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27B1 - 인버터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27B1
KR960010827B1 KR1019910014770A KR910014770A KR960010827B1 KR 960010827 B1 KR960010827 B1 KR 960010827B1 KR 1019910014770 A KR1019910014770 A KR 1019910014770A KR 910014770 A KR910014770 A KR 910014770A KR 960010827 B1 KR960010827 B1 KR 96001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ble
reactor
inver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441A (ko
Inventor
유지 니시자와
마사가쓰 오우가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8890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1082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버터장치
제1도는 제1의 발명의 1실시예로서의 인버터장치, 케이블, 모터로 되는 회로로.
제2도는 제2도에 표시한 인버터장치 및 케이블 부분의 등가회로도.
제3도는 제3도에 표시한 등가회로에 있어 시간경과에 대한 각부의 전압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2의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버터장치.
제5도는 종래 예로서의 인버터장치의 회로도.
제6도는 케이블의 등가회로.
제7도는 제6도에 표시한 케이블에 있어 시간경과에 대한 입력전압파형과 출력전압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기타의 종래 예로서의 인버터장치의 회로도.
제9도는 제8도에 표시한 회로도에 있어 시간경과에 대한 각 부의 전압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해 콘덴서 20 : 인버터부
30 : 케이블 40 : 모토
60 : 전아블램프수단 61A∼61C: 제1의 리액터
62A∼62C, 64A∼64C : 다이오드
63A∼63C, 65A∼65C, 66,67 : 저항기
68:콘덴서
본 발명은 교류 전력공급용 케이블길이가 긴 경우에 있어 공신전압의 발생을 억제하는 인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압형 인버터장치(인버터장치)의 추력과 부하로서의 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인덕던스 Lo와 커패시턴스 Co에 의해 공진접압을 발생한다.
인버터의 출력전압은 스탭상으로 변화함으로 최악, 출력전압의 2배의 진폭의 전압진동을 발생한다.
제5도는 종래의 인버터장치의 회로예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직류전원으로서의 전해 콘덴서, (20)은 공급되는 직류를 파워소자로서의 트랜지스터(21)(22)의 스위치에 의해, 방파형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인버터부, (30)은 케이블(40)부하로서의 모터를 표시한다.
더욱, 인버터장치는 상기 직류 전원(10)과 인버터부(20)로 구성된다.
실시에는, 교류 전원에서 공급되는 상용주파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며 출력하는 콘버터부(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직류를 전해 콘덴서(10)로 평활하게 하고, 이 평활화된 직류를 인버터부(20)에 공급하는 것이고, 직류 전원은 상기 컨버터부와 전해 콘덴서(10)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인버터부(20)에서, 전해 콘덴서(10)에서 공급된 직규를 트랜지스터(21),(22)의 스위칭에 의해 방형파의 교루 전압을 출력하고, 케이블(30)을 통하여 모토(40)에 제공하여, 모터(40)의 회전제어를 한다.
그런데, 사용범에 의해서는 인버터부(20)와 모터(40)를 연결하는 케이블(30)을 길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케이블(30)의 인덕크턴스 Lo, 커패시턴스 Co가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제6도는 케이블(30)의 등가회로를 표시하고, 제7도는 그의 입력전압 Vi와 출력전압 (모터(40)의 단자전압)Vo의 파형을 표시한다.
제6도에 표시한 등가회로의 입출측에 제7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스텝전압 Vi를 입력하면, 모터(40)의 단자전압 Vo는 제7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진동하고, 이 진동전압은 최악 케이블(30)의 입력전압(인버터부(20)의 출력전압) Vi의 2배에 달하고, 모터(40)의 절연의 열화를 빠르게 한다.
인터크턴스 L과 커패시턴스 C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회로에 스탭상의 직류 전압 E를 시간 L=0로 인가한 경우에 있어 커패시턴스 C에 생기는 전압 Eout의 경과시간 t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된다.
에 의해, (1)식에 있어일 때, Eout는 최대로 되고, Eout=2E, 즉 출력전압은 입력전압의 2배에 달한다.
특히, 근년 파워소자로서 트랜지스터(21)(22)보다도 스위칭 속도가 빠른 파워 -MOSFET W IGBT를 사용하여, 캐리어 주파수를 종래의 1-2KHZ에서10KHZ으로 올린 저소음 인버터가 세상에 나오기 시작한다.
그런데 이와같은 고속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면 전압의 변화율이 높이 때문에, 모터(40)의 단자전압 Vo의 진동전압의 파고치가 크게 되기 쉽다.
또, 캐리어 주파수가 10배 이상으로 되면 이 진동전압이 모터(40)에 인가되는 회수도 중가하고, 더욱 모터(40)의 열화를 빠르게 한다.
종래, 이와같은 진동전압을 억제하기 위해 제8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진동억제수단(50)으로서 충분히 큰 인덕크턴스 L2의 스텝상 입력전압, 출력전압(케이블(30)의 입력저압)모터 단자전압(케이블(30)의 각 입력단 사이에 삽입한 예가 있다.
제9도의 Vi,VI2및 Vo2는 각각 상기 인덕크턴스 L2의 스텝상 입력전압, 출력전압 (케이블(30)의 입력전압)모터 단자전압(케이블(30)의 출력전압)표시하는 제9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리액터(51)는 상승이 빠른 전압 Vi1을 전압 Vi2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그의 상스을 순조롭게 하고, 케이블(30)에 있어서의 진동을 억제한다.
종래의 인버터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길이가 길게 되면 부하로서의 모터단에 큰 진동전압이 걸려, 상기 모터의 절연 열화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대책으로서, 리액터를 인버터부의 출력단과 케이블사이에 삽입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진동의 억제효과를 얻게 될 정도로 전압의 상승을 순조롭게 하는 데에는 비교적 큰 인덕크턴스를 가지는 리액터가 필요하게 되어, 리액터의 전압강하에 의해 모터제어성능에 악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삽립 리액터의 인덕크턴스가 크기 때문에, 비교적 대형의 리액터를 필요로 하고, 대형화와 동시에 코스트업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케이블 배선길이가 길게 되어도, 부하에 큰 진동전압이 인가되는 일이 없는 인버터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발명에 관한 인버터장치는, 직류 전원에서 공급되는 직류를 스위칭하여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의 교류 추려글 부하에 공급하는 케이블에 있어 전압공진에 의한 상기 부하에의 공급 전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전압클랭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클랭프수단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케이블간에 삽입된 제1의리액터와, 일단부를 상기 제1의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쌍의 다이오드 또는 저항기 및 제2의 리액터의 적어도 어느것과 다이오드로 되는 1쌍의 클램프용 직열 체를 가지는 것이다.
또, 제2의 발명에 관한 인버터장치는, 직류 전원에서 공급되는 직류를 스위칭하여 교유에 변환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의 교류 출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케이블에 있어 전압공진에 의한 상기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을 억제하고 전압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사기 전압클램프수단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케이블간에 삽입된 리액터와, 일단부를 상기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 접속부측과, 타단부를 저항기를 통하여 상기 직류 전원의 정극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고, 상기 리액터와 상기 케이블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쌍의 다이로드와, 상기 1쌍의 다이오드의 상기 저항기와의 접속부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진전압의 제1파를 흡수하는 콘텐서를 가지는 것이다.
제1의 발명에 있어 제1의 리액터는 인버터부와 케이블간에 삽입되어, 1쌍의 다이델, 또는 저항기 및 제2의 리액터의 적어도 어느것과 다이오드로 되는 1쌍의 클램프용 직렬체는 일단부를 상기 제1의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접속부측과 타단부를 상기 직류 전원의 정극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고, 사이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승을 억제한다.
또, 제2의 발명에 있어 리액터는 인버터부와 케이블간에 삽입되오, 1쌍의 다이오든 1단부를 상기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 접속부측과,타단부를 저항기를 통하여 상기 직류전원의 정극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어 상기 리액터와 상기 케이블과의 공진전압의 파고치를 상기 직류 전원전압에 클램프하고, 콘테서는 상기 1쌍의 다이오드의 상기 저항기와 접속된 클램프단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진전압의 제1파를 흡수하고, 상기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승을 억제한다.
[실시예]
이하, 제1의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제3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중, 종래예와 같은 부호로 표시된 것은 종래예의 그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것을 표시한다.
제1도는 인버터장치의 배선도, 제2도는 제1도의 등가회로도이다.
도면에 있어, (60)은 전압클램프수단이고,인버터부(20)의출력단과 케이블(30)간에 삽입된 리액터(61A)∼(61C)와, 리액터 (61A)∼(61C)의 케이블(30)과의 접속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타단부를 직루 전원으로서의 전해 콘텐서(10)의정극 및 부하와 접속된 다이오드(62A)∼(62C)저항기 (63A)∼(63C)의 직렬 회로 및 다이오드(64A)∼(64C)와 저항기 (65A)∼(65C)의 직렬회로로 구성한다.
더욱 상기 다이오드(62A)∼(62C) 및 (64A)∼(64C)와 저항기 (63A)∼(63C) 및 (65A)∼(65C) 의직렬 회로는 리액터 (61A)∼(61C)와 케이블(30)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쌍을 이루는 클램프용 직렬체를 구성한다.
여기서 리액터 (61A)∼(61C)의 각각의 인덕크턴스 L은 케이블(30)의배선 인덕크턴스 Lo에 비해 충분히 크게 선정한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전해 콘텐서(10), 인버터부(20), 전압클램프수단(60), 케이블(30)으로 되는 회로부분의 등가회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L1》Lo에 선택했으므로 케이블(30)의 입력전압(리액터(61)의 출력전압) Vi2와 출력전압(모터입력전압)Vo2는 대략 동일하게 Vi2∼Vo2로 된다.
지금,인버터부(20)의 등가회로로서의 스위칭을 ON으로 하면, 리액터(61)의 인덕크턴스 L1과 케이블(30)의 커패시턴스 Co로 상기 공진전압 Vi2(∼Vo2)가 발생한다.
그런데, 케이블(30)의 입력단, 즉 리액터(61)의 출력단은 다이오드(62) 및 저항기(63)로 되는 크램프용 직렬체를 통하여 전해 콘텐서(1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진동전압 Vi2가전해 콘텐서(10)의 단자전압 VDC보다 높게 되면 다이오드(62)가 온이 됨으로, 상기Vi2는 VDC에 클램프된다.
제3도는 각각 인버터부(20)의 출력전압 Vi1, 리액터(61)의 출력전압 Vi2및 케이블의 출력전압(모터의 입력전압)VO2의 시간경과 t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Vi2∼Vo2로 되고 결과적으로 모터의 입력전압 VO2로서, VDC에 비해, 큰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
더욱 , 제2도에 있어 모터부의 임피던스는 가입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은 케이블(30)의 임피던수에 비해 충분히 크기 때문에, 개방으로 하여도 회로의 동작의 이해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제1도에 있어서는 , 저항기(63A)∼(63C),(65A)∼(65C)는 전압 클램프시의 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이고, 다이오드(62A)∼(63),(64A)∼(64C)의 전류내량에 따라 적절한 저항치의 것을 선정한다.
더욱, 제1도에 있어서 , 저항기 (63A)∼(63C),(65A)∼(65C),의 대신에 제2의 리액터(도면에 표시되지 않고, 이 경우에는 리액터(61A)∼(61C)를 제1의 리액터라 한다.)를 삽입하여 다이오드 (62A)∼(62C),(64A)∼(64C),와 함께 클램프를 직렬체를 구상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또 다이오드(62A)∼(62C),(64A)∼(64C),의 전류내량이 충분히 클때에는 저항기 (63A)∼(63C),(65A)∼(65C)나, 상기 제2의 리액터(도면에 표시되지 않음)를 삽입할 필요는 없다.
제4도는 제2의 발명의 1실시예로서의 인버터장치의 회로예이고, (66),(67)은 저항기, (68)은 콘텐서를 표시한다.
제1의 발명에 실시예인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는 저항기(63A)∼(63C),(65A)∼(65C)의 값R1을 크게 선택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효과가 감소되는 경우가 있으나 ,제4도에 표시한 제2의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회로구성에 있어서는, 커패시터느 C1의 콘덴서(68)와 싸을 이루는 다이오드(62A)∼(62C),(64A)∼(64C)에 병렬로 삽입하고, 계속되는 것에 의해 진동이 큰 1발째를 콘덴서 (68)로 클램프하고, 그후는 저항기 (66),(67)를 통하여 전해 콘덴서(10)로 흡수하도록 하면 다이오드의 서지내량 및 전류내량이 비교적 작은 것이라고 사용될 수 있는 회로가 얻게 된다.
또, 제4도에 표시한 것은 제1도에 표시한 것과는 다르고, 다이오드(62A)∼(62C),(64A)∼(64C)에서의 서지를 저항기(66),(67)를 통하지 않고 콘덴서(68)로 클램프함으로, 케이블(30)에서 유입하는 교용파의 외래 노이즈를 흡수할 수 있다.
더욱, 저항기 (66),(67)의 발연도 작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이상과같이,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부의 교류 출력부와 케이블간에 삽입된 제1의리액터와, 상기 제1의 리액터와 상기 케이블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상의 다이오드, 또는 저항기 및 제2의 리액터의 적어도 어는것과 다이오드로 되는 1쌍의 클램프용 직렬체를 가지고 전압크램프수단을 구비했으므로,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인버터부의 교류 추력부와 케이블간에 삽입된 리액터와, 저항기를 통하여 직류 전원의 정극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고, 상기 리액터와 상기 케이블간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쌍의 다이오드와, 상기 1상의 다이오드간에 삽입되어,상기 공진전압의 제1파를 흡수하는 콘덴서를 가지는 전압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케이블에 있어 전압공진에 의한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승의 억제를 비교적 소형, 또는 값싸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류 전원에서 공급된 직류를 스위칭하여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의 교류 출력을 부하게 공급하는 케이블에 있어 전압공진에 의한 상기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전압클램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압클램프수단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케이블간에 삽입된 제1의리액터와, 1단부를 상기 제1의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 접속부측과 타단부를 상기 직류 전원의 정국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고, 상기 제1의 리액터와 상기 케이블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쌍의 다이오드, 또는 저항기 및 제2의 리액터의 적어도 어느것과 다이오드로 되는 1쌍의 클램프용 직렬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2. 직류 전원에서 공급되는 직류를 스위칭하여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의 교루 축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케이블에 있어 전압공진에 의한 부하에의 공급전압의 상승을 억제하는 전압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납클램프수단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케이블간에 삽입된 리액터와, 1단부를 상기 리액터의 상기 케이블과의 접숙부측과, 타단부를 저항기를 통하여 상기 직류 전원의 정극 및 부극의 각각과 접속되고, 상기 리액터와 상기 테이블과의 공진전압을 클램프하는 1쌍의 다이오드와, 상기 1쌍의 다이도으와 상기 저항기와의 접속부간에 삽입되어, 상기 공진전압의 제1파를 흡수하는 콘덴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장치.
KR1019910014770A 1990-08-30 1991-08-26 인버터장치 KR960010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9239A JP2707814B2 (ja) 1990-08-30 1990-08-30 インバータ装置
JP2-229239 1990-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41A KR920005441A (ko) 1992-03-28
KR960010827B1 true KR960010827B1 (ko) 1996-08-09

Family

ID=1688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770A KR960010827B1 (ko) 1990-08-30 1991-08-26 인버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73192B2 (ko)
JP (1) JP2707814B2 (ko)
KR (1) KR960010827B1 (ko)
DE (1) DE69111338T3 (ko)
HK (1) HK1006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07806U1 (de) * 1993-05-24 1993-08-26 Siemens Ag Umrichter-Ausgangsfilter
CH693524A5 (de) * 1994-05-11 2003-09-15 Schaffner Emv Ag Einrichtung zur Begrenzung der Aenderungsgeschwindigkeit der Ausgangsgrössen eines über einen Gleichspannungszwischenkreis selbstgeführten mehrphasigen Umrichters.
FI104394B (fi) * 1996-07-08 2000-01-14 Abb Industry Oy Yhdysjohdinrakenne taajuusmuuttajan ja sen kuorman välillä
DE19736786A1 (de) * 1997-08-23 1999-02-25 Asea Brown Boveri U-Umrichter
DE19957132C1 (de) * 1999-11-26 2001-06-13 Siemens Ag Schutzvorrichtung gegen die durch Schaltvorgänge einer Energieversorgung verursachten Überspannungen an Klemmen eines elektrischen Betriebsmittels
DE10044869A1 (de) * 2000-09-12 2002-04-04 Daimlerchrysler Rail Systems Filterschaltungsanordnung für eine Stromrichterschaltung
JP4557616B2 (ja) * 2004-07-02 2010-10-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力変換装置
AT502355B1 (de) * 2005-09-08 2009-07-15 Elin Ebg Traction Gmbh Strom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DE102005045552B4 (de) * 2005-09-23 2008-04-17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DE102006036092A1 (de) * 2006-08-02 2008-02-07 Siemens Ag Sinusfilter
DE102007039764B3 (de) * 2007-08-22 2008-12-24 Dräger Medical AG & Co. KG Ventilator für eine Respir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Ventilators
JP4558089B2 (ja) * 2009-10-19 2010-10-06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モータ及びモータ駆動システム
JP6508505B2 (ja) * 2013-12-19 2019-05-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バータ回路
EP3255767A1 (en) * 2016-06-07 2017-12-13 ABB Technology Oy Output filter for inverter leg
JP7127290B2 (ja) * 2018-02-08 2022-08-30 富士電機株式会社 サージ電圧抑制装置、これを使用した電力変換装置及び多相モータ駆動装置
JP7135494B2 (ja) * 2018-06-26 2022-09-13 富士電機株式会社 モータ過電圧保護装置、これを使用した電力変換装置及び多相モータ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021A (en) * 1969-05-15 1971-03-02 Gen Electric Low cost variable input voltage inverter with reliable commutation
US3668507A (en) * 1971-06-04 1972-06-06 Dmitry Evgenievich Kadomsky Apparatus for damping oscillations in three-phase bridge converters
JPH0757067B2 (ja) * 1986-08-08 1995-06-14 株式会社明電舎 サ−ジ電圧抑制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441A (ko) 1992-03-28
DE69111338T2 (de) 1996-03-21
DE69111338T3 (de) 1999-11-18
EP0473192A2 (en) 1992-03-04
HK1006050A1 (en) 1999-02-05
EP0473192A3 (en) 1992-06-17
EP0473192B1 (en) 1995-07-19
EP0473192B2 (en) 1999-09-01
JPH04251574A (ja) 1992-09-07
DE69111338D1 (de) 1995-08-24
JP2707814B2 (ja) 1998-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827B1 (ko) 인버터장치
EP0783203B1 (en) Bridge power converter
JP2001245466A (ja) 電力変換装置
CA2167546C (en) Dv/dt limiting of inverter output voltage
US7016205B2 (en) Ripple-current reduction schemes for AC converters
US11050358B2 (en) Power module with built-in drive circuit
US5025360A (en) Inverter switch with parallel free-wheel diodes
JPH03289346A (ja) インバータ装置の導体配置方法
JPH0638543A (ja) サージ電圧抑制装置
US4894567A (en) Active snubber circuit
KR20050083812A (ko) 최소의 전도 손실을 갖는 zvs 단일 스위칭 공진 dc링크
US5187652A (en) Turn-off circuit
JPH06101636B2 (ja) 半導体装置
US4922365A (en) Overvoltage suppressing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US5070426A (en) Clipper circuit for power transistor circuit and inverter circuit utilizing the same
JPH11103577A (ja) インバータ
CN111740630A (zh) 一种高压大功率变换器模块及其控制方法
CN115242111B (zh) 一种anpc型逆变器的控制方法及相关组件
Beukes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AC/AC converter topologies in utility applications
JP3024679B2 (ja) レベル変換回路
JP7127582B2 (ja) クランプ回路
JP2004509592A (ja) コンバータ回路用のフィルタ回路配置
JP2005269726A (ja) 過電圧抑制装置
JPH10210759A (ja) 3レベルインバータ装置
JPH0646572A (ja) 逆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