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416B1 - 신호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416B1
KR960014416B1 KR1019890005278A KR890005278A KR960014416B1 KR 960014416 B1 KR960014416 B1 KR 960014416B1 KR 1019890005278 A KR1019890005278 A KR 1019890005278A KR 890005278 A KR890005278 A KR 890005278A KR 960014416 B1 KR960014416 B1 KR 96001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interruption
state
moth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800A (ko
Inventor
가즈오 니시지마
데루노부 미야자끼
에이사부로 사꼬우
도모하루 나까무라
미쯔루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1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2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only replying the state of th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신호 전송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송방법이 적용되는 배전계통의 구성을 나타낸 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전송방법에 있어서의 모국과 자국간의 송신 및 반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송방법을 영(0)상 캐리어 전송방식에 의하여 실현하는 장치의 구성을 타나낸 도.
제4a도 내지 4d도는 제3도의 전송방식에 있어서의 주요파형을 나타낸 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송방법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타임챠트.
제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송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타임챠트.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송방법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유용한 타임챠트.
제8도는 제7도에 표시된 전송방법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유용한 모국의 플로우챠트.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낸 전송방법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유용한 자국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전용 변압기 2 : 모국
3-1∼3-n : 주상 개폐기 4-1∼4-n : 자국
5-1∼5-n : 배전계통 10 : 배전선(고전압)
21 : 콘덴서 22 : 스위칭장치
23 : 대지(對地)정전용량 24, 25 : 콘덴서 분할기
26 ; 합성기 27 : 적(積)연산기
28 : 필터
본 발명은 신호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국(母局)과 자국(子局)군을 배전계통을 거쳐 접속하고 모국과 자국과의 사이에 정보의 수수를 순차 행하여 배전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데 적합한 배전계통의 상태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계통에 산재되어 설치되는 주상(柱上) 개폐기 등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 전송방식은 예를 들면 히다찌 평론볼륨 65, No.6(1983-6)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전계통 그 자체를 신호전송로로 사용하는 전력선 반송방식 또는 전용선을 설치한 유선방식 등을 포함한다.
상기의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배전계통의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폴링(polling)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폴링방법은 모국에 결합되는 복수의 자국에 대하여 모국이 순차로 호출을 행하여 각 자국으로부터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얻어 배전계통 전체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폴링방법은 모국이 각 자국에 대하여 그때마다 순차적으로 질문을 하기 때문에 모든 자국으로부터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국의 수에 비례한 전송소요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모국과 1대의 자국과의 통신시간이 t초인 경우 n대의 자국을 설치했다고 하면 모국은 모든 자국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t×n초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이 개폐기의 상태변화(계통사고 또는 재해 등에 의한)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나, 수요가의 정전 등을 조기에 검출하여 복구조작을 조속히 실시할 목적을 개폐기의 상태변화를 일각이라도 빨리 검출하는 일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소61-61540호에는 긴급 개입중단 전송방식을 들고 있다. 긴급 개입중단 전송방식은 전력선 반송방식등과 같이 특정국의 송신신호가 동시에 해당 전송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기타의 모든 국에 전송 가능하고 또한 전국 모두 동일한 전송원리에 의거하고 있는 방식이다.
이 전송방식은, 예를 들면 개폐기의 상태변환 등을 검출하여 긴급히 모국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 자국이 폴링방법에 의하여 다른 자국을 호출하는 모국의 송신신호에 맞추어 개입중단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모국의 송신신호와 상태변화를 검출한 자국의 개입중단 신호와는 신호충돌상태가 되어 모국이 의도한 송신신호는 정확하게 전송되지 않게 된다. 이때 호출된 자국은 무효신호로 판단하고 반신하는 일은 없고 모국은 송신신호에 개입중단신호가 중첩되었다고 판단하고 개입중단신호를 발생한 자국으로부터의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 그후 상태변화를 검출한 자국은 해당 정보를 모국에 향하여 송신 가능하게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모국의 송신신호에 에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불특정 자국으로부터의 긴급한 정보송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전송폐해 발생시(배전계통에 있어서는 라이팅스트로크(lighting stroke)시등)에 불필요한 대기상태가 되어 긴급 정보발생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국이 폴링방법에 의하여 자국군의 상태를 감시할 때에 긴급정보의 발생을 조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는 정보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상의 적어도 주상개폐기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자국과 각 자국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국이 배전선을 거쳐 접속되고, 모국과 각 자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가 순차 행해지는 감시방법에 있어서 모국이 특정의 자국을 지정하는 호출지령 발생시간대와 호출지령에 의하여 지정된 특정의 자국이 자국(自局)의 상태를 모국에 반신(返信)하는 시간대와의 사이에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를 설치하고 상기 호출 지령 발생후 자국군중에 상태변화가 발생한 자국이 있을 때에는 이 자국으로부터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내에 개입중단 요구를 발생시키고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내에 개입중단 요구가 발생했을 때는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에 우선시켜 개입중단 요구를 발생한 자국에 의한 반신을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에서 실행하고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을 적어도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시키는 배전계통의 상태감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부가하여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를 복수의 시간대로 분할하고 각 시간대를 자국의 상태변화의 종류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각 상태변화의 종류별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부터 순서대로 개입 중단요구의 발생을 허가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으로부터 개입중단 요구가 생겼을 때에는 이 자국에 의한 반신을 우선하여 실행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에 의한 반신을 적어도 다음의 호출지령발생후까지 연기시키는 배전계통의 상태감시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은 각 자국의 주상개폐기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화한 상태변화의 우선순위가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復電)상태로 변화했을 때의 상태변화보다 높은 순위에 설정되어 있는 배전계통의 상태감시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은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급전(給電)상태가 되어 각 자국의 주상개폐기가 자동투입되었을 때에는 각 자국은 정전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의 발생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배전계통의 상태감시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모국과 특정의 자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가 행해질 때, 자국군중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이 있을 때에는 모국의 호출지령 발생시간대 후에 설치된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으로부터 개입 중단 요구가 발생하고 이 시간대내에 개입중단요구가 생겼을 때에는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에 우선시켜 개입중단 요구를 발생한 자국에 의한 반신이 개입중단 요구허가 시간대에서 실행되고,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이 적어도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된다.
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군이 복수 존재할 때에는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부터 순서적으로 개입중단 요구의 발생이 허가되고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으로부터 개입중단 요구가 생겼을 때에는, 이 자국에 의한 반신이 우선적으로 실행되고, 우선순위가 낮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에 의한 반신이 적어도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된다.
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이 복수 존재할 때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한 자국보다도 오프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화한 자국에 의한 반신이 우선적으로 실행된다.
또, 각 자국의 상태가 변화한 경우에도 각 자국이 정정상태로부터 급전상태가 되어 각 자국의 주상개폐기가 자동 투입되었을 때는 개입중단 요구의 발생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국과 특정의 자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경우에도 자국군중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이 있을 때에는 이 자국으로부터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내에 개입중단 요구를 발생시켜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에 우선시켜 개입중단 요구를 발생한 자국에 의한 반신이 개입중단허가 시간대에서 실행하고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을 연기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모국과 특정의 자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경우에도 다른 자국에 상태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이 상태변화를 즉시 모국에 반신할 수가 있어 계통의 상태변화를 즉시 검지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자국에서 상태변화가 생겼을 때에도,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를 발생한 자국으로부터 순서적으로 상태변화의 정보가 모국 에 반신되기 때문에 복수의 자국의 상태변화를 즉시 검출할 수가 있다. 또, 복수의 자국에서 상태변화가 생겼을 때에도 배선계통으로서 중요한 상태변화가 우선하여 모국에 반신되기 때문에 중요한 상태변호를 즉시 검지할 수가 있다. 또 주상 개폐기가 정정상태로부터 급전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각 자국이 복전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의 발생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기 때문에 복전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와 자동투입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개입중단 요구에 의하여 모국과 특정의 자국과 통신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배전용 변압기(1)의 2차측의 고전압선(10)(6.6KVBUB)에는 배전계통(5-1, 5-2, …5-n)과 각 배전계통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국(2)이 접속되어 있다. 각 배전계통에는 주상개폐기등과 함께 자국군이 설치되어 있고, 배전계통(5-1)에는 주상개폐기(3-1∼3-n)와 자국(4-1∼4-n)이 설치되어 있다. 즉, 모국(2)과 각 자국이 배전선(10)을 거쳐 접속되어 있고, 이 배전선(10)을 신호전송로로 한 전력선 반송전송방식에 의하여 모국(2)과 자국군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모국(2)은 자국군을 감시하기 위한 각종 지령(감시, 제어, 계측 등의 지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A)와, 제어부(2A)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각종지령을 배전선(10)에 주입하거나 혹은 배전선(10)으로부터의 신호를 추출하는 중계부(2B)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자국(4-1∼4-n)은 주상개폐기(3-1∼3-n) 등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상태변화의 반신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4a)와, 제어부(4a)로부터의 신호를 배전선(10)에 주입하거나 혹은 배전선(10)으로부터의 신호를 추출하는 중계부(4b)로 구성되어 있다.
모국(2)으로부터 자국군에 호출지령을 발생하는 경우, 이 호출지령에는 제2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기신호, 지령내용, 자국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송신프레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각 자국으로부터 모국(2)에 반신정보를 전송할 때에는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기신호, 자국어드레스, 계통정보를 포함하는 반신프레임이 포함되어 있다.
동기신호는 영(0)상 캐리어 전송방식에 의하여 발생하도록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주파수의 1사이클이 1비트의정보에 할당된다. 그리고 모국(2)과 각 자국으로부터 동기신호를 송신하거나 혹은 수신하기 위하여 모국(2)과 각 자국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10)중 A상을 콘덴서(21)를 거쳐 접지하기 위한 송신용스위치장치(22)의 콘덴서분할기(24)(25), 백터합성기(26), 적(product) 연산기(27), 필터(28)가 모국(2)과 각 자국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영(0)상 캐리어 전송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용 변압기(20)를 송신측으로 하고 배전선(10)의 3상 중의 1상, 예를 들면 A상과 대지간에 소용량의 콘덴서(21)를 스위칭장치(22)를 거쳐 간헐적으로 접지조작을 행하면 제4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칭조작에 따른 송신신호가 배전선(10)에 출력된다. 이 스위칭조작을 제4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통주파수에 동기하여 콘덴서(21)를 A상과 대지간에 간헐적으로 삽입하면 평형상태에 있는 대지 정전용량(23)중의 A상만의 정전용량이 약간 변화하여 배전계통의 영(0)상 전압이 변화한다. 이 변화는 영(0)상 전압의 변화로서 수신측에 송신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3상의 대지간 전압을 콘덴서 분할기(24, 25)를 거쳐 끌어내고, 벡터 합성기(26)에 의하여 영(0)상 전압(V0)을 얻을 수가 있다.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영(0)상 전압(V0)은 평상시에는 영(0)에 가까운 값이므로 변화분만을 추출함으로써 S/N값이 높은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신호전송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0)상 전압(V0)과 기준상인 A상의 대지간 전압은 적 연산기(27)에 의하여 곱셉을 행하면 직류성분과 제2고조파성분으로 이루어진 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출력신호를 필터(28)에 의하여 교류분을 제거하여 직류성분만을 끌어내면 제4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신호(제4a도)와 동일한 수신신호를 복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송신 및 수신 타이밍은 계통주파수를 기준클럭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동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모국(2)이 자국에 향하여 호출지령을 송신했을 경우 각 자국이 호출지령을 동시에 수신함과 동시에 지정된 특정의 자국이 반신하는 타이밍을 모국(2)이 관리할 수가 있다.
또, 상기 프레임중 지령내용에는 모국(2)이 특정의 자국을 지정하는 호출지령 발생시간대와 호출지령으로 지정된 특정의 자국이 자국(自局)의 상태를 모국에 반신하는 반신 시간대와의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개입중단허가 시간대를 설치하기 때문에 특정의 자국이 반신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뜻의 지령이 포함되어 있다. 또 이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를 복수의 시간대로 분할했을 경우에는 각 시간대를 자국의 상태변화의 종류에 대응시킴과 동시에 각 상태변화의 종류별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부터 순차적으로 개입중단요구의 발생을 허가하는 뜻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자국의 상태변화의 우선순위는 각 자국의 주상 개폐기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화한 상태변위가 제1위로 설정되고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했을 때의 상태변화가 제2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지령내용에는 자국군중에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이 있는 경우에는 이 자국으로부터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내에 개입중단요구를 발생시키고,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에 개입중단 요구가 생겼을 때에는 특정의 자국에 의한 반신을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시키는 뜻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정보는 코드화되어 설정되어 있다. 제2A도의 프레임의 자국 어드레스 필드에는 특정의 자국을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가 지정되어 있다. 또 제2B도의 반신프레임의 계통정보에는 각 자국의 주상 개폐기의 상태변화,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한 상태변화, 각 자국의 전기량의 계측치등 각종의 계통정보가 코드화되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5도는 모국(2)과 각 자국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모국(2)이 자국(4-1)에 대하여 호출 지령을 발하면 각 자국에 상태변화가 생기지 않았을 때에는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 경과후에 자국(4-1)으로부터 자국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모국(2)에 반신된다. 다음에 모국(2)으로부터 자국(4-2)에 호출지령이 발신되면 기타의 각 자국에 상태변화가 발생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2)후에 자국(4-2)으로부터 모국(2)에 각종 정보가 반신된다. 다음에 모국이 자국(4-3)에 호출지령을 발신하면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3)후에 자국(4-3)으로부터 모국에 각종정보가 반신된다.
한편 모국(2)으로부터 자국(4-1)에 호출지령을 발신했을 때에 (4-4)에서 주상 개폐기가 온 상태로 변화한 상태변화가 생겨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내에 자국(4-4)으로부터 개입중단 요구가 발생하면 자국(4-1)에 의한 반신에 우선시켜 자국(4-4)에서 실행되고, 자국(4-1)에 의한 반신이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모국(2)이 자국(4-1)과 정보의 수수를 행할 때에도 다른 자국(4-4)에서 상태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자국(4-4)의 상태변화가 즉시 모국(2)에 반신된다.
다음에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 T2)를 복수의 시간대(서브죤)(t1, t2)등 (본 예의 경우에는 2개의 시간대)으로 분할하고 시간대(t1)를 주상 개폐기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화한 상태변화에 대응시키고, 시간대(t2)를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했을 때의 시간대에 대응시켰을 때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국(2)으로부터 자국(4-1)에 대한 호출지령이 발생되고 자국(4-1)으로부터 모국(2)에 반신하는 경우에도 자국(4-3)에서 주상 개폐기가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변화한 상태변화가 발생하고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내에 자국(4-3)으로부터 개입중단 요구가 발생하면, 자국(4-3)에 의한 개입중단 전송으로서의 반신이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에서 실행되고 자국(4-1)의 반신은 다음의 모국(2)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된다.
다음에 계속하여 모국(2)으로부터 자국(4-1)에 호출지령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자국(4-4)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했을 때에는 개입 중단 허가 시간대(T2)중 시간대(t2)내에 자국(4-4)으로부터 개입중단 요구가 발생하고 자국(4-4)에 의한 개입중단 전송의 반신이 시간대(t2)에서 실행되고, 자국(4-1)에 의한 반신이 다시 다음의 호출지령 발생후까지 연기된다.
이와 같이 모국(2)과 자국(4-1)과의 사이에서 정보의 수수를 행하는 경우에도 자국(4-3), 자국(4-4)에서 상태의 변화가 생겼을때에는 상태변화의 우선순위가 높은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부터 순서적으로 상태변화의 정보가 모국(2)에 반신되므로 모국(2)이 특정의 자국과 정보의 수수를 행할 때에도 기타의 자국에서 상태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상태변화가 생긴 자국을 즉시 검출할 수가 있다.
또, 상태변화의 정보가 동시에 반신되는 일 없이 순차적으로 모국에 반신되기 때문에 상태변화가 생기 자국의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또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T1, T2)를 복수의 시간대로 분할했을 경우, 각 시간대(t1, t2)는 동기신호를 수신하는데 충분한 시간이면 된다.
각 시간대(t1, t2)를 동기신호 수신시간의 2배로 함으로써 2단계의 개입중단 발생에 대응시킬 수가 있으나,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를 반신 프레임전체를 수신할 수 있을 만큼의 시간대로부터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의 경과후 통신대상 자국이 이어서 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각 자국의 상태변화로서, 각 자국의 전압치, 전류치 외에 주상 개폐기의 팔레트(palette)접점(보조접점)의 불량내용도 상태변화로서 검출이 가능하다.
또, 배전용 변압기(1)와 각 배전계통(5-1, 5-n)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주개폐기를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하여 각 배전계통의 주상개폐기를 정전상태로부터 급전상태로 하고, 자국의 주상개폐기를 자동 투입(automatic closing)하는 경우에는, 각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 변화했을 때에 복전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지 않으면 자국의 복전에 의한 개입중단 요구와 주상개폐기가 자동투입에 의한 개입중단요구가 중첩되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감시방법을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타임챠트 및 프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모국은 T1초 주기로 자국을 폴링(polling)방식으로 감시하고 있다. 모국이 감시지령을 송신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TM초, 모국의 송신이 완료된 후 호출된 자국이 반신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TD초, 호출된 자국이 반신을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TS로 한다. 시간 TD가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로서, 모국이 호출한 자국 이외의 자국이 상태변화를 검출했을 경우 그 자국이 개입중단 전송을 개시하는 시간대이다.
제8도는 모국의 감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스텝(100)에서 감시대상이 되어 있는 최초 자국의 인식번호 초기치가 설정된다. 스텝(100)이 해당 자국 인식번호의 초기치를 설정하면 스텝(101)에서 자국의 호출주기를 관리하는 타이머(T1)가 기동된다. 스텝(101)이 타이머(T1)를 기동하면 스텝(102)에서 감시대상이 되는 자국의 호출송신처리가 행해진다. 스텝(102)이 자국 호출의 송신처리를 완료하면 스텝(103)에서 송신처리 완료후부터 자국의 반신개시시간을 관리하는 타이머(T2)가 기동된다. 타이머(T2)는 개입중단의 발생, 호출자국의 반신의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103)이 타이머(T2)를 기동하면 스텝(104)에서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의 유무가 감시된다. 스텝(104)이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이 없다고 판단하면 스텝(105)에서 스텝(103)에 의하여 기동된 타이머(T2)가 타임업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105)가 타이머(T2)가 타임업했다고 판단하면 스텝(106)에서 해당 자국은 응답없다고 판단된다.
스텝(104)이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107)에서 자국으로부터의 반신개시 시기가 개입중단 허가시간대인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107)이 반신개시 시기가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라고 판단하면 스텝(108)에서 해당자국으로부터 데이타가 수신된다. 스텝(108)에서 해당 자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109)에서 해당자국에 의한 개입중단에 관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개입중단 차리는 경보의 발생, 개입중단 자국과 인접하는 자국의 호출, 운전자로부터의 조작대기 등의 여러 가지 처리를 포함한다.
스텝(107)이 자국으로부터 반신대기 시기가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110)에서 감시대상의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이라고 판단되어 해당자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다. 스텝(110)이 해당자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111)에서 스텝(101)에 의하여 기동된 타이머(T1)가 타임업되었는지의 여부가 감시된다. 스텝(111)에서 타이머(T1)가 타임업했다고 판단되면 스텝(112)에서 자국번호가 최종치인가의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112)이 자국번호가 최종치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113)에서 자국번호가 +1만큼 증가된다.
제8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있어서 스텝(106)이 자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다고 판단했을 경우, 재호출 송신처리(리트라이처리)가 실시된다. 또 스텝(108) 및 스텝(110)이 자국으로부터 잘못된(틀린)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도, 재송신처리가 실시된다. 그러나 이 재송신처리는 본 발명의 본질로부터 벗어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는 자국의 정보전달처리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스텝(200)에서 개폐기의 상태, 전기량의 계측이 항상 감시된다. 스텝(200)이 개폐기의 상태 등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201)에서 모국에 긴급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태변화플래그]이 세트된다. 스텝(201)이[상태변화플래그]을 세트하면, 스텝(202)에서 항상 모국으로부터의 호출이 있는지 여부가 감시된다. 스텝(202)이 모국으로부터 호출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203)에 있어서 즉시 모국으로부터 데이타가 수신된다.
스텝(203)이 모국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면 스텝(204)에서 자국이 호출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스텝(204)이 자국에 호출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205)에서 [상태변화플래그]가 세트중인가 아닌가가 검사된다. 스텝(205)이 [상태변화플래그]가 세트중이라고 판단하면 스텝(206)에서 모국에의 개입중단송신이 개시된다.
스텝(206)이 개입중산송신을 개시하면 개입중단 송신완료후, 스텝(207)에서 [상태변화플래그]가 리세트되고,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스텝(204)이 자국이 호출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208)에서 타국으로부터의 개입중단 전송의 발생을 감시하기 위하여 개입중단 허가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t)가 기동된다. 스텝(208)이 타이머(t)를 기동하면 스텝(209)에서 타국으로부터의 개입중단 전송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스텝(209)이 타국의 개입중단 개시를 검출하지 않으면 스텝(210)에서 타이머(t)가 티임업했는지 여부가 감시된다. 스텝(210)이 타이머(t)가 타임업 했다고 판단하면 스텝(211)에서 자국정보가 모국에 반신된다. 스텝(211)이 모국에 정보의 반신을 하면 스텝(212)에서 [상태변화플래그]가 리세트되고, 대기상태가 되돌아간다.
제9도는 자국의 기본적인 정보전달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스텝(206)이 모국에의 개입중단 전송을 종류한 후 스텝(207)이 [상태변화플래그]를 자동적으로 리세트하지 않고 모국으로부터 자국이 호출되었을 때만으로하여 확실하게 자국(自局) 개입중단 전송이 모국에 되었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Claims (9)

  1. 모국과 복수의 자국이 서로 송수신가능상태로 신호전송로상에 설치되는 시스템의 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자국주소 및 지령을 포함하는 폴링메세지를 소정순서에 따라 상기 모국으로부터의 각각의 자국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국으로부터의 폴링메세지송신이 완료된 후 소정시간에 자국 자신의 주소와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응답메세지를 상기 모국에 반신함으로써, 상기 모국으로부터 상기 자국으로 전송된 폴링메세지가 수신되었음을 상기 자국에서 응답하여, 상기 모국의 폴링메세지 송신종료시각과 피호출자국의 응답메세지 반신개시시각과의 사이에 개입중단허가 시간대가 제공되는 단계; 및 상기 개입중단허가 시간동안에 폴링메세지가 송신되지 않은 다른 자국으로부터 자국주소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개입중단 반신메세지가 송출되어, 상기 개입중단 허가 시간대내에 상기 다른 자국에 의해 개입중단 응답메세지가 송출되어졌을 때, 폴링메세지를 수신한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전에 개입중단 응답메세지를 송출한 다른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2. 모국이 순차적인 폴링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자국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모국과 상기 복수의 자국이 서로 송수신가능상태로 신호전송로상에 설치되는 시스템의 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국이 상기 모국에 의해 호출될 때, 상기 모국으로부터의 호출신호 수신시로부터 제1시간대 경과후 상기 일 자국이 자국주소 및 정보가 송신되는 제1단계; 상기 일 자국이 호출될 때, 상기 호출신호수신시로부터 상기 제1시간 보다 짧게 세팅된 제2시간대가 경과된 후 상기 일 자국 이외의 다른 자국의 자국주소 및 정보가 송신되는 제2단계; 상기 일 자국이 호출되는 동안 상기 다른 자국의 정보가 송신될 때, 상기 모국으로부터 상기 이 자국으로의 다음 호출을 수신할 때까지 상기 일 자국의 정보송신이 지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3. 관련된 주상개폐기의 작동상태를 감시하는 복수의 자국 및 상기 자국의 상태를 감시하는 모국이 배전선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배전선로에 의해 접속되는 시스템의 감시방법에 있어서; 특정 자국을 지정하는 호출지령이 상기 모국에 의해 발생되는 시간대 및 상기 호출지령에 의해 지정된 상기 특정 자국이 상기 모국에 대한 응답으로서 자신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반신시간대 사이에 개입중단허가 시간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자국에 대한 상기 호출지령의 발생후, 상기 자국군 중의 상기 특정 자국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자국이 상태변화되었을 때, 상기 다른 자국은 상기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내에 자신의 자국주소 및 정보를 포함한 개입중단메세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개입중단 허가시간 대내에 상기 배전선로상에 상기 개입중단메세지가 나타나면, 상기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내에 상기 지정된 특정 자국으로부터의 정보송신에 앞서 상기 개입중단메세지를 상기 모국에 발생시킨 상기 다른 자국으로부터의 정보송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적어도 상기 모국으로부터 상기 특정 자국으로 다음 호출지령이 발생될 때까지 상기 지정된 특정 자국의 정보송신이 지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시스템의 감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는 상기 자국의 상태변화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시간대로 분할되고, 상기 상태변화의 종류는 우선순위가 부여되어, 상태변화된 상기 자국이 상태변화에 관련된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선택된 시간대에 개입중단메세지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시스템의 감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상개폐기의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상기 자국의 상태변화에 부여된 상기 우선순위는 정전상태로부터 복전상태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상기 자국의 상태변화에 부여된 우선순위 보다 높게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시스템의 감시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급전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주상 개폐기가 자동투입될 때, 상기 관련된 자국은 정전에 의해 발생된 개입중단메세지의 발생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시스템의 감시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된 자국이 정전상태로부터 급전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주상 개폐기가 자동투입될 때, 상기 관련된 자국은 정전에 의해 발생된 개입중단메세지의 발생을 강제적으로 정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시스템의 감시방법.
  8. 모국 및 복수의 자국이 상호 송수신가능상태로 신호전송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국이 순차적으로 폴링을 통하여 상기 자국을 호출하여 상기 호출된 자국은 상기 모국에 반신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의 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감시대상이 되는 자국의 인식번호를 초기치로서 세팅하는 제1단게; 상기 자국인식번호가 상기 제1단계에서 세팅되었을 때 상기 자국이 호출되는 주기를 관리하는 제1 타이머를 가동하는 제2단계; 상기 제1 타이머가 상기 제2단계에서 가동될 때 감시대상이 되는 상기 자국에 대한 호출전송처리를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호출전송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자국의 반신 전송 개시시간을 지정하는 제2타이머를 가동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제2타이머의 가동 후의 자국주소 및 자국 정보를 포함하는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의 유무를 감시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자국으로부터 반신에 제공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전송이 개시된 시기가 상기 모국으로부터의 호출신호전송이 완료되었을 때의 시간 및 상기 모국에 의해 호출된 상기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신호전송이 개시될 때의 시간 사이에 제공되는 개입중단 허가시간대내에 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전송이 상기 개입중단 허가시간대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자국은 개입중단요구 자국으로서 인식되고 상기 개입중단요구 자국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상기 모국에 의해 수신되는 제7단계; 및 상기 개입중단요구 자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타를 수신하면, 상기 개입중단요구 자국으로부터의 반신정보에 관한 처리가 실행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9. 모국 및 복수의 자국이 상호 송수신가능상태로 신호전송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국이 순차적인 폴링을 통하여 상기 자국을 호출하며 상기 호출된 자국은 상기 모국에 반신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의 신호전송방법에 있어서; 감시대상 자국의 상태를 일정하게 감시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감시되는 상기 자국의 상태가 변화됐다는 판단이 이루어질 때 "상태변화플래그"를 세팅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상태변화플래그"가 세팅되었을 때 상기 모국으로부터 호출신호의 전송라인을 일정하게 감시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모국으로부터 호출이 제공되는 즉시 상기 모국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모국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면 상기 호출이 자국자신에 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호출이 자국자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될 때 상태변화플래그가 세팅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상태변화플래그가 세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국에 자국주소 및 자국정보를 포함한 개입중단메세지의 전송을 개시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7단계에서 개시된 상기 개입중단메세지 전송이 완료하면 상태변화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제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송방법.
KR1019890005278A 1988-04-22 1989-04-21 신호 전송방법 KR960014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99367 1988-04-22
JP63099367A JPH0810844B2 (ja) 1988-04-22 1988-04-22 配電系統の状態監視方法
JP88-99367 1988-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800A KR890016800A (ko) 1989-11-30
KR960014416B1 true KR960014416B1 (ko) 1996-10-15

Family

ID=1424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278A KR960014416B1 (ko) 1988-04-22 1989-04-21 신호 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61922A (ko)
JP (1) JPH0810844B2 (ko)
KR (1) KR960014416B1 (ko)
CN (1) CN1015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58B1 (ko) * 1990-02-06 1996-07-18 배회환 조명기구 고장부위 집중 표시 장치 및 고장정보 수집방법
US5218552A (en) * 1990-07-30 1993-06-08 Smart House, L.P.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 dwelling
AU648098B2 (en) * 1990-09-06 1994-04-14 Hochiki Kabushiki Kaisha Anit-disaster monitoring system and anti-disaster monitoring method
GB2247762B (en) * 1990-09-06 1994-11-30 Hochiki Co Anti-disaster monitoring system
US5297144A (en) * 1991-01-22 1994-03-22 Spectrix Corporation Reservation-based polling protocol f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
US5440560A (en) * 1991-12-24 1995-08-08 Rypinski; Chandos A. Sleep mode and contention resolution within a common channel medium access method
JPH06291732A (ja) * 1993-02-03 1994-10-18 Hitachi Ltd 情報伝送処理装置
US5486805A (en) * 1993-07-06 1996-01-23 Distribution Control Systems, Inc. Method of receiving unsolicited messages on a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communications system
EP0652523B1 (en) * 1993-11-10 1999-06-02 Nec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system
US5835005A (en) * 1994-07-13 1998-11-10 Omron Corporation Power-lin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tilizing relay stations
US5719563A (en) * 1995-07-07 1998-02-17 Teletrac, Inc. Fixed site monitor using a location-based communications network
GB9521057D0 (en) * 1995-10-14 1995-12-20 Rover Group Vehicle electrical systems
TW561725B (en) * 2001-02-14 2003-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mmunications set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etting syste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JP3451440B2 (ja) * 2002-01-18 2003-09-29 富士通株式会社 ポーリング通信システム及びポーリング制御方法
GB0323645D0 (en) * 2003-10-09 2003-11-12 Kelman Ltd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circuit breaker operation
CN100442713C (zh) * 2005-12-30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通讯链路层协议效率的方法
JP4981859B2 (ja) * 2009-08-04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用通信システム
JP5935268B2 (ja) * 2011-09-05 2016-06-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発電制御システム
JP5994261B2 (ja) * 2012-01-31 2016-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16019057A (ja) * 2014-07-04 2016-02-01 日東精工株式会社 中央監視方法および中央監視装置
JP6415385B2 (ja) * 2015-05-27 2018-10-3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6100136A (zh) * 2016-08-16 2016-11-09 安徽众升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集散式电力控制系统
CN108075569B (zh) * 2016-11-11 2021-04-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力分配单元、电力分配系统及其中继连网方法
CN107346980B (zh) * 2017-06-20 2020-11-03 重庆渝丰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多从站电缆防盗监控系统的组网通信方法
JP6746101B2 (ja) * 2017-11-02 2020-08-26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及び搬送台車システムでの通信方法
CN110784454A (zh) * 2019-10-10 2020-02-11 国网天津市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基于新一代配电自动化主站的信息传送方法及装置
CN114019834B (zh) * 2021-11-03 2024-02-09 深圳市奥拓普科技有限公司 一种游艇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及智能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8994A (ja) * 1982-05-15 1983-1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時分割多重遠隔制御システムの割込処理方式
FR2527401A1 (fr) * 1982-05-18 1983-11-25 Philips Ind Commerciale Procede et dispositif d'allocation deterministe explicite du jeton dans un reseau local distribue de transmission avec priorites
JPS61170899A (ja) * 1985-01-25 1986-08-01 ニツタン株式会社 防災設備の集中監視方式
JPS61227443A (ja) * 1985-03-30 1986-10-09 Toshiba Electric Equip Corp 伝送装置
JPS61540A (ja) * 1985-05-20 1986-01-06 G C Dental Ind Corp 歯科用銀合金
JPS62193396A (ja) * 1986-02-19 1987-08-25 Nec Corp 遠方監視方式
US4742335A (en) * 1986-06-18 1988-05-03 Baker Industries, Inc. Sequential and/or random polling system with virtually instantaneous response time
US4829297A (en) * 1987-05-08 1989-05-09 Allen-Bradley Company, Inc. Communication network polling tech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0844B2 (ja) 1996-01-31
CN1015853B (zh) 1992-03-11
JPH01270419A (ja) 1989-10-27
US5061922A (en) 1991-10-29
KR890016800A (ko) 1989-11-30
CN1037624A (zh)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416B1 (ko) 신호 전송방법
KR910007202A (ko) 타임 스탬프용 시스템
US4161727A (en) Proces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ifferent analog measured values to a central control from a plurality of fire alarm circuits which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chain in an alarm loop
US4222515A (en) Parallel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 with automatic fault recognition utilizing sequential comparators having a delay element therein
CA1124823A (en) Timing signal gener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for tdm telecommunications systems
CN109634097A (zh) 一种三冗余接口电路及同步方法
EP0020067A1 (en) Test apparatus for te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electronic spark ignition systems
US45325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mproper polarity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JPH0218759B2 (ko)
JP3393059B2 (ja) 複数の送信器から単一の受信器への単方向通信方法
JPS58141057A (ja) ル−プ網伝送装置
JP2660562B2 (ja) ランプの断芯検出装置
JPS62233035A (ja) 配電線遠方監視制御方式
JPH029738B2 (ko)
JP2988530B2 (ja) 配電線の断線検出方法
SU1415317A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 коммутации тиристоров преобразовател
SU8073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согласован-НОгО ABTOMATA
SU42523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контактов коммутационных аппаратов
JP2833791B2 (ja) 配電線故障区間検出方式
JPH1186171A (ja) 防災監視システム
SU16628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кодовой рельсовой цепи
JPS5911741A (ja) 多重伝送制御システム
JPS6216629A (ja) 配電線搬送方式
JPH03145942A (ja) 配電系統故障状態検出装置
JPS632573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