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078B1 -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078B1
KR960014078B1 KR1019890012922A KR890012922A KR960014078B1 KR 960014078 B1 KR960014078 B1 KR 960014078B1 KR 1019890012922 A KR1019890012922 A KR 1019890012922A KR 890012922 A KR890012922 A KR 890012922A KR 960014078 B1 KR960014078 B1 KR 96001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pring
rotation
retur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548A (ko
Inventor
빌데 베르너
뢰르쳐 클라우스
스테그마이어 앨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 베하
클라우스 포스, 만프레드 크네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 베하, 클라우스 포스, 만프레드 크네취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 베하
Publication of KR90000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제1실시예의 다른 시점에서 본 분해도.
제3도는 제1도는 실시예에 대항 단일 부품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2실시예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회전 부재 30 : 제2회전 부재
48 : 돌기 51 : 접합면
52 : 접합면 72 : 인장 스프링
80 : 제2회전 부재 92 : 톱니
94 : 공간부 96 : 접합면
97 : 접합면 102 : 돌기
120 : 기판 124 : 기판 120의 측면
125 : 기판 120의 측면 13 : 서보 모터
131 : 구동 기어 142 : 라체트 기구
144 : 구동 기어 155 : 복귀 회전 스프링
156 : 복귀 회전 스프링 155의 단부 157 : 복귀 회전 스프링 155의 단부
169 : 제1원판 170 : 제2원판
173 : 톱니 175 : 복귀 회전 스프링
177 : 제1스프링 단부 180 : 제2스프링 단부
184 : 스포퍼 210 : 라체트 기구
252 : 카버 254 : 공간부
256 : 카버 257 : 공간부
261 : 공간부 262 : 공간부
265 : 행정 측정 시스템 282 : 접합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형식, 조작 요소와 원동기의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 사이의 전동 장치에 간섭용 서보 모터를 갖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작요소, 예를 들면 악셀 페달과, 제어부, 예를 들면 불꽃 점화식 엔진의 드로틀 밸브 또는 디젤 엔진의 제어 레버 등의 사이 전동 장치에 간섭하는 것은 원동기의 여러 가지 제어로 취할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 제어는 예를 들면 원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차량의 타이머와 노면 사이의 슬립을 회피하기 위하여 그 자체의 공지된 제어 장치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장치에서 조작 요소는 예를 들면 인장 타이어를 거쳐 제1레버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어부는 예를 들면 다른 인장 와이어를 커쳐 제2레버에 연결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은 제어부를 종단 위치로 가져오도록 작용하고 있다. 제1레버의 스토퍼를 제2레버의 스토퍼에 밀어 부착하고, 인장 스프링의 한쪽 끝이 제1레버에, 그리고 다른쪽 끝이 제2레버에 작용하고 있다. 인장 스프링의 작용은 복귀 스프링의 작용보다도 크다. 제2레버데 대하여는 서보 모터가 작용할 수 있다. 제2레버가 인장 스프링에 저항하여 제1레버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양 스토퍼가 서로 분리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제1레버에 대하는 제2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변경시킨다. 서보 모터는 복귀 스프링의 작용 방향에 따라 인장 스프링에 저항하여 제2레버에 작용한다.
전동 장치에서는 비 제어 운전 상태와 제어 운전 상태인 2개 운전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 서보 모터는 제어되어 있지 않다. 제어부의 특정 위치는 조작 요소의 특정 위치에 대응한다. 제어부는 소정의 운전비에 따라 조작 요소에 따라 동작한다.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전동비가 서보 모터에 의하여 변경된다. 우선 최초에 조작 요소에 의하여 어느 위치가 설정된다. 이 위치는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제어부의 특정 위치에 대응할 것이다. 그런데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서보 모터가 제어되어 있으며, 제어부가 비 제어 운전 상태의 위치와 다른 위치를 점하게 된다. 비 제어 우전 상태에서 즉 서보 모터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조작 요소를 조작하면, 서보 모터의 로터는 필히 연결동작한다. 이것은 제어부의 조작에 즈음하여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복귀 스프링 힘을 과대로 설정하지 않아도 완료하도록 서보 모터와 제2레버 사이에 프리휠을 개재 장착(介裝)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 프리휠은 조작력을 조작 방향에 따라야만 감소시킬 수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것에 대하여 청구범위의 독립항 기재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장치는 제2회전 부재와 서보 모터의 로터 사이에 제3회전 부재를 개재 장착함으로서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 조작 요소를 조작한 경우에, 장치를 통하여 조작력이 결정하여 증대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제3회전 부재의 탓으로서, 조작 요소의 조작에 의하여 서보 모터의 로터를 반드시 연동시키지 않고, 제어부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범위의 종속항 기재의 방책에 의하여 청구범위의 독립항 기재의 장치에 대한 유리한 개량 및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적어도 아래에 기재한 잇점은 명백하다.
1개의 축에 모두 3개의 회전 부재를 동축적으로 설치하였으므로, 특히 간단하게 콤팩트한 구성이 생긴다.
이 장치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제3회전 부재를 거쳐 제2회전 부재를, 원동기의 출력을 보다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또는 보다 높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출력을 보다 높은 방향으로 서보 모터에 의한 회전은 최대 허용 회전각 베타(β)까지 가능하고 원동기의 출력을 보다 감소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도 마찬가지로, 최대 허용 회전각 감마(γ)에 한정 가능하다.
제2회전 부재에 돌기가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편심적으로 설치되며, 그리고 제3회전 부재에 상기 돌기가 결합할 수 있는 공간부(空所)가 있으며, 공간부 주 방향의 넓이가 상기 돌기와 같은 둘레 방향의 넓이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간부가 상기 돌기보다도 둘레 방향에 따라 크게 분리하고, 제2회전 부재를 제3회전 부재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시킬 수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은 서보 모터가 비 제어일 때에, 제3회전 부재를 휴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돌기가 제3회전 부재의 상기 공간 사이에 충분한 휴식이 있으며, 제3회전 부재 즉 서보 모터의 로터를 반드시 연동시키지 않고, 제어부를 원동기에 최소 출력을 가져오는 위치에서 원동기에 최대 출력을 가져오는 위치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제3회전 부재의 상기 휴지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제3회전 부재와 서보 모터 사이에는 유리한 방법에서 전동 기구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은 1개의 스프링에서 되며 동 스프링의 1단은 제3회전 부재에 직접 작용한다. 이것에는 비교적 작은 스프링 행정 밖에 가지지 않는 스프링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을 상기 전동 기구를 거쳐 간접적으로 제3회전 부재에 작용하는 적어도 1개의 스프링에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용의 서보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동 기구는 통상, 로터의 고속 회전수가 제3회전 부재의 저속 회전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동시에, 고속 회전수에서 저속 회전수로의 변환은 고 토크로의 변환에 상당한다. 그런고로 비교적 작은 힘 내지 작은 토크밖에 가지지 않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을 만곡 스프링의 형태 내지 평판 만곡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하면, 특히 유리한 구조를 할 수 있다. 이 스프링은 거의 원호형상으로 감아 부착되든지, 와권 형태이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을, 특히 유리하고, 스페이스적으로, 제3회전 부재에 동축적으로 또는 상기 전동 기구의 구동 기어에 동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서보 모터, 상기 전동 기구, 그리고 회전 부재의 축을 공통의 기판상에 설치할 수 있다. 서보 모터가 상기 기판에 결합되어 있으며, 로터에 연결된 구동 기어가 그 기판의 오목부내에 다스 돌입하던지, 또는 기판의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그래서 상기 전동 기구의 상기 구동 기어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구조적으로 특히 유리하다. 회전 부재의 상기 축도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의 서보 모터와 반대측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다.
통상, 조작 요소와 제어부간의 전동 장치는 본질적으로 보덴 와이어에서 이른다. 본 발명의 장치를 접합하기 위하여 보덴 와이어는 거의 모두의 위치에서 절리할 수 있다. 그래서 조작 요소는 제1보덴 와이어를 거쳐 제1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제2회전 주재는 제2보덴 와이어를 거쳐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판에는 보덴 와이어 슬리브용의 걸림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판에는 1개 또는 복수의 고정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장치 전체가 샤시에, 자동차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보디에 고정할 수 있다. 이 장치의 장소 선택에는 비교적 여유가 있다. 그 때문에 장치를 진동이 적은 장소에 장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리고 이 경우에는 서보 모터로서 예를 들면 비교적 간단히 구성된 비용적으로 유리한 전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장치 전체를, 소수의 개구를 가지는 케이싱에 의하여 보호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 개구의 1개를 통하여 조작 요소와 제1회전 부재가 연결되며, 제2개구를 통하여 제2회전부재와 제어부가 연결되고, 제3개구를 통하여 서보 모터를 제어하는 도선이 인입된다. 다른 1개 또는 복수의 개구에서 샤시로의 장치에 대한 고착이 행하여진다. 그러나 케이싱을 2개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싱의 한쪽 부분은 예를 들면 상기 기판의 1측면에서 서보 모터를 덮고, 케이싱을 2개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싱의 한쪽 부분은 예를 들면 상기 기판의 1측면에서 서보 모터를 덮고, 케이싱의 다른쪽 부분은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전동 기구를 포위한다.
한쪽에서는 제1회전 부재에, 다른쪽에서는 제2회전부재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은 유리하게 만곡 스프링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을 평판 만곡 스프링으로서 구성하여 와권 형상으로 감아 부착하면 특히 유리하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인장 스프링을, 제1 및 제2회전 부재와 거의 동축적으로 양 회전 부재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행정 측정 시스템의 사용에 의하여 제어부의 위치가 검출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제어가 실현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2개의 실시예가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아래의 기재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조작 요소(3)와 원동기의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6) 사이의 전동 장치(1), (66)에 간섭하는 서보 모터를 갖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은 2개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1 내지 5도를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2도는 제1실시예를 각각 다른 시점에서 나타내고 있다. 모두 보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장치의 개개 구성 요소 간격은 다소 확대되어 있다. 부재는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2, 3, 4, 5도는 분해도이다. 모두의 도면에서, 동일 부재 또는 동등의 작용을 위하는 부재에는 동일의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다. 개개 구성 요소의 조합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축 및 축봉은 점선에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악셀 페달로서 구성된 조작 요소(3)에서 전동 장치의 제1부재가 제1회전 부재(2)까지 연장되어 있다(제2, 5도). 전동 장치의 제1부재(1)는 양 실시예에서는 보덴 와이어 슬리브(4)와 보덴 와이어 심선(5)을 갖추는 보덴 와이어에서 된다. 보덴 와이어 슬리브(4)에 대하여 장치에 인접하는 부분만이 나타내어 있다. 보덴 와이어 슬리브(4)의 장치에서 인접하는 부분은 제1지지구(7)에 고정된다. 제1회전 부재(2)는 본질적으로는 외부둘레역(10)을 가지는 원판(9)과, 외주역(10)에 설치된 오목구(11)와 중심이 관통 구멍(12)과 외주역(10)의 근방에서 오목구(11)를 횡방향 절단하는 편심 구멍(15)과, 상기 원판(9)의 반대측에 단면(17)을 갖추고 실린더상에 축선 방향으로 따라 돌출한다. 스토퍼(19) 부착의 돌기(18)와, 상기 원판(9)내의 상기 측면에 마찬가지로 설치된 축선 방향의 오목부(21)에서 이룬다. 스프링 안내부(16)에는 복수의 반경 방향의 슬릿(23)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 장치의 제1부재(1)의 보덴 와이어 슬리브(4)는 제1지지구(7)의 영역으로 종료하고 있다. 보덴 와이어 슬리브 심선(5)은 보덴 와이어 슬리브(4)에서 돌출하고, 오목부(11)내에 위치하여 원판(9)의 회전에 부분적으로 감아 부착되어 있다.
보덴 와이어 심선(5)의 단부는 편심 구멍(15)내에 감입하고 있는 볼트(24)와 결합하여 있다.
제1회전 부재(2)와 동축적으로 제2회전 부재(30)가 지지되어 있다. 제2회전 부재(30)는 본질적으로는 아래의 부분을 가진다. 즉 외부 둘레(32)와 동 외부 둘레(32)에 설치된 오목구(34)를 갖추는 원판(31)을 가지며, 제1회전 부재(2)에 직면한 단면에 회전부(36)를 가지며 제1회전 부재(2)와 반대측의 단면에 회전부(37)를 가지며, 회전부(36)에는 축선 방향의 오목부(36)를 가지며, 중심 관통 구멍(40)을 가지며, 그리고 외부 둘레(32)부근에는 편심 구멍(44)을 가지고 있다. 관통 구멍(40)은 약간 소직경의 영역(41)과, 약간 대직경의 영역(42)으로 구분된다. 단부(43)는 관통 구멍(40)을 상기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있다. 회전부(36)는 비 회전 대칭이고, 스토퍼(46)를 갖추는 팽창 확대부(45)를 가진다. 회전부(37)에서 돌기(48)가 축선 방향에 따라 돌출하고 있다. 돌기(48)에는 슬릿(4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슬릿(49)내에는 에라스트마 형성체(50)가 삽입되어 있다. 에라스트마 형성체(5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에서 돌기(48)를 넘어 돌출하고, 그래서 각각 1개의 접합면(51), (52)을 구성하고 있다. 축선 방향의 오목부(39)도, 그 외부 둘레는 비 회전 대칭이고, 팽창 확대부(45)내에 다소 돌출하는 부가적인 공간부(54)를 가지고 있다. 축선 방향의 오목부(39)내에는 관통 구멍(40)을 중심으로서, 원판(31)에 결합되고, 외부 둘레가 단차상으로 형성된 안내부(55)가 존재한다.
이 안내부(55)는 원판(31)에 처음에 제1외경부(57)를 가지고, 다음에 비교적 작은 제2외경부(58)를 가진다. 이 양 외경부(57), (58) 사이에는 단차(59)가 존재한다. 편심 구멍(44)내에는 볼트(62)가 삽입되어 있다. 이 볼트(62)에는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의 보덴 와이어 심선(64)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보덴 와이어 심선(64)의 일부는 오목구(34)내에 위치하여, 제2회전 부재(30)의 원판(31)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아 부착되어 있다.
보덴 와이어 심선(64)은 제2회전 부재(30)에서, 제2지지구(68)에 결합된 보덴 와이어 슬리브(69)에 이른다. 보덴 와이어 심선(64)과 보덴 와이어 슬리브(69)는 전동 장치의 제1부재(66)의 구성 요소이며, 예를 들면 드로틀 밸브로서 구성된 제어부에 이른다. 이 제어부는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연기관의 공기 흡입관(70)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회전부재(2)와 제2회전 부재(30)사이에 인장 스프링(72)이 존재한다. 이 인장 스프링(72)은 만곡 스프링이며, 와권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1부는 축선 방향의 오목부(39)내에 위치하고, 다른 1부는 축선 방향의 오목부(21)내에 위치한다. 인장 스프링(72)의 제1에 굽어진 단부(74)는 스프링 안내부(16)의 반경 방향의 슬릿(23)의 1개에 차입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72)의 제2에 굽어진 단부(75)는 제2회전 부재(30)의 공간부(54)에 결합하여 있다. 제2회전 부재(30)의 안내부(55)의 제2외경부(58)는 제1회전 부재(2)의 중심 관통 구멍(12) 보다도 약간 적고, 제1외경부(57)는 중심 관통 구멍(12)보다도 분명히 크다. 따라서 스프링 안내부(16)의 단면(17)이 단차(59)에 맞닿을 때까지, 안내부(55)를 제1회전 부재의 관통 구멍(12)내로 1부 압입할 수 있다.
제2회전 부재(30)의 제1회전 부재(2)와 반대측의 측면에는 양 회전 부재(2), (30)와 동심적으로 제3회전 부재(80)가 배치되어 있다. 제3회전 부재는 중심 구멍(81)을 가지며, 중심 구멍(81)내에 안내 부쉬(82)가 차입되어 있다.
안내 부쉬(82)는 제3회전 부재(80)의, 제2회전 부재(30)측의 측면에서 다소 돌출하고 있다. 안내 부쉬(82)는 외경부(84)와 중심 구멍(85)과 단면(86)을 가진다. 제3의 회전 부재(80)는 외측 환(環) 형상부(87)를 가진다. 이 환형상부(87)에서 2개의 스포크(89), (90)가 내향으로 연장하여 있으며, 스포크는 중심 구멍(81)을 둘러싼 상호 이행하고 있다. 환현상(87)의 외부 둘레상에 톱니(92)가 설치되어 있다. 환형상부(87)는 제3회전 부재(80)의 외주역 1부의 범위내에서만 연장하여 있다. 제3회전 부재(80)의 내부, 환형상부(87)와 양 스포크(89), (90) 사이에는 공간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스포크(89)의 공간부(94)측에는 접합면(96)이 형성되어 있다. 스포크(90)와 마찬가지로 공간부(94)측에는 접합면(97)이 형성되어 있다. 제3회전 부재(80)의 제2회전 부재(30)와 반대측의 측면에는 스포크(89)에서는 볼트상의 돌기(101)가, 그리고 스포크(90)에서는 다른 볼트상의 돌기(102)가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3회전 부재(80)의 제2회전 부재(30)측에 돌출하는 안내 부쉬(82)의 일부는, 단면(86)이 제2회전 부재(30)의 단차(43)에 맞닿을 때까지, 관통 구멍(40)의 영역(42)내에 근소한 휴지를 가져 끼워넣어지는 것이다.
제3회전 부재(80)는 축(110)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2회전 부재(30)도 제1회전 부재(2)와 함께 축(110)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 축(110)는 제1회전 부재(2)와 제2회전 부재(30)와 제3회전 부재(80)에서 이루는 일체물보다도 약간 길다. 축(110)은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의 2개의 단부를 가진다. 제1단부(111)는 3개의 회전 부재에서 이루는 상기 일체물을 초월하여 제1회전 부재(2)의 측면에서 돌출하고 있다. 제1단부(111)에는 환형상 오목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환형상 오목부내에 고정링(117)을 걸릴 수 있다. 축(110)의 제2단부(112)는 구멍(119)내에서 기판(1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기판(120)은 제1측면(124)과 제2측면(125)을 가진다. 제1측면(124)는 회전 부재(2), (30), (80)에 직면하여 있으며, 제2측면(125)은 기판(120)의 상기 제1측면(124)과 반대측에 존재한다.
기판(120)의 제2측면(125)에는 서보 모터(130)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20)에 서보 모터(130)를 장치하기 위한 장치 요소, 예를 들면 나사는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로터(132)가 서보 모터(130)의 기판(120)측의 단면에서 돌출하고, 연결 구멍(134)에 돌입하여 있다. 이 로터(132)는 기판(120) 또는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덮어져 있으므로, 로터(132)의 1부만을 볼 수 있다(제2도, 5도). 이 로터에는 전동 기구의 제1구동 기어(131)가 끼워붙여져 있다.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제1, 2, 4, 5도에서는 제1구동 기어(131)를 서보 모터(130)에서 떨어져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에는 동 구동 기어는 서보 모터(130)의 로터(132)에 연결되어 있다. 기판(120)에는 제1측면(124)와 제2측면(125)사이에 연결 구멍(134)이 존재한다. 연결 구멍(134)의 직경은 제1구동 기어(131)의 외경보다도 크고, 따라서 기판(120)으로의 서보 모터(130)의 장치와 동시에,로터(132)에 장치된 제1구동 기어(131)를 연결 구멍(134)을 통하여 차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구동 기어(131)는 기판(120)의 제1측면(124)에서 다소 돌출되어 있다.
기판(120)의 제1측면(124)에는 대형부(13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구멍(137)이 존재한다. 대형부(136)의 모선에 따라 노치(139)가 설치되어 있다. 구멍(137)내에서 제2축(140)이 대형부(136) 즉 기판(1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축(140)에서, 한쪽에서는 접시형 바퀴(142) (제1, 2, 3도)가, 그리고 다른쪽에서는 제2구동기어(14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실시예(제4,5도)에서는 상기 접시형 바퀴(142)를 생략할 수 있다.
제2축(140)은 구멍(137)과 반대측의 단부(148)를 가져, 접시형 바퀴(142)의 구멍(145)과 제2구동 기어(144)의 구멍(147)을 통과하여 제2구동 기어(144)에서 돌출한다. 제2구동기어(144)를 넘어 돌출하는 제2축(140)의 단부(148)에는 환형상 오목부(149)가 설치되어 있다. 환형상 오목부(149)내에 고정링(151)을 걸리게 할 수 있다. 고정링(151)에 의하여 제2구동 기어(144) 및 접시형 바퀴(142)의 제2축(140)에서의 탈락이 저지된다. 접시형 바퀴(142)와 제1측면(124)사이에는 제1복귀 회전 스프링(155)이 존재한다. 이 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만곡 스프링이고, 와권상으로 되어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대형부(136)를 포위하고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155)의 제1단부(156)는 대형부(136)의 노치(139)에 걸려져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155)의 제2단부(157)는 접시형 바퀴(142) (제1, 2, 3) 내지 제2구동 기어(144) (제4, 5도)에 추착되어 있다. 접시형 바퀴(142) (제1, 2도)의 원통형상의 주변부(162)에는 각주상의 제1결합 돌기(165)가 원통형상의 주변부(162)상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결합 돌기(165)는 둘레 방향에서 제1접합 단부(167)와 제2접합 단부(168)를 가진다. 제2구동 기어(144)는 본질적으로는 제1원판(169)과 제2원판(170)에서 이른다.
제2구동 기어(144)의 제1원판(169)의, 접시형 바퀴(142)에 접하는 측면에는 제1접합 테두리(171)와 제2접합 테두리(172)가 설치되어 있다(제1, 2도). 이 양 접합 테두리(171), (172)는 접시형 바퀴(142)상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컬러(174)에 형성되며, 그리고, 제2구동 기어(144)의 회전할 때에 그 회전 방향에 따러 제1접합연(171)이 접시형 바퀴(142)의 제1접합 단부(167)에 맞닿던지 또는 제2접합 테두리(172)가 제2접합 단부(168)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실시예(제4, 5도)에서는 양 접합 테두리(171), (172)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갖추어져 있지 않다. 제1원판(169)은 제2원판(170)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제1원판(169)과 제2원판(170)의 외부 둘레에는 각각 톱니(173)가 설치되어 있다. 제1구동 기어(131)의 톱니는, 각 제2구동 기어(144)의 제1원판(169)의 톱니와 맞물린다. 그리고 제2구동 기어(144)의 제2원판(170)의 톱니는 제3회전 부재(80)의 환형상부(87)의 톱니와 치합한다.
접시형 차(142)의 주변부(162)에는 제2결합 돌기(190)가 동 주변부(162)를 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주변부(162)의 제2결함 돌기(190)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는 각각 1개의 공간부(191), (192)가 설치되어 있다(제1,2,3도).
제1실시예(제1, 2도)에서 제2의 복귀 회전 스프링에는 참조부호(175)가 붙여져 있다. 제2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만곡 스프링이고, 원호형상의 감겨진 평판 만곡 스프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2개의 스프링 단부를 가지고 있다. 제1스프링 단부(177)는 굴곡되어 있으며, 수용부(178)와 나사(179)에 의하여 기판(120)에 결합된다. 수용부(178)에는 접합판(182)이 통합되어 있다. 제2스프링 단부(180)는 제3회전 부재(80)의 위치에 따라 기판(120)의 제1측면(124)에 돌출하는 스토퍼(184)에 맞닿던지, 또는 제3회전 부재(80)의 볼트(102)에 맞닿는다. 제4, 5도에서는 제2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생략되어 있다.
제1실시예(제1 내지 3)도에서, 양 복귀 회전 스프링(155), (175)은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2실시예(제4, 5도)의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은 간단히 제1복귀 회전 스프링(155)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제4, 5도)는 제1실시예(제1, 2, 3도)보다도 부품수가 적다. 참조부호(193) 내지 (234)가 부착되어 아래 기재의 개개 부품은 제1실시예(제1 내지 3도)에만 포함되어 있다. 그런 까닭에 제3도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만 의미가 있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3도)의 경우, 기판(120)의 제1측면(124)에는 암나사를 갖춘 제3공(193)이 존재한다. 제3구멍(193)에, 나사 두부(195)와 나사 축부(197)를 가지는 나사(19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 두부(195)의 기판(120) 사이에는, 좌금(座金)(199)과 슬리브(204)가 배치되어 있다. 좌금(199)의 구멍 직경과 슬리브(204)의 구멍 직경은 나사 축부(197)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고, 그 결과 나사 축부(197)를 좌금(199) 및 슬리브(204)내에 삽입관통시킬 수 있다. 나사 축부(197)의 길이, 좌금(199)의 두께, 슬리브(204)의 길이 그리고 암나사를 갖추는 구멍(193)의 깊이의 각 치수는 좌금(199) 및 슬리브(204)가 나사 두부(195)와 기판(120)사이에 끼워져 단단히 고정되기까지, 나사(194)를 제3구멍(193)내에 나입할 수 있도록 서로 접합되어 있다. 좌금(199)이 나사 두부(195)에 인접하고, 슬리브(204)가 기판(120)에 인접하도록 좌금(199) 및 슬리브(204)는 나사 축부(197)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204)는 나사 축부(197)상에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204)는 외경부(206)를 가진다. 외경부(206)은 별형상 바퀴(210)의 구멍(208)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다. 별형상 바퀴(210)는 좌금(199)과 기판(120)사이에 위치하여 슬리브(204)를 둘러싸고 있다. 별형상 바퀴(210)는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제2결합 돌기(190)를 갖추는 접시형 바퀴(142)와 별형상 바퀴(210)는 서로 특별하게 접합시킨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외형은 제3도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3도는 접시형 바퀴(142)의 원통상의 주변부(162)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 횡단면은 제2결합 돌기(190) 및 상기 2개의 공간부(191), (192)를 횡방향 절단하고 있다. 구멍(137)과 노치(139)를 갖추는 대형부(136) 및 제2축(140)도 절단되어 표시되어 있다. 제3도의 표시는 기판(120)의 제1측면 1부, 복귀 회전 스프링(155), 별형상 바퀴(210), 좌금(199), 스프링 두부(195) 및 지금 설명한 접시형 바퀴(142)의 단면에 대하여 직각이다. 접시형 바퀴(142)는 둘레면(215)을 가지고, 별형상 바퀴(210)는 적당한 방법으로 중단된 둘레면(216)을 가지고 있다. 접시형 바퀴(142)는 회전 축선(218)을 가지며, 별형상 바퀴(210)는 회전 축선(219)를 가지고 있다. 회전 축선(218)과 회전 축선(219)사이의 거리는 둘레면(215)의 반경과 둘레면(216) 반경의 합계보다도 작다. 접시형 바퀴(142)와 별형상 바퀴(210)는 그것 자체 공지의 이른바 간결 전동 기구 내지 말타크로스 전동 기구에 유사의 공동 작용을 행한다. 그런 까닭에 그 작용에 대하여 여기서는 간단히 서술할 뿐이다. 접시형 바퀴(142)의 원통형상의 주변부(162) 별형상 바퀴(210)의 제1침하부(222) 또는 제2침하부(223)내에 적어도 몇개인가를 들어갈 수 있고, 그리고 접시형 바퀴(142)의 회전에 의하여 제2결합 돌기(190)가 회전 방법에 따라, 별형상 바퀴(210)의 제1절단 영입부(226)나 제2절단 영입부(227)내에 결합하도록 별형상 바퀴(210)는 위치되어 있다. 제1절단 영입부(226)는 제1침하 부분(222)에서 정점(231)에 의하여, 그리고 둘레면(216)에서 각부(232)에 의하여 경계되어 있다. 제2절단 영입부(227)는 양 침하부(222), (223)에서 정점(233), (234)에 의하여 경계되어 있다. 제2결합 돌기(190)가 접시형 바퀴(142)의 회전할때에 절단 영입부(226), (227)의 1개와 결합하기 위하여는 각 부(232) 및 정점(231), (233), (234)이 공간부(191) 또는 (192)의 1개에 들어가지 않으면 안된다.
기판(120)의 제1측면(124)에서 특히 스토퍼(184)를 가지는 구능 형상부(型狀部) (241)가 돌출하여 있다. 마찬가지로 제1측면(124)상에 주변부(2447)가 돌출하여 있다. 이 주변부(244)의 높이는 예를 들면 제1복귀 회전 스프링(155), 접시형 바퀴(142), 별형상 바퀴(210), 그리고 제2복귀 회전 스프링(17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변부(244)에 의하여 둘러싸는 크기이다. 기판(120)에 지지구(7) 및 (68)를 취하는 장소를 확보하기 위하여 주변부(244)는 중단되어 있다. 제1지지구(7)는 나사(246)에 의하여 기판(120)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120)의 제2측면(125)상에 플런지를 갖추는 서보 모터(130)는 카버(252)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이 카버에는 공간부(254)가 있으며, 공간부를 거쳐, 서보 모터(130)에 전력 공급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는 도선을 삽입 통과할 수 있다. 제1측면(124)에 설치된 장치의 부분도 다른 카버(256)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카버(256)는 제1, 2도에서는 일점쇄선에 의하여 시사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카버(256)는 2개의 공간부(257)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의 1개만이 제4, 5도에 나타나 있다. 제1공간부를 통하여 전동 장치의 제1부재(1)가 안내되며, 그리고 제2공간부(257)를 통하여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가 안내된다.
카버(252)와 카버(256)의 사이에 기판(120)이 존재하고, 동 기판의 2개 각 부(258), (259)는 카버(252), (256)를 넘어 횡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 각부(258), (259)에는 각각 1개의 공간부(261), (262)가 존재한다. 이 공간부(261), (262)를 사용하여 기판(120) 즉 장치 전체를,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나사에 의하여, 임의의 도시되지 않는 샤시, 예를 들면 차량의 보디에 장치할 수 있다.
그것 자체 공지의 행정 측정 스프링(265), 예를 들면 포텐쇼메터를 사용하여 제어부(6)의 위치를 검출하면, 전동 장치로의 간섭에서, 결과가 보다 양호한 것이 시행에 의하여 알 수 있다. 행정 측정 스프링(265)에서 나온 신호는 적당한 제어 엘렉트로닉스에 의하여 다른 목표치와 조합시켜 제어 신호로 변환되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서보 모터(130)에는 제어된다. 앞서 기재했듯이, 전동 수단(1), (66)을 갖추는 이 장치에서는 2개의 운전 상태, 즉 비 제어 운전 상태와 제어 운전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서보 모터(130)는 제어될 수 없다. 제3회전 부재(80)는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 때문에 휴지 위치에 있다. 제2회전 부재(30)의 접합면(51), (52)이 제3회전 부재(80)의 접합면(96), (97)에 맞닿지 않고, 제1회전 부재(2)와 제2회전부재(30)가 각각 소망의 위치에 회전될 수 있도록 제3의 회전부재(80)의 휴지 위치를 구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서보 모터(130)의 로터(132)를 반드시 회전시키지 않고, 양 회전 부재(2), (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전동 장치의 제1부재(1), 실시예에서는 보덴 와이어에는, 한쪽에서는 조작 요소(3)가 원추형으로 접합되며, 그리고 다른쪽에서는 이미 기재했듯이 제1회전부재(2)가 원추형으로 접합되어 있다. 행동 위치의 제2부재(66)에는 한쪽에서는 이미 기재했듯이 제2회전 부재(30)가 원추형으로 접합되며, 그리고 다른쪽에서는 제어부가 원추형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1단부(74)가 제1회전재(2)에 작용하고, 제2단부(75)가 제2회전 부재(30)에 작용하는 것의 인장 스프링(72)에 의하여 제1회전 부재(2)의 스토퍼(19)는 제2회전 부재(30)의 스토퍼(46)로 향하여 부착식으로 부착된다. 인장스프링(72)은 양 회전 부재(2), (30) 사이에 바이어스를 받아 조입되어 있다. 실제에는 인장 스프링(72)의 제1단부(74)를 수용하기 위하여는 제1회전 부재(2)에 유일의 반경 방향의 슬릿(23)이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할 것이다. 제1회전 부재(2)에 복수의 슬릿(23)을 설치함으로서, 인장스프링(72)의 바이어스를 비교적 가늘은 단계로서 조정할 수 있다.
제1회전 부재(2)는 2개의 외경부(57), (58)와 단자(59)를 갖추는 안내부(55) 및 같은 제1회전 부재(2)의 중심 관통 구멍(12)에 의하여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러나, 제2회전 부재(30)의 관통 구멍(40)을 약간 크게 형성하여 부쉬를 차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부쉬상에서 제1회전 부재(2)와 제2회전 부재(30)가 서로 안내된다. 스프링(72)의 바이어스 및 제1회전 부재(2)와 제2회전 바퀴(30)의 상호 안내로서 양 회전 부재는 인장 스프링(72)과 함께 콤팩트에서 장치 쉬운 유니트를 구성하고 있다.
전동 장치의 제1부재(1)에 의하여 제1회전 바퀴(2)는 이동된다. 제1회전 부재(2)의 동작은 비 제어 상태에서는 제2회전 부재(30)에 직접 전달되며, 그 동작은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가 거쳐 제어부(6)에 전달된다. 조작요소(3), 결국 보덴 와이어 심선(5)의 화살표(269)에 의하여 나타낸 방향의 변위는 보덴 와이어 심선(64), 결국은 제어부(6)의 다른 화살표(270)에 의하여 나타낸 방향의 같은 종류의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조작 요소(3)가 화살표(269)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위한 경우와 일치한다. 조작 요소(3)의 위치와 제어부(6) 위치의 명백한 상호 관계가 존재한다.
자기 주행 기계, 예를 들면 승용차의 경우 전동 장치에 의하여 통상은 인장력도 압압력도 전달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어부(6)에 설치되 복귀 스프링(266)의 힘은 제어부(6)를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 조작 요소(3)에 조작력이 작용하면, 전동 장치에 의하여 제어부(6)는 다소 초기 위치에서 분리된다. 그러나 복귀 스프링(226)은, 인장 스프링(72)에 저항하여 제2회전 바퀴(30)에도 작용한다. 비 제어 상태에서는 제2회전 부재(30)는 제1회전 부재(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인장스프링(72)의 힘은 복귀 스프링(226)의 힘보다도 크게 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에는 전달 장치내의 마찰력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정위치에 있는 기계의 경우일 때와 같이, 전동 장치에 의하여 인장력 및 압압력이 전달되면, 경우에 의하여는 바퀴 스프링(266)을 생략하고, 인장 스프링(772)을 비교적 약하게 구성할 수 있다.
중량을 감하고 인장 스프링(72)을 간단히 장치하거나,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회전 부재(2)의 원판(9) 및 제2회전 부재(30)의 원판(31)에 도시되지 않은 공간부를 설치할 수 있다.
제3회전 부재(80)는 안내 부쉬(82)의 이용에 의하여 제2회전 부재(30)의 중심 관통 구멍(40)내의 비교적 큰 직경(42) 및 단차(43)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것은 제2회전 부재(30) 및 제1회전 부재(2)와 함께 제3회전 부재(80)를, 기판(120)에 견고하게 결합된 제1축(110)에 쉽게 장치할 수 있는 것을 약속한다. 그러나 각 회전 부재(2), (30), (80)가 제1축(110)상에서 단독으로 직접 안내되도록 동 회전 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합면(51), (52)을 가지는 에라스트마 형성체(50)를 갖춘 제2회전 부재(30)의 돌기(48)는 제3회전 부재(80)가 공간부(94)내에 돌입한다. 제3회전 부재(80)가 휴지 위치에 있을 때에, 2개의 회전 부재(2), (30)를 소망의 회전 위치에서 다른 소망의 회전 위치로 변위시켜도, 제2회전 부재(30)의 접합면(51), (52)이 제3회전 부재(80)의 접합면(96), (97)에 맞닿디 않도록 공간부(94)를 충분한 넓이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비 제어 상태에서, 서보 모터(130)에 모두 간섭되지 않고, 조작 요소(3)에 의하여 제어부(6)를 조정하는 것을 실현 가능하게 한다.
돌기(48)를 제2회전 부재(30)에 설치하는 대신에 돌기(48)를 제3회전 부재(80)에 설치하고, 공간부(94)를 제2회전 부재(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회전 부재(30)의 접합면(51), (52)을 가지는 돌기(48)는 제3회전 부재(80)의 공간부(94) 및 접합면(96), (97)과 공동하여 카프링을 구성한다.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접합면(51), (52)의 1개가 접합면(96), (97)의 1개에 맞닿는다. 즉 카프링이 유효하게 된다.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접합면(51), (52)은 접합면(96), (97)에서 분리된다. 즉 카프링이 무효로 된다. 이렇게 하여 제2회전 부재(30)와 제3회전 부재(80)사이에 동 회전 부재(30), (80)의 특정위치에서는 상호 무효로 되는 것이 카프링(48), (51), (52), (94), (96), (97)이 구성된다. 제1회전 부재(2)의 오목구(11)의 직경이 제2회전 부재(30)으로 오목구(34)의 직경과 같으면,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 전동 장치의 제1부재(1)의 보덴 와이어 심선(5)이 있는 값만큼 변위한 것으로,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의 보덴 와이어 심선(64)이 정확하게 같은 값만큼 변위된다. 그러나, 양 직경이 다르면 보덴 와이어 심선(64)으로의 보덴 와이어 심선(5)의 변위 전달은 증폭 혹은 감소된다. 양 회전 부재(2), (30)의 오목구(11), (34)는 절대로 원형일 필요는 없고, 관통 구멍(12), (40)과 절대로 동심일 필요도 없다. 적어도 오목구(11), (34)의 1개가 대응하는 관통 구멍(12), (40)과 동심이 아니면 또는 오목구의 1개가 예를 들면 캠판의 형태이면, 전동 장치의 제1부재(1)와 제2부재(66) 사이의 전달비를 회전 부재(2), (30)의 회전각에 의존하여 넓은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동기의 소출력 영역에 대하여는 비교적 큰 전달비를 선택하고, 대출력 영역에 대하여는 비교적 작은 전달비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2도에 예시된 장치에 의하면, 제어 운전 상태에 있어서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의 보덴 와이어 심선(64) 결국은 제어부(6)는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화살표(270)의 방향에 그 역방향으로도 변위시킨다. 제4, 5도에 나타낸 장치에서는 전동 장치의 제2부재(66)의 보덴 와이어 심선(64)의 변위 결국 제어부(6)의 변위는 서보 모터에 의하여 화살표(270)의 방향으로만 부여된다.
제어부(6)를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예를 들면 화살표(27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또는 접합면(96)이 접합면(51)에 맞닿고, 제2회전부재(30)가 인장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회전되기까지, 제3회전 부재(80)를 다른 화살표(271)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회전 부재(30)의 스토퍼(46)는 제1회전 부재(2)의 스토퍼(19)에서 떨어진다. 제3회전 부재(80)의 회전각은 화살표(271)의 방향에서는 돌기(101)가 접합판(182)에 맞닿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 경우 보덴 와이어 심선(5)을 더욱 강하게 조작하고, 그것에 의하여 제1회전 부재(2)를 화살표(269)와 역방향으로 조작한 것으로도 보덴 와이어 심선(64)의 위치로의 영향은 없다. 제1회전 부재(2)의 화살표(269)와 역방향의 조작은 제2회전 부재(30) 나아가서는 제어부(6)에 전달할 수 없다.
서로 모터(130)에 의하여 다른 방향, 즉 화살표(270)와 제어하도록 할 때, 이것은 제1실시예(제1 내지 3도)를 전제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제3회전 부재(80)의 접합면(97)이 제2회전 부재(30)의 접합면(52)에 맞닿고, 제2회전 부재(30)가 제3회전 부재(80)에 의하여 회전시키기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보덴 와이어 심선(64) 및 제어부(6)는 화살표(270)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동시에 제1회전 부재(2)도 함께 회전된다. 전동 장치의 제1부재(1)가 예를 들면 인장 케이블이면, 전동 장치의 제1부재(1)가 예를 들면 로드이면, 로드에 적당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조작 요소(3)는 함께 얼마인가 변위시키게 된다.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한쪽 방향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는 접합면(51), (52)의 한쪽만이 제2회전 부재(30)에서 접합면(96), (96)의 한쪽만이 제3회전부재(80)에 있으면 충분하다.
서보 모터(130)의 비 제어시, 복귀 회전 스프링은 제3회전 부재(80)를 그 휴지 위치로 가져오도록 작용하는 제1실시예(제1, 2도)의 제어 운전 상태에 있어서 보덴 와이어 심선(64) 및 제어부(6)는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화살표(270)의 방향에 그 역방향으로도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제3회전 부재(80)는 휴지 위치에서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도 다른쪽의 회전 방향으로도 마찬가지 각각 최대 각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 제3회전 부재(80)가 한쪽 방향으로 변위한 경우는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동 제3회전 부재(80)가 그것과 역방향으로 복귀하지 않으면 안되고, 다른 방향으로 변위한 경우는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155), (175)에 의하여 동 제3회전 부재(80)가 마찬가지로 그것과 역방향으로 휴지 위치로 향하여 복귀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3회전 부재(80)의 휴지 위치는 설계에 따라 특정의 회전 각도에 미친다.
제2실시예(제4, 5도)의 경우, 서보 모터(130)에 의한 보덴 와이어 심선(64) 및 제어부(6)의 변위는 1방향에 대하여야만, 결국 화살표(270)의 방향에 따라서만 부여된다. 그런 까닭에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155)이 제3회전 부재(80)를 간단히 한쪽 방향으로만, 즉 화살표(271)와 역 방향으로만 복귀하게 되면 충분하다. 그런고로, 제2실시예(제4, 5도)의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은 단순히 복귀 회전 스프링(155)만을 포함한다.
제어 운전 상태에 있는 제1실시예(제1, 2도)에서 제3회전 부재(80)가 화살표(271)에 의하여 나타낸 방향과 역방향으로 초기 위치에서 회전시키면, 복귀 회전스프링 수단의 구성 요소인 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복귀 회전 스프링(175)의 제2스프링 단부(180)에 맞닿는 돌기(102)에 의하여 인장된다. 이때 스프링 단부(180)는 고정의 스토퍼(184)에서 떨어진다. 제2스프링 단부(180) 또는 제3회전 부재(80)의 1부분이 고정의 스토퍼에 맞닿을 때까지 제3회전 부재(80)는 복귀한 회전 스프링(175)의 힘에 저항하여 회전된다. 제3회전 부재(80)가 화살표(271)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초기 위치에서 회전시키면, 제2스프링 단부(180)가 고정의 스토퍼(184)에 맞닿을 때까지 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제3회전 부재(80)를 재차 회전시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84)에 의하여 복귀 회전 스프링(175)에는 조입된 상태에서 바이어스가 부여되어 있다.
양 실시예에서, 제3회전 부재(80)는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화살표(271)의 방향에 따라 휴지 위치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은 제3회전 부재(80)를 재차 그 휴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작용한다.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이 구성 요소로서 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접시형 바퀴(142) 및 제2구동 기어(144) (제1, 2도)를 거치고, 단순히 구동 기어(44) (제4, 5도)를 거쳐 제3회전 부재(80)에 비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화살표(271)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휴지 위치에 달하기까지 작용한다. 제4, 5도에서는 복귀 회전 스프링(115)은 제2구동 기어(144)에 대하여 직접 작용하고, 동 구동 기어를 거쳐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작용한다. 제1, 2도의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155)이 제3회전 부재(80)에 작용하는데는, 접시형 바퀴(142)의 접합 단부(167)가 구동 기어(144)의 제1접합연(171)에 맞닿지 않으면 안된다. 제1실시예(제1, 2도)의 경우, 제3회전 부재(80)는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복귀 회전 스프링(155)에 의하여 특정된 휴지 위치를 넘어 화살표(271)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제1실시예의 경우, 구동 기어(144)가 접시형 바퀴(142)에 대하여 계속하여 회전시킴으로서 행하여진다. 이 경우 접합 테두리(171)는 접합 단부(167)에서 분리한다. 구동 기어(144)는 다른쪽에서는 제2접합 테두리(172) 접시형 바퀴(142)의 제2접합 단부(168)에 맞닿을 때까지 접시형 바퀴(142)에 대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제1실시예(제1 내지 3도)의 경우, 한쪽에서는 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제3회전 부재(80)를 화살표(271)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충분한 힘을 가져 휴지 위치로 복귀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쪽에서는 복귀 회전 스프링(155)이 제3회전 부재를 휴지 위치를 초월하여 회전시키지 않는 것이 보증되지 않으면 안되고, 그위에 이미 기재했듯이 서보 모터(130)에 의한 휴지 위치를 초월한 제3회전 부재(80)를 휴지 위치를 넘어 회전시킬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라체트 기구가 갖추어져 있다. 이 라체트 기구는 본질적으로는 접시형 바퀴(142)와 별형상 바퀴(210)에서 된다. 접시형 바퀴(142)의 가능한 회전수 및 각도는 별형상 바퀴(210)의 절단 영입부(226), (227) 및 침하부(222), (223)(제3도)의 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접시형 바퀴(142)는 접시형 바퀴(142)의 각부가 별형상 바퀴(210)의 둘레면(216)에 인접함으로, 제3도에 나타낸 위치에서 화살표(280)의 방향과 역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다. 접시형 바퀴(142)가 제3도에 나타낸 위치에서 화살표(280)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시형 바퀴(142)의 결합 돌기(190)는 제1절단 영입부(226)로의 결합에 의하여 접시형 바퀴(142)의 둘레면(215)이 별형상 바퀴(210)의 제1침하부(222)에 들어가기까지 별형상 바퀴(210)를 1스텝만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면 접시형 기어(142)의 결합 돌기(190)가 제2절단 영입부(227)로의 결합에 의하여 별형상 기어(210)르 재차 1스텝만큼 회전시키기까지 화살표(280)의 방향으로 접시형 바퀴(142)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에 따라 접시형 바퀴(142)의 둘레면(215)은 별형상 바퀴(210)은 별형상 바퀴(210)의 제2침하부(223)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제3회전 부재(80) (제1,2도)가 돌기(101)를 가져 접합판(182)에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280)의 방향으로의 접시형 바퀴(142)의 계속 회전이 실현된다. 접시형 바퀴(142)의 소망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별형상 바퀴(210)에 1개 또는 2개, 그 이상의 절단 영입부(226), (227)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같게 하여 상당수의 침하부(222), (223)를 설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서보 모터(130)의 로터(132)에 연결된 제1구동 기어(131)는 제2구동 기어(144)를 회전시키고, 동 제2구동 기어는 제3회전 부재(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 기어(131)는 제2구동 기어(144)의 제1원판(169)과 치합하고, 제2구동 기어(144)의 제2원판(170)은 제3회전 부재(80)에 전달한다. 그러나 토크의 전달은 구동기어(131), (144) 및 제3회전 부재(80)의 톱니를, 예를 들면 마찰면에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치환하여도 실현된다. 이 경우에 토크는 마찰에 의하여 전달될 것이다.
제1복귀 회전 스프링(155)은 구동 기어(144)를 거쳐 간접적으로 제3회전 부재(80)에 작용한다. 구동 기어(144)와 제3회전 부재(80) 사이의 기어비에 기인하여 복귀 회전 스프링(155)의 복귀 토크를 기어비에 상을하여 작게 설장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175) (제1, 2도)은 직접 제3회전 부재(80)에 작용한다. 이것은 복귀 회전 스프링(175)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변위 밖에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히 비교적으로 작은 변위로 복귀 회전 스프링에 비교적 강력한 평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충분하고 강력한 복귀 토크를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가져온다.
제1,2도에 나타내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제1실시예의 경우,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제2회전 부재(30)를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한쪽의 회전 방향에도 다른쪽의 회전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보덴 와이어 심선(64) 결국 제어부(6)를 한쪽 방향이나 다른쪽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서보 모터(130)에 의한 제2, 제3회전 부재(30), (80)의 회전을 한쪽 방향으로만 한정하는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으로서 양 복귀 회전 스프링(155), (175)의 한쪽이 있으면 충분한다. 왜냐하면 이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은 반드시 한쪽 방향으로 밖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2실시예(제4, 5도)의 경우와 같이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이 예를 들면 회전 스프링(155)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접시형 바퀴(142)와 별형상 바퀴(210)에서 되는 라체트 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제3회전 부재(80)의 돌기(102)가 예를 들면 기판(120)에 장치된 고정의 접합면(282)에 맞닿을 때까지 복귀 회전 스프링(155)이 제3회전 부재(80)를 복귀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복귀 회전 스프링(155)의 제2단부(157)를 직접 구동 기어(144)에 설치할 수 있다.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이 복귀 회전 스프링(175)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귀 회전 스프링(175)용의 기판상, 스토퍼(184)를 생략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복귀 회전 스프링(175)은 제3회전 부재(80)의 1부가 고정의 스토퍼에 맞닿을 때까지 제3회전 부재를 복귀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라체트 기구(142), (210)도 생략 가능하다.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 때문에, 제1실시예(제1, 2도)에서는 유리하게도 2개의 다른 구조의 복귀 회전 스프링(155), (175)이 선택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복귀 회전 스프링(155) 또는 (175)의 형식에 따라 양 복귀 회전 스프링을 형성하고, 원추형으로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양 복귀 회전 스프링(155), (175)의 상호 교환도 가능할 것이다.
제1구동 기어(131)와 제3회전 부재(80) 사이에 제2구동 기어(144)를 개재 장착함으로서 서보 모터(130)의 로터(132)와, 회전 부재(2), (30), (80)가 설치되어 있는 제1축(110) 사이의 거리를 상당히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제1구동 기어(131)는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반경 반향에서 그 외부 둘레부를 초월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회전 부재(80)의 톱니(92)는 원호(87)의 범위내에만 존재하고, 거의 편측에 배치된 돌기(101), (102)에 대하여 확실한 중량 보장을 행하고 있다. 서보 모터(130)는 회전 모터인지 또는 직선 운동을 출력하는 리니어 모터이다. 서보 모터는 전기, 액압, 공기압 등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면 정위치에 있는 기계 및 (예를 들면 승용차 또는 트랙과 같은)자기 주행 기계에 있어서 원동기용의 제어부(6)와 조작 요소(3) 사이의 전동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조작 요소는 예를 들면 손 또는 발로 조작할 수 있다. 조작력의 중지에 의하여 조작 요소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전동 장치를 조작 요소 및 제어부와 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력을 중지했을 때에 조작 요소가 그 전에 설정된 각각의 위치에 멈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원동기에는 그 출력을 예를 들면 내연기관과 같이 제어부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는 것의 모든 형식의 원동기가 포함된다.
출력을 최소치와 최대치간에서 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회전 부재(30)는 적어도 양 회전 방향의 제1종단 위치와 제2종단 위치 사이의 각도 알파(α)분은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제1도). 이 경우, 각도 알파(α)의 조작 범위가 간단히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만 조작 요소(3)에 의하여 또는 간단히 제어 운전 상태에서만 서보 모터(130)와 제3회전 부재(80)에 의하여 도달할 수 있고, 제2종단 위치에는 조작 요소(3)만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 최대치와 최소치간에서 출력을, 조작 요소(3) 내지 보덴 와이어 심선(5)에 의하여, 제3회전 부재(80) 및 서보 모터(130)를 연동시키지 않고, 조정하는 경우는 각도 알파(α)분의 제2회전 부재(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간부(94)를 충분히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술과 같이 제2실시예(제4, 5도)에 의하여 설명한 장치에서는 보덴 와이어 심선(64)을 화살표(270)의 방향으로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변위시킬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발진 및 가속에서 구동륜과 노면간의 추진 슬립을 방지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적당한 센 아이거 추진 슬립을 검출하면 즉시 제어 엘렉트로닉스에 의하여 서보 모터(130)가 제어된다. 제금이나 이 서보 모터는 센서가 허용 불가의 추진 슬립을 검출하지 않게 되기까지 회전 부재(80), (30) 및 보덴 와이어 심선(64)을 거쳐 원동기의 출력을 작게하는 방향으로 제어부(6)를 조정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제1 내지 3도)에 의하여 설명된 장치의 경우, 보덴 와이어 심선(64)은,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화살표(270)의 방향에도 그 역방향으로도 변위시킨다. 그러므로 이 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경우, 추진 슬립을 저지하는 외에, 우너동기의 제동 토크에 의하여 구동축과 노면간에 발생된 제동 슬립을 저지 또는 제한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당한 센서가 제동 슬립을 검출하면 즉시, 제어 엘렉트로닉스에 의하여 재차 서보 모터(130)가 제어되며, 그리고 센서가 허용할 수 없는 제동 슬립을 이미 검출하지 않게 되기까지 회전 부재(30), (80)를 거쳐 보덴 와이어 심선(64)이 화살표(270)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변위되며, 예컨대 출력을 높히는 방향으로 제어부(6)가 조절된다.
추진 슬립은 예를 들면 조작 요소(3)를, 출력을 보다 높히는 방향으로 급격하게 조작했을 때에 발생한다. 제동 슬립은 예를 들면 조작 요소(3)를, 출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돌연 조작했을 때 원동기와 구동륜 사이의 변속기를 로우 기어에 들어갔을 때에 발생한다. 추진 슬립과 제동 슬립을 자동차의 조정성을 저하시킨다.
적당한 제어 엘렉트로닉스에 의하여 서보 모터(130)를 제어한 경우, 자기 주행 기계, 예를 들면 승용차에서는 이 장치를 예를 들면 자동 속도 제어를 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장치의 다수 사용예중에서, 제1실시예(제1, 2도)를 고려하여 넣어 우너동기로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을 갖춘 승용차로의 응용으로 하여 흡입관내의 드로틀 밸브를 제어부(6), 악셀 페달을 조작 요소(3), 그리고 보덴 와이어를 전동 장치(1), (66)로 가정하여 1개의 가능한 사례를 선출한다. 화살표(270)의 방향으로 제어부(6) 또는 보덴 와이어 심선(64)의 변위는 출력의 저하를 의미한다. 이것과 역방향의 변위를 출력을 증대시킨다. 복귀 스프링(266)은 제어부(6)에 대하여 최저 출력으로 향하여 작용한다. 조작력은 복귀 스프링(266)에 저항하여 조작 요소(3)에 대하여 즉 여기에서는 악셀 페달에 대하여 작용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조건을 상정한다.
a)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예를 들면 원동기가 저온의 경우에서도 확실한 운전이 보증되도록, 조작력을 제외했을 때의 출력은 높아진 아이들링 출력 이하에는 저하하지 않는다.
b) 비 제어 운전 상태에서는 서보 모터(130) 및 제3회전 부재(80)를 연동하여 회전시키지 않고, 조작 요소(3), 요컨대 악셀 페달에 의하여 원동기의 출력을 최대 출력까지 조장할 수 있다.
c) 필요하면 예를 들면 우너동기가 열이 되어 있는 경우에 서보 모터(130)에 의하여 제3회전 부재(80)를 거쳐, 확실한 출력을, 높힌 아이들링 출력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다.
d) 엘렉트로닉스에 의하여 결정된 목표 출력이 예를 들면 구동륜의 슬립 회전 때문에 낮은 악셀 페달 위치에 상당하는 출력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e) 비교적 저 출력에 상당하는 위치에 악셀 페달이 존재하여 예를 들면 원동기의 제어 토크가 과대한 경우에는 현재의 출력을, 예를 들면 안정성의 이유에서 일정의 소정치까지 한하여 높힐 수 있다.
조건 a)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안정성의 복귀 스프링(266)이 제어부(6) 내지 제2회전 부재(30)를 높힌 아이들링 출력에 상당하는 초기 위치까지 밖에 화살표(269), (270)의 방향에 따라 끌려 복귀할 수 없도록 제1회전 부재의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 또는 전송 장치의 제1부재내의 보덴 와이어 심선(5)의 스토퍼, 또는 악셀 페달의 스토퍼가 작용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 제2회전 부재(30)의 초기 위치는 제1도에서 일점쇄선(285)으로 나타내어 있다. 조건 b)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특히 공간부(94)가 상당히 크고, 제2회전 부재(30)를 화살표(270)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제1회전 부재(2)를 거쳐 최대 출력에 상당하는 최종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제2회전 부재(30)가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각도 데이터(δ) (제1도)만큼 자유로이 회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조건 c)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특히 서보 모터(130)가 제3회전 부재(80)를 거쳐 제2회전 부재(30)를 초기 위치를 추월하여 화살표(270)의 방향에 따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출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에 있는 이 각도는 스토퍼에 의하여 각도 감마(γ)에 제한 가능하다. 조건 d)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특히 서보 모터(130)가 제3회전 부재(80)를 거쳐 제2회전 부재(30)를 화살표(270)의 방향에 따라 다소 변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조건 e)을 만족하기 위하여는 특히 서보 모터(130)가 제3회전 부재(80)를 그 휴지 위치에서 각도 베타(β) (제1도)만큼 화살표(270)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제3회전 부재(80)와 기판(120) 사이의 스토퍼에 의하여 각도 베타(β)는 확실히 제한된다. 출발 위치에 따라 제2회전 부재(30)는 최대 각도 베타(β)만 화살표(270)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서보 모터(130)에 결함이 있어도, 또는 서보 모터에 작용하는 제어 신호에 실수가 있어도 각도 베타(β) 요컨대 그 출력을 뜻에 반하여 넘지 않는다.

Claims (38)

  1. 조작 요소는 제1회전 부재에, 제어부는 제2회전 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회전 부재의 스토퍼가 상기 다른쪽의 회전 부재의 스토퍼에 맞닿을 때까지 양 회전 부재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한쪽 단부가 제1회전 부재에 작용하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제2회전 부재에 작용하는 인장 스프링이 갖추어져 있는, 조작 요소와 원동기의 출력을 결정하는 제어부와의 사이의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를 갖춘 장치에 있어서, 제3회전 부재(80)가 갖추어져 있으면, 제3회전 부재에 상기 서보 모터(13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제3회전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 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제2 및 제3회전 부재(30, 80) 사이에, 양 회전 부재(30, 80) 상호의 특정 위치에서 무효(無效)인 카플링(48, 51, 52, 94, 96, 97)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2, 30, 80)가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부재(30)가 상기 제3회전 부재(80)를 거쳐 상기 서보 모터(130)에 의해 원동기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부재(30)가 상기 제3회전 부재(80)를 거쳐 상기 서보 모터(130)에 의해 출력을 보다 높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130)에 의해 상기 제2회전 부재(30)의 회전이 상기 원동기의 출력을 보다 높히는 방향으로 최대 허용 회전각 베타(β)까지로 제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130)에 의해 상기 제2회전 부재(30)의 회전이 상기 원동기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최대 허용 회전각 감마(γ)까지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 부재(30)는 상기 제3회전 부재(80)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플링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2회전 부재(30)에서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여 편심적으로 배치된 돌기(48)에서 되고, 이러한 돌기는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공간부(94)에 결합되고, 따라서 공간부(94)가 전체 둘레에 연장하여 있지 않고 공간부(94)의 둘레 방향으로 보아 적어도 1개의 단부가 상기 돌기(48)를 위한 접합면(96, 97)으로서 이용되며, 상기 공간부(94)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돌기(48)의 둘레 방향 넓이보다도 길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 부재(80)는, 상기 제3회전 부재(80)에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1개의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155, 175)에 의하여 휴지 위치(休止位置)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155, 175)이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만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155, 175)이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위치에 따라 한쪽의 회전 방향 또는 다른쪽의 회전 방향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은 2개의 스프링 단부(177, 180)를 가지는 적어도 1개의 복귀 회전 스프링(175)이고, 복귀 회전 스프링의 제1스피링 단부(177)는 케이싱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제2스프링 단부(180)는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돌기(102)를 거쳐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복귀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복귀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3회전 부재(80)의 접합면이 케이싱에 고정 접합면에 맞닿을 때까지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귀 회전 스프링(175)의 상기 제2스프링 단부(180)가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위치에 따라 케이싱에 고정 스토퍼(184)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복귀 회전 부재(80)에 대하는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175)의 유효 범위가 상기 케이싱에 고정 스토퍼(184)로의 상기 제2스프링 단부(180)와의 맞닿음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 부재(80)가 상기 서보 모터(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175)이 만곡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 스프링은 거의 원호형상으로 감겨지고, 상기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는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와권 스프링인 만곡 스프링이 상기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는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9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 부재(80)가 전동 기구(131, 144)를 거쳐 제3회전 부재(80)에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적어도 1개의 복귀 회전 스프링(155)에 의하여 휴지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 수단이 적어도 2개의 단부(156, 157)를 가지는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155)에서 되고, 복귀 회전 스프링의 제1단부(156)가 케이싱에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제2단부(157)가 상기 전동 기구의 제2구동 기어(144)를 거쳐, 상기 제3회전 부재(80)에 대하여 복귀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제3회전 부재(80)의 돌기(102)가 케이싱에 고정의 접합판(282)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복귀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155)의 유효범위가 라체트 기구(142, 210)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9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130)가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155)에 의하여 가져오게 된 복귀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상기 제3회전 부재(8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1항 내지 제2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회전 스프링(155)이 만곡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와권 스프링인 만곡 스프링이 상기 제2구동 기어(144)에 대하여 거의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모터(130), 상기 회전 부재(2, 30, 80), 그리고 상기 인장 스프링(72)이 기판(12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20)은 2개의 측면(124, 12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서보 모터(130)는 상기 한쪽의 측면(12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2, 30, 80)와 상기 인장 스프링(72)은 상기 다른쪽 측면(12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적어도 한쪽의 측면(124, 125)에서 적어도 1개의 카버(252, 256)에 의해 기능상 필요 불가결한 개별의 공간부(254, 257)를 제외하고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20)은 1개 또는 복수의 공간부(261, 262)에 의하여 상기 장치를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기구가 2개의 구동 기어(131,144)에서 되고, 제1구동 기어(131)가 상기 서보 모터(13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 기어(144)의 제1원판(169)과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제2구동 기어(144)의 제2원판(170)이 상기 제3회전 부재(8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기어(131), 상기 제2구동 기어(144)의 상기 제1 및 제2원판(169, 170), 그리고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톱니(92, 17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톱니(92)가 360°이하의 각도 범위에 확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기어(131)가 상기 제3회전 부재(80)의 외주 둘레 내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72)은 와권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 부재(2, 30)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72)은 양 회전 부재(2, 30)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 부재(2, 30)가 상호 회전적으로 안내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72)은 양 회전 부재(2, 30) 사이에 위치하고, 그리고 양 회전 부재가 상기 인장 스프링(72)과 일체형의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의 위치가 행정(行程) 측정 시스템(265)에 의하여 검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012922A 1988-09-23 1989-09-07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KR960014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32400.8 1988-09-23
DE3832400A DE3832400A1 (de) 1988-09-23 1988-09-23 Vorrichtung mit einem stellmotor zum eingriff in eine uebertrag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548A KR900004548A (ko) 1990-04-12
KR960014078B1 true KR960014078B1 (ko) 1996-10-12

Family

ID=636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922A KR960014078B1 (ko) 1988-09-23 1989-09-07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72817A (ko)
EP (1) EP0359990B1 (ko)
JP (1) JPH02125931A (ko)
KR (1) KR960014078B1 (ko)
DE (2) DE3832400A1 (ko)
ES (1) ES203631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4738A1 (de) * 1989-10-18 1991-04-2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ii mit einem stellmotor zum eingriff in eine uebertragungseinrichtung
DE3936875A1 (de) * 1989-11-06 1991-05-08 Hella Kg Hueck & Co Drosselklappe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US5163400A (en) * 1990-01-16 1992-11-17 Sawafuji Electric Co. Ltd. Engine unit
US5113823A (en) * 1990-04-06 1992-05-19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Throttle valve control apparatus for use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33225A (en) * 1991-01-15 1992-07-28 Williams Controls, Inc. Electronic foot pedal having improved biasing arrangement
US5161504A (en) * 1991-07-26 1992-11-10 Eaton Corporation Dual mode electrical servoactuator
JP3437604B2 (ja) * 1993-06-16 2003-08-18 日本ケーブル・システム株式会社 アクセルアクチュエータシステム
DE102004016912A1 (de) * 2003-08-07 2005-11-03 Robert Bosch Gmbh Stellglied für die Steuerung von Verbrennungsmotoren
JP5357105B2 (ja) * 2010-05-19 2013-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ロットル装置
IT201700035314A1 (it) * 2017-03-30 2018-09-30 Claudio Mazzetti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ccelerazione di veicoli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935A (en) * 1979-11-26 1981-06-23 Nippon Denso Co Ltd Speed governor for automobile
JPS57110735A (en) * 1980-12-27 1982-07-09 Fuji Heavy Ind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rotational frequency of engine
EP0081171A3 (de) * 1981-12-01 1984-06-13 E M G GmbH 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r Einstelleinrichtung für Vergaser od. dgl.
US4462357A (en) * 1982-08-30 1984-07-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rottle system
JPS60152902A (ja) * 1984-01-20 1985-08-12 Aisan Ind Co Ltd エンジンのスロツトルセンサ
GB8431455D0 (en) * 1984-12-13 1985-01-23 Ae Plc Mechanical over-ride linkages
DE3639501A1 (de) * 1985-11-30 1987-06-0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Gasbetaetigungs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DE3608751A1 (de) * 1986-01-30 1987-08-06 Teves Gmbh Alfred 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mit vortriebsregelung
JPS62265424A (ja) * 1986-05-13 1987-11-18 Aisin Seiki Co Ltd 被動部材制御装置
US4787353A (en) * 1986-09-24 1988-11-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hrottle valve contro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ounted on a vehicle
DE3632782A1 (de) * 1986-09-26 1988-03-31 Teves Gmbh Alfred Antriebsschlupfregelungsvorrichtung mit gesteuerter federkraft
DE3635775A1 (de) * 1986-10-21 1988-04-28 Teves Gmbh Alfred Antriebsschlupfregel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DE3636417A1 (de) * 1986-10-25 1988-05-05 Teves Gmbh Alfred Antriebsschlupf- und geschwindigkeitsregelvorrichtung
DE3641244C3 (de) * 1986-12-03 1995-02-23 Vdo Schindling 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JPS6473134A (en) * 1987-09-14 1989-03-17 Mazda Motor Throttle valve ope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548A (ko) 1990-04-12
JPH02125931A (ja) 1990-05-14
EP0359990A1 (de) 1990-03-28
DE3832400A1 (de) 1990-04-05
ES2036313T3 (es) 1993-05-16
EP0359990B1 (de) 1992-10-28
DE58902551D1 (de) 1992-12-03
US4972817A (en) 1990-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149B2 (en) Worm reduction gea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4958607A (en) Foot pedal arrangement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of truck engines
KR960014078B1 (ko) 전동 장치 간섭용 서보 모터 장치
JP2881776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2004513829A (ja) ワイヤステアリング式操舵装置のためのクラッチ
JP7172823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KR102363663B1 (ko) 제동력전달유닛, 브레이크 서브조립체 및 브레이크 조립체 그룹
KR100743131B1 (ko) 레인지절환장치
US5161507A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US5178112A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EP0548945B1 (en) Throttle control apparatus
US10358031B2 (en) Reaction force generating apparatus
US11441676B2 (en) Rotary actuator
JPH0367315A (ja) 相対回転角度センサ付きペダルユニット
JP3189627B2 (ja)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JP2982456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617655Y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電動機出力部構造
JP2902193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3006250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4269336A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EP0557770B1 (en) Throttle actuator
JP2024014808A (ja) 電気機械ブレーキおよびそのロック装置およびロック装置制御方法
JP2902194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4231627A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H04269337A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