일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의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8.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각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마다 분류한 복수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서의 각 화일간의 대응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화일과,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화상 화일의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상대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과, 상기 관리 화일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해상도를 가진 화상 화일안에서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지정된 화상 화일의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49.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화상 화일 및 상기 관리 화일을 기록하는 화일 영역과,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을 기록하는 매니지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0.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화일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1.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2.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중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3.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단위로 고정 길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4.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5.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분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6.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7.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2의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8.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화일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되는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59.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0. 제15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따라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화면상에서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2.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3.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화일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을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 상기 디렉토리, 상기 서부 디렉토리 및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4.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포함되는 제1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5.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6.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의 화상 화일의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7.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8. 제16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포함하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9. 제16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포함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0.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지정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1.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2.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된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3. 기록 매체상에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제1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상의 개서 가능 영역 및 개서 불능 영역을 관리하고, 상기 기록 가능 영역에 마련된 제1의 영역내에서,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별로 분류한 복수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서의 각 화일간의 대응 상황을 기록한 관리 화일에 의해 관리하고,상기 제1의 영역 이외의 상기 개서 가능 영역인 제2의 영역내에서, 상기 제2의 영역에 기록된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의해 상기 제2의 영역내의 기록 상황을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제1의 영역내에 기록한 상기 화상 화일 및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한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4.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인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5. 제17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포함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포함된 제2의 관리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6. 제17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일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7.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단위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8.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타,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79.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분의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0.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타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타,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타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며,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의 상기 원화상으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1. 제1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2의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2. 제18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를 가지며,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3. 제18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4. 제18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의해,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화면상에서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5. 제18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6.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7.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과,상기 디렉토리, 상기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8.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기록된 제1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서,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89.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이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0.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를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화일용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중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1.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형성된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의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2. 제19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포함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 중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화일 정보가 포함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포함하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3.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는,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 테이블 중에 기록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4.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5.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6.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된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관리가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7. 기록 매체상에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렉토리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의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의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8.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디렉토리,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각 화일을 기록하기 위한 화일 영역과, 상기 화일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를 하는 매니지먼트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199. 제198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은,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된 상기 디렉토리와 상기 서브 디렉토리에 의한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각 화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0. 제19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단위로 고정 길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1.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2. 제20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1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부위의 정수분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3.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4.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의해,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화면상에서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5.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기록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6. 제198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은,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을 상기 기록 단위나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과, 상기 화일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러과, 상기 디렉토리 상기 서브 디렉토리, 및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관리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7.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기록된 제1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8.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화일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09.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개의 화상 화일의 위치를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0.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되는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며,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데이터로부터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1.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포함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매니지먼트 영역에 마련된 상기 관리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2.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의 관리 화일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3.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화일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제1 및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의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4. 제20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화일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제1 및 제2의 관리 화일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메니지먼트 영역의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5. 기록 매체상에서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각 원화상 데이터로 부터 생성된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해상도마다 분류한 복수의 화상 화일과,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서의 각 화일간의 대응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화일과,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화상 화일의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상대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관리 정보 테이블을 가지며, 상기 관리 화일의 관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해상도를 가진 화상 화일안에서 원하는 화상 화일을 지정하고, 상기 관리 정보 테이블의 관리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지정된 화상 화일의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6.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7.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제2의 관리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8. 제2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에는,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중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19.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화일에 기록되는 화상 데이터는, 상기 기록 단위로 고정 길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0.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1. 제220항에 있어서,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1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화화된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배인 제2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상기 제2의 데이타 길이보다도 짧은 상기 기록 단위의 정수분의 1인 제3의 데이타 길이에 고정 길이 부호화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2.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 형성된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데이터로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23. 제2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제2의 인덱스 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4. 제2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디렉토리 및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이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관리 화일 유닛이 기록되는 제2의 화일을 가지며,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가지며,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5. 제22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물리적으로 연속하는 영역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6. 제222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화일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따라 1화면이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는, 상기 화면에서의 표시순으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7. 제2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관리 화일은, 상기 제1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을 포함하는 서브 디렉토리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 유닛을 기록하고, 상기 제2의 관리화일은,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에 기록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의 순서와 대응하도록,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와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화상 정보 유닛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8.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MT)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VS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29.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제1의 영역은, 디렉토리와 이 디렉토리안에 형성된 서브 디렉토리로 이루어지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가지며,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은, 상기 제2의 영역을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와 다른 관리 블럭 단위로 관리하는 제1의 관리 블럭(MT)과, 상기 제1의 영역의 기록 상황을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제2의 관리 블럭(VSB)과, 상기 디렉토리, 상기 서부 디렉토리 및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각 화일에 관한 테이터를 관리하는 제3의 블럭(DR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0. 제2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 중에 기록된 제1의 관리 블럭 및 제3의 관리 블럭에 의해, 상기 디렉토리 및 서브 디렉토리로 구성되는 계층 디렉토리 구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1. 제22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은, 상기 디렉토리 및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과, 상기 제1의 영역에 기록된 각 화일의 상기 화일 영역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2. 제229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디렉토리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단위로 관리하고, 상기 서브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제3의 관리 블럭에 포함되는 상기 화일용의 디렉토리 레코드 유닛에 의해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복수의 화상 화일의 위치를 상기 기록 매체의 기록 단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3. 제2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른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는,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중간 해상도의 화상 데이터 및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화상 화일은, 상기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과, 상기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덱스 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해상도 화상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고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중간 해상도 화일에는, 상기 원화상 데이터로부터 형성된 하나의 중간 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인덱스 화일에는, 복수개의 상기 원화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4.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의 모든 서브 디렉토리의 관리를 하기 위한 디렉토리 정보가 기록되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 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의 관리를 하는 제2의 화일 정보가 기록되는 제2의 관리 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화일은, 상기 디렉토리 하에 형성된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안, 적어도 하나의 화상 화일을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 화상을 기록하는 제1의 인덱스 화일과,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 기록된 모든 화상 화일을 각각 나타내기 위한 인덱스화상을 기록하는 제2의 인덱스 화일을 포함하고, 상기 디렉토리안에는, 제1의 관리 화일과 제1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며, 상기 서브 디렉토리안에는, 상기 제2의 관리 화일과, 제2의 인덱스 화일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5. 제2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관리 화일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의 인덱스 화일안에 포함된 저해상도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중에 기록된 상기 제1의 관리 블럭 및 상기 제3의 관리 블럭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정된 고해상도 화상 화일 또는 중간 해상도 화상 화일의 상기 제1의 영역내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6.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 화일만 기록/재생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7.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되는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과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기록/재생이 이루어지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38.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1의 영역에 기록된 화상 화일은, 상기 관리 화일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화상 화일이 지정되고, 상기 제2의 관리 정보 테이블에 기록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기록 매체상에서의 위치가 지정되는 데이타 관리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2362A 1994-08-31 1995-08-31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KR9607062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06708 1994-08-31
JP20670894 1994-08-31
PCT/JP1995/001743 WO1996007271A1 (en) 1994-08-31 1995-08-31 Still pictur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261A true KR960706261A (ko) 1996-11-08

Family

ID=1652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362A KR960706261A (ko) 1994-08-31 1995-08-31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011897A (ko)
EP (2) EP0727906A4 (ko)
JP (1) JP3248186B2 (ko)
KR (1) KR960706261A (ko)
CN (4) CN100469126C (ko)
WO (1) WO19960072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55B1 (ko) * 1998-08-01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기록 정지영상 보호방법
KR20160016810A (ko) * 2013-05-30 2016-02-1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전자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스크린샷을 자동으로 분리 및 선택하기 위한 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3171B1 (en) * 1994-07-29 2001-06-05 Fuji Photo Film Co., Ltd. Laboratory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ilm image management method, image data copying system and method of copying image data
WO1996007271A1 (en) * 1994-08-31 1996-03-07 Sony Corporation Still picture system
JPH10143977A (ja) * 1996-09-10 1998-05-29 Sony Corp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ビデオカメラ装置
US20010033732A1 (en) * 1996-09-20 2001-10-25 Masahiro Ju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multiple image files
US6115716A (en) * 1997-03-14 2000-09-0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for implementing an associative memory based on a digital trie structure
CN1237310A (zh) * 1997-08-21 1999-12-01 索尼公司 在盘上记录图片和从盘再现图片的方法和装置及记录介质
US6288990B1 (en) * 1997-10-21 2001-09-11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H11213628A (ja) * 1998-01-21 1999-08-06 Toshiba Corp 記録媒体とその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4366725B2 (ja) * 1998-04-01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画像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
JP3660154B2 (ja) * 1999-04-01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用画像処理装置
TW526477B (en) * 1999-08-03 2003-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 data recording device and method, and the disk recording with the same
JP4465064B2 (ja) * 1999-09-27 2010-05-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01075878A1 (fr) * 2000-03-31 2001-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ormat d'enregistremen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US20030110182A1 (en) * 2000-04-12 2003-06-12 Gary Christophersen Multi-resolution image management system, process, and software therefor
US7860367B2 (en) * 2000-05-19 2010-12-28 Sony Corpor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JP3997690B2 (ja) * 2000-06-12 2007-10-24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装置、光記録媒体残量表示方法、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光記録媒体表示方法
US7154631B2 (en) * 2001-05-10 2006-1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paper size for printing an image file
JP3695581B2 (ja) * 2001-08-08 2005-09-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記録媒体、並びに、電子カメラ
JP4057268B2 (ja) * 2001-09-26 2008-03-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鑑賞用データ保管方法および装置、注文情報生成方法および装置、鑑賞用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3869714B2 (ja) * 2001-12-17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US7505889B2 (en) * 2002-02-25 2009-03-17 Zoran Corporation Transcoding media system
JP3847751B2 (ja) * 2002-03-18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JP2003283719A (ja) * 2002-03-25 2003-10-03 Noritsu Koki Co Ltd 画像データ保存装置
US8285111B2 (en) * 2002-04-19 2012-10-09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enhanced photo digital video disc
US8000584B1 (en) 2002-04-26 2011-08-16 Tivo Inc. Approach for storing digital content onto digital versatile discs (DVDs)
US20030214509A1 (en) * 2002-05-16 2003-11-20 Gotfried Bradley L. Digital image display device
US6792545B2 (en) * 2002-06-20 2004-09-14 Guidance Software, Inc. Enterprise computer investigation system
JP3735864B2 (ja) * 2002-10-28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処理装置、情報再生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04866A (ja) * 2003-06-11 2005-01-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38414A (ja) * 2003-06-30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撮像装置及び記録媒体
JP4241228B2 (ja) * 2003-07-11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079100B2 (ja) * 2004-02-24 2008-04-2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方法
EP1748437A4 (en) * 2004-05-20 2011-07-1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KR100667777B1 (ko) * 2004-11-1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기록 방법 및 그 기록 장치
JP5035583B2 (ja) * 2004-12-06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81731A1 (en) * 2005-02-17 2006-08-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trieving apparatus, an image retriev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JP4306731B2 (ja) * 2007-01-17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8126169A1 (ja) * 2007-03-12 2010-07-15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管理プログラム、ストレージ管理方法およびストレージ管理装置
JP4852453B2 (ja) * 2007-03-19 2012-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映像再生装置、および、その特殊再生方法
KR100745641B1 (ko) * 2007-05-02 2007-08-02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네트워크 기반의 로봇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통신 방법 및 데이터 구조
EP2315445A1 (en) * 2009-10-09 2011-04-27 Vidast Oy Video compression
EP3229464B1 (en) * 2014-12-01 2021-01-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Video recording device and video recording method
CN106354811A (zh) * 2016-08-29 2017-01-25 苏州蓝海彤翔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图片输出异常状态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682124A (zh) * 2016-12-09 2017-05-1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图片识别方法、装置和设备
US10999602B2 (en) 2016-12-23 2021-05-04 Apple Inc. Sphere projected motion estimation/compensation and mode decision
US11259046B2 (en) 2017-02-15 2022-02-22 Apple Inc. Processing of equirectangular object data to compensate for distortion by spherical projections
US10924747B2 (en) 2017-02-27 2021-02-16 Apple Inc. Video coding techniques for multi-view video
US11093752B2 (en) 2017-06-02 2021-08-17 Apple Inc. Object tracking in multi-view video
US10754242B2 (en) * 2017-06-30 2020-08-25 Apple Inc. Adaptive resolution and projection format in multi-direction video
US10978110B2 (en) * 2018-03-30 2021-04-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7888A (ja) * 1984-02-22 1985-09-11 フアナツク株式会社 視覚センサ処理装置とロボツト制御装置との結合方式
US4833625A (en) * 1986-07-09 1989-05-23 University Of Arizona Image viewing station for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s (PACS)
NL8800151A (nl) * 1988-01-22 1989-08-16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tekenen van een informatiesignaal.
NL8801275A (nl) * 1988-05-18 1989-12-18 Philips Nv Optekensysteem alsmede registratiedrager en schrijfinrichting voor toepassing in het systeem.
US5418764A (en) * 1988-01-22 1995-05-23 U.S. Philips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a record carrier having preformatted address codes and auxiliary codes providing control data for use by the recording device,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cluding both the recording device and the record carrier
JPH0783454B2 (ja) * 1988-11-02 1995-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NL9000328A (nl) * 1989-06-23 1991-01-16 Philips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aanbrengen van informatiepatronen op een registratiedrager.
US5124966A (en) * 1989-03-29 1992-06-23 U.S. Philips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data signals on an inscribable record carrier and reading device for the record carrier
US5303217A (en) * 1989-06-23 1994-04-12 U.S. Philips Corporation Optical recording device wherein recording beam intensity is set in accordance with an optimum value of the DC component of a recorded signal
AR247311A1 (es) * 1989-09-21 1994-11-30 Philips Nv Portador de grabacion, metodo y dispositivo grabador de informacion para obtener dichos portadores y dispositivo que comprende medios de anticopiado para inhibir el copiado no autorizado
JPH04182981A (ja) * 1990-11-16 1992-06-30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的記録媒体
US4969204A (en) * 1989-11-29 1990-11-06 Eastman Kodak Company Hybrid residual-based hierarchical storage and display method for high resolution digital images in a multiuse environment
NL9000327A (nl) * 1990-02-12 1991-09-02 Philips Nv Informatieoptekeninrichting.
JP3067157B2 (ja) * 1990-04-05 2000-07-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媒体
US5440401A (en) * 1990-09-14 1995-08-08 Eastman Kodak Company Image database incorporating low resolution index image data
US5218455A (en) * 1990-09-14 1993-06-08 Eastman Kodak Company Multiresolution digital imagery photofinishing system
ATE148819T1 (de) * 1990-09-19 1997-02-15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e und apparat zur regelung der anzeige des dargestellten bildes
JPH04273786A (ja) * 1991-02-28 1992-09-29 Fujitsu General Ltd 静止画像記録装置
JP3264979B2 (ja) * 1992-05-19 2002-03-1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191761A (ja) * 1992-01-10 1993-07-30 Fuji Photo Film Co Ltd 光ディスクのインデックス画像印刷装置
JPH05219387A (ja) * 1992-02-03 1993-08-2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の記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
JP3428033B2 (ja) * 1992-02-19 2003-07-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vtr
JPH06332843A (ja) * 1992-06-24 1994-12-02 Seiko Epson Corp 動画映像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3126515B2 (ja) * 1992-09-22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
WO1996007271A1 (en) * 1994-08-31 1996-03-07 Sony Corporation Still pictur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455B1 (ko) * 1998-08-01 200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 기록가능 기록매체의 기록 정지영상 보호방법
KR20160016810A (ko) * 2013-05-30 2016-02-15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전자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스크린샷을 자동으로 분리 및 선택하기 위한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3868A (zh) 2003-01-29
EP0727906A4 (en) 2007-01-17
CN1137337A (zh) 1996-12-04
JP3248186B2 (ja) 2002-01-21
CN1717031A (zh) 2006-01-04
US6112010A (en) 2000-08-29
EP1912422A2 (en) 2008-04-16
US6011897A (en) 2000-01-04
CN1254815C (zh) 2006-05-03
EP0727906A1 (en) 1996-08-21
CN1393869A (zh) 2003-01-29
CN100469126C (zh) 2009-03-11
WO1996007271A1 (en) 1996-03-07
CN1084107C (zh) 200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6261A (ko) 정지 화상 시스템(Still picture system)
KR100521914B1 (ko) 재생리스트 요약정보 관리방법
KR100466496B1 (ko) 기록매체, 기록장치, 재생장치, 기록방법, 및 컴퓨터가 읽기가능한 기록매체
US4506342A (en) Document information filing system
US4445195A (en) Recording system of variable length picture information
EP130684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 real time
US8184948B2 (en)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k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465355B1 (ko) 정보데이터기록재생장치및방법
KR20030013425A (ko) 기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매체
KR970078461A (ko) 화상 합성 장치 및 기록 매체
CN101297548A (zh) 影像再生装置和影像记录装置、影像再生方法和影像记录方法以及半导体集成电路
KR100301007B1 (ko) 썸네일 데이터와 이를 위한 관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는기록 매체 및 기록 재생방법과 장치
KR20030030020A (ko) 영상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디스크, 및 영상 재생 장치
US20050008330A1 (en) Moving image edit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H05250448A (ja) 画像編集装置
KR100389855B1 (ko) 정지화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
JP3425948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3442765B2 (ja) 電子的撮像装置
JPS60170085A (ja) 画像フアイルシステム
JPH09259579A (ja) 記録媒体の空き領域検出装置
JP2000201308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4064777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0201306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0201309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0201315A (ja) 電子的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