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453B1 -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453B1
KR960012453B1 KR1019890009857A KR890009857A KR960012453B1 KR 960012453 B1 KR960012453 B1 KR 960012453B1 KR 1019890009857 A KR1019890009857 A KR 1019890009857A KR 890009857 A KR890009857 A KR 890009857A KR 960012453 B1 KR960012453 B1 KR 96001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hermoplastic polyester
polyester composition
metal salt
substituted phen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784A (ko
Inventor
히로오 가라사와
기이찌 고메다니
기요가쯔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다 모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다 모리오 filed Critical 도오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8Phenol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본 발명은 결정화 속도가 빠르고, 저온의 금형 사용시에 있어서 성형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수지 조성물 제조시 및 성형시의 분자량 저하가 적고, 성형체류 안정성 및 내가수분해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이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갖는 점에서 폭넓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데, 그들내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몇몇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사출성형 용도에는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이것은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다른 결정성 폴리머에 비교하여 결정화 속도가 늦기 때문에 통상의 사출성형에서 사용되는 50∼95℃의 저온의 금형에서는 충분히 결정화 되지 않고, 만족한 성형품을 얻을 수 없다고 하는, 성형성에 문제가 있었던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성형성을 개량할 목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가 수많이 검토되고 있으며,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1-157556호 공보에 개시된 살리실산의 알칼리 금속염, 동 특개소 56-57825호 공보에 개시된 페놀술폰산의 알칼리 금속염 등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성물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 속도는 그다지 향상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성형체류시나 수지 조성물 제조시에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기계물성이 낮은 성형품 밖에 얻을 수 없고, 더구나 결정화 속도의 개량효과가 비교적 큰 첨가제를 첨가하면 폴리에스테르의 내가수분해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ㆍ속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성형성을 개량함과 동시에 성형체류시나 수지 조성물 제조시에 있어서의 분자량 저하가 적고, 게다가 내가수분해성의 저하가 없으며, 기계물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 이 방향환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 및 상기 방향환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치환기(置換基)를 가지고, 상기 수산기가 금속염화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을 0.005~10중량부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란, 디카르복실산(혹은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혹은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과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 내지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말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2'-비페닐디카르복실산, 3,3'-비페닐디카르복실산, 4,4'-피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이소프로필리덴디카르복실산, 1,2-비스(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산, 2,5-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2,6-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4,4'-P-타아페닐렌디카르복실산, 2,5-피리딘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세바스산, 아젤라산, 도데카디온산 및 이합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및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카르복실산 혹은 그들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테레프탈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디카르복실산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디올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시클로헥산디올 등의 치환족 디올 및 그것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소량이면 분자량 400~6000의 장쇄 디올, 즉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공중합시켜도 좋다.
구체적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1,2-비스(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등 외에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데칸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및 성형성 등의 균형이 잡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는 0-클로로페놀 용액을 25℃로 측정한 극한점도가 0.25~3.0dl/g, 특히 0.4∼2.25dl/g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결정성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의 페놀류란,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과 그 방향환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페놀성 수산기) 및 방향환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치환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기본골격이 되는 방향환의 예로서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피렌 등의 탄화수소계 방향환이나 피리딘, 트리아딘, 피란, 키놀린, 이소키놀린, 1,10-페난트렌 등의 복소 방향환 그리고 인덴, 인돌, 벤조프란, 플루오렌, 디벤조프란 등의 일반 방향환을 포함한 환식계(環式系) 등도 사용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본골격이 되는 방향환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페놀성 수산기) 및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치환기가 결합하여 있을 것이 필수적이다.
수산기를 비롯하여 이들 치환기는 가능하다면 몇개 결합하여도 좋고, 또 방향환의 어느 위치에 결합하여 있어도 좋다.
여기서, 비이온성 치환기란, 카르복실산염, 술폰산염, 인산염, 암모늄염, 디아조늄염, 티오카르복실산염 등과 같이 명확한 이온결합을 갖는 치환기가 아닌 것을 말한다.
비이온성 치환기의 예로서는, 다음 (i)∼(iv)를 들 수 있다.
(i)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말기
(ii) 아실기, 술포닐기
(iii)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보아미드기, 탄화수소기
(iv) 트리아졸기, 옥사졸기, 티아졸기
(ii)중의 아실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세틸, 프로피오닐, 벤조일, 나프토일, 토루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분자량 170 이하의 지방족 아실기, 혹은 방향족 아실기가 바람직하며, 아세틸, 벤조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ii)의 술포닐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페닐술포닐, 토루일술포닐, 클로로페닐술포닐등을 들 수 있고, 치환 혹은 미치환의 방향족 술포닐기가 바람직하며, 그중에서도 페닐술포닐이 가장 바람직하다.
(iii)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보아미드기, 탄화수소기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르보메톡시, 카르보에톡시, 카르보페녹시, 카르보-t-부톡시, N,N-디메틸카르보아미드, N-페닐카르보아미드, N-t-부틸카르보아미드, N-시클로헥실카르보아미드, 메틸, t-부틸, 헥실, 시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2-(4'-이소프로폭시페닐)-2-프로필 등을 들 수 있고, 2급 혹은 3급 혹은 환구조를 갖는 카르보-t-부톡시, N-페닐카르보아미드, N-t-부틸카르보아미드, N-시클로헥실카르보아미드, t-부틸, 시클로헥실, 페닐, 나프틸, 2-(4'-이소프로폭시페닐)-2-프로필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iv)의 트리아졸기의 구체적인 예로서, 벤조트리아조일, 나프트 트리아조일 등을 들 수 있고, 치환 혹은 미치환의 벤조트리아조일이 특히 바람직하다.
옥사조일의 구체예로서는, 2-옥사조일, 4-옥사조일, 5-옥사조일을 들 수 있고, 특히 2-옥사조일이 바람직하다.
티아조일의 구체예로서는 2-티아조일, 4-티아조일, 5-티아조일을 들 수 있고, 특히 2-티아조일이 바람직하다.
또, 비이온성 치환기 (i)~(iv) 가운데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i),(ii)의 아실기, (iii)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보아미드기, (iv)의 트리아졸기를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치환기는 골격이 되는 방향환의 화학적으로 가능한 어떤 위치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5-페닐-2-나프톨의 경우라면 1,3,4,6,7,8,2',3',4' 위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각종 결합위치 중에서 비이온성 치환기가 페놀성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환계와 동일한 환계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컨대 5-페닐-2-나프톨의 경우이며 1,3,4,6,7,8 위치를 들 수 있다.
또한 페놀성 수산기의 인접위에 비이온성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페놀성 수산기의 인접위치란, 페놀성 수산기가 결합하는 탄소원자에 결합하는 탄소원자의 결합위치를 말하고, 예컨대 5-페닐-2-나프톨의 경우, 1,3 위치가 가장 바람직하다.
치환 페놀류의 구체예로서는, 메틸페놀, 부틸페놀, 페닐페놀, 시아노페닐, 포르밀페놀, 아세틸페놀, 벤조일페놀, 헥사노일페놀, 니트로페놀, 시아노나프톨, 포르밀나프톨, 니트로나프톨, 아세틸나프톨, 니트로소나프톨, 아세틸나프톨, 페닐-4-히드록시페닐케톤, 페닐-2-히드록시페닐케톤, 페닐-4-히드록시페닐술폰, 페닐-2-히드록시 페닐술폰, 3,3-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2-히드록시페닐)술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2-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2-히드록시, 4-메톡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피드, 2-카르보메톡시페놀, 2-카르보에톡시페놀, 4-카르보에톡시페놀, 2-카르보프로폭시페놀, 4-카르보프로폭시페놀, 2-카르보부톡시페놀, 4-카르보부톡시페놀, N-페닐카르보아미드페놀 및 하기 일반식(1)~(11)에서 표시한 벤조트리아졸기를 포함한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이 가운데서 2-t-부틸페놀, 2-페닐페놀, 2-시아노페놀, 4-시아노페놀, 4-시아노페놀, 2-니트로페놀, 4-니트로페놀, 1-시아노-2-나프톨, 3-시아노-2-나프톨, 2-시아노-1-나프톨, 1-니트로-2-나프톨, 2-니트로-1-나프톨, 2-포르밀페놀, 2-아세틸페놀, 1-포르밀-2-나프톨, 2-포르밀-1-나프톨, 1-아세틸-2-나프톨, 2-아세틸-1-나프톨, 페닐-4-히드록시페닐술폰, 페닐-2-히드록시페닐술폰, 페닐-4-히드록시페닐케톤, 페닐-2-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2-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2-히드록시-4-메톡시페닐)케톤, 4-카르보에톡시페놀, 4-카르보프로폭시페놀 4-카르보부톡시페놀, N-페닐카르보아미드페놀 및 일반식(1)~(8)에서 표시한 벤조트리아졸기를 포함한 페놀 등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2-시아노페놀, 2-니트로페놀, 1-니트로-2-나프톨, 2-니트로-1-나프톨, 2-포르밀페놀, 2-아세틸페놀, 1-포르밀-2-나프톨, 2-포르밀-1-나프톨, 비스(2-히드록시-4-메톡시페닐)케톤, 4-카르보프로폭시페놀, N-페닐카르보아미드페놀 및 일반식(1),(6)에서 표시한 벤조트리아졸기를 포함한 페놀등을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들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이란 치환 페놀류의 수산기의 수소원자를 금속원자로 치환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또한 알류미늄, 철 등의 양성 금속, 천이 금속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 알칼리 금속류, 알칼리 토류 금속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그중에서도 알칼리 금속류, 특히 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의 첨가량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1~3중량부이다.
첨가량이 0.005중량부 미만의 경우에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성 개량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성, 체류 안정성 등이 불량해져서, 어느 쪽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성형성 개량제로서 알려진 각종의 유기산염이나 무기화합물을 병행하는 것도 성형가공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스테아린산나트륨, 스테아린산, 바륨등의 스테아린산염, 몬탄산 에스테르의 부분 비누화물의 나트륨염, 바륨염, 아이오노마, β-디케톤류의 나트륨염, 활석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에 사용되는 결정화 촉진제를 병용 첨가함으로써 성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결정화 촉진제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이나 그 카르복실산 디에스텔, α,w-디알킬 에테르화 폴리에틸렌글리콜, α,w-디알킬 에테르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α,w-디알킬 에테르화 폴리알킬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디펜조에이트 등의 안식향산 에스테르 화합물,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 특히 필수이지는 않지만 본 발명 조성물에 대하여 또 섬유형상 및/또는 입상의 충전제를 첨가함으로써 다른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제로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금속섬유, 아라미드섬유, 아스베스트, 티탄산칼륨 휘스커, 와라스테나이트, 유리플레이크, 유리비즈, 활석, 마이카, 점토, 탄산칼슘, 황산, 바륨,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촙스트랜드타입의 유리섬유, 활석, 산화티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첨가량은 통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활제, 이형제, 염료 ·안료를 포함한 착색제, 난연제 등, 통상의 첨가제를 1종 이상 첨가할 수가 있다.
또, 소량의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역디엔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메타크릴산 글리시딜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g-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의 양자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하는 방법이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시 및 중합의 최종시에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을 첨가하는 방법등을 들 수 있다.
무기충전제나 그밖의 첨가제를 첨가할 경우에는 상기 양자와 동시에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블로우성형, 진공성형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성형하기가 가능하며, 얻어진 성형품은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기술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극한점도는 0-클로로페놀 용액을 25℃로 측정한 값이다.
실시예 1~17, 비교예 1~5
극한점도 0.83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첨가제 A-R을 제1표에 표시한 비율로 배합하고, 280℃로 설정한 30mmψ의 2축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 펠렛화 하였다.
한정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에 대하여 파킨 엘마사 제품인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시차 열분석을 행하고, 승온 결정화 온도 및 강온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여 결정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강온 결정화 온도가 상승하면 상승할수록 승온 결정화 온도가 저하하면 저하할수록 결정성이 향상하는 사실에서 △T=(강온 결정화 온도)-(승온 결정화 온도)로 했을때의 △T를 결정성의 목표로 하였다.
또, 동시에 얻어진 펠렛의 극한점도를 측정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제조시의 분자량 저하의 목표로 하였다.
또, 체류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멜트 인덱스(노즐 2mmψ, 10mm 길이, 하중 5kg)중에서 280℃, 6분 및 20분 체류했을때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를 측정하였다.
체류에 의해 MFR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폴리에스테르의 분자량이 현저히 저하한 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MFR은 폴리에스테르의 성형시의 체류 안정성의 목표로서 사용하기가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를 제1표에 표시한다.(첨가제)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제1표]
Figure kpo00006
실시예 18~20, 비교예 6
극한점도 0.94dl/g의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A)를 제2표에 표시한 비율로 배합하고, 305℃로 설정한 30mmψ 2축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 펠렛화 하였다.
얻어진 펠렛에 대하여 MFR 측정온도를 305℃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또 첨가제(A) 미첨가의 것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평가를 행하였다.
이들 결과를 제2표에 함께 표시한다.
[제2표]
Figure kpo00007
실시예 21~35, 비교예 7~10
극한점도 0.60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촙스트랜드타입의 유리섬유(3mm 길이, 지름 11μ) 30중량부, 각종 첨가제 A~R을 제3표에 표시한 비율로 배합하여 280℃로 설정한 30mmψ 2축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 펠렛화 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시차 열분석을 행하여 결정성을 평가하였다.
또, 용융 혼련 펠렛화하여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0-클로로페놀에 용해하고,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유리섬유를 분리한 후, 메탄올에 이 용액을 투입하여 유리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머를 얻었다.
이 폴리머에 대한 극한점도 측정치에서 유리섬유 존재하에서의 수지 조성물 제조시의 분자량 저하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펠렛을 155℃로 5시간 진공건조 후, 280℃로 설정한 형체(型締) 압력 75t의 스크류 인라인형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사출시간/냉각시간/중간시간 : 15초/20초/5초, 금형온도 : 85℃의 조건으로 세로 40mm, 가로 60mm, 깊이 20mm, 두께 2mm의 상자형 성형품을 성형하고, 이 성형품을 금형에서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이형력)을 구하였다.
또, 마찬가지의 사출성형 조건에 의해, ASIM-1호 덤벨(dumbell)을 형성하고, ASIM D-638에 따라 인장물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덤벨을 85℃의 수중에 500시간 침지한 후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그 유지율을 구하였다.
이들 결과를 제3표에 함께 표시하였다.
[제3표]
Figure kpo00008
실시예 36-41, 비교예 11
극한점도 0.83dl/g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첨가제 A 0.5부와 함께 제4표에 표시한 각종 첨가제를 제4표에 표시한 비율로 배합하고, 280℃로 설정한 30mmψ의 2축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여 수냉후 펠렛화 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시차 열분석을 행하고, 결정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 펠렛의 극한점도를 측정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제조시의 분자량 저하의 목표로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제4표에 표시한다.
[제4표]
Figure kpo00009

Claims (11)

  1.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방향환, 이 방향환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의 수산기 및 상기 방향환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치환기를 가지고, 상기 수산기가 금속염화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을 0.005~10중량부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본질적으로 탄소원자수 8~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탄소원자수 2~10의 지방족 디올 및 지환족 디올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디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의 극한점도가 0.25∼3.Odl/g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 수산기가 결합된 방향환이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피렌, 필리딘, 트리아딘, 피란, 키놀린, 이소키놀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의 비이온성 치환기가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아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카르보아미드기, 술포닐기, 트리아졸기, 옥사졸기, 티아졸기 및 탄소원자수 1~20의 탄화수소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의 염을 형성하는 금속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금속, 알루미늄,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의 염을 형성하는 금속이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에 있어서의 페놀성 수산기와 비이온성 치환기가 동일한 환계에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의 베이스가 되는 치환 페놀이 포르밀페놀, 니트로페놀, 카르보에톡시페놀, 카르보프로폭시페놀, 카르보부톡시페놀, N-페닐카르보아미드페놀, 히드록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에서 선택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치환 페놀류의 금속염의 첨가량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9890009857A 1988-07-18 1989-07-11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960012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78324A JPH0229453A (ja) 1988-07-18 1988-07-18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63-178324 1988-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784A KR900001784A (ko) 1990-02-27
KR960012453B1 true KR960012453B1 (ko) 1996-09-20

Family

ID=1604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857A KR960012453B1 (ko) 1988-07-18 1989-07-11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51732B1 (ko)
JP (1) JPH0229453A (ko)
KR (1) KR960012453B1 (ko)
DE (1) DE6892507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849A (en) * 1988-07-18 1992-05-05 Toray Industries, Inc. Polyester composition
US5414036A (en) * 1993-04-12 1995-05-09 Enichem S.P.A. Rapidly crystallizing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US5344892A (en) * 1993-07-02 1994-09-06 Enichem S.P.A. Polyest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crystallization rate
US5539062A (en) * 1995-06-07 1996-07-23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s of poly(phenylene ether) resins and naphthalate polyester resins
US10919867B2 (en) 2015-07-07 2021-0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ituted benzotriazole phenols
EP3320135B1 (en) 2015-07-07 2019-08-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et webs with charge-enhancing additives
EP3320055B1 (en) * 2015-07-07 2021-03-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bstituted benzotriazole phenolate salts and antioxidant compositions formed therefrom
CN108026327B (zh) * 2015-07-07 2022-07-05 3M创新有限公司 具有离子添加剂的聚合物基体
JP7089876B2 (ja) * 2015-09-09 2022-06-23 株式会社カネカ 熱伝導性樹脂組成物
US10662325B2 (en) 2017-07-13 2020-05-2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ester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articles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96534A (en) * 1977-12-12 1981-02-24 Wayne P. Pruett Polyesters having unobvious weatherability characteristics
JPS55769A (en) * 1979-04-18 1980-01-07 Asahi Chem Ind Co Ltd Polyester composition with high dyeability
JPS6056180B2 (ja) * 1979-10-17 1985-12-09 旭化成株式会社 射出成形用ポリエステルの結晶化促進剤
US4687795A (en) * 1984-12-24 1987-08-18 Allied Corporation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EP0285102B1 (en) * 1987-04-03 1993-06-30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JPH02292357A (ja) * 1989-05-06 1990-12-03 Toray Ind Inc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9453A (ja) 1990-01-31
EP0351732A3 (en) 1991-11-27
EP0351732A2 (en) 1990-01-24
KR900001784A (ko) 1990-02-27
EP0351732B1 (en) 1995-12-13
DE68925079D1 (de)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1871A (en) Polyester resinous composition, molded articl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WO2021013115A1 (zh) 一种聚酯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CA1149099A (en) Modified polyalk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KR100238505B1 (ko) 고 충격 폴리에스테르/에틸렌 코폴리머 블렌드
KR960012453B1 (ko)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EP0462378A2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US6248814B1 (en) Resin composition
EP0078937A1 (en)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ion
US4313903A (en)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at reduced mold temperature
US5110849A (en) Polyester composition
US3971752A (en) Flame retarding polyester composition
US4399244A (en) Glass fiber reinforc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eat distortion temperatures
JPH051217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2292357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51214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
EP0177208A2 (en)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fluidity
EP0178807B1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
JPH0841302A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
JPS61274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7133412A (ja) 難燃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30859B2 (ko)
JPH02292356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4366163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890004010B1 (ko) 강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91000387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