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186B1 -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186B1
KR960012186B1 KR1019870005398A KR870005398A KR960012186B1 KR 960012186 B1 KR960012186 B1 KR 960012186B1 KR 1019870005398 A KR1019870005398 A KR 1019870005398A KR 870005398 A KR870005398 A KR 870005398A KR 960012186 B1 KR960012186 B1 KR 96001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value
sensor
yarn
insp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298A (ko
Inventor
헬스트룀 저어커
Original Assignee
악티에볼라게트 아이알오
스티그-아네 브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티에볼라게트 아이알오, 스티그-아네 브롬 filed Critical 악티에볼라게트 아이알오
Publication of KR87001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66Control or handling of the weft at or after arriv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2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with yarn retaining devices, e.g. stopping pins
    • D03D47/363Construction or control of the yarn retai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7Monitoring yarn quantity on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도면은 실 도달센서가 장치된 실 공급장치 및 분사직조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 공급장치 2 : 저장드럼
3 : 선회공급튜브 4 : 전기모타
5 : 저장센서 6 : 실 센서
8 : 검사회로 9 : 도달센서
10 : 실 정지장치 15 : 분사직조기
27 : 출력터미날
본 발명은 분사직조기의 개구(shed)내 씨실의 삽입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사직조기에는 일반적으로 씨실이 개구를 통과하도록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일련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씨실을 삽입하여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 한차례의 과정중 삽입되는 씨실의 길이는 저장드럼상에 씨실을 삽입하기 위한 필수적인 양의 실을 간헐적으로 저장하도록 적합된 실 공급 및 측정장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 공급장치는 실을 간헐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실 공급장치의 저장드럼에서 실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지장치를 작동시킴에 의해 씨실 삽입절차를 완료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실 공급장치는 당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예컨대, 분사직조기에 장치된 실 공급장치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권리를 갖고 있는 유럽 특허출원 제83 109 818.1-2304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유럽 특허출원 제83 109 818.1호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 627 474호 및 유럽 특허출원 제0107110호에 대응하며, 분사직조기에 장착된 실 공급장치를 기술한다. 다수의 각각 맞물릴 수 있고 가동 가능한 정지장치가 저장드럼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일 통과 탐지기 둘레에 구비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된 조절 유닛은 분사직조기로부터 출발 신호를 발아들이자마자 맛물린 정지장치를 가동시키고 선결된 씨실 삽입길이에 이르자마자 씨실의 삽입을 종결시키기 위하여 정지소자중 하나를 선택하여 걸리게 한다. 조절 유닛은 드럼의 주변길이, 분사직조기의 작동 폭 및 통과 펄스를 기초도 하여 결정된 방출 속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토대로 하나의 삽입 사이클동안 발생해야만 하는 통과 펄스의 수를 미리 계산하도록 적합된다. 또한, 조절 유닛은 통과 펄스가 실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내 미리 계산된 점을 자동으로 적합시키기 위해서 즉, 개구를 통한 씨실 말단의 이론적인 가상 움직임에 적합되도록 적합된다. 어떠한 도달센서도 기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절 유닛과 도달센서 사이의 어떠한 관련 사항도 기술되지 않는다.
또한, 유럽 특허출원 제0 107 110호에서, 상기 선행 기술에 따른 씨실 공급장치는 본 발명의 견지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씨실 공급장치와 디자인 및 기능 면에서 유사하다. 그러나, 그의 조절유닛은 도달센서의 신호에 반응하도록 적합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도달센서 신호에 반응할 수 있는 어떠한 검사 회로도 제공되지 않는다.
분사직조기에는 일반적으로 씨실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하여 개구의 한쪽 말단 광-전자센서(sensor)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서는 씨실이 개구의 반대쪽 말단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이것은 씨실 삽입이 종결되었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도달센서는 또한 개구로의 씨실 삽입과정에서 씨실절단과 같은 씨실 삽입불량 또는 센서신호가 매 씨실 삽입주기의 말기에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함으로써 불량을 식별하여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도달센서를 사용하는 선행기술상의 직조기에 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 270 579호와 유럽 특허출원 제164 773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우선 상기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 270 579호는 유체 분사직조기에 대한 씨실 공급 메카니즘을 기술한다. 직조기의 개구 도달 말단의 외부에는 씨실의 이동방향으로 중간 간격으로 배열된 두 세가지로 분리된 도달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열된 센서는 얼마나 멀리 씨실의 말단이 개구아래로 이동하는지를 탐지하고, 각각의 도달센서의 탐지 영역내 흠집 또는 먼지의 경우에, 자동으로 분사직조기의 정지로 이끄는 오류 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유럽 특허출원 제164 773호는 여러가지 씨실 공급 메카니즘이 분사직조기의 한쪽 면상에 구비된 것에 관하여 기술하는데, 각각의 공급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조절 유닛에 의해 조절되며, 공급기에 대한 타이밍 시퀸스는 중첩된 조절 회로내 저장되며, 상기 분사직조기는 주된 노즐 및 릴레이 노즐, 그리고 개구를 통한 씨실의 이동을 측정하고 중첩된 조절 회로에 연결되는 개구 내에는 여러가지 센서가 장치되어 있다. 씨실 정지 모션센서(l8)는 삽입 시간을 모니터하는 개구의 도달 말단에 배열된다. 씨실 정지 모션센서의 탐지 영역에 도달하는 흠 또는 먼지는 불가피하게 오류 도달 신호에 이르게 삽입 사이클내 어느 단계에서 분사직조기를 멈추게 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장치들은 씨실이 분사직조기의 개구속으로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광-전자센서에 의해서 발생된 센서신호를 사용하고 있다.
씨실이 도달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없다면 어떠한 불량이 발생했다는 표시이고, 불량이 발생하면 실의 전단(前端)이 개구의 다른 말단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종류의 불량의 한가지 예는 실의 파단이다 상기의 특수한 불량이 일어날 경우에 씨실이 개구의 말단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에 관한 정보가 직조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조절유니트에 보내진다. 또한, 씨실이 너무 빨리 개구의 말단에 도달하는 것도 씨실 삽입의 불량에 해당하기 때문에, 너무 빨리 발생한 도달센서 신호도 씨실 삽입의 불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개구의 삽입말단에서 씨실이 출발하여 개구의 다른 말단에 씨실 전단이 도달하는 시간을 짧게 하면 분사직조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더구나, 도달센서에 씨실 전단이 도달하는 시간은 실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하여 분사노즐들의 작동시간을 각각 조절하는 것과 같이 흔히 다른 직조기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되어진다.
이때 도달센서는 불량의 도달신호들을 발생시키곤 하는데, 상기와 같은 불량은 도달센서의 광원(光源)과 광전 검출소자 사이의 도달센서의 검출부에서 예를들면 먼지 및 섬유의 작은 입자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검출 부분내 먼지 또는 섬유 입자에 의해서 씨실 도달이 검출되는 것과 같이 잘못 검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달센서의 감도를 감소시킬적에 빛과 가는 실이 말단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향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도달센서의 감도조절은 감도 대 먼지 또는 섬유 입자에 의해서 유발되는 불량검출의 비가 낮아지도록 선택되어야 하고 도달 말단에서 실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충분한 감도를 가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검출불량은 피할 수 없으며 직조 도중에 부적절하게 직조기의 정지를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사직조기의 개구의 한쪽 말단에 씨실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도달센서로 구성된 본사직조기의 개구에 있는 씨실 삽입상태를 관찰하는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켜서, 씨실 도달검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의 목적에 따라,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문제점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씨실(F)의 도달을 탐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의 한쪽 말단에 배열된 신호발생 도달센서(9), 및 상기 개구의 다른쪽 말단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 공급장치(1)로 구성되고, 상기 실 공급장치(1)는 씨실을 저장하기 위한 씨실 저장드럼(2) 및 상기 드럼의 배출 말단의 근처에 실 정지장치(10)를 가지며 상기 실 정지장치(10)는 삽입 사이클 동안 씨실의 선결된 삽입길이를 풀기 위한 가동위치와 삽입 사이클 사이에 씨실을 정지시키기 위한 실 정지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게 적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도달센서(9), 실 정지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실 센서(6)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 검사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실 센서(6)는 드럼(2)의 상기 배출말단의 근처 검출영역에 위치하고 풀려진 씨실이 상기 검출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합되어지며, 상기 검사회로(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간측정 또는 길이계산 수단, 시간 또는 길이의 측정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수단, 상기 개구에 씨실(F)의 삽입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 또한 씨실 삽입을 완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주기 또는 씨실의 길이에 상당하는 값의 80 내지 99.5%의 선결된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검사회로(8)은 상기 실 정지장치(10)를 가동시킨 이후에 각기 경과된 시간의 주기 값 또는 제공된 씨실의 길이를 측정하거나 계산하고, 상기 실 센서(6)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주기적으로 보정하며,
(a) 시간의 주기 또는 씨실의 길이의 상기 측정치 및 보정치가 시간주기에 상응하는 값 또는 완결된 씨실 삽입에 필요한 씨실 길이의 80 내지 99.5%의 선결된 값을 초과하고,
(b) 상기 도달센서(9)가 씨실(F)의 도달을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내는 두가지 하기의 조건이 동시에 완결되기만 한다면, 씨실 삽입의 완결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 공급장치의 저장드럼의 배출말단 부분에 위치한 도달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실 센서는 개구에 씨실의 삽입이 완료됨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검사회로에 연결된다.
저장드럼의 배출말단 부분에 위치한 실센서는 실이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동안에 실이 센서검출부분을 통과하고 있음을 표시하는 펄스(pulse)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펄스신호는 실이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실제 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검사회로는 씨실 삽입 사이클의 초기에 정지장치를 가동시킨 후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며, 주기적으로 실 센서신호를 근거로 측정된 시간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측정된 시간은 동적인 씨실 배출작용에 따라 계속적으로 조절되며, 상기 결과로 얻어진 동적으로 수정된 측정시간은 씨실이 갖는 실제 위치를 가장 잘 나타내는 값이다. 하기 두조건이 동시에 만족된다면, 검사회로는 오직 씨실 삽입의 완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뿐이다.
ⅰ) 수정된 측정시간은 씨실 삽입 사이클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80% 내지 99.5% 사이의 미리 선정된 시간을 초과함.
ⅱ) 도달센서 신호가 발생됨.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 공급장치(1)는 저장드럼(2), 선회공급튜브의 형태인 감는 장치(3), 및 전기모타 (4)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모타(4)에 의해 구동되어진 선회공급튜브(3)에 공급되어지는 씨실(F)은 저장드럼(2)에 감겨진다. 저장드럼(2)은 자석(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서 정적(靜的)인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된 저장드럼이다.
실 공급장치(1)에는 그 저장드럼(2)외 원통표면에 근접하게 위치한 저장센서(5)가 구비되어 있다. 저장센서(5)는 저장드럼에 내장된 실의 양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면서, 광발산장치 및 광감지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를 근거로 저장 조절 유닛트(7)는 충분한 양의 실이 저장드럼(2)위에 감겨질 수 있도록 전기모타(4)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저장드럼(2)의 배출말단에 위치한 실 센서(6)는 저장드럼(2)으로부터 배출된 실이 검출부분을 지나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 센서(6)는 반드시 저장드럼의 배출말단에 위치하는 것은 아니고 분사직조기의 삽입말단 근처에 저장드럼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져 위치할 수도 있으며, 실 센서가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실의 양을 표시하거나 또는 실의 속도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필수적일 뿐이다. 예를들면, 실의 경로를 따라 개구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서 발생된 센서신호를 실 속도를 결정하는데에 적합하다.
실 센서(6)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단일의 실 센서인데, 각각의 펄스는 실이 실 센서의 검출부분을 통과함을 의미한다. 실 정지장치(10)는 저장드럼(2)의 배출말단에 위치하고 있다. 저장드럼(2) 주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실 정지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실 공급장치(1)의 기술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유럽 특허출원 제83 109 818.1-2304호에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분사직조기(15)는 주된 분사노즐(16)및 다수의 릴레이노즐(17,18,19,20)을 포함하고 있다. 이 노즐(16,17,18,19,20)에 각각 압축 공기통(21)으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22,23,24,25,26)를 경유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저장드럼(2)으로부터 배출된 씨실(F)은 분사직조기(15)의 주분사노즐(16)에 공급되고, 분사직조기의 개구를 통하여 주분사노즐과 각각의 릴레이 분사노즐을 연속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된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안내된다. 씨실의 전단이 개구의 다른 말단에 도달하였음이 분사직조기(15) 개구의 도달 말단에 위치한 도달센서(9)에 의하여 검출된다.
도달센서(9), 실 센서(6) 각각의 실 정지장치(10) 및 각각의 분사노즐(16,17,18,19,20)이 검사회로(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검사회로(8)는 ''인텔(INTEL)'' 코오포레이션에 의하여 제조된 8748형의 표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은 단지 4개의 릴레이 노즐(17,18,19,20)이 검사회로(8)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분사직조기의 실제 실시에서는 약 16개의 노즐이 장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노즐들은 씨실 삽입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작동 및 비장동되기 위해 검사회로(8)에 연결되어 있다.
하기에 씨실 삽입과정의 검사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기슬한다,
씨실 삽입 사이클의 초기에는, 실 정지장치(10)는 씨실이 저장드럼(2)으로부터 배출되게 하기 위해서 가동된다. 검사회로(8)는 실 정지장치를 가동시킨 후 한 사이클을 완료하는 시간을 측정하거나, 정지장치를 가동한 후 경과한 시간을 근거로 하여 저장드럼 (2)으로부터 배출된 실의 실제 길이를 나타대는 값을 계산한다.
실 정지장치(10)를 가동한 직후, 실은 실 센서(6)의 검출 부분을 통과하고, 이때 실 센서는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펄스신호를 받을 때, 검사회로는 측정된 시간 또는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실의 실제 길이를 나타내는 값을 조절한다. 상기 주기적인 보정은 측정된 주기의 실제값의 증가를 정지시킴으로써 행해지는데, 이 측정된 주기는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씨실의 실제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후에는 실 센서로부터 나온 펄스신호를 받을때까지 상기 값은 유지된다.
그후, 주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씨실의 실제 길이를 나타내는 이 값은 다시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계산된 주기 또는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실 길이의 계산치에 관한 길이의 주기적인 동적 보정이 하기에 기술되어진다.
검사회로(8)는 저장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실의 계산된 길이의 상응하는 계산된 주기가 미리 선정된 길이에 상응하는 미리 선정된 주기를 초과하기 전에 발생된 도달센서 신호를 무시한다. 미리 선정된 주기는 씨실 삽입의 완성에 필요한 주기의 80% 내지 99.5%, 바람직하기로는 95% 내지 99.5% 사이로 미리 설정된다. 마찬가기로, 미리 정해진 예비설정 길이의 값은 전체 씨실 길이의 80% 내지 99.5%, 바람직하기로는 95% 내지 99.5% 사이이다.
검사회로(8)는 다음 두조건이 동시에 만족된다면 씨실 삽입 절차의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뿐이다 :
ⅰ) 계산된 길이에 상응하는 측정되어 보정된 주기가 씨실 삽입 사이클의 완성에 필요한 주기의 80% 내지 99.5%에 상응하거나 한번의 분사에 대한 씨실 전체 길이의 80% 내지 99.5%에 상응하는 미리 선정된 주기 또는 미리 선정된 길이를 초과함.
ⅱ) 도달센서(9)는 씨실이 도달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킴.
상기 두개의 조건이 동시에 만족되면 검사회로(8)에 의하여 발생된, 개구를 통한 씨실 삽입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터미날(27)에 공급된다.
측정 및 보정된 주기가 상기 미리 선정된 주기를 초과하는 순간과, 측정 및 보정된 주기가 씨실 삽입의 완성에 필요한 주기를 초과하는 순간 사이에 아무런 도달센서 신호가 검사회로에 공급되지 않는다면, 검사회로(8)는 씨실이 적절한 시기에 도달센서(9)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불량신호를 발생한다. 불량신호는 검사회로(8)의 출력터미날(28)에 공급되어진다.
내부 시간에 관한 기본조건을 실제 동적 배출절차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부의 시간 이론에 따라, 도달센서 신호를 받자마자 씨실 삽입절차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하거나 발생할 수 없게 하기 위해 검사회로를 조작하는 바람직스러운 방법이 하기에 기술되어진다.
이 내부의 시간 조건은 또한 실 배출길이의 계산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검사회로는 실 정지장치(10)를 가동 또는 정지시킬때 측정된 주기에 상응하거나 배출된 실의 계산된 길이에 상응하는 값을 0으로 재설정(reset)한다.
계속해서, 측정된 주기에 상응하거나 계산된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값은 실제 배출속도보다 약간 크게 선택된 미리 선정된 비율로 증가된다.
상기 값이 증가하는 동안, 검사회로는 (b i) 상기 값이 미리 선정된 상기 시간 또는 미리 선정된 값과 상응하거나, 미리 선정된 상기 시간 또는 미리 선정된 길이와 상응하거나 한번에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데 필요한 전체 씨실 삽입 시간의 80% 내지 99.5%에 상응하거나, 또는 한번의 씨실 분사에 대한 전체 씨실 길이의 80% 내지 99.5%에 상응하는 미리 선정된 값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또한 검사회로는 (b ⅱ) 상기 값이 저장드럼으로부터 일회 감김에 해당하는 실 배출동안 경과한 주기보다 작거나, 또는 일회감김에 해당하는 실의 길이보다 작도록 선택되어진 예비설정(pre-set)시간 또는 배출길이에 상응하는 예비설정값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부가적으로, 검사회로는 또한 상기 값이 0보다 큰 정수를 곱한 상기 예비설정값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첫번째 조건(b i)이 만족되고 도달센서가 도달신호를 발생한다면, 검사회로는 씨실 삽입의 완성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첫번째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발생된 어느 도달센서 신호도 무시되어질 것이다.
후자의 조건(b ⅱ)이 만족된다면, 검사회로는 측정된 값을 유지하며 그후 계속해서 실 센서(6)가 다음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본 발명은 내부시간 조건을 동적 씨실 배출절차에 적응시키는 지금까지 기술된 구체적 방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내부시간 조건을 주기적으로 결정된 실제 속도값을 사용하는 동적 절차에 적용시키기 위한 계산 방법도 또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실 센서(6)에 의해 발생된 두개의 연속적인 펄스 사이의 측정된 주기를 근거로 하여 계산된 내부시간 조건을 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Claims (4)

  1. 씨실(F)의 도달을 탐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의 한쪽 말단에 배열된 신호발생 도달센서(9), 및 상기 개구의 다른쪽 말단에 있는 하나의 실 공급장치(1)로 구성되고, 상기 실 공급장치(1)는 씨실을 저장하기 위한 씨실 저장드럼(2) 및 상기 드럼의 배출 말단의 근처에 실 정지장치(10)를 가지며 상기 실 정지장치(10)는 삽입 사이클 동안 씨실의 선결된 삽입길이를 풀기 위한 가동위치와 삽입 사이클 사이에 씨실을 정지시키기 위한 실 정지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게 적합될 수 있는 분사직조기내 개구에 씨실을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도달센서(9), 실 정지장치(10) 및 적어도 하나의 실 센서(6)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 검사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실 센서(6)는 드럼 (2)의 상기 배출말단의 근처 검출영역에 위치하고 풀려진 씨실이 상기 검출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합되어지며, 상기 검사회로(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시간측정 또는 길이계산 수단, 시간 또는 길이의 측정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수단, 상기 개구에 씨실(F)의 삽입이 완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발생수단, 또한 씨실 삽입을 완결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의 주기 또는 씨실의 길이에 상당하는 값의 80 내지 99.5%의 선결된 값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검사회로(8)는 상기 실 정지장치(10)를 가동시킨 이후에 각기 경과된 시간의 주기 값 또는 제공된 씨실의 길이를 측정하거나 계산하고, 상기 실 센서(6)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주기적으로 보정하며, (a) 시간의 주기 또는 씨실 길이의 상기 측정치 및 보정치가 시간 주기에 상응하는 값 또는 완결된 씨실 삽입에 필요한 씨실 길이의 80 내지 99.5%의 선결된 값을 초과하고, (b) 상기 도달센서(9)가 씨실(F)외 도달을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내는 두가지 하기의 조건이 동시에 완결되기만 한다면, 씨실 삽입의 완결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적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직조기내 개구에 씨실을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회로(8)는 상기 측정치 및 보정치가 상기 선결된 값인 순간과 상기 측정 및 보정된 값이 각기 씨실의 삽입이 완결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의 주기 또는 씨실 길이에 대해 상기 값을 초과하는 순간 사이에 어떠한 도달센서 신호도 발생되지 않는다면 불량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직조기내 개구에 씨실을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회로(8)의 시간측정수단이 시간주기 또는 씨실 길이의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보정하기 위한 상기 실 센서(6)의 두개의 이후의 신호 사이의 시간주기를 측정하도록 적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직조기내 개구에 씨실을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상기 검사회로(8)는 실 정지장치(10)가 가동되자마자 0으로 상기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재설정하기 위한 재설정수단을 포함하고, (b) 상기 검사회로(8)는 선결된 비율로 상기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증가시키는 증가수단, 및 상기 값이 하나의 씨실을 삽입하여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데 필요한 값의 80 내지 99.5%의 상기 선결된 값에 상당하거나, 저장드럼(2)의 씨실의 한 회전을 철회하기 위해 요구되는 값보다 10% 더 작도록 선택된 선결된 설정값에 상당하는가 또는 0 보다 더 큰 정수에 의해 곱해지는 상기 예비설정값에 해당하는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수단을 포함하여, (c) 상기 검사회로(8)는 상기 값이 하나의 씨실을 삽입하여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데 필요한 값의 80 내지 99.5%의 상기 선결된 값에 상당하고, 도달센서신호가 발생된다면 씨실 삽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고, (d) 상기 검사회로(8)는 상기 값이 하나의 씨실을 삽입하여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데 필요한 값이 80 내지 99.5%의 상기 선결된 값에 상당하거나, 저장드럼(2)의 씨실의 한 회전예비설정된 값 또는 그의 정수에 상당하는 값을 가지게 된다면 예비설정된 값 또는 그의 제곱에 해당하는 값을 갖게 되며, (e) 그후 실 센서(6)가 그 다음 실을 통과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가를 점검하고, (f) 상기 점검이 이루어지자마자 상기의 측정치 또는 계산치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측정치 또는 계산치가 하나의 씨실을 삽입하여 날실에 씨실을 끼우는데 필요한 값의 80 내지 99.5%의 상기 선결된 값에 상당하거나, 저장드럼(2) 씨실의 한 회전을 배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값보다 10% 더 작도록 선택된 선결된 설정값에 상당하는가 또는 0 보다 더 큰 정수에 의해 곱해지는 상기 예비설정값에 해당하여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직조기내 개구에 씨실을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870005398A 1986-05-30 1987-05-29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KR960012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6107377.3 1986-05-30
EP86107377A EP0247225B1 (en) 1986-05-30 1986-05-30 Device for surveying the insertion of a weft ya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98A KR870011298A (ko) 1987-12-22
KR960012186B1 true KR960012186B1 (ko) 1996-09-16

Family

ID=819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398A KR960012186B1 (ko) 1986-05-30 1987-05-29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4189A (ko)
EP (1) EP0247225B1 (ko)
JP (1) JP2647655B2 (ko)
KR (1) KR960012186B1 (ko)
DE (1) DE367538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5078B2 (ja) * 1987-09-11 1998-02-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よこ入れ制御装置
SE9002892D0 (sv) * 1990-09-10 1990-09-10 Iro Ab Styrd utgaangsbroms vid fournissoer foer textilmaskiner, foeretraeesvis av luft- eller vatten-jet-typ
EP2058423A1 (en) * 2007-10-10 2009-05-13 Iro Ab Weaving machine, yarn feeder and method for inserting a weft yarn
WO2010077568A1 (en) 2008-12-17 2010-07-08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time-lapse monitor surveying using sparse monitor data
US8705317B2 (en) * 2008-12-17 2014-04-22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for imaging of targeted reflectors
US9146329B2 (en) 2008-12-17 2015-09-29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time-lapse data
JP7260387B2 (ja) * 2019-05-06 2023-04-18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入れ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0303Y2 (ko) * 1978-04-04 1982-11-04
US4617971A (en) * 1982-05-12 1986-10-21 Aktiebolaget Iro Loom control system
US4627474A (en) * 1982-09-03 1986-12-09 Aktiebolaget Iro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SE8207096D0 (sv) * 1982-12-10 1982-12-10 Iro Ab System for temporer upplagring och matning av uppmetta garnlengder foretredesvis till dysvevmaskiner
WO1984001394A1 (en) * 1982-09-30 1984-04-12 Iro Ab Yarn storing, feeding and measuring device
SE8207098D0 (sv) * 1982-12-10 1982-12-10 Iro Ab Anordning for temporer upplagring och matning av uppmetta garnlengder, foretredesvis till dysvevmaskiner
JPS59106543A (ja) * 1982-12-13 1984-06-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断片織機の緯糸供給装置
JPS59125944A (ja) * 1982-12-27 1984-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断片織機の緯糸供給装置
BE899671A (nl) * 1984-05-16 1984-11-16 Picanol Nv Regelbare sturing van de inslagdraad van een weefgetou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98A (ko) 1987-12-22
EP0247225B1 (en) 1990-10-31
JP2647655B2 (ja) 1997-08-27
US4784189A (en) 1988-11-15
JPS6399353A (ja) 1988-04-30
DE3675389D1 (de) 1990-12-06
EP0247225A1 (en) 1987-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6941A (en) Faulty picking diagnosing system for a fluid jet loom
US4673004A (en) Adjustable control of the weft on a weaving loom
KR960012186B1 (ko) 씨실 삽입상태 검사장치
US4815501A (en) Method of discriminating and change a yarn package
US4463783A (en) Method of inserting the weft in jet loom
JP5901031B2 (ja) ジェットルーム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2068697A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jet loom
EP0436218B1 (en) Control method for jet pressure of picking nozzle in looms and control apparatus therefor
US5067527A (en) Adjustment of weft yarn stretch in a shed of an air jet loom
US4781224A (en) Loom equipped with weft picking control system
KR930004535A (ko) 유체 제트 직기 및 그 작동방법
EP05481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eft processing system and measuring feeder
EP3348688B1 (en) Method for diagnosing weft insertion in air jet loom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weft insertion in air jet loom
JPS62257439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方法
EP3498902B1 (en) Method for diagnosing weft insertion in air-jet loom
JP2522245B2 (ja) ジェッ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方法
JP2636467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制御装置
JP2777738B2 (ja) 空気噴射式織機のよこ入れ関連部材良否判定装置
JP2562594B2 (ja) 給糸体の交換判別方法
JPH06116836A (ja)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れ制御装置
JP2003171853A (ja) 緯糸検知回数の積算方法および緯糸検知回数の積算装置ならびに緯入れ制御方法および緯入れ制御装置
JP2519916B2 (ja) 給糸体の判別交換方法
JP2001181945A (ja) 緯糸センサ異常検出装置
JPH01156549A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H04470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