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631B1 -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631B1
KR960015631B1 KR1019880011724A KR880011724A KR960015631B1 KR 960015631 B1 KR960015631 B1 KR 960015631B1 KR 1019880011724 A KR1019880011724 A KR 1019880011724A KR 880011724 A KR880011724 A KR 880011724A KR 960015631 B1 KR960015631 B1 KR 96001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polymer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205A (ko
Inventor
시게미쓰 칸베
히데아키 미야후지
Original Assignee
닛본 세키유 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카다야마 유타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키유 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카다야마 유타카 filed Critical 닛본 세키유 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10T428/1345Single layer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1도는 대표적인 LLDPE,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EPR의 DSC에 의한 결정 용융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겹포장 봉투에 관한 것으로, 다시 말하면 에틸렌계 중합체 3종류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내저온 충격성이 뛰어나고, 적절한 강성을 지닌 이중 포장 봉투용 필름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조성물에서 얻어지는 이중 포장 봉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필름, 특히, 비료, 공업약품, 설탕, 소금, 토양등의 수납에 사용하는 이중 포장 봉투용 필름으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봉투는 중량물을 수납한 후의 운반작업중에 보통 극히 거친 취급을 받는 일이 있으므로 그 재료필름은 우선 첫째로 내충격성, 특히, 내저온 충격성이 요구된다. 또한, 내용물의 자동충전작업시에 필요한 봉투의 자립성을 위하여 필름은 빳빳해야하며, 즉, 적당한 강성이 요구된다.
최근 자원 절약을 목적으로 이중 봉투 필름의 두께를 200㎛ 이하로 감소시키는 방향이 검토되고 있고, 이를 위하여 사용하는 수지에도 종래 이상으로 상기 특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원 절약형의 이중 봉투용 필름으로는 우선 직쇄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들 수 있으나, LLDPE는 용융장력이 작기 때문에 팽창 성형시에 기포의 안정성이 손상되어 제막성이 저하되므로 반드시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것의 개량법으로서 LLDPE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EVA 등을 혼합하면(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61-225235호 공보), 충분한 내저온 충격성을 얻을 수 없고, 또 내충격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EPR, EPDM등)를 첨가하면 필름의 강성이 저하되어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고려하여 내충격성 및 강성이 우수한 이중 봉투용 필름에 적합한 신규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등은 상기의 목적에 따라 검토한 결과, 밀도 0.910-0.940/㎤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LLDPE), 에틸렌-카르복실시 함유 단량체 공중합체 및 특정의 저밀도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를 배합함으로써 내저온 충격성, 강성 및 유동성의 균형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것에 따라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a) 밀도 0.910-0.940g/㎤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 (b) 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70-5중량% 및 (C) (ⅰ) 밀도 0.860g/㎤ 이상 0.910g/㎤ 미만, (ⅱ) 차등 주사 열량 측정법(이하 "DSC"로 칭함)에 의한 최대 피크 온도 100℃ 이상, (ⅲ) 비등 n-헥산 불용성분 10중량% 이상의 특징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0-5중량%로 구성되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에서 얻은 이중 포장 봉투이다.
본 발명의 (a)성분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밀도가 0.910-0.940g/㎤의 범위인 것, 즉 통상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호칭되는 것이 사용된다. 밀도가 0.910g/㎤ 미만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제조한 필름의 빳빳함이 약하고, 즉, 강성이 낮고, 한편 0.940g/㎤를 초과하면 필름의 내충격성이 약해진다.
상기 (a)성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하 "MFR"로 기재함)은 조성물의 유동성 및 강도를 고려하여 0.05-10g/10분, 바람직하게는 0.1-5g/1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b)성분인 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에는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예를들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등, 또는 그들의 금속염 (예를 들면 이오노머등)을 포함한다. 또다른 공중합체의 예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딘량체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은 3-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범위이다.
이들 중에서 특히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이오노머 수지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가 좋다.
또, (b)성분의 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의 MFR는 유동성 및 강도를 고려하여 0.01-20g/10분, 바람직하게는 0.1-5g/1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c)성분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란 에틸렌과 C3-12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상기와 같은 특징(i)-(iii)을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인 α-올레핀으로는 프로필렌,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l-도데센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C3-6인 프로필렌, 1-부텐, 4-메틸-1-펜텐 및 1-헥센이다.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중의 α-을레핀 함량은 5-40몰%인 것이좋다.
이하에, (c)성분으로 사용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하는 촉매계는 적어도 마그네슘 밋 티탄을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조합한 것이다. 상기 고체 촉매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금속 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등의 마그네슘 화합물 뿐만 아니라 규소, 알루미늄, 칼슘에서 선택되는 원소와 마그네슘 원자를 함유하는 이중염, 이중산화물, 탄산염,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등; 이의 무기질 고체 화합물을 산소 함유 화합물, 황 함유 화합물, 방향족 탄화수소, 할로겐 함유 물질로 처리 또는 반응시킨 것등의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무기질 고체 화합물에 티탄 화합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담지시킨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산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물; 알콜, 페놀, 케톤, 알데히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폴리실록산, 산 아미드등의 유기 산소 함유 화합물; 금속 알콕시드, 금속 옥시염화물 등의 무기 산소 함유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황 함유 화합물로서는 티올, 티오에테르와 같은 유기 황 함유 화합물, 이산화황, 삼산화황, 황산과 같은 무기 황 함유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안트라센, 페난트렌과 같은 각종의 모노시클릭 및 폴리시클릭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할로겐 함유 화합물로서는 염소, 염화수소, 금속 염화물, 유기 할로겐화물과 같은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티타늄 화합물로서는 티타늄의 할로겐화물, 알콕시 할로겐화물, 알콕시드, 할로겐화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4가의 티타늄 화합물과 3가의 티타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4가의 티타늄 화합물로서는 일반식 Ti(OR)nX4-n으로 표시되며, 이때, R은 C1-20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고, n은 0
Figure kpo00001
n
Figure kpo00002
4의 정수이며, 그 예로는 사염화티타늄, 사브롬화티타늄, 사요오드화 티타늄, 모노메톡시트리클로로티타늄, 디메톡시디클로로티타늄, 트리메톡시모노클로로티타늄, 테트라메톡시티타늄, 모노에톡시트리클로로티타늄, 디에톡시 디클로로티타늄, 트리에톡시모노클로로티타늄, 테트라에톡시티타늄, 모노이소프로폭시트리클로로티타늄, 디이소프로폭시디클로로티타늄, 트리이소프로폭시모노클로로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시티타늄, 모노부톡시트리클로로티타늄, 디부톡시디클로로티타늄, 모노펜톡시트리클로로 티타늄, 모노페녹시트리클로로티타늄, 디페녹시디클로로티타늄, 트리페녹시모노클로로티타늄 및 테트라페녹시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3가 티타늄 화합물로서는 사염화티타늄, 사브롬화티타늄 등의 사할로겐화티타늄을 수소,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주기율표 I -Ⅲ족 금속의 유기 금속 화합물로 환원시켜 수득한 삼할로겐화티타늄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반식 Ti(OR)mX4-m으로 표시되는 4가 할로겐화 알콕시티타늄을 주기율표 I -Ⅲ족 금속의 유기 금속 화합물로 환원시켜 수득된 삼가의 티타늄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R은 C1-20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 원자이고, m은 0<m<4의 정수이다.
이들의 티타늄 화합물 중 4가의 티타늄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촉매계의 예로서는 고체 촉매 성분으로서 이른바 그리나드 화합물등의 유기 마그네슘 화합물과 티타늄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사용하여 이것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합한 촉매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 다른 촉매계의 예로서는 고체 촉매 성분으로서 SiO2Al2O3등의 무기산화물과 상기의 적어도 마그네슘 및 티타늄을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을 접촉시켜서 수득된 고체생성물을 사용하고, 이것에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합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에 나타낸 고체 촉매 성분과 합할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반식 R3Al, R2AlX, RAlX2, R2AlOR, RAl(OR)X 및 R3Al2X3의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이때, R은 각각 같거나 다른 C1-20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방향족 알킬기이며, X는 할로겐원자이며, 그 예로는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 염화물, 디에틸알루미늄 에톡시드, 에틸알루미늄 세스키염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의 사용량은 특히 제한된 것은 아니지만, 통상 티타늄 화합물 1몰에 대하여 0.1-1,000몰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 반응은 통상의 찌글러형 촉매를 사용한 올레핀의 중합반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된다. 더욱 상세히 하자면, 반응은 모두 실질적으로 산소, 물등이 유리된 상태에서 증기상, 또는 불활성 용매의 존재하에서 또는 단량체 자체를 용매로 하여 실시된다. 올레핀의 중합조건은 20-300℃, 바람직하게는 40-200℃의 온도, 상압 내지 70kg/㎠ㆍ G, 바람직하게는 2-60kg/㎠G의 압력이다. 분자량의 조절은 중합온도, 촉매의 몰비등의 중합조건의 변경에 따라서도 어느정도 조절할 수도 있으나, 중합계중에 수소를 첨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실시된다. 물론 수소농도, 중합농도 등의 중합조건이 서로다른 2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다단계의 중합반응도 하등의 지장없이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c)성분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i) 밀도 O.86Og/㎤ 이상 O.910g/㎤ 미만, (ii) DSC에 의하여 측정되는 최대 피크 온도(Tm)가 100℃ 이상, (iii) 비등 n-헥산 불용성분(C6불용성분)이 10중량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상기의 밀도가 0.910g/㎤ 이상의 경우에는 충격강도의 개량 효과가 보이지 않고, 또 밀도가 0.860g/㎤ 미만으로는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따라서 이들 모두는 좋지 않다.
또한, Tm이 100℃ 미만인 것은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내열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C5불용성분 함량이 1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비정질 부분이나 저분자량 성분이 많아지고, 내블로킹성, 내열성, 내유성 및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C)성분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MFR은 0.05-10g/10분, 바람직하게는 0.1-5g/10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상기 (c)성분은 고결정 부분과 비정성 부분이 공존하고 있고, 종래의 결정성 폴리올레핀이 가지는 기계적 강도, 내열성 및 내유성 등과 비정성 중합체가 가지는 고무상 탄성, 유연성등의 특성을 아울러 지니는 특수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고, 이것을 (a) 및 (b)성분과 배합함으로써 겹봉투용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각종의 특징을 다 가지며 균형있게 지지한 조성물이 용이하게 수득되는 것을 알았다.
종래, 시판되고 있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는 (a)성분과 동일한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에틸렌-프로필렌계 공중합체 고무(EPR)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종래의 이들 LLDPE 및 EPR과 명확히 구별된다. 예를들면, 제1도는 대표적인 LLDPE, 본 발명의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및 EPR의 DSC에 의한 결정 융해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LLDPE는 상당한 결정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의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에 비해서 내열성,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결핍되고 내충격성도 저하되는 것이다.
한편, 시판되는 EPR은 바나듐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매체로 제조되는 것으로 결정성이 거의 없다. 결정부분이 존재해도 극히 미량이어서, DSC에 의한 Tm도 아무리해도 100℃에 도달하지 못한다. 이와같은 EPR은 상기의 LLDPE의 결점인 유연성 및 내충격성의 부족은 나타나지는 않지만, 다른 방면에서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이 낮은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c)성분에 관한 DSC에 의한 Tm 및 C6불용성분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DSC에 의한 Tm의 측정법]
열압 성형시킨 두께 100㎛의 필름에서 약 5mg의 시료를 평량하고, 이를 DSC 장치에 설치하고, 170℃로 승온시켜서 그 온도로 15분 유지한 후, 감온속도 25℃/분으로 0℃까지 냉각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승온온도 10℃/분으로 170℃까지 승온시켜서 측정을 실시한다. 0℃에서 170℃로 승온할 동안에 나타난 피크중 최대의 피크의 정점 위치의 온도를 Tm로 한다.
[C6불용성분의 측정법]
열압을 사용하여 두께 200㎛의 시이트를 성형하고, 그것에서 20㎜×30㎜의 시이트를 3장 절취하여 그것들을 2중 관식 속슬레 추출기를 사용하여 비등 n-헥산으로 5시간 추출을 실시한다. n-헥산 불용성분을 꺼내어 진공건조(7시간,50℃) 후 다음 식에 의하여 C6불용성분을 산출한다.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배합 조성은 (a), (b) 및 (c)성분의 합계를 1OO중량%로 하여 (a)/(b)/(c)의 중량비가 20-80/70-5/50-5이고, 바람직하게는 30-70/40-10/40-10이다. (a)성분의 양이 8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또한, 20중량% 보다 적으면 강성이 부족하여 필름의 빳빳함이 약해지므로 다같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b)성분의 양이 70중량%를 초과하면 필름의 빳빳함이 약해지고, 한편 5중량% 보다 적으면 성형시의 용융장력이 작아져서 막형성 특성이 불량하여 모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c)성분의 양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도 필름의 빳빳함이 약해지고, 또한, 5중량% 보다 적으면 필름의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다같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a),(b) 및 (c)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면 된다. 혼합방법으로는 임의의 공지 기술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예로서는 Henschel 믹서, 압출기, 텀블러 등의 통상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무수 혼합, 용융 혼합등의 방법으로 실시한다.
또한, 용융 혼련시에 카본블랙, 탄산칼슘. 실리카, 금속섬유. 탄소섬유 등의 각종 충전제 또는 산화방지제, 난연화제, 착색제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혼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의 성능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의 결정성 폴리올레핀, 천연고무, 각종 합성고무, 스티렌계 열가소성 탄성체등의 각종 수지나 고무를 필요에 따라 배합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성형 방법에 의하여 필름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이중 포장 봉투를 제조할 수 있다.
공지의 성형방법에는 수지를 압출기로 용융 압출한 후 공기 냉각 또는 수냉에 의한 팽창방법 또는 냉각롤러에 의한 플랫 다이 방법등이 있다. 팽창 방법에는 내부축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롤을 사용한 플랫 다이 방법에서는 용융 수지의 냉각 속도가 빠르므로 수득되는 필름의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또한, 생산속도도 높은 특징이 있다. 이중 포장 봉투에서는 중량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플랫 필름으로 사이드시일을 하여 원통상으로 성형하는 것은 기계적 강도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고, 팽창방법으로 성형시킨 필름을 이중 포장 봉투로 하는 것이 좋다. 통상적으로 팽창 방법으로 형성시킨 원통상 필름을 횡단 방향으로 가열 봉합하므로써 봉투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여 이중 포장 봉투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막을 형성시킨 필름은 적당한 정도의 빳빳함을 구비하면서 내충격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고, 특히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씨 이중 봉투용 필름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특징의 측정은 하기의 방법에 의한 것이다.
[MFR, 밀도]
JIS K 6760에 따라 측정했다.
[인장 탄성률]
필름의 강성(빳빳함)의 표준으로 JIS K 7113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했다.
샘플(직사각형)
시험편 폭 : 20mm
손으로 잡는 간격 : 250mm
인장 속도 : 25mm/분
필름의 MD(세로 방향)/CD(가로 방향)에 대하여 측정하여,1,500kgf/㎠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필름 충격 강도]
ASTM D 1709(A 방법)에 따라 다트(dart)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700g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봉투 낙하 테스트]
이중 봉투에 비료를 20kg 충전시킨 후, 입구를 밀봉하고, -10℃의 저온실에서 1.2m의 높이에서 같은 측면을 아래 방향으로 하여 5회, 또 다른 측면을 아래방향으로 하여 5회 바닥에 낙하시키고, 봉투 파손 유무를 조사했다. 20개에 대하여 실시하고, 파손되지 않은 봉투의 비율(%)을 보고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a),(b) 및 (c)성분으로 다음의 중합체를 사용했다.
(a) 성분 :
(A)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1)
(밀도 0.920g/㎤, MFR 0.8g/10분, 상품명 日石 LINIREX AF 1210, 日本石油化學株式會社 제품)
(b) 성분 :
(D)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주합체(1)
(아크릴산 에틸 함량 10중량%, MFR 0.4g/10분; 상품명; 日石 REXLON EEA A 1100, 日本石油化學株式會社 제품)
(c) 성분 :
실질적으로 무수 상태인 염화 마그네슘, 1,2-디클로로에탄 및 사염화티타늄에서 얻은 고체 촉매성분과 트리에틸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부텐과의 중합을 실시하여 하기에 표시하는 공중합체를 얻었다.
(G)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1)
(1-부텐함량 10몰%, 밀도 0.900g/㎤, MFR 0.3g/10분, Tm 120℃, C6불용성분 80중량%)
상기 (a), (b) 및 (c)성분을 예정된 중량비로 무수 혼합하여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산출하였다. 각 성분의 배합량을 표-1에 표시한다.(필름 및 이중 봉투의 제조 방법)
필름의 제조
상기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무수 혼합물을 사용하여 하기의 장치 및 조건으로 이중 봉투용의 관상 필름을 제조했다.
70mmø인 압출기 : (다이 직경 200mmø, 리프 간격 2.2mm)
성형 속도 : 약 14m/분
필름 두께 : 150㎛
필름의 접은 직경 : 450mm
이중 봉투의 제조
상기 관상 필름의 길이 700mm로 절단하여 한쪽의 단부를 가열 봉합(바 봉합 온도 170-200℃) 하여 이중 봉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얻은 필름 및 이중 봉투의 특징 평가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실시예 6-14
(a), (b) 및 (c)성분으로서 상기의 (A), (D) 및 (G)이외에 하기 것을 사용한 이외는 상기와 완전 동일하게 하여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다시 이들을 사용하여 필름 및 이중 봉투를 제조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a) 성분 :
(B)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2)
(밀도 0.935g/㎤, MFR 20g/10분 ; 상품명 : 日石 LINIREX AF 3710, 日本石油化學株式會社 제품)
(b) 성분:
(E)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2)
(아크릴산 에틸 함량 15중량%, MFR 1.5g/10분 ; 상품명 : 日石 REXLON EEA A 2150, 日本石油化學株式會社 제품)
(F)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 비닐 함량 7중량%, MFR 0.3g/10분)
(c) 성분 :
상기 (G)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반응시켜서 다음의 공중합체를 얻었다.
(H)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1)
(프로필렌 함량 24몰%, 밀도 0.880g/㎤, MFR 0.9g/10분, Tm 119℃, C6불용성분, 45중량%)
또한, 실질적으로 무수상태인 염화마그네슘, 안트라센 및 사염화티타늄에서 얻은 고체 촉매 성분과 트리에틸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1-부텐과의 중합을 실시하여 하기에 표시하는 공중합체를 얻었다.
(I)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2)
(프로필렌 함량 19몰%, 밀도 0.890g/㎤, MFR 1.0g/10분, Tm 122℃, C6불용성분 58중량%)
(J)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2)
(1-부텐 함량 8몰%, 밀도 0.905g/㎤, MFR 1.0g/10분, Tm 121℃, C6불용성분 90중량%)
비교예 6
(a)성분으로서 하기의 것을 사용한 것이외는 실시예 13과 완전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 필름 및 이중 봉투를 제조하고,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a) 성분 :
(c) 고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50g/㎤, MFR 0.6g/10분; 상품명 : 日石 STAFLENE E 807(F), 日本石油化學株式會社 제품)
비교예 7
(c)성분으로 하기의 것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 필름 및 이중 봉투를 제조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c) 성분:
(K)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삼염화 바나딜-에틸알루미늄 세스키염화물계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얻었다. 얻은 공중합체 고무는 프로필렌 함량 30몰%, 무니 점도(ML1-4, 100℃) 73, 밀도 0.862g/㎤이었다. 또 DSC에 의한 피크는 나타나지 않고, C6불용성분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a), (b) 및 (c)성분 및 그 배합 조성이 본 발명의 범위내인 실시예 1-13의 필름 및 이중 봉투는 모두 내충격성 및 강성에 있어서 우수하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위 밖인 비교예 1-7은 내충격성 및 강성중 적어도 어느 것이 떨어지는가를 알 수 있다.
Figure kpo00004

Claims (5)

  1. (a) 밀도 0.910-0.940g/㎤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20-80중량%, (b) 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를 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70-5중량%, 및 (C) (ⅰ) 밀도 0.860g/㎤ 이상 0.901g/㎤ 미만, (ⅱ) 차등 주사 열량 측정법(DSC)에 의한 최대 피크 온도 100℃ 이상, (ⅲ) 비등 n-헥산불용성분 10중량% 이상의 특징을 갖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50-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a), (b) 및 (c)성분의 합계를 100중량%로 하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가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적어도 마그네슘과 티타늄을 함유하는 고체성분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구성되는 촉매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과 C3-12의 α-올레핀을 중합시켜서 산출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틸렌과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와의 공중합체에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이 3-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의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필름으로 형성된 이중 포장 봉투.
KR1019880011724A 1987-09-11 1988-09-10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60015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26462A JPH07103276B2 (ja) 1987-09-11 1987-09-11 エチレ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2-226462 1987-09-11
JP226462/87 1987-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205A KR890005205A (ko) 1989-05-13
KR960015631B1 true KR960015631B1 (ko) 1996-11-18

Family

ID=1684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724A KR960015631B1 (ko) 1987-09-11 1988-09-10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77663A (ko)
EP (1) EP0308131B1 (ko)
JP (1) JPH07103276B2 (ko)
KR (1) KR960015631B1 (ko)
CN (1) CN1019811B (ko)
CA (1) CA1308507C (ko)
DE (1) DE388904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5947A1 (de) * 1989-02-25 1990-09-06 Basf Ag Optisch transparente polymerlegierung und ihre verwendung in formmassen, formteilen, folien, ueberzuegen, klebmitteln und lichtempfindlichen aufzeichnungselementen
US5223311A (en) * 1989-05-22 1993-06-29 Showa Denko K.K. Lamin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399439B1 (en) * 1989-05-22 1999-08-04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producing a laminate
US5112696A (en) * 1989-07-20 1992-05-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 monolayer shrink film for products containing moisture
JP2828469B2 (ja) * 1989-08-31 1998-11-25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熱収縮チューブ用架橋用エ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FR2656321B1 (fr) * 1989-12-27 1992-03-27 Norsolor Sa Compositions comprenant des copolymeres d'ethylene.
AU1565792A (en) * 1991-03-22 1992-10-21 Desmarais & Frere Lt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of welding same
US5288531A (en) * 1991-08-09 1994-02-22 The Dow Chemical Company Pouch for packaging flowable materials
US5283128A (en) * 1992-03-23 1994-02-01 Viskase Corporation Biaxially oriented heat shrinkable film
US5344884A (en) * 1992-10-08 1994-09-06 Phillips Petroleum Company Polyethylene blends
GB9222356D0 (en) * 1992-10-23 1992-12-09 Exxon Chemical Technology Cent Food wrap film
US5360648A (en) * 1993-06-24 1994-11-01 The Dow Chemical Company Pouch for packaging flowable materials
EP0656393B1 (en) * 1993-11-29 1998-06-1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Resin composition for extrusion moulding
US6682825B1 (en) * 1994-06-06 2004-01-27 Cryovac, Inc. Films having enhanced sealing characteristics and packages containing same
FR2721039B1 (fr) * 1994-06-13 1997-04-04 Atochem Elf Sa Colles thermofusibles à base de copolymères éthylène - (meth)acrylate.
AU720652B2 (en) * 1995-12-15 2000-06-08 Cryovac, Inc. Film having excellent ink adhesion in combination with enhanced slip, antifog, and/or antistatic properties
US6117553A (en) * 1996-11-28 2000-09-1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ulti-layer self-tack wrapping film
IT1292110B1 (it) * 1997-06-09 1999-01-25 Nuova Pansac Spa Film poliolefinico ed uso di qust'ultimo per la realizzazione di prodotti per l'igiene personale
FI981298A (fi) 1998-06-05 1999-12-06 Borealis Polymers Oy Polymeerikoostumukset
US6827807B2 (en) * 2002-04-09 2004-12-07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structures having a layer formed from a blend of an ethylene-alpha-olefin interpolymer and an ethylene-alkyl acrylate interpolymer
US7641949B2 (en) * 2004-05-20 2010-0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ressure vessel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S2637149T3 (es) * 2014-08-14 2017-10-11 Evonik Degussa Gmbh Mezcla de mercaptosilano-cera revestida de material sintétic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28055B1 (fr) * 1982-06-03 1986-01-24 Charbonnages Ste Chimique Compositions de polyethylene radicalaire et de copolymeres ethylene/a-olefine et leur application a la fabrication de films
US4451536A (en) * 1982-06-15 1984-05-29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Heat distortion-resistant thermoplastic semi-conductive composition
US4678836A (en) * 1984-01-03 1987-07-07 The Dow Chemical Company Blends of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s with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US4590124A (en) * 1984-05-10 1986-05-20 W. R. Grace & Co., Cryovac Div. Storm window film
JPS61152753A (ja) * 1984-12-27 1986-07-11 Nippon Oil Co Ltd 架橋樹脂組成物
JPS61255951A (ja) * 1985-05-09 1986-11-13 Nippon Petrochem Co Ltd 低煙性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S62112644A (ja) * 1985-11-11 1987-05-23 Nippon Petrochem Co Ltd 軟質ポリオレフイン系組成物
CA1297651C (en) * 1986-03-03 1992-03-24 Tomoji Mizutani Heat shrinkabl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48A (zh) 1989-03-22
CN1019811B (zh) 1992-12-30
DE3889045T2 (de) 1994-07-21
JPS6469650A (en) 1989-03-15
CA1308507C (en) 1992-10-06
EP0308131A2 (en) 1989-03-22
JPH07103276B2 (ja) 1995-11-08
KR890005205A (ko) 1989-05-13
EP0308131A3 (en) 1990-08-29
US4877663A (en) 1989-10-31
EP0308131B1 (en) 1994-04-13
DE3889045D1 (de) 199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5631B1 (ko) 에틸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RU2146728C1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выполненное из нее формованное изделие
KR950003772B1 (ko) 연질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차량 외장재용 동일 조성물
US4587039A (en) Electrically-conductive resin composition
US4942096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2753840B2 (ja) 無機難燃剤高充填難燃性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EP0235956A2 (en) Polyolefin composition having high rigidity and high impact resistance
US5268220A (en) Polypropylene film
EP0397517B1 (en) Polypropylene film
US6541592B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and ethylene-α-olefin copolymer
EP0994920B1 (en) Polyolefin compositions and films obtained therefrom
JP3746348B2 (ja)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フィルム
JP4195326B2 (ja) 空冷インフレーション成形多層フィルム
JP3146449B2 (ja) マット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598869B2 (en) Bag containing a powdery or particulate elastomer material
JPS646654B2 (ko)
JP3547534B2 (ja) 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
JPS63297441A (ja) 成形材料
JPH0211638A (ja) 熱可塑性樹脂改質用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の製造方法
JPS63297442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
JP2736041B2 (ja) 熱可塑性樹脂改質用マスターバッチペレットの製造方法
JP2000351851A (ja) 新規な熱可塑性樹脂改質用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ストランド
JPH10298359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717755B2 (ja) 熱可塑性樹脂改質用マスターバッチ組成物の製造方法
JPH0565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