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41256A -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41256A
KR960041256A KR1019960003252A KR19960003252A KR960041256A KR 960041256 A KR960041256 A KR 960041256A KR 1019960003252 A KR1019960003252 A KR 1019960003252A KR 19960003252 A KR19960003252 A KR 19960003252A KR 960041256 A KR960041256 A KR 960041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elastomer
weight
monomer
granula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야마나카
미츠나리 소토카와
시노부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마에다 가츠노스케
도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다 가츠노스케, 도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에다 가츠노스케
Publication of KR96004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2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2/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1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입상재료(A)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탄성중합체(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A) 및 (B)가 각기 총량의 50 내지 99중량% 및 50 내지 1중량%인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상기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복합입상재료를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지조성물은 상호 양립적인 성질(즉, 충격강도 대 강성 및 파단 신장 대 내열성)이 개선되고 덜 이방성을 가진 기계적 성질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종래의 공업용 가소성재료로는 얻기 어려운 좋은 특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40)

  1. 무기입상재료(A)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탄성중합체(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A) 및 (B)는 각기 총량의 50 내지 99중량% 및 50 내지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강화용 복합입상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0.1 내지 10μ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판상 및/또는 과립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결합제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강화용 복합입상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실란화합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6.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는 강화될 수지와 반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는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및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제1단위체(b1), 및 상기 단위체(b1)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제2단위체(b2)로 구성되며, 상기 단위체(b1) 및 (b2)는 각기 탄성중합체(B)의 양이 0.1 내지 50중량% 및 99.9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단위체(b1)는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및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화학적 결합은 공유결합, 이온결합, 및 수소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떤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9. 제7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단위체(b2)는 에틸렌, 3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진 α―올레핀, 비컨쥬게이트된 디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알코올, α, 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컨쥬게이트 디엔, 및 방향족 비닐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0. 제9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단위체(b2)는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1. 제9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는 분자내에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디― 또는 트리―알콕시실릴기를 가진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단위체를 함유하며, 상기 단위체는 탄성 중합체(B)의 양의 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계면을 가지며 탄성중합체(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3. 제12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는 복합입상재료가 추출온도에서 탄성중합체(B)의 단리된 구성성분에 대해 100 당 1 보다 더 큰 용해도를 나타내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때 60중량%를 초과하는 그 구성성분이 추출되지 않은 무기입상재료(A)에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4. 제1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서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15. 무기입상재료(A)와 유리전이온도가 -10℃이하이고 또한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탄성중합체(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A) 및 (B)가 각기 총량의 50 내지 99중량% 및 50 내지 1중량%인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의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가 분산된 물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의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 실행되는 에멀션 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에멀션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가 결합제로 처리된 후 탄성 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에멀션 중합은 결합제 처리된 무기입상재료(A)가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에멀션화된 후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탄성중합체(B)의 원료인 단량체의 중합은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하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 및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 실행되며, 상기 제1단량체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및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 및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 실행되며, 상기 제1단량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및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며, 상기 화학적 결합은 공유결합, 이온결합, 및 수소결합으로부터 형성되는 어떤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중합은 무기입상재료(A)의 존재하에 적어도 일종의 단량체 및 적어도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실행되며, 상기 제1단량체는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 및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지며, 상기 제2단량체는 에틸렌, 3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진 α―올레핀, 비컨쥬게이트 디엔,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알코올, α, 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알킬에스테르, 컨쥬게이트 디엔, 및 방향족 비닐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다른 종류의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단위체가 탄성 중합체(B)의 양의 0 내지 20중량%가 되도록 하는 식으로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디― 또는 트리―알콕시실릴기를 가진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무기입상재료(A)는 그 사이에 계면을 가지며 탄성중합체(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복합입상재료는 응집물 형태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의 제조방법.
  27.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C)와 열가소성수지(D)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합입상재료(C)는 무기입상재료(A)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하이고 또한 강화될 수지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탄성중합체(B)로 이루어지며, 상기 성분(A) 및 (B)는 각기 총량의 50 내지 99중량% 및 50 내지 1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수지 조성물.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C) 및 (D)는 각기 총량의 1 내지 70중량% 및 99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29. 제27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D)는 융점을 가진다면 융점이 150℃ 이상이고 융접이 없다면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0. 제27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D)는 ASTM D790에 따라서 측정된 23℃에서의 급힘 계수가 1.5G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1. 제27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D)는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미드수지, 및 폴리아릴렌술피드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수지조성물.
  32. 제27항에 있어서, ASTM D790에 따라서 230℃에서 측정된 강화가소성조성물의 굽힘 계수 Mc(GPa) 및 열가소성수지(D)의 굽힘계수 M0 (GPa)와, ASTM D256에 따라서 23℃에서 측정된 노치 이조드 충격강도 Sc(1.8″두께, J/m)의 관계식으로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Mc〉M0 (식1)
    Mc〈0.07*Sc―1.6 (식2)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3. 제27항에 있어서, 강화가소조성물이 실질적으로 단지 열가소성수지(D)와 무기입상재료(A)로 구성된다면(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C)에 함유된 탄성중합체(B)가 동일량의 열가소성수지(D)로 대체된 것을 의미함) 갖는 것보다 더 큰 파열충격강도(총 파열에너지(2―㎜ 두께의 표본을 제외하고 ASTM D3763에 따라서 측정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4. 제37항에 있어서, 수지조성물내에 무기입상재료(A)의 양 XA(중량%), 23℃에서의 가소성 조성물의 노치 이조드 충격강도 Sc(1/8″두께, J/m), 및 ASTM D256에 따라서 23℃에서 측정된 열가소성수지(D)의 노치 이조드 충격강도 S0 (1/8″두께, J/m)의 관계식으로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
    Sc〉1.65*XA+S0 (식3)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5. 제27항에 있어서,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1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 탄성중합체 (B)의 양 XB(중량%), 23℃에서의 수지조성물에 노치 이조드 충격강도 Sc (1/8″두께, J/m), 및 ASTM D256에 따라서 23℃에서 측정된 열가소성수지(D)의 노치 이조드 충격 강도 S0
    (1/8″두께, J/m)의 관계식으로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
    Sc〉0.86*XB+1.3*S0 (식4)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6. 제27항에 있어서, 수지조성물에 함유된 -1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탄성중합체 (B)의 양 XB(중량%), 23℃에서의 수지조성물에 노치 이조드 충격강도 Sc (1/8″두께, J/m), 및 ASTM D256에 따라서 23℃에서 측정된 열가소성(D)의 노치 이조드 충격 강도 S0(1/8″두께, J/m)의 관계식으로 나타내는 다음 부등식
    Sc〉4.5*XB+1.3*S0 (식5)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7. 제27항에 있어서,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섬유 강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8. 제27항에 있어서,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C)와 열가소성수지(D)를 강화될 수지와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가진 화합물(E)과 함께 용융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화합물(E)은 분자내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조성물.
  40. 제27항에 있어서,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C), 열가소성수지(D), 및 화합물(E)을 라디칼 개시제(F)와 함께 용융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수지 조성물.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03252A 1995-05-10 1996-02-10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KR960041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7495 1995-05-10
JP95-111374 1995-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256A true KR960041256A (ko) 1996-12-19

Family

ID=1455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252A KR960041256A (ko) 1995-05-10 1996-02-10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52108A (ko)
EP (1) EP0742252B1 (ko)
KR (1) KR960041256A (ko)
CN (1) CN1136049A (ko)
CA (1) CA2169246A1 (ko)
MY (1) MY1132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400B1 (en) * 1999-06-30 2003-07-15 Minerals Technologies Inc. Talc antiblock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20020160256A1 (en) * 2000-09-21 2002-10-31 Kenichiro Kami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U2002367079A1 (en) * 2001-12-28 2003-07-30 Nkt Research And Innovation A/S An elastomeric composition, a method of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a building block for an elastomeric composition
AU2003262050B2 (en) * 2002-11-14 2009-07-02 Toray Industries, Inc. Reinforcing fiber substrat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8042456A2 (en) * 2006-03-24 2008-04-10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Moldable and low-temperature cure high-temperature composites
TWI658079B (zh) 2015-06-19 2019-05-01 日商大金工業股份有限公司 含氟聚合物所成之組成物以及成形品
JP6805050B2 (ja) * 2017-03-31 2020-12-2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有機無機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熱伝導性フィラー、並びに熱伝導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383291A (zh) * 2017-08-02 2017-11-24 四川省蓝扬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环保水性颜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9493A (ko) * 1973-12-11 1975-07-17
GB8417740D0 (en) * 1984-07-12 1984-08-15 Glaverbel Articles of filled plastics materials
JPS6296539A (ja) * 1985-10-23 1987-05-06 Tokuyama Soda Co Ltd 複合重合体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0255B2 (ja) * 1987-03-23 1995-04-05 サン・アロ−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用耐熱性向上剤
JPH0374461A (ja) * 1989-08-11 1991-03-29 Nippon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223628D0 (en) * 1991-11-15 1992-12-23 Ici Plc Polymerisable compositions
FR2711372B1 (fr) * 1993-10-20 1995-12-08 Atochem Elf Sa Particules minérales enrobées d'élastomèr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leur utilisation pour le renforcement de polymères thermoplastiques et lesdits polymères renforcé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52108A (en) 1998-12-22
EP0742252A2 (en) 1996-11-13
EP0742252B1 (en) 2002-06-12
CN1136049A (zh) 1996-11-20
MY113231A (en) 2001-12-31
EP0742252A3 (en) 1998-11-04
CA2169246A1 (en) 199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vas et al. The use of polyethylene copolymers as compatibilizers in carbon fiber reinforc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es
CA1307606C (en) Method of preparing blends of incompatible hydrocarbon polymers
Yang et al. Effect of different compatibilizing age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gnocellulosic material filled polyethylene bio-composites
Luo et al. Rubber/plastic blends based on devulcanized ground tire rubber
JP5295974B2 (ja) ナイロンポリマー複合材料
Altan et al. Tensile properties of polypropylene/metal oxide nano composites
Yilmazer Tensile, flexural and impact properties of a thermoplastic matrix reinforced by glass fiber and glass bead hybrids
KR960041256A (ko) 수지강화용 복합입상재료,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강화수지조성물
Liang et al. Impact fracture behavior of PP/EPDM/glass bead ternary composites
KR20010023235A (ko) 내충격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u et al. On the post-mortem fracture surface morphology of short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Andreopoulos et al. Rubber-modified polymer composites
Meng et al. Effects of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maleic anhydride compatibilized in‐situ composites of polypropylene with liquid crystalline polymer
JPH0940865A (ja)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2965701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7299A (zh) 一种用滑石粉填充的聚丙烯组合物
JP200409982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ewailem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rubber-toughened post-industrial glass-fiber-reinforced PA66
KR20100000782A (ko) 생분해성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0367828B1 (ko) 충격강도가 향상된 스티렌계 열가소성 복합재료
Boogh et al. Dendritic-based additives for polymer matrix composites
Liang et al. Self‐reinforced polypropylene/LCP extruded strands and their moldings
JP2003155412A (ja) 樹脂成形体
JPH07196882A (ja) 合成樹脂製品
Liao et al. Rubber-Toughened polymer blends of polycarbonate (PC) an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