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807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807B1
KR960014807B1 KR1019880005069A KR880005069A KR960014807B1 KR 960014807 B1 KR960014807 B1 KR 960014807B1 KR 1019880005069 A KR1019880005069 A KR 1019880005069A KR 880005069 A KR880005069 A KR 880005069A KR 960014807 B1 KR960014807 B1 KR 960014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blower
blower
electric
chamber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524A (ko
Inventor
슈지 와타나베
오사무 도비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기아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기아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기아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8001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청소기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요부종단면도.
제2도는 전체사시도.
제3도는 하부 수납용기측의 요부분해사시도.
제4도는 하부 수납용기의 저면측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상부 수납용기의 사시도.
제6도는 차음용기부의 횡단면도.
제7도는 하부 수납용기의 소음부의 횡단면도.
제8도는 소음효과를 나타낸 주파수특성도.
본 발명은 가정용으로서 적합한 전기청소기, 특히 이것에 사용되는 전동송풍기의 여러 문제를 해결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청소기로서는, 일본국 특개소 제61-115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수납용기내에 밀폐구획된 전동송풍기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내에 전동송풍기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전동송풍기 수납실의 격벽으로 되는 차음(遮音)덮개에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 외주를 앞부분 방진(防振)고무에 의해서, 또한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를 뒷부분 방진고무에 의해서, 각각 방진지지하고 있다. 또한, 앞부분 방진고무는 차음덮개와의 기밀(氣密)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차음덮개의 내벽에 압전하는 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전동송풍기의 중량이 앞부분 방진고무와 뒷부분 방진고무의 각각의 하측 부분만에 가해지므로, 특히 앞부분 방진고무의 하측 부분의 돌기부분이 강하게 눌려서 변형되고, 또한 앞부분 방진고무의 상측부분의 돌기부분의 차음덮개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전동송풍기가 회전하면 전동송풍기의 상류측이 부압(負壓)으로 되므로, 앞부분 방진고무를 상류측으로 이동시키는 압력, 즉 전동송풍기의 중량에 의한 압력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압력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앞부분 방진고무의 상측부분의 돌기부분과 차음덮개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앞부분 방진고무에 의한 기밀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예에서는, 조립시에 차음덮개에 대해서 돌기를 가진 앞부분 방진고무를 압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돌기부분이 변형될 위험이 매우 높고, 충분한 기밀 및 방진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예에서는, 전동송풍기의 본체 수납용기에의 내장구성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으며, 차음덮개에 전동송풍기를 내장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 및 대용량의 전동송풍기를 사용하여 배기류가 고온으로 된 경우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아서, 이 경우에는 차음덮개가 열변형되어 버리는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에 대처하여, 전동송풍기의 방진 및 기밀 유지를 충분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전동송풍기의 본체 수납용기에의 내장이 간단하고, 또한, 용량이 큰 전동송풍기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차음덮개의 열변형방지에도 대응할 수 있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집진실과, 이 집진실에 연통된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연통된 전동송풍기 수납실과, 이 전동송풍기 수납실에 연통된 배기로와, 이 배기로에 연통된 배기실을 내부에 밀폐구획 형성한 본체 수납용기와, 송풍기부 및 전동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동송풍기로서,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내에 그 송풍기부측이 그 전동기부측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측을 덮는 원통형 돌출벽과, 상기 본체수납용기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측을 덮는 차음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구성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본체 수납용기내에 밀폐구획된 전동송풍기 수납실내에 송풍기부측이 전동기부의 하측으로 되도록 전동송풍기를 수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측을 기밀적으로 방진지지하는 탄성체의 전영역에 전동송풍기의 중량에 의한 압착력과 전동송풍기의 회전에 의한 부압발생에 수반되는 흡인력이 균등하게 가해지고, 또한 그 압착력과 흡입력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강한 압착력이 가해지므로, 전동송풍기 수납실의 격벽과 탄성체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탄성체에 의한 충분한 기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 수납실의 격벽을 본체 수납용기와 일체로 형성한 원통형 돌출벽과, 본체 수납용기와는 별체의 차음덮개로 형성하고, 차음덮개를 원통형 돌출벽에 재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원통형 돌출벽내에 전동송풍기를 내장한 후, 차음덮개를 원통형 돌출벽에 재치고정하면, 간단히 전동송풍기를 전동송풍기 수납실에 내장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통형 돌출벽에 차음덮개를 재치하는 구성이므로, 용량이 큰 전동송풍기를 사용함으로써, 그 전동송풍기의 배기류가 고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차음덮개만을 내열성의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전동송풍기 수납실의 격벽의 열변형을 본체 수납용기 전체를 내열성의 재료로 성형하지 않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동송풍기의 수직 설치에 의해 전동송풍기의 중량 및 전동송풍기의 회전에 의한 부압의 2가지 원인에 의한 압착력을 탄성체에 가할 수 있으므로, 탄성체에 변형될 위험이 있는 돌기를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한 기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전기청소기의 본체 수납용기(1)는 상하로 2분할이 가능한 상부 수납용기(2)와 하부 수납용기(3)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납용기(2) 및 하부 수납용기(3)는 합성수지제이다. 본체 수납용기(1)내에는 집진실(4)과, 이 집진실(4)에 연통된 연통로(5)와, 이 연통로(5)에 연통된 전동송풍기 수납실(6)과, 이 전동송풍기 수납실(6)에 연통된 배기로(7)와, 이 배기로(7)에 연통된 소음로(消音路)(8)와, 이 소음로(8)에 연통된 배기실(9)이 밀폐구획 형성되어 있다.
전동송풍기 수납실(6)을 구획하는 격벽은 하부 수납용기(3)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전동송풍기(10)의 송풍기부(10a)측을 덮는 원통형 돌출벽(11)과, 본체수납용기(1)와는 별체로 형성되며, 또한 전동송풍기(10)의 전동기부(10b)측을 덮는 차음(遮音) 덮개(12)로 이루어져 있다. 차음덮개(12)는 그 개구단면 전체둘레 형성된 홈부(12a)를 원통형 돌출벽(11)의 개구단면 전체둘레(11a)에 기밀하게 끼워맞춘 후,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13), (13a)에 의해 원통형 돌출벽(11)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된다.
집진실(4)은 전동송풍기 수납실(6)의 옆에 병렬설치되어 있다. 연통로(5)는 전동송풍기 수납실(6)의 격벽하부, 즉 원통형 돌출벽(11)의 측벽 하부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로(7)는 전동송풍기 수납실(6)의 격벽 상부 즉 차음덮개(12)의 측벽 상부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로(7)의 유입측은 차음덮개(12)와 일체로 그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기로(7)는 차음덮개(12)의 측벽에 따라서 낙하하고 있다. 배기로(7)의 유출측은 하부 수납용기(3)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돌출벽(11)과 일체로 그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차음덮개(12)는 상부 수납용기(2) 및 하부 수납용기(3)보다 내열성이 큰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소음로(8)는 하부 수납용기(3)의 저면과, 이 저면에 기밀유지되는 용기덮개(14)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소음로(8)는 대략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본체 수납용기(1)의 후부에 배치한 배기실(9)에 연통되어 있다. 용기덮개(14)의 내표면에는 흡음재(15)가 부착되어 있다. 용기덮개(14)는 합성수제이다. 배기로(7)와 소음로(8)는 하부 수납용기(3)의 저면에 형성되는 개구에 의해 연통된다.
배기로(7)의 통로단면적은 차음덮개(12)의 통로단면적보다 작게 되어 있다. 소음로(8)의 통로단면적은 배기로(7)의 통로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배기실(9)의 통로단면적은 소음로(8)의 통로단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로(5)의 입구에는 종이조작 등의 큰 먼지가 전동송풍기 수납실(6)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작은 돌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로(5)로부터 전동송풍기 수납실(6)에 설치한 전동송풍기(10)에 이르는 유로에는 1개의 안내돌기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돌기부(17)는 하부 수납용기(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집진실(4)로부터의 공기를 전동송풍기(10)의 송풍기부(10a)의 입구에 향하여 원활하게 인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동송풍기 수납실(6)로부터 배기로(7)에 이르는 유로의 내벽은 배기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배기로(7)로부터 소음로(8)에 이르는 유로의 내벽은 배기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음로(8)내에는 배기류의 방향을 180°방향전환하여 배기실(9)에 원활하게 인도하기 위한 복수개의 정류날개(18)가 설치되어 있다. 정류날개(18)는 하부 수납용기(3)의 저면과 일체로 성형된다. 정류날개(18)의 상류측, 즉 정류날개(18)의 유입측에는 정류망(19)이 설치된다. 정류망(19)은 정류날개(18)의 유입측에 있어서 기류음(氣流音)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눈이 작은 메시의 합성수지제 망 또는 금속재 망으로 되어 있다.
차음덮개(12)에는, 배기로(7)의 유입측이 일체로 그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돌출벽(11)에는, 배기로(7)의 배출측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돌출벽(11)에 차음덮개(12)를 재치함으로써, 전동송풍기 수납실(6)로부터의 배기류를 소음로(8)에 인도하는 배기로(7)가 완성된다.
전동송풍기 수납실(6)내에는, 전동송풍기(10)를 그 송풍기(10a)가 전동기부(10b)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설치한다. 원통형 돌출벽(11)의 내주벽면 하부에는, 전동송풍기(10)의 송풍기부(10a)측을 기밀방진하는 링형의 제1탄성체(20)가 재치되는 재치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21)는 하부 수납용기(3)와 일체로 형성된 링형의 돌기로 되어 있다.
차음덮개(12)내에는, 전동송풍기(10)의 전동기부(10b)을 방진지지하는 제2탄성체(22)가 장착되는 부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23)는 제2탄성체(22)가 압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제1탄성체(20) 및 제2탄성체(22)는 모두 방진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전동송풍기(10)의 전동기부(10b)측의 외주에는, 원통형의 흡음덮개(24)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로(7)의 유입측은 전동송풍기(10)의 전동기부(10b)외주의 접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차음덮개(12)의 내주벽에는 필요에 따라서 흡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탄성체(22)는 전동기부(10b)의 상면에 돌출하는 회전축받이 볼록부(10c)의 외주에 끼워 맞춤으로써, 전동송풍기(10)에 부착된다.
하부 수납용기(3)의 뒤쪽벽에는 격자(格子)형의 배기창(3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창(3a)은 배기실(9)에 연통되어 있다. 배기창(3a)의 상류측에는, 미세먼지 필터(25)가 본체 수납용기(1)밖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 수납용기(3)의 저면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바퀴(26)와 2개의 뒷바퀴(27), (27a)가 부착되어 있다.
하부 수납용기(3)에 상부 수납용기(2)를 나사(28)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본체 수납용기(1)가 완성된다. 상부 수납용기(2)의 개구, 즉 집진실(4)의 개구는 덮개체(29)에 의해 덮힌다. 덮개체(29)는 상부 수납용기(2)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다. 덮개체(29)에는 흡입구(30)가 형성된다. 흡입구(30)에는 흡입관(31)의 조인트(32)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제2도). 상부 수납용기(2)의 상면에는, 손잡이(33)가 부착되어 있다.
집진실(4)내에는, 부직포(不織布)등으로 된 집진용기(34)가 부착 및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집진용기(34)내에는, 종이포대로 된 1회용 포대형의 필터(35)가 수납된다. 포대형 필터(35)의 입구는 덮개체(29)를 닫으며, 덮개체(29)의 흡입구(30)에 기밀유지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관(31)은 조인트(32)에 의해 덮개체(29)에 360°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흡입관(31)에는, 연장관(36), 흡입구(37)가 접속된다. 덮개체(29)에는, 방향재(芳香材)를 수납하는 방향재 수납실(38)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납용기(2)와 하부 수납용기(3)의 앞끝부에는 본체 수납용기(1)를 가지고 다니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납용기(2)에는 집진미터가 수납되어 있다. 덮개체(29)는 합성수지제이고, 닫았을 때에 상부 수납용기(2)의 개구와의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집진실(4)과 연통로(5)와의 사이에는, 필요하다면 눈이 큰 필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집진용기(34)는 포대형의 필터(35)의 장착을 잊었을 때에는, 그 자체로 청소할 수 있도록 눈이 작은 필터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요구된다. 집진용기(34)는 더러워졌을 때, 물로 씻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동송풍기(10)는 송풍기부(10a)로부터 흘러온 공기가 전동기부(10b)내를 냉각한 후, 전동기부(10b)의 외주에 설치한 창으로부터 그 외주가 접선방향으로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기부(10b)내에는 정류자전동기구가 내장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음덮개(12b)와 원통형 돌출벽(11)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로(7)에는 회로기판(39)의 돌출편(39a)이 설치된다. 코드감게 수납실(40)은 본체 수납용기(1)내의 전동송풍기 수납실(6)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음덮개(12)의 외주 상벽에는 회로기판(39)을 재치하기 용이하도록 평탄부(12b)에는 돌출현(39a)을 삽입하는 좁고 긴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동송풍기(10)를 회전시키면, 공기가 흡입구(30)로부터 포대형 필터(35)로 들어가서, 포대형 필터(35)와 집진용기(34)를 통과하여 연통로(5)로부터 전동송풍기 수납실(6)내에 유입되고, 안내돌기부(17)에 의해 원활하게 송풍기부(10a)내에 인도된다. 송풍기부(10a)로부터 유출된 공기는 전동기부(10b)내를 냉각한 후, 전동기부(10b)의 외주에 배기류로 되어서 팽창유출된다. 이때, 전동송풍기(10)로 부터 발생하는 소음(騷音), 볼베이링 회전음 등의 소음은 차음덮개(12)에 의해 차음된다. 전동송풍기 수납실(6)로부터 배기류는 배기로(7)내에 압축유출되어 배기로(7)를 낙하한 후, 소음로(8)내에 팽창유출된다. 소음로(8)내에 유출된 배기류는 복수개의 정류날개(18)에 의해 복수개로 분류(分流)되는 동시에, 180°방향 전환하여 배기실(9)에 들어갔다가 여기로부터 배기창(3a)을 지나 본체 수납용기(1)밖으로 유출된다. 소음로(8)내에서 분류된 배기류는 합류한 후, 배기실(9)내에 팽창유출된다.
전동송풍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소음은 배기류가 배기로(7), 소음로(8) 및 배기실(9)의 사이를 흐르고 있을 때에, 팽창과 압축을 반복함으로써 저감되고, 또한 소음로(8)의 흡음재(15)의 작용으로 한층 저감된다.
집진용기(34)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나 전동송풍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브러시가루 등의 미세먼지를 전동송풍기 수납실(6), 배기로(7), 소음로(8) 및 배기실(9)로부터 본체 수납용기(1)내외로 새어나가지 않고, 미세먼지 필터(25)에 의해 여과되어서 청정한 공기만을 배기창(3a)으로부터 유출하고, 또한 본체 수납용기(1)내가 오염되지 않으므로, 전자청소기를 위생적이다.
전동송풍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소음은 차음덮개(12)와 상부 수납용기(2)의 2중벽에 의해 차음되는 상태로 되어, 본체 수납용기(1)의 위쪽에서는 매우 작게 들리는데 불과하다.
소음로(8)는 하부 수납용기(3)의 저면을 이용하여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가 긴 소음로(8)를 만드는 것이 용이하며, 또 이것을 만들어도 본체 수납용기(1)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전동송풍기(10)로서 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고, 또한 집진용기(34) 또는 포대형필터(35)가 눈막힘에 의해 전동기부(10b)내의 냉각풍량이 감소한 경우에는, 전동기부(10b)로부터 유출되는 배기류는 높은 온도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차음덮개(12)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지만, 그 차음덮개(12)를 내열성이 큰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차음덮개(12)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음덮개(12)는 본체 수납용기(1)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원통형 돌출벽(11)에 재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차음덮개(12)만을 내열성이 큰 재료로 만들고, 본체 수납용기(1)는 저가격의 통상의 합성수지로 만들 수 있다.
전동송풍기(10)를 그 송풍기부(10a)가 전동기부(10b)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배치로 전동송풍기 수납실(6)내에 수납하면, 제1탄성체(20)의 전영역에서 전동송풍기(10)의 중량과, 전동송풍기(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부압에 의한 압착력이 동일방향으로 가해지게 되어, 제1탄성체(20)가 재치부(21)의 전영역에서 강하고 균등한 압착력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되므로, 안정된 기밀방진효과가 얻어진다.
전동송풍기(10)를 하부 수납용기(3)에 내장하는데는, 먼저 전동송풍기(10)를 미리 제1탄성체(20), 제2탄성체(22) 및 흡음덮개(24)를 부착한 후, 그 전동송풍기(10)를 원통형 돌출벽(11)내에 삽입하여 재치부(21)에 제1탄성체(20)를 재치한 상태로 한다. 그 후, 차음덮개(12)를 전동송풍기(10)위에 덮고, 또한 나사(13), (13a)를 사용하여 원통형 돌출벽(11)에 고정하면, 전동송풍기(10)의 내장이 종료된다. 전동송풍기(10)에 미리 제1탄성체(20), 제2탄성체(22) 및 흡음덮개(24)를 장착하지 않고, 원통형 돌출벽(11)내의 재치부(21)에 제1탄성체(20)를 재치하고, 그 제1탄성체(20)위에 전동송풍기(10)를 재치한 후, 전동송풍기(10)에 흡음덮개(24) 및 제2탄성체(22)를 장착하고, 그 위에 차음덮개(12)를 덮는 것도 가능하다.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전기청소기의 차음덮개(12)의 소음효과를 나타낸 주파수 특성도이다. 소음측 정위치는 상부 수납용기(2)의 위쪽 1m에서 측정하였다. 선 a는 종래예를 나타내고, 또한 선 b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특성도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예에 비하여 소음효과가 대폭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통로(5)가 짧게 되어 있으나, 더욱 길게 해도 된다. 또한, 역으로 집진실(4)과 전동송풍기 수납실(6)을 연통하는 단순한 구멍만으로도 된다. 또한, 소용량의 전동송풍기를 사용함으로써, 전동송풍기의 회전음이 작은 경우에는, 소음로(8)를 삭제하고, 배기로(7)를 배기실(9)에 직접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실로부터 공기를 연통로(5)-전동송풍기 수납실(6)-배기로(7)-소음로(8)-배기실(9)을 통해 본체 수납용기(1)내에 새어나가지 않고, 배기창(3a)으로부터 본체 수납용기(1)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기창(3a)의 바로 앞에 미세먼지 필터(25)를 설치함으로써, 집진실(4)로부터 배기실(9)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물론 전동송풍기로부터 발생하는 브러시가루 등의 미세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보다 위생적인 청소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집진실과, 이 집진실에 연통된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연통된 전동송풍기 수납실과, 이 전동송풍기 수납실에 연통된 배기로와, 이 배기로에 연통된 배기실을 내부에 밀폐구획 형성한 본체 수납용기와, 송풍기부 및 전동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동송풍기로서,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내에 그 송풍기부측이 그 전동기부측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측을 덮는 원통형 돌출벽과,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측을 덮는 차음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로는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의 격벽 상부측에 연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로는 상기 차음덮개의 측벽에 따라서 낙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4. 집진실과, 이 집진실에 연통된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연통된 전동송풍기 수납실과, 이 전동송풍기 수납실에 연통된 배기로와, 이 배기로에 연통된 소음로(消音路)와, 이 소음로에 연통된 배기실을 내부에 밀폐구획 형성한 본체 수납용기와, 송풍기부 및 전동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동송풍기로서,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내에 그 송풍기부측이 그 전동기부측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 측을 덮는 원통형 돌출벽과,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측을 덮는 차음덮개로 이루어지고, 이 차음덮개는 상기 원통형 돌출벽에 재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5. 집진실과, 이 집진실에 연통된 연통로와, 이 연통로에 연통된 전동송풍기 수납실과, 이 전동송풍기 수납실에 연통된 배기로와, 이 배기로에 연통된 소음로와, 이 소음로에 연통된 배기실을 내부에 밀폐구획 형성한 상하부 수납용기로 이루어지는 본체 수납용기와, 송풍기부 및 전동기부로 이루어지는 전동송풍기로서,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내에 그 송풍기부측이 그 전동기부측의 하측으로 되도록 수직으로 설치하는 전동송풍기와, 상기 본체 수납용기의 하부 수납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송풍기부측을 덮는 원통형 돌출벽과, 상기 본체 수납용기와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측을 덮는 차음덮개로 이루어지고, 이 차음덮개는 상기 원통형 돌출벽에 착탈가능하게 재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송풍기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원통형 돌출벽의 내부에 형성된 재치부에 재치되어 상기 전동송풍기의 송풍기 외주부의 기밀방진을 행하는 제1탄성체와, 상기 차음덮개내에 형성된 부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를 방진지지하는 제2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덮개의 재치부에 상기 제1탄성체를 재치하고, 이 제1탄성체 위에 상기 전동송풍기를 재치하고, 이 전동송풍기의 전동기부측을 흡음재로 덮은 후에, 상기 차음덮개를 상기 원통형 돌출벽에 나사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송풍기에 상기 흡음재,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를 미리 장착한 상태에서, 이 전동송풍기를 상기 차음덮개의 재치부에 재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880005069A 1987-05-06 1988-05-02 전기청소기 KR96001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09039A JPH0665332B2 (ja) 1987-05-06 1987-05-06 電気掃除機
JP62-109039 1987-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524A KR880013524A (ko) 1988-12-21
KR960014807B1 true KR960014807B1 (ko) 1996-10-21

Family

ID=1450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069A KR960014807B1 (ko) 1987-05-06 1988-05-02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89987B1 (ko)
JP (1) JPH0665332B2 (ko)
KR (1) KR960014807B1 (ko)
CN (1) CN1040720C (ko)
DE (1) DE38868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894B2 (ja) * 1989-09-29 1999-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H03182223A (ja) * 1989-12-08 1991-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3047984B2 (ja) * 1990-04-18 2000-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EP0453296B1 (en) * 1990-04-18 1994-11-02 Hitachi, Ltd. Vacuum cleaner
CA2136505C (en) * 1994-04-21 2004-08-17 Robert C. Berfield Motor mounting apparatus
DE19733687B4 (de) * 1996-08-12 2005-04-21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Motorgebläse für ein Reinigungsgerät
DE19754149C2 (de) * 1996-12-05 2000-11-09 Lg Electronics Inc Staubsauger
GB2321393B (en) * 1997-01-10 2001-07-25 White Consolidated Ind Inc Air filtrating self-propelled upright vacuum cleaner
EP1172059A1 (en) * 2000-07-14 2002-01-16 Nilfisk Advance A/S A suction apparatus with noise reduction means
FR2826851B1 (fr) * 2001-07-03 2004-08-06 Nielsen Innovation Aspirateur autonome a efficacite elevee
KR100445479B1 (ko) * 2001-12-2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모터하우징
GB0203147D0 (en) * 2002-02-11 2002-03-27 Dyson Ltd An exhaust assembly
KR100555205B1 (ko) * 2003-12-31 2006-03-0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DE102005017568B4 (de) 2005-04-11 2024-04-25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reinigungsgerät
DE102005017702A1 (de) 2005-04-11 2006-10-1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Verfahren zum Abreinigen der Filter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1489459B (zh) * 2006-07-29 2011-02-09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吸尘器
EP2046184B1 (de) 2006-07-29 2014-01-15 Alfred Kärcher GmbH & Co. KG Verfahren zum abreinigen der filter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502006007803D1 (de) 2006-07-29 2010-10-14 Kaercher Gmbh & Co Kg Alfred Verfahren zum abreinigen der filter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L2046182T3 (pl) 2006-07-29 2014-10-31 Kaercher Gmbh & Co Kg Alfred Odkurzacz z urządzeniem do samooczyszczania filtru
KR100767118B1 (ko) * 2006-10-31 2007-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WO2009066648A1 (ja) * 2007-11-22 2009-05-28 Kabushiki Kaisha Toshiba 電気掃除機
CN102421503B (zh) 2009-04-22 2014-03-12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对清洁用抽吸装置的两个过滤器进行清理的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抽吸装置
DE102009020769A1 (de) 2009-04-30 2010-11-0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reinigungsgerät
EP2451332B1 (de) 2009-07-07 2018-11-14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gerät für reinigungszwecke
JP5409182B2 (ja) * 2009-08-12 2014-02-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DE102011007206A1 (de) * 2011-04-12 2012-10-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Motoranordnung für ein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s Haushaltsgerät
CN102319044B (zh) * 2011-09-14 2013-08-21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JP6051174B2 (ja) * 2014-01-31 2016-12-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口体およ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DE102015118650A1 (de) * 2015-10-30 2017-05-0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gerät mit Schallschutzelement
EP3866658A1 (de) 2018-10-19 2021-08-25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maschine mit schallwinke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4253A (en) * 1944-08-05 1947-07-22 Eureka Williams Corp Suction cleaner
US2889006A (en) * 1955-06-07 1959-06-02 Pauline A Ortega Pneumatic cleaning device
US2930446A (en) * 1957-03-18 1960-03-29 Singer Mfg Co Canister type vacuum cleaners
JPS5842793Y2 (ja) * 1978-09-27 1983-09-2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熱交換器
DE2944749A1 (de) * 1979-11-06 1981-05-14 Rommag P. Wörwag & Co., Romanshorn Staubsauger
DE3225258C2 (de) * 1982-07-06 1985-11-28 Guido Oberdorfer Wap-Maschinen, 7919 Bellenberg Schmutzsauger
JPS61115529A (ja) * 1984-11-09 1986-06-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S6216730A (ja) * 1985-07-15 1987-01-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9987B1 (en) 1994-01-05
EP0289987A2 (en) 1988-11-09
DE3886809T2 (de) 1994-05-05
EP0289987A3 (en) 1990-02-07
DE3886809D1 (de) 1994-02-17
JPS63275313A (ja) 1988-11-14
KR880013524A (ko) 1988-12-21
JPH0665332B2 (ja) 1994-08-24
CN1040720C (zh) 1998-11-18
CN88102583A (zh) 1988-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807B1 (ko) 전기청소기
US7475449B2 (en) Vacuum cleaner
US3466696A (en) Vacuum cleaner
US20060257269A1 (en) Motor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229257C2 (ru) Корпус двигателя для пылесоса
RU238002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сновного корпуса пылесоса
KR100349292B1 (ko) 전기 청소기
KR100231435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JP4419586B2 (ja) 電動送風機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内蔵した電気掃除機
WO2002051296A1 (en) Vacuum cleaner
KR960014580B1 (ko) 진공청소기 권선장치의 전원코드 냉각구조
CN220365777U (zh) 一种风机及表面清洁设备
JPH04322626A (ja) 電気掃除機
JP3982322B2 (ja) 電気掃除機
KR20040080092A (ko) 진공청소기의 소음저감구조
JPH045935A (ja) 電気掃除機
JP2684512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0136318B1 (ko) 하부 가이드베인(Guide Vane)을 부착한 흡음방
KR200220648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CN116696859A (zh) 一种风机及表面清洁设备
JP2004174020A (ja) 電気掃除機
JPH10137158A (ja) 電気掃除機
JPS6090526A (ja) 掃除機
CN116236086A (zh) 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