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84B1 -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84B1
KR960013384B1 KR1019890000752A KR890000752A KR960013384B1 KR 960013384 B1 KR960013384 B1 KR 960013384B1 KR 1019890000752 A KR1019890000752 A KR 1019890000752A KR 890000752 A KR890000752 A KR 890000752A KR 960013384 B1 KR960013384 B1 KR 96001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mounting shaft
opening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570A (ko
Inventor
게이이찌 고바야시
마사즈미 모리와끼
시게나리 가도마쓰
유우지 후지에
마사노부 가와모도
Original Assignee
고가 요시네
도오도오기끼 가부시기가이샤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가 요시네, 도오도오기끼 가부시기가이샤,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꼬 filed Critical 고가 요시네
Publication of KR89001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9Wrap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제1도 및 제2도는 변기본체(a)에 세정기능을 가진 위생세정장치(b)를 설치하고, 그 케이싱내에 본원 발명의 개폐기구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원 발명의 개폐기구의 일부절결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1-1선에서 본 도면.
제5도(a)는 장착축의 정면도.
제5도(b)는 제5도(a)의 Ⅱ-Ⅱ선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장착축과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장착시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a)는 개폐기구의 케이싱설치를 나타내는 부분절결도.
제7도(b)는 케이싱의 절결평면도.
제8도는 클러치기능을 가진 코일스프링의 사시도.
제9도는 장착축의 회전에 의한 조인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장착축과 구속캡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장착축의 구속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위생세정장치에의 장착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장착구조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V-V선에서 본 단면도.
제15도는 부싱의 구속편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6도는 장착축의 삽입에 의한 구속편의 변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변기에 설치하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의자식의 수세변기에는 변기시트만 또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그 기단부(基端部)를 힌지기구에 의해서 변기본체에 연결한 것이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 채용되고 있다.
이 힌지기구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기단부를 핀 등의 축에 의해서 변기본체의 힌지부에 연접(連接)한 것이며,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는 이 핀에 일체 연결 또는 자유로이 회전하는 구성을 가지며. 변기본체의 힌지부에 대하여 자유회전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유회전기구를 채용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는 열린상태에서 닫을때에 있어서 손을 놓았을때 자연낙하된 상태가 되어, 변기본체와의 사이에서 큰 타격음을 발생하고, 야간의 사용시에는 특히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더우기,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빈번한 변기본체에의 충격은 힌지부가 헐겁게 되어 제품수명이 단축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힌지기구에 의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회전에 저항을 부하하여 완만하게 동작하는 구조로 한 것이 있다.
그 첫개는 일본국 실원소 60(1985)-188910호로서 출원한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힌지기구의 축의 주위에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닫을때에 도중에 손을 놓아도, 코일 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급격한 낙하가 완충되고, 변기본체에의 타격도의 경감이 가능한 구조로 한 것이다.
또, 힌지축의 회전에 저항부여수단으로서 점성체 등을 사용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가 기립상태에서 경사개시직후까기는 힌지회전의 회전모멘트는 작고, 변기 본체측으로 눕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상승하며, 힌지에 작용하는 로크가 변화하여 닫히기 직전에 있어서 그 토크는 최대가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의 힌지기구의 회전에 저항을 부하한 구조에 있어서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가 기립한 상태에서 닫힌때까지의 동작에 대하여 저항은 거의 일정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문에, 상기 힌지기구에 설치한 회전저항수단에 의한 저항치가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에 의한 발생최대 토크보다도 작으면, 그 충격에 대한 완충능(緩衝能)은 실질적으로 제로가 된다 또, 그 완충능을 기능시키기 위해서 그 저항치를 최대토크와 동일하든가 또는 큰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 하면, 기립상태에서 닫힐 때 까지의 회전저항이 너무 커져서 시간이 길어져 실용적이 못된다.
또한, 점성체를 힌지의 회전저항수단으로 한 경우.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기립시킬때의 저항으로도 되어, 자유회전의 종래형에 비하여 큰 힘을 필요로하여 사용성이 악화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서는 힌지회전의 토크변화에 대응되는 가변토크기능을 가진 개폐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종래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에 채용되고 있는 가변토크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더구나 용량도 크다. 이때문에. 특히 변기본체에 부속되는 위생세정장치 등의 케이싱에 수납하는 타입의 것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변기시트와 변기덮개의 회전을 위한 힌지기구는 스페이스를 지나치게 차지한다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근년 널리 사용하게 된 국부세정을 위한 위생장치를 구비한 변기에 적용한다면, 다른 보조기구 예를 들면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기립자세를 유지하는 기구를 구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의자식 수세변기에 있어서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문제를 해소하여, 전혀 그 사용편의성을 저해하는 일 없이. 기립상태에서 변기위에 눕힐때의 완충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더우기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기립유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개폐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의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변기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접하는 개폐기구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의 기단에 설치한 장착시트를 삽통하는 장착축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여 이루어지며, 더우기 상기 변기시트 및 변지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닫을때만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구와, 기립위치에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유지하는 구속기구와, 기립위치에서 닫힐 동안의 회전력변화를 보정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쐬소한 한쪽을 닫을때만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구는 클러치기능을 가진 점성을 이용한 저항기구로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패기구에 있어서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열때에는 저항기구는 작동하지 않고, 닫을때에는 어떤 각도범위를 신속히 회전시킨 후에 완만히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열때는 통상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와 마찬가지로 가볍게 취급할 수 있고, 닫을때에는 저항을 부하하는데도 불구하고 단시간에 작동을 끝낼 수 있다. 또, 개패기구에서 변기측에의 충격이 완화되고, 부재의 손상이나 헐거워지는 것 등도 방지된다.
또한, 그 기구도 간단히 장착축의 착탈을 행하는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이 간단해지고 변기주위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본체(A)에 세정기능을 가진 위생세정장치(b)를 설치하고, 그 케이싱내에 개폐기구를 배치하며,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각기 좌우를 위생세정장치(b)에 연접한 구조로 한다.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각각의 기단에는 개폐기구(M)에 연접되는 장착시트(la) (2a)가 좌우로 한쌍 형성되고, 이들 장착시트(la) (2a)와 장착축(3)에 의해서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가 각기 개폐기구(M)에 연접되어 있다.
장착축(3)은 제 5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을 축경(縮徑)시킨 합성수지제의 로드(rod)이며,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斷面)은 제5도(b)와 같이 직선과 곡선을 가진 대략 장원형이다. 그리고, 축선방향의 중심에서 선단축에 치우친 부분의 둘레면에는 단면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오목부분(3a)을 형성하고 있다.
이 장착축(3)이 삽통하는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장착시트(la), (2a)의 각각의 삽통공(1b). (2b)의 단면형상은 장착시트(la), (2a)의 좌우배치에 의해서 제6도와 같이 다르다. 즉. 제2도에 있어서의 우측의 장착시트(la), (2a)의 경우는 제6도(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시트(1)측의 삽통공(1b)은 장착축(3)의 원호면을 반경으로 하는 원형이며, 변기덮개(2)의 삽통공(2b)은 장착축(3)을 끼워부착하는 장원형단면이다. 또, 제2도에 있어서의 좌측의 장착시트(la). (2a)의 경우는 제6도(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시트(1)의 삽통공(1b)이 장착축(3)을 끼워 부착하고, 변기덮개(2)의 삽통공(2b)은 원형단면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삽통공(1b), (2b)의 단면형상에 의해 우측에서는 장착축(3)주위에 변기시트(1)는 자유회전하고, 변기덮개(2)는 장착축(3)과 함께 회전한다. 이에 대해 좌측에서는 변기시트(1)는 장착축(3)과 일체로 회전하고, 변기덮개(2)는 장착축(3)과는 관계없이 회전한다.
개폐기구(M)는 위생세정장치(b)의 베이스(b-1)에 고정된 케이싱(4)를 주체로하여 구성된다. 베이스(b-1)에는 제7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4)에 설치한 고정편(4a)를 받는 지지보스(b-2)를 소정의 위치에 형성하고, 그 상단(上端)을 고정편(4a)의 구멍(4b)에 끼워맞추고 있다. 또, 지지보스(b-2)에는 고정편(4a)의 하면을 받아서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탄성체의 슬리브(5)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케이싱(4)은 그 고정편(4a)을 비스(4c) 및 워셔(4d)에 의해서 지지보스(B-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편(4a)의 하면과 베이스(b-1)와의 사이에 완충기능을 가진 슬리브(5)를 배치함으로써, 개폐기구(M)의 전체를 위생세정장치 (B)에 대하여 탄성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지지보스(b-2)의 상단을 고정편(4a)의 구멍(4b)에 끼워넣으므로. 조립시의 위치결정도 간략화가 달성된다.
케이싱 (4)은 제7도(b)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고리모양의 내층벽(6)이 형성된 2중관 구조를 갖는다.
이 내충벽(6)의 상하 2개소에는 케이싱(4)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슬리트(6a)를 절개하고. 케이싱(4)의 내측단벽(內側端壁)의 중앙에는 원형종단면의 돌출부(6b)를 축선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4)의 내부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축(3)에서 전달되는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는 회전자(7) 및 장착축(3)을 개폐기구(M)에 연접하는 조인트(8)가 배치된다.
회전자(7)는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가 닫힐 때에 저항을 부여하여 완만한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저항기구로서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회전자(7)는 케이싱(4)의 내주벽 및 내층벽(6)과의 사이 및 내층벽(6)의 내주측을 메운 2층외 벽을 가진 2중관구조이며, 내부중앙에는 원통형의 리브(7a)를 케이싱(4)과 동축이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4) 및 조인트(8)와의 사이에 O링(7b)를 배설하고, 케이싱(4)의 내주벽 및 내층벽(6)의 내외벽과의 사이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부에 그리스 등을 봉입한다. 이 그리스는 내층벽(6)의 전체 및 케이싱(4)의 내주벽과 회전자(7)와의 사이의 넓은 면적에 봉입되어. 그리스의 점성에 의해서 케이싱(4)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조인트(8)는 그 선단부가 회전자(7)의 리브(7a)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들 조인트(8) 및 회전자(7)는 서로 자유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리브(7a)의 외경과 조인트(8)의 선단측의 외경과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리브(7a)의 단부에 접합하는 부분에는 각기 금속제의 링(9a), (9b)를 일체화하고 있다. 이들 링(9a), (9b)도리브(7a)의 외경과 동일하게 하고, 리브(7a)의 기단(基端)으로부터 조인트(8)의 중도부분에는 코일스프링(10)이 끼워지고, 이 코일스프링 (10)에 의한 접합을 클러치기구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 코일스프링(10)은 제8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감기(스프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음)로 한 것이며, 이것은 제2도에 있어서 좌측의 개폐기구(M)에 장착된다.
그리고, 로일스프링(10)을 구성하는 열처리된 강 등의 선재(線材)는 편평단면을 가진 것을 사용한다. 또, 제2도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기구(M)에는 제8도 (b)와 같이, 우측으로 감기(스프링의 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감음)의 코일스프링(10))이 장착된다.
이들 코일스프링(10)을 개폐기구(M)에 구비함으로써, 변기시트(1) 또는 변기덮개(2) 및 이들 쌍방을 일으켜 세울 때에는 장착축(3)의 회전은 회전자(7)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제3도의 좌측의 개폐기구(M)의 경우, 장착축(3)은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중심축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코일스프링(10)에는 그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의 작용력이 부하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10)은 그 내경이 넓어지게 되어, 조인트(8) 및 회전자(7)사이의 회전력전달이 슬립되고, 장착축(3)에서 회전자(7)에의 회전은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기구(M)의 경우에는,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를 열 때 에는 그 중앙측에서 보아 장착축(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0)에는 그 감김방향과 반대방향의 작용력이 부하되므로. 마찬가지로 내경의 확대에 의한 슬립을 발생하여 회전의 전달이 불가능해 진다.
제9도(a)는 제3도의 Ⅲ-Ⅲ선에서 본 조인트(8)의 종단면도이다.
이 조인트(8)에는 장착축(3)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삽입공(8a)이 축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삽입공(8a)은 대략 장원형의 단면을 가진 장착축(3)을 그 축선주위에 일정한 각도만큼 자유로 회전시킬 수 있는 개구단면형상을 갖는다. 즉, 장착축(3)의 원호부분의 형태와 같은 곡선부(8b) 및 중심부분이 한데 묶인 한쌍의 부채모양의 직선부(8c)를 형성하고, 제9도(a) 및 (b)와 같이, 장착축(3)을 그 축선주위에 어떤 일정각도의 여유를 갖게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축(3)이 이 여유에 포함되는 각도범워를 회전하여도, 장착축(3)의 회전은 조인트(8)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장착축(3)의 직선부가 삽입공(8a)의 직선부(8c)에 맞닿는 상태(제9도(c),(d))가 되면, 장착축(3)의 회전과 일체가 되어서 조인트(8)는 회전한다.
또한, 케이싱(4)의 외부에는 조인트(8)와 동축이 되도록 장착축(3)의 구속캡(11)이 착탈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구속캡(11)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4)의 둘레면에 돌출된 클릭(4e)에 결합하는 훅(115)을 구비한 환상채(環狀體)이다.
구속캡(11)의 내부에는 제10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축(3)의 오목부분(3a)의 둘레면을 구속하는 한쌍의 구속편(12)과, 그것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접촉면의 마모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한 롤러편(12a)을 수납하고 있다. 이들 구속편(12)은 그 기단이 구속캡(11)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도면중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구속편(12)을 장착축(3)의 둘레면방향으로 힘을 가지는 스프링(13)이 각각 연접되며, 이 가세력에 의해서 장착축(3)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을 부하한다.
여기서, 장착축(3)을 구속캡(11)으로부터 조인트(8)내애 삽입했을때, 제3도와 같이 장착축(3)의 오목부분(3a)이 구속캡(11)의 구속편(12)의 롤러편(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트된다. 장착축(3)의 오목부분(3a)은 제6도(b)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원형단면의 직선부(3b) 및 곡선부(3c)를 가지며. 제10도와 같이 직선부(3b)가 롤러편(12a)에 의해서 협지된다.
이때문에. 장착축(3)의 직선부가 롤러편(12a)과 대치하는 위치관계일때는 장착축(3)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변기시트(1)를 기립시킨 위치에 유지하는 구속기능을 구속캡(11)이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개폐기구(M)는 제2도에 있어서 우측에도 배치된다. 이 경우,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장착시트(la), (2a)의 삽통공(1b), (2b)과 장착축(3)의 관계는 제6도(a), (b)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 변기덮개(2)는 변기의 탱크에 기대어 세워놓은 경우에도 자중에 의해서 닫히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구속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구속캡(11)의 내부에는 구속편(12) 및 롤러편(12a)은 장착되어 있지 않다.그러나, 기타의 기구는 모두 좌측의 기구와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변기덮개(2)만을 기립시키는 경우, 제6도(b)처럼 우측의 장착시트(2a)의 삽통공(2b)과 장착축(3)과는 끼워맞춘 상태에 있으며, 한편 좌측에 있어서 여유있게 끼운상태이기 때문에, 우측의 개폐기구(M)의 장착축(3)이 변기덮개(2)와 일체로 회전한다. 즉, 변기덮개(2)만의 개폐에 있어서는 우측의 개폐기구(M)만이 작동에 관계하고, 좌측의 개폐기구(M)에 연접되어 있는 장착축(B)에 대해서는 변기덮개(2)는 자유회전한다. 한편, 변기시트(1)가 닫힌 상태에서 기립시키기까지의 장착축 (3)은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각기 (a)에 나타내는 것은 변기시트(1)가 닫혀있는 경우이며, 장착축(3)의 직선부(3b)의 연직이 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 닫힌 상태에서 변기시트(1)를 기립시키면, 장착축(3)은 제9도(a) 및 제10도(a)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장착축(3)의 오목부분(3a)은 구속편(12) 및 롤러편(12a)을 밀어젖히고 회전을 계속하며, 조인트(8)에 삽입된 선단부분은 제9도(b)와 같이 자세를 바꾼다. 즉, 조인트(8)의 삽입공(8a)은 장원 형단면의 장착축(3)에 대하여 여유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 제9도(b)와 같이 장착축(3)의 직선부(3b)가 삽입공(8a)의 직선부(8c)에 맞닿을때까지, 조인트(8)에는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기덮개(2)를 열기시작할때의 부하는 오목부분(3a)이 스프링(13)에 항거하여 회전하는데 필요한 것만으로 족하게 되어 경쾌한 취급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더욱 변기시트(1)을 일으켜 세우면 조인트(8)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조인트(8)가 회전하려고 한다. 한편, 좌측의 개폐기구(M)의 코일스프링 (10)은 변기시트(1)의 중심축에서 보아 반시게방향으로 감겨있다. 따라서, 조인트(8)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므로, 조인트(8)가 회전하면 코일스프링(10)에는 감는방향과 반대의 작용력이 원주방향으로 부하된다. 그 결과, 코일스프링(10)의 내경이 커지고, 조인트(8) 및 회전자(7)에 대한 감합도(嵌合度)가 저하되고, 양자간의 회전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10)의 변형을 이용함으로써, 조인트(8)는 케이싱(4)내에서 공회전상태가 되고, 장착축(3)에는 케이싱(4)과 회전자(7)에 의한 저항이 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기시트(1)를 열때의 저항은 없으며, 가벼운 조작으로 기립위치에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개폐기구(M)에 있어서는 제6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축(3)은 장착시트(la)의 삽통공(1b)내에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변기시트(1)의 회전시 자유회전한다.
변기시트(1)가 기립했을때에는 제10도(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컵(11)의 구속편(12)의 롤러편(12a)이 장착축(3)의 직선부(3b)제 맞닿는다. 롤러편(12a)은 스프링(13)이 가하는 힘에 의해서 직선부(3b)를 끼워누르고, 변기시트(1)의 회전모맨트에 의한 장착축(3)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때문에, 변기시트(1)는 그 기립위치에 유지되어 자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기립각도의 자세를 취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변기시트(1)를 닫을때는 를러편(12a)에 의한 장착축(3)의 구속을 푸는 정도의 힘으로 아래쪽으로 밀어내린다. 이때, 장착축(3)은 제9도(d) 및 제10도(c)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기립점에서 어떤 일정각도까지는 조인트(8)와 장착축(3)과의 사이의 여유에 의해서, 케이싱(4) 및 회전자(7)에 의한 저항을 받지 않는 신속한 작동을 행한다. 즉, 제9도(d)의 상태로부터 (c)로 이행하는 동안, 조인트(8)내의 삽입공(8a)의 형상에 의해서 변기시트(1)와 동시에 일체회전하는 장착축(3)은 이 조인트(8)내에서 공회전한다. 그리고, 제9도(c)와 같이 장착축(3)의 직선부(3b)가 삽입공(8a)의 직선부(8c)에 맞닿는 시점에서 비로서 장착축(3)으로부터의 회전이 조인트(8)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9도(c)에 나타내는 각도 α의 영역 사이에서는 변기시트(1)는 자연낙화와 동일한 운동을 하고, 저항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빠른 회전속도로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또한 제9도(c)의 상태가 된 시점이후는 장착축(3)에 의해서 조인트(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자(7)와의 사이에 배치한 코일스프링(10)은그 감김방향으로의 작용력을 조인트(8)의 둘레면으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0)은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변형되고, 조인트(8) 및 회전자(7)의 각각 끼워지는 부분을 강하게 눌러서, 조인트(8)에서 회전자(7)에의 회전력전달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회전자(7)가 케이싱 (4)내에서 회전할때. 봉입된 그리스의 저항이 작용한다. 그 결과, 변기시트(1)는 각도 α의 영역에서는 빨리 회전하지만, 그 이후는 이 저항에 의해서 속도가 감소된후, 대략 일정한 저속이 되어 완만하게 변기본체(A)의 상면에 얹히게 된다.
이와 같이, 변기시트(1)를 닫을때는 기립한 상태에서 어떤 각도범위를 빨리 회전하고, 그 후에는 완만히 강하한다. 따라서, 변기시트(1)가 닫히기까지의 시간은 최초부터 항상 저항이 작용하는 구성의 경우에 비하여 단축된다. 또, 변기본체(A)면에 도달할때에는 케이싱(4)과 회전자(7)에 의한 저항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완만히 작동한다. 이 때문에. 변기시트(1)의 충격을 주거나 타격음을 발생하지 않고 정숙한 사용이 가능해 진다.
또.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를 동시에 기립시킬때는 좌우의 개폐기구(M)의 기능에 의해 상기와 동일한 작동이 가능하다. 변기시트(1)에 대해서는 이상의 설명과 같은 동작을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변기덮개(2)에 대해서는 우측의 개폐기구(M)에 의해 닫을때의 완충동작을 한다.
변기덮개(2)는 제6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장착시트(2a)의 삽통공(2b)에 장착축(3)이 끼워지고, 변기시트(1)는 이 장착축(3)에 대하여 제6도(a)와 같이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변기덮개(2)의 개폐에 대해서만 우측의 개폐기구(M)가 관여하며. 그 동작은 변기시트(1)의 경우에서 기술한 것과 전혀 동일하다. 즉, 변기덮개(2)를 일으켜 세울때는 코일스프링(10)의 내경이 넓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저항을 없애고, 또한 닫을때에는 최초는 빨리 변기시트(1)에 향하기 전에 케이싱(4) 및 회전자(7)에 의한 저항을 받아서 완만하게 닫는 동작을 행한다.
또, 변기덮개(2)를 기립시킨 채로 변기시트(1)만을 닫는 경우에는, 좌측의 개폐기구(M)만이 작동한다.
이것은 제6도(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시트(1)의 우측의 삽통공(1b)에 대하여 장착축(3)은 자유로 회전되므로, 변기시트(1)의 작동에는 우측의 개폐기구(M)는 연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착축(3)과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각각 삽통공(1b),(2b)과의 관계에 의해서, 변기시트(1)를 우측 및 변기덮개(2)를 좌측의 개폐기구(M)에 연동관계를 갖게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장착축(3)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덮개(2)에 형성한 돌기(2a)에 의해서 끝면이 구속되어 있다.
또, 개폐기구(M)는 완충기능을 가진 슬리브(5)에 의해서 베이스(B-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개폐동작에 의한 충격 등이 흡수되고, 위생세정장치(B)에 부여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생세정장치(B)에 구비한 기기에의 충격도도 저하되고, 부재의 헐거워짐도 해소된다.
제11도는 구속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속캡(11)은 그 내주면에 한쌍의 구속편(120)을 구비하고 있다. 슬리트(130)에 의해 각 구속편(120)은 구속캡(11)의 본체부내주에서 분리되고, 구속편(120)이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되어있다. 구속편(120)은 그 선단의 내측에 결합부(120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결합부(120a)는 제11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축(3)의 직선부(3b)에 결합하여 회전축(3)의 회전을 규제한다. 회전축(3)을 제11도(a)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면, 직선부(3b)가 결합부(120a)를 밀어 이것을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키고, 이후 제11도(a)와 같이 구속편(120)에 의한 구속이 풀려서 회전축(3)이 회전한다 또, 제11도(b)에 있어서 회전축(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곡선부(3c)가 구속편(120)의 선단을 밀므로 회전축(3)은 회전하여 제l1도(a)에 나타내는 로크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구속기구의 구성은 제10도에 나타낸 예의 경우와 같이 회전측(3)에 대한 구속기능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시트( ) 및 변기덮개(2)의 힌지구조로서는 상기의 예와는 다른 양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을 제12도에서 제16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는 각기 부착시트(la), (2a)를 삽통하는 장착축(30)을 위생세정장치의 케이싱(5))의 힌지공(51a)에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변기시트(1)는 그 장착시트(la)도 포함해서 ABS 등의 합성수지제이며, 장착시트(la)에는 장착축(30)을 지지하기 위한 부싱(43)을 일체화하고 있다. 이 부싱(40)은 기계적 강도가 큰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고, 장착시트(la)에 뚫은 장착공(1b)에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장착된다. 또,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싱(40)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돌조(突條)(40a)를 형성하고, 이것들은 장착공(1b)에 박히게 함으로써 부싱(4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다.
또한, 부싱(40)이 변기시트(1)의 중앙을 향하는 측은 개방된 공동부(空洞部) (4Ob)로 하고, 이 공동부(40b)에 연통하는 장착축(30)의 삽통공(40c)을 관통하고 있다. 공동부(40b)내에는 삽통공(40)과 동축이 되도록 원통부(50)가 일체성형된다. 이 원통부(50)의 선단측은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슬리트(50a)를 축선방향으로 절개하고, 원주방향의 길이가 작은 1조를 장착축(30)에 대한 구속편(60)으로서 기능시킨다. 이들 구속편(60)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대치하는 위치에 있으며. 각각의 선단부의 내주에는 돌기(60a)가 중심축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장착축(30)은 부싱(40)의 끝면에 착좌(着座)하는 플랜지(30a)를 일단에 설치하고. 그 근방의 축부(30b)에는 흠(30c)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흠(30c)은 제13도와 같이 플랜지(30a)가 부싱(40)의 끝면에 착좌했을때에, 구속편(60)의 돌기(60a)가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 장착축(30)의 선단은 부싱(40)을 관통하여 다시 변기덮개(2)에 형성된 구멍(2b)을 삽통하고, 세정장치(51)의 장착공(51a)내에 들어가서 지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9)를 세정장치(51)에 연결할때는 장착시트(la), (2a)를 각각 합쳐서. 제16도(a)와 같이 장착축(30)을 부싱(40)에 삽입한다. 이때, 장착축(30)의 축부(30b)에 의해서. 제16도(a) 및 제16도(b)(제16도(a)의 Vl-Vl선에서 본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속편(60)은 밖으로 넓어지도륵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장착축(30)의 삽입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구속편(60)의 돌기(60a)의 선단을 테이퍼면(60b)으로 하여 릴리프(relief)를 형성해둔다.
그리고, 장착축(30)의 선단이 세정장치(51)의 장착공(51a)내에 들어가 플랜지(30a)가 부싱(40)의 끝면에 착좌한 시점에, 제13도와 같이 구속편(60)의 돌기(60a)가 흠(30c)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속편(60)에 의해서 장착축(30)은 그 축선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변형하는 구속편(60)을 설치한 부싱(40)내에 장착축(30)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변기시트(1) 및 변기덮개(2)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때문에, 비스 등과 같은 기계적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원터치식으로 장착할 수 있고, 제작도 용이해진다. 또, 장착축(30)을 뺄때는 플랜지 (30a)부분을 드라이버 등으로 일으켜세워, 돌기(60a)와 홈(30c)의 결합을 푸는 것만으로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주부 등일지라도 취급에 어려움이 없으며, 변기의 청소를 구석구석까지 실시함으로서 청결한 사용도 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세정장치에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를 연결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변기본체에 힌지기구를 설치하여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도 본원 발명의 장착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변기시트만을 장착하는 변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원 발명의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는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위생기기를 가진 의자식 변기에 한하지 않고, 각종의 형상을 가진 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변기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접(連接)하는 개폐기구로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의 기단(基端)에 설치한 장착시트에 착탈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장착축과, 상기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닫을때만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저항기구와. 기립위치에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유지하는 구속기구와. 기립위치에서 닫힐동안의 회전력 변화를 보정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닫을때만 회전저항을 구여하는 저항기구가 클러치기능을 가진 점성을 이용한 저항기구인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3.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변기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접하는 개폐기구로서, 이 개폐기구.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의 기단에 배설한 장착시트를 삽통하는 장착축을 삽입연접하는 동시에 이 장착축의 회전에 저항을 부가하는 저항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장착측과 저항기구를 상기 변기시트 잊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이 그 기립위치에서 눕히는 자세가 되는 일정각도의 범위의 여유클 설정하여 연접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4.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을 변기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접하는 개폐기구로서, 이 개폐기구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최소한 한쪽의 기단에 설치한 장착시트를 삽통하는 장착축을 삽입지지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축은 그 둘레면의 일부에 캠부를 가지며, 이 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착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상기 개폐기구에 일체화하고, 상기 구속기구에 의한 장착축의 회전규제에 의해 상기 변기시트를 그 기립위치에 구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착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구가 캠부의 둘레면에 맞닿아서 탄성변형하는 구속편을 구비한 구속캡인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캠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장착축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기구가 캠부의 둘레면에 맞닿는 구속편 및 이 구속편을 상기 캠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한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7. 변기시트의 기단부에 장착시트를 설치하고, 이 장착시트를 삽통하는 장착축에 의해서 상기 변기시트를 변기에 개폐할 수 있도록 연접하는 개폐구조로서, 상기 장착축이 삽통하는 합성수지재의 부싱을 상기 장착시트에 배설하며, 이 부싱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구속편을 상기 장착축의 삽통선 주위에 가지고 이루어지며, 또한 이 구속편에 결합하는 흠을 상기 장착축의 둘레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KR1019890000752A 1988-01-26 1989-01-25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KR960013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16149A JPH01190326A (ja) 1988-01-26 1988-01-26 便座及び便蓋の開閉機構
JP88-16149 1988-01-26
JP63-16149 1988-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570A KR890011570A (ko) 1989-08-21
KR960013384B1 true KR960013384B1 (ko) 1996-10-04

Family

ID=1190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752A KR960013384B1 (ko) 1988-01-26 1989-01-25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10601A (ko)
EP (1) EP0326084B1 (ko)
JP (1) JPH01190326A (ko)
KR (1) KR960013384B1 (ko)
AT (1) ATE89144T1 (ko)
CA (1) CA1304541C (ko)
DE (1) DE689064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4027B2 (en) * 1989-10-11 1992-05-28 Sugatsune Industrial Co., Ltd Door hinge
US5153946A (en) * 1990-02-27 1992-10-13 Calvin Yoke W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losing a toilet bowl lid and seat
JPH0711679Y2 (ja) * 1990-04-20 1995-03-22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便座等の開閉装置
US5142740A (en) * 1990-06-09 1992-09-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US5193228A (en) * 1991-05-10 1993-03-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with damping capability
US5255396A (en) * 1991-07-26 1993-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including a rotation deceleration device
US5388281A (en) * 1993-09-27 1995-02-14 Wiklund; Ken Automatic closure mechanism for a toilet seat
AU1590895A (en) * 1994-02-10 1995-08-29 Toto Ltd. Toilet attachment with easily detachable seat
GB2295201B (en) * 1994-11-18 1998-02-18 Life Sciences International Hinge
US6182301B1 (en) 1999-08-16 2001-02-06 Creative Innov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ivoting a first member relative to a second member
JP3645799B2 (ja) * 2000-07-28 2005-05-11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ダンパー装置
DE10121977B4 (de) * 2001-05-05 2007-04-19 Grass Gmbh Möbelbeschlag mit Brems- und Dämpfungsvorrichtung
US20050166310A1 (en) * 2004-01-29 2005-08-0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anitary device for washing private parts of person
JP4841290B2 (ja) * 2006-03-31 2011-12-21 株式会社ニフコ ロータリーダンパーの破壊防止機構
US8555427B2 (en) * 2007-04-30 2013-10-15 Kohler Co. Automated seat and/or lid assembly for a toilet
CN201271201Y (zh) * 2008-08-26 2009-07-15 厦门豪帝卫浴工业有限公司 马桶盖板组快装结构
US8763168B2 (en) * 2011-01-05 2014-07-01 Zhongshan Meitu Plastic Ind. Co., Ltd. Hinge assembly for toilet seat
CN202397383U (zh) * 2011-09-30 2012-08-29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坐便器盖板转轴的脱扣结构及固定块
US10285546B2 (en) 2017-02-13 2019-05-14 Topseat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vably mounting toilet seat to toilet bowl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33747A (en) * 1919-10-08 1920-03-16 Yoshinaga Kuzo Toilet-seat-tilting device
GB249557A (ko) * 1925-03-20 1927-07-20 Max Preu
US2214323A (en) * 1939-08-05 1940-09-10 C A Miketta Toilet accessory
US2281265A (en) * 1940-11-18 1942-04-28 Harris S Campbell Toilet seat mechanism
US2329240A (en) * 1942-04-15 1943-09-14 Mcmenimen Automatic check-stop
US4491989A (en) * 1984-04-02 1985-01-08 Mcgrail John F Closure device for toilet seats
JP2660914B2 (ja) * 1986-07-05 1997-10-08 株式会社 ニフコ 回転ダンパ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6406T2 (de) 1993-10-21
US5010601A (en) 1991-04-30
KR890011570A (ko) 1989-08-21
EP0326084A1 (en) 1989-08-02
EP0326084B1 (en) 1993-05-12
ATE89144T1 (de) 1993-05-15
DE68906406D1 (de) 1993-06-17
CA1304541C (en) 1992-07-07
JPH01190326A (ja) 198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384B1 (ko) 변기시트 및 변기덮개의 개폐기구
US6050645A (en) Clutching mechanism for an infinitely adjustable armrest
KR100649794B1 (ko) 회전 댐퍼
KR100640709B1 (ko) 트랙션 메카니즘 드라이브용 텐션 장치
US6490942B1 (en) Spindle drive having encased spindle nut with break-free moment reducing opposite end collars
KR102288685B1 (ko)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200177386Y1 (ko) 개폐체의 개폐장치
CN111395899A (zh) 向上开闭式门的铰链装置
KR102189839B1 (ko) 암레스트용 힌지장치
KR100512719B1 (ko) 모니터장치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JPH0535759Y2 (ko)
JP3979966B2 (ja) ドアヒンジユニット
JPH0615592Y2 (ja) 便座又は便蓋の開閉機構
JPH0620476Y2 (ja) 便座の開閉拘束機構
JP3931523B2 (ja) 蓋構造
KR101884303B1 (ko) 시트와 커버용 댐퍼를 갖는 좌변기
KR950025304A (ko) 댐퍼장치
KR20130066137A (ko) 과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축 구조
JP4724279B2 (ja) 回転ダンパの軸支持装置
KR970014939A (ko) 섕크를 보유한 역전방지 드라이버 핸들
EP3763261A1 (en) A cushioned and durable coupling hinge for a toilet
JPH0649280Y2 (ja) 便器に於ける便座又は便蓋のヒンジ構造
PT1001203E (pt) Punho giratório para uma válvula sanitária
KR200194041Y1 (ko) 원위치 복귀형 회전의자용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