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71B1 - 비주얼 패널 - Google Patents

비주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771B1
KR960010771B1 KR1019930701281A KR930701281A KR960010771B1 KR 960010771 B1 KR960010771 B1 KR 960010771B1 KR 1019930701281 A KR1019930701281 A KR 1019930701281A KR 930701281 A KR930701281 A KR 930701281A KR 960010771 B1 KR960010771 B1 KR 96001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rame
mounting
edge
visu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737A (ko
Inventor
데루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시이에스기카쿠
데루오 스즈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시이에스기카쿠, 데루오 스즈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시이에스기카쿠
Publication of KR93070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81Signs, boards or panels having a curved shap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72Traffic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주얼 패널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가 이용된 볼링장 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있어서 시트를 벗긴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예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구체예의 배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V-V 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제2장설(張設)수단 등의 상세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 나타낸 시트의 전체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체예에 있어 제5도에 상당하는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구체예의 다른 사용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시트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구체예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나타낸 구체예에 있어서 시트 등을 생략한 정면도.
제13도는 제11도의 나타낸 구체예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1도에 표시한 구체예에 사용되고 있는 연결구 등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2,201 : 비주얼 패널 2 : 볼링장
5 : 지지기둥 6,202 : 프레임
7,8 : 가장자리부 9,10,103,104,263 : 확대부
11,105 : 시트 12,203 : 시트장설수단
13,204 : 장력조절수단 21,22 : 상하 가로부재
23,24,210 : 좌우 세로부재 25 : 중간 세로부재
26 : 축 31 : 시일
32 : 가요성로프 41,71,241 : 제1장설장치
42,242 : 제2장설장치 43 : 잘라낸 부분
44 : 덮개판 45,55,261,264 : 구멍
46,51,262,266,272 : 슬릿 52 : 통형상부
53,85,86 : 관통구멍 61 : 훅걸이
62 : 훅 64 : 래싱벨트
65 : 버클 76 : 공간
77 : 조명장치 81,82 : 부착판
210 : 한쌍의 세로부재 211,212,213,214 : 가로부재
215,216,217 : 원통부재 221,222,325 : 브래킷
231,301 : 커버 242 : 장설장치
251 : 연결구 253,254 : 조절구
265 : 판형상부 267 : 본체
271 : 중공(中空)부 273 : 긴 구멍
281 : 한 끝 282 : 고정 연결구
283 : 훅부 300 : 힌지
302 : 뒷판 303 : 나사
305 : 패드 306,307 : 유지부재
311 : 지지구 321,322 : 부착장치
323 : 용접된 부재 324 : 보울트
326 : 가로봉 330 : 원호상 가장자리
본 발명은 볼링장 내의 레인 장식 패널, 옥외벽 및 옥상광고표시 패널, 역구내 광고표시 패널 등의 비주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볼링장에서는, 볼링핀을 레인 끝에 자동적으로 정렬배치시키는 장치의 승강장치부가 경기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벽이 사용되어져 왔고, 종래에는 이 벽에 넘어지지 않은 핀의 수 등을 전광표시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넘어지지 않은 핀 수 등의 표시는 경기자 쪽의 테이블 등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어, 승강장치부를 가리는 벽에는 넘어지지 않은 핀 수등의 전광표시 대신에 그림, 사진 등을 인쇄한 패널을 다수부착하여, 시각적으로 독특하게 좋은 분위기를 볼링장 내에 내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그림, 사진 등을 인쇄한 패널은, 볼링장 내의 분위기를 한층 새롭게 하므로 많은 경우 정기적으로 다른 그림, 사진 등이 인쇄된 새로운 패널로 교환하지만, 이러한 패널은 약 3m×1m 정도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 특히 운반에 많은 비용이 들어 반드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는 볼링장 내의 패널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교환되는 옥외광고용 패널 등에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문제를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운반이 아주 쉬운 데다가 교환비용을 낮출 수 있는 비주얼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프레임과,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부에 확대부(또는 팽대부(膨大部))를 가진 가요성 시트와, 이 시트의 양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수용하여 시트를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시트장설수단을 갖춘 비주얼 패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설수단의 하나의 좋은 예는, 시트의 한 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와, 시트의 다른 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수용하는 제2장설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장설장치는 각각 시트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수용하는 구멍과, 이 확대부에 이어지는 시트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져 통하는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예로는 제1 및 제2장설장치중 적어도 한 쪽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거나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 및 장설수단은 목제,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 등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기계적 강도, 경량성이라는 관점에서 경질 플라스틱제 또는 알루미늄제가 좋고, 가장 좋은 것을 알루미늄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는 시트에 가해지는 장력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덧붙여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장력조절수단을 구비하는 비주얼 패널에서는 제1장설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제2장설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장력조절수단은 제2장설장치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으며, 다른 하나는 제1 및 제2장설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장력조절수단은 제1장설장치와 제2장설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정력조절수단은 양 끝에 훅을 가진 래칫식 래싱벨트, 턴버클, 고무밴드식 래싱벨트 또는 캠버클식 래싱벨트 등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요성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시트 또는 비닐 시트 등 압출성형으로 얻어지는 일반적 시트라도 좋고, 혹은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으로 된 천 또는 부직포 시트라도 좋다. 시트 뒷면에서 조명하는 경우에는 시트는 백리트형인 것을 사용하면 좋다. 시트 확대부로서는 시트 자체의 가장자리부를 일체형성으로 팽출하여 맨 것이라도, 또는 시트 자체의 가장자리부를 감아 넣은 것이라도 좋고, 또한 시트 가장자리부를 접어 봉합하여 거기에 형성된 루프에 가요성 로프를 삽입하여 형성한 확대부라도 좋다. 이 확대부의 단면형상으로서는 원형, 삼각 또는 사각형, 이들 이상의 다각형이라도 좋다. 가요성 시트는 약간 신축성이 있으면 좋으나 신축성이 너무 큰 경우는 인쇄 등으로 된 그림이 비틀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비주얼 패널에 의하면, 가요성 시트에 미리 그림, 사진 등을 인쇄한다. 이 시트를 프레임에 장설수단을 사용하여 팽팽하게 설치하여, 예를 들면 볼링장 내 등에 설치한다. 볼링장 내의 분위기를 바꿀 경우에는 시트를 프레임에서 벗겨 새로운 그림, 사진 등이 인쇄된 시트를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한다. 이때, 헌 시트 및 새 시트는 말아서 운반하면 장소를 차지하지 않고 쉽게 작업이 된다.
본 발명의 비주얼 패널에 의하면 그림, 사진 등이 인쇄된 부위가 가요성 시트라서 자유롭게 벗길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 및 운반이 아주 쉽고,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교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구체적인 예를 기초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발명 및 다른 발명이 명료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 내지 제7도에 있어서 본 예의 비주얼 패널(1)은 볼링장 내(2)에 있어서 레인(3) 끝에 볼링핀(4)을 자동적으로 정렬배치하는 장치의 승강장치부가 경기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레인 2열당 1개씩 다수 직렬로 지지기둥(5)에 A방향에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비주얼 패널(1)은 프레임(6)과,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부(7,8)에 확대부(9,10)를 갖는 가요성 시트(11)와, 시트(11)의 양 가장자리부(7,8)의 확대부(9,10)를 자유로이 섭동하도록 수용하여 시트(11)를 프레임(6)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시트장설수단(12)과, 시트(11)에 가해지는 장력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장력조절수단(13)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6)은 각각 서로 나사 등으로 연결된 상하 가로부재(21,22)와 좌우 세로부재(23,24)와 복수개의 중간 세로부재(25)를 구비하고 있고, 좌우 세로부재(23,24)에 설치된 축(26) 및 베어링(도시하지 않았음)등으로 된 힌지기구로 지지기둥(5)에 A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시트(11)의 가장자리부(8)의 확대부(10)는, 가장자리부(8)를 접어 시일(31)로 봉합시켜 거기에 형성된 루프에 가요성 로프(32)를 삽입하여 형성되고 있고, 다른 쪽의 확대부(9)도 (10)의 확대부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장설수단(12)은, 시트(11)의 한 쪽 가장자리부(7)의 확대부(9)를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14)와, 시트(11)의 다른 쪽 가장자리부(8)의 확대부(10)를 수용하는 제2장설장치(42)를 구비하고 있고, 정설장치(41)는 프레임(6)의 가로부재(21)의 앞면 꼭대기부에서 형성된 잘라낸 부분(43)과 잘라낸 부분(43)을 덮어 가로부재(21)에 나사 등으로 고착된 덮개판(44)을 구비하고 있다. 장설장치(41)에 있어서는 만곡된 덮개판(44)을 잘라낸 부분(43)에 둘러싼 시트(11)의 가장자리부(7)의 확대부(9)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또 덮개판(44)의 끝부분 확대부(9)에 이어지는 시트(11)의 가장자리부(7)가 삽통되는 슬릿(46)을 형성하도록 가로부재(21)와 약간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프레임(6)에 고정하여 설치된 제1장설장치(41)는 시트(11) 가장자리부(7)의 확대부(9)를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수용하는 구멍(45)과, 확대부(9)에 이어지는 시트(11)의 가장자리부(7)가 삽통되는 슬릿(46)을 구비하고 있다.
가늘고 긴 장설장치(42)는 슬릿(51)을 가진 통형상부(52)와 통형상부(52)에 일체형성된 여러개의 직사각형상의 관통구멍(53)을 가진 판형상부(54)로 되고, 장설장치(42)에는 통형상부(52)의 내부공간이 구멍(55)으로 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프레임(6)에 대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장설장치(42)는 시트(11) 가장자리부(8)의 확대부(10)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구멍(55)과, 확대부(10)에 이어지는 시트(11) 가장자리부(8)가 삽통되는 슬릿(51)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11)에 가해지는 장력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장력조절수단(13)은, 세로부재(23),(24) 및 중간 세로부재(25)에 각각 나사 등으로 고착하여 설치한 훅걸이(61)와, 훅걸이(61)에 걸린 훅(62)과, 관통구멍(53)을 통하여 판형상부(54)에 걸린 다른 훅(63)과, 훅(62),(63)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래싱벨트(64)와 래싱벨트(64)에 부착된 축(62,6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버클(65)을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예의 장력조절수단(13)은 장설장치(42)와 프레임(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비주얼 패널(1)은,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볼링장 내(2)의 레인(3) 끝 쪽에 설치된다. 그래서 비주얼 패널(1)의 시트(11) 앞면에 인쇄된 예를들어 사진에 의해 볼링장 내(2)의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기분좋게 한다. 볼링장 내(2)의 분위기를 바꾸고 싶은 경우에는 비주얼 패널(1)을 A방향으로 회전시켜 비주얼 패널(1) 뒷면을 작업자 쪽으로 향해, 래싱벨트(64)에 의한 시트(11)에의 장력부가를 늦추어, 각각 구멍(45,55)에서 확대부(9,10)를 빼내서 시트(11)를 프레임(6)에서 벗기고, 새 시트(11)의 확대부(10)를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가로방향에서 구멍(55)에 삽입하고, 마찬가지로 다른 확대부(9)를 구멍(45)에 가로방향에서 삽입하여 시트(11)를 프레임(6)에 장착한다. 그 후 래싱벨트(64)의 한 끝을 잡아당겨 시트(11)에 적당한 장력을 주어 시트(11)를 팽팽히 당기도록 한다.
그래서 비주얼 패널(1)에서는 시트(11)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볼링장 내(2)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고 또 교체된 헌 시트(11) 및 새 시트(11)는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접거나 말아서 운반할 수 있어서, 운반이 간편하고 다수의 시트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결과, 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상기 구체적인 예에서는 프레임(6)에 고정하여 설치한 제1장설장치(41)와 프레임(6)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설치한 제2장설장치(42)에 비주얼 패널(1)을 형성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제8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트(11) 한 쪽 가장자리부(7)의 확대부(9)를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71)를 장설장치(42)와 같이 형성하고, 훅(62)을 장설장치(71)의 판형상부(54)에, 그 판형상부(54)에 형성된 관통구멍(53)을 통하여 걸도록 하고, 이렇게 하여 제1 및 제2장설장치(71,42)를 프레임(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여, 장력조절수단(13)을 제1장설장치(71)와 제2장설장치(42) 사이에 설치하여 비주얼 패널(72)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 이 비주얼 패널(72)에 있어서는 프레임(6)의 상하 가로부재(21,22)에 나사등으로 부착한 공간형성부재(73,74)에 안내되어 시트(11)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고, 공간형성부재(73,74)에 의해 프레임(6) 앞면(75)과, 앞면(75)에 대면하는 시트(11) 사이에 공간(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76)에는 필요에 따라 형광등 등의 조명장치(77)을 설치하고, 조명장치(77)로 시트(11)를 뒷면에서 조명하여 더욱 좋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 예의 비주얼 패널(72)에는 다시 프레임(6)에 나사 등으로 고착된 부착판(81,82)를 통하여 프레임(6)의 상하단에 커버(83,84)가 끼워 붙여져 있다. 또, 부착판(81,82)에는 래싱벨트(64)를 삽통하는 관통구멍(85,86)이 관통구멍(53)에 대응하여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비주얼 패널(1), (72)의 볼링장 내(2)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비주얼 패널은 이와같은 사용에 국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9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공사현장을 둘러 설치되는 둘레벽(91)에 밑판(92)이 있는 ㄷ자 형상의 지지부재(93),(94)를 부착하고, 여기에 비주얼 패널(72)을 삽입하여 공사현장의 표시를 비주얼 패널(72)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비주얼 패널(72)에 조명장치(77)을 장치하여 두면, 야간에도 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내용을 바꿀 경우는 상술한 것처럼 시트(11)를 교환하면 된다.
시트로서는 상기예에서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윗가장자리부(7) 및 아래가장자리부(8)에 각각 확대부(9,10)를 갖는 직사각형 시트(1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대신에 예를들어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확대부(9,10)에 더하여 가로로 달아낸 부분(101), (102)에 다시 다른 확대부(103),(104)가 형성된 시트(105)라도 좋고, 시트(105)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트(105)로 프레임(6)을 싸넣고, 확대부(103),(104)에도 전술한 것처럼 장설장치 및 장력조절수단을 적용한다. 이렇게 하면, 가로방향에 있어서 시트(105)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서, 경우에 따라 시트를 프레임(6)에 다시 팽팽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제11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설명한다.
이 예의 비주얼 패널(201)은 2조의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부에 확대부(9,10 및 103,104)를 갖는 가요성 시트(105)와, 시트(105)의 양 가장자리부의 확대부(9,10 및 103,104)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여 시트(105)를 프레임(202)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시트장설수단(203)과, 시트(105)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20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의 프레임(202)은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세로부재(210) (한쪽은 도시하지 않았음)와, 한 쌍의 세로부재(210)에 각각 단부가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 한 쌍의 세로부재(210)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가로부재(211), (212), (213), (214)와, 이들 가로부재(211,212,213,214)와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원통부재(215,216,217)를 갖고 있다. 또 프레임(202)에는 필요에 따라 세로부재(210)와 평행하게 중간 세로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재(215,216) 각각의 한 끝에는 한 끝이 용접 등으로 세로 부재(210)에 고착된 브래킷(221),(222)의 다른 끝이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원통부재(215),(216) 각각의 일단은 브래킷(221,222)을 통하여 세로부재(210)에 지지되어 있다. 원통부재(215,216)의 각각의 다른 끝(도시하지 않았음)도 브래킷(221,214)와 마찬가지고 브래킷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원통부재(215,216) 각각의 중간부와 가로부재(213,214) 혹은 중간 세로부재 사이에는 브래킷(221,222)와 마찬가지로 브래킷을 설치해도 좋다. 원통부재(217)는 가로부재(211,212)와 마찬가지로 브래킷을 설치해도 좋다. 원통부재(217)는 가로부재(211,21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세로부재(210)를 가로질러 연결하여 고정해서 배치하고 있다.
또, 한 쌍의 세로부재(210) 및 가로부재(211,212)에는 이들의 바깥쪽을 덮는 커버(231)가 끼워붙임 혹은 나사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본 예의 장설수단(203)에 있어서 시트(105) 한 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9)를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241)와, 시트(105)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의 확대부(10)을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242)는, 각각 연결구(251), (252)와 여러개의 조절구(253),(254)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구(251)은 연결구(252), 또 조절구(253)은, 조절구(254)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 연결구(251)과 조절구(253)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긴 연결구(251)는,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트(105) 한 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9)를 수용하는 구멍(261)과, 확대부(9)에 이어지는 시트(105)의 가장자리부가 삽통된 슬릿(262)과, 조절구(253)의 확대부(263)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구멍(264)과, 확대부(263)에 이어지는 조절구(253)의 판상부(265)가 삽통된 슬릿(266)을 구비하고 있다. 구멍(261,264) 및 슬릿(262,266)은, 연결구(251)의 본체(267)의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조절구(253) 각각에는 상술한 것처럼 확대부(263)와, 확대부(263)에 일체형성된 판형상부(265)를 구비하고 있고, 확대부(263)에는 중공부(271)와 중공부(271)에 연이어 통하는 슬릿(272)가 형성되어 있고, 판상부(265)에는 긴 구멍(273)이 형성되어 있다.
확대부(9,263)의 구멍(261),(264)에의 끼워붙임은 제6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으로 된다. 확대부(263)는 구멍(264)에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되어 있는 결과, 조절구(253)각각은 연결구(251)에 대하여 X방향으로 즉 연결구(5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위치조절이 자유롭다. 조절구 (253)의 긴 구멍(273)에는 한 끝(281)이 세로부재(210)에 용접 등으로 고착된 고정연결구(282)의 훅부(283)가 걸려 있어, 이렇게 하여 장설장치(241)는 프레임(202)에 연결되어 있다. 또, 고정연결구(282)에 있어서, 한 끝(281)과 훅부(283) 사이를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조절구(253)와 마찬가지로 형성된 조절구(254)판상부의 긴 구멍(도시하지 않았음)에는 장력조절수단(204)의 벨트(291)가 끼워 통해 있다.
장력조절수단(204)은, 벨트(291)와, 밸트(291)에 연결된 버클(292)을 구비하고 있고, 벨트(291)는 상술한 것처럼 조절구(254) 판형상부의 긴 구멍(도시하지 않았음)에 끼워져 통하는 한편, 원통부재(217)에도 건너 지르게 되어 있어, 이렇게 하여 버클(292)에 삽통된 벨트(291)의 한 끝(293)을 인장함으로써, 조절구(254)와 원통부재(217)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시트(105)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게 된다.
또, 비주얼 패널(201)에서는 시트(105)의 가로방향으로 낸 부분(101),(102)의 확대부(103),(104)에 대해서도 장설장치(242) 및 장력조절수단(204)와 마찬가지로 구성이 되어 있어, 가로방향에 관해서도 시트(105)는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
본 예의 비주얼 패널(201)은 또한, 힌지(300)를 통하여 R방향으로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커버(231)에 부착된 가장자리 커버(301)와, 가장자리 커버(231)에 끼워넣은 뒷판(302)을 구비하고 있다. 가장자리 커버(301)는 나사(303)로 커버(23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나사(303)를 풀음으로써, 가장자리 커버(301)는 힌지(300)를 중심으로 하여 R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가장자리 커버(301)의 안둘레에는 패드(305)가 끼워붙여져 있고, 패드(305)는 원통부재(215,216)와 협동하여 시트(105)를 끼워두고, 시트(105)에 생기는 약간의 주름 등을 펴, 주름이 없도록 한다. 가장자리 커버(301)가 닫힌 경우에, 가장자리 커버(301)를 확실하게 지니기 위해, 유지부재(306),(307)가 세로부재(210)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본예에 있어서도, 조명장치인 형광등(310)을 여러개의 지지구(311)를 통하여 프레임(202)에 부착하여도 좋다. 또, 비주얼 패널(201)을 벽 등에 부착하기 위해, 부착장치(321), (322)를 세로부재(210)등에 용접 등으로 부착하여도 좋다. 부착장치(321), (322)는 각각, 세로부재(210)등에 용접된 부재(323)와 부재(323)에 보울트(324)로 고착된 브래킷(325)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비주얼 패널(201)은, 브리킷(325)에 용접된 가로관 또는 가로봉(326)을 통하여, 예를 들면 건축현장을 둘러싸는 벽 등에 부착된다. 그리고 비주얼 패널(201)도 나사(303)를 풀어 가장자리 커버(301)를 R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다음에 벨트(291)를 이완시켜 시트(105)의 긴장을 풀고, 확대부(9,10)를 연결구(251,252)에서 뺌으로서, 시트(105)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체예에서는 프레임의 한 쪽면에만 시트를 설치하였으나, 프레임의 양면에 시트를 설치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도 양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각각 조명장치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비주얼 패널을 각이진 통형상, 예를들면 4각 통형상으로 배치하여도 좋고, 또,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비주얼 패널의 하단에 캐스터를 부착해도 좋다.
또, 제10도에 나타낸 시트(105)에는, 수평방향으로 내민 부분(101),(102)을 각이지게 직각으로 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시트(105)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이 수평방향으로 내민 부분을 완만한 원호상의 가장자리(330)로 형성하여도 좋다.

Claims (8)

  1. 프레임(6)과,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부(7),(8)에 확대부(9),(10)가 있는 가요성 시트(11)와, 이 시트의 양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수용하여 시트를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하는 시트장설수단(12)을 구비한 비주얼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에 가해지는 장력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장력조절수단(13)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비주얼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장설수단은 시트의 한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수용하는 제1장설장치(14)와, 시트 다른 쪽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수용하는 제2장설장치(42)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및 제2장설장치는 각각 시트 가장자리부의 확대부를 수용하는 구멍(45)과, 이 확대부에 이어지는 시트의 가장자리부가 끼워져 통하는 슬릿(46)을 구비하고 있는 비주얼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장설장치중 적어도 한 쪽은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는 비주얼 패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장설장치중 적어도 한 쪽은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는 비주얼 패널.
  6. 제4항에 있어서, 제1정설장치(41)는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고, 제2장설장치(42)는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고, 장력조절수단은 제2장설장치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비주얼 패널.
  7.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장설장치는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장력조절수단은, 제1장설장치와 제2장설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비주얼 패널.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 또는 제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시트와 프레임 사이에 조명장치(77)가 설치되어 있는 비주얼 패널.
KR1019930701281A 1991-10-25 1992-10-01 비주얼 패널 KR96001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06627 1991-10-25
JP30662791 1991-10-25
PCT/JP1992/001269 WO1993008554A1 (fr) 1991-10-25 1992-10-01 Panneau de visua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737A KR930702737A (ko) 1993-09-09
KR960010771B1 true KR960010771B1 (ko) 1996-08-08

Family

ID=1795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281A KR960010771B1 (ko) 1991-10-25 1992-10-01 비주얼 패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98436A (ko)
EP (1) EP0564657B1 (ko)
KR (1) KR960010771B1 (ko)
AU (1) AU656232B2 (ko)
CA (1) CA2098851C (ko)
DE (1) DE69218585T2 (ko)
TW (1) TW266284B (ko)
WO (1) WO19930085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236A (en) * 1991-10-25 1996-12-31 Scs Promotion Company Limited Visual panel
DE9420817U1 (de) * 1994-12-28 1995-03-30 Thomas Dietrich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s flächenförmigen Werbeträgers
DE19519563A1 (de) * 1995-05-27 1996-11-28 Thoca Geraetebau Gmbh Haltevorrichtung für Plakate
FR2739962B1 (fr) * 1995-10-16 1997-11-28 J P N Fixations Sa Dispositif d'affichage
FR2743923B1 (fr) * 1996-01-23 1998-02-20 Ipam Dispositif de fixation d'une banderole sur un mat
US6112444A (en) * 1996-06-27 2000-09-05 Milliken; Les Framing member for use in assembling a bleed sign face construction
US5732494A (en) * 1996-08-12 1998-03-31 Davey; Glenn Banner material holder
US5903993A (en) * 1997-02-14 1999-05-18 Nomadic Structures, Inc. Connectors, display fram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GR1002993B (el) * 1997-07-07 1998-10-14 Panel 2+4 �.�. Υπαιθρια φωτεινη διαφημιστικη πινακιδα ταχειας αλλαγης διαφημιστικων μηνυματων
US6092319A (en) * 1998-04-13 2000-07-25 Hicks; Charles H. Apparatus for connecting advertising substrate to trucks
US6282822B1 (en) 1999-03-30 2001-09-04 Aegis Mobile Marketing Mobile advertising display for roll-up door
US6402110B1 (en) * 1999-09-29 2002-06-11 Joel Berman Associat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flexible sheet material to a support structure
US6367204B1 (en) * 2000-02-14 2002-04-09 Donald Lewis Eichl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ating doors
US20020011015A1 (en) * 2000-05-04 2002-01-31 Reed Larson Banner caps and system of use
US6594932B2 (en) 2001-02-22 2003-07-22 Rak Tek, Inc. Display sign mounting system
US6823619B2 (en) 2001-05-03 2004-11-30 Wizard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plurality of signs
US6976330B2 (en) * 2002-04-04 2005-12-20 Milliken & Milliken Hinge assembly for sign box face
US20050279465A1 (en) * 2004-06-18 2005-12-22 Ted Gower Structure envelope reinforcement
US7500325B2 (en) * 2004-11-15 2009-03-10 Michael Wayne Pulliam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and selectively tensioning a sheet material display to a billboard
US7481013B2 (en) * 2005-02-24 2009-01-27 Black John L Billboard system and method
US7275340B2 (en) * 2005-08-18 2007-10-02 Boyd Andrews Four-sided flexible display truck-side retention system
JP5422035B2 (ja) * 2007-09-07 2014-02-19 モリト株式会社 取付部品と取付対象物との連結方法
GB2457505B (en) 2008-02-18 2013-03-20 Cestrian Imaging Ltd Method of assembling a tensile fabric arrangement
US8997824B2 (en) * 2011-03-16 2015-04-07 Brent Walker Solar shutter
USD735073S1 (en) * 2013-10-01 2015-07-28 Mydor, LLC Door banner
US9422732B2 (en) 2014-04-28 2016-08-23 Ted Gower Slidable barriers
US9512612B2 (en) 2014-12-05 2016-12-06 Ted Gower Retainer inserts for barriers
DE102016216381A1 (de) * 2016-08-31 2018-03-01 Robert Bosch Gmbh Display-Einheit, Display-Vorrichtung enthaltend mindestens eine Display-Einheit und Verwendung der Display-Einheit und der Display-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8297A (en) * 1938-10-19 1944-01-04 Mugdan Martin Process for polymerizing trichlorethylene
US2391871A (en) * 1945-01-23 1946-01-01 Albert H Benson Window or the like for canvas coverings
US2527258A (en) * 1948-10-15 1950-10-24 Kalan Uniform Co Inc Garment
US2647261A (en) * 1950-05-13 1953-08-04 Sidney Bogad Sport shirt having detachable insignia panel
US2928198A (en) * 1957-07-29 1960-03-15 Madanick Sydney Illuminated sign
US3276512A (en) * 1963-12-16 1966-10-04 Donald G Gallagher Cover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bile
US3461584A (en) * 1967-02-17 1969-08-19 Wilson Seat Co Sign holder for application to vehicle doors
AU3622168A (en) * 1968-08-30 1970-03-05 Hurricane Canvas Pty Ltd An improved clip for releasably holding flexible sheet material
US3701210A (en) * 1970-06-09 1972-10-31 George E Smith Temporary vehicle markings
DE2217826A1 (de) * 1972-04-13 1973-10-25 Kusto Gmbh Vorrichtung mit einer plane zur befestigung an baugeruesten fuer den winterbau
US3831304A (en) * 1972-08-24 1974-08-27 Massillon Cleveland Akron Sign Co Pole banner sign construction
DE2336733A1 (de) * 1973-07-19 1975-02-06 Schall Kg M Zelt
DE2363706A1 (de) * 1973-12-21 1975-06-26 Huels Chemische Werke Ag System zur bekleidung von allgemein gekruemmten flaechen
DE2407552A1 (de) * 1974-02-16 1975-08-28 Layher Gmbh Wilhelm Anordnung zum verbinden von planen
JPS5142783A (en) * 1974-10-09 1976-04-12 Sanyo Kokusaku Pulp Co Supuritsutoyaaniri kosasekisoshiitoseizohoho
US3995715A (en) * 1975-09-10 1976-12-07 A. Ahlstrom Osakeyhtio Protective covering for scaffolding
US4018260A (en) * 1976-04-27 1977-04-19 Baslow Floyd M Fabric wall coverings
IT1084259B (it) * 1977-04-21 1985-05-25 Hillebrand Peter Copertura apribile e smontabile per ambienti di grandi dimensioni
US4107826A (en) * 1978-01-23 1978-08-22 Tysdal Daryl D Flexible covering anchor
JPS5529454A (en) * 1978-08-16 1980-03-01 Nippon Dekishi Kk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and charging article
JPS5766936A (en) * 1980-10-15 1982-04-23 Teijin Ltd Polyester film
US4369591A (en) * 1981-06-03 1983-01-25 Vicino Robert K Inflatable display structure
AU8848582A (en) * 1981-09-25 1983-03-31 Spring, A.D. Mfg. Pty. Ltd. Clamps and methods for connecting flexible sheet to tubular frames
EP0078391A1 (de) * 1981-10-28 1983-05-11 Dambach-Templin GmbH & Co. Werbemittel KG Anordnung zur plakativen Werbung an LKW-Planen
DE3142829A1 (de) * 1981-10-29 1983-05-11 Dambach-Templin Gmbh & Co Werbemittel Kg, 7560 Gaggenau Wechselplakat
US4534145A (en) * 1983-07-25 1985-08-13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Attachment device for securing flexible sheets
US4532744A (en) * 1983-09-06 1985-08-06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Locking device for membrane fastener apparatus
DE3412064A1 (de) * 1984-03-31 1985-10-03 Sascha 6000 Frankfurt Weingärtner Werbetraegerschild fuer kraftfahrzeuge
US4572691A (en) * 1984-07-02 1986-02-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en-like instrument for applying correction fluid
FR2572832B1 (fr) * 1984-11-07 1987-01-23 Rhone Poulenc Fibres Moyen permettant la publicite escamotable, et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US4746597A (en) * 1986-10-22 1988-05-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Image deletion fluid for printing plate
JPS63115171U (ko) * 1987-01-22 1988-07-25
FR2610374B1 (fr) * 1987-01-30 1989-05-12 Dalo Jean Dispositif de fixation du bord d'une nappe tendue, applicable notamment a la fixation du bord inferieur d'une toile de tente et abri leger pourvu d'un tel dispositif
US4757854B1 (en) * 1987-02-26 1998-06-23 Bestop Inc Apparatus for detachably fastening a stretchable fabric panel to a rigid frame
US4776121A (en) * 1987-04-27 1988-10-11 Vicino Robert K Inflatable sign
FR2616050B1 (fr) * 1987-06-05 1989-12-29 Bassouls Pierre Henry Dispositif de solidarisation temporaire des extremites de deux structures dont au moins une est souple
US5042182A (en) * 1987-06-25 1991-08-27 Signcraft Pty. Limited Sign
JPS6438672A (en) * 1987-08-05 1989-02-08 Hitachi Ltd Pattern generator
US4800947A (en) * 1987-09-21 1989-01-31 Joseph K. Favata Tension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FR2624062B1 (fr) * 1987-12-08 1991-04-12 Chenel Guy Cloison temporaire
CA1311122C (en) * 1988-02-09 1992-12-08 Paul G. Sheppard Illuminated sign system
JPH01229109A (ja) * 1988-03-03 1989-09-12 Color 2000 Inc シート材料を吊下げるための吊下げアセンブリ
US4875302A (en) * 1988-04-07 1989-10-24 Noffsinger Alfred A Collapsible display sign
US4976057A (en) * 1988-07-21 1990-12-11 Bianchi Dennis R Simulated neon sign
US4878303A (en) * 1988-07-25 1989-11-07 Banniza Harry W Sign
JPH0287283A (ja) * 1988-09-22 1990-03-28 Nec Ic Microcomput Syst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
GB2226591A (en) * 1988-12-21 1990-07-04 Sgb Plc Protective screen for use during building operations
JPH02190890A (ja) * 1988-12-26 1990-07-26 Signcraft Pty Ltd 看板
GB8903932D0 (en) * 1989-02-21 1989-04-05 Urquhart Peter J Fastening flexible she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4657A4 (en) 1993-07-22
KR930702737A (ko) 1993-09-09
US5398436A (en) 1995-03-21
AU2674392A (en) 1993-05-21
EP0564657A1 (en) 1993-10-13
CA2098851C (en) 1998-06-16
WO1993008554A1 (fr) 1993-04-29
AU656232B2 (en) 1995-01-27
DE69218585D1 (de) 1997-04-30
TW266284B (ko) 1995-12-21
CA2098851A1 (en) 1993-04-26
EP0564657B1 (en) 1997-03-26
DE69218585T2 (de)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771B1 (ko) 비주얼 패널
US5046545A (en) Tension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US4800947A (en) Tension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CA1311122C (en) Illuminated sign system
US4674213A (en) Extruded aluminum sign frame section
US4922988A (en) Tension mounting system and assembly
US5588236A (en) Visual panel
US5044102A (en) Tensioned display sign having hinged frame section
CA1177647A (en) Advertising display for pick-up trucks or similar vehicles
IE70130B1 (en) An illuminated awning
US5436804A (en) Light-modifying screen for use in photography
US5822899A (en) Advertisement display device
US6493968B2 (en) Frame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tching flexible material
EP0119762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tensioning of flexible sheets across frames
EP0519161B1 (en) Modular framework for illuminated signs using flexible material
GB2466539A (en) Reflective or transmissive panel for photographic lighting
JP2707835B2 (ja) ビジュアルパネル
JP2526485B2 (ja) ビジュアルパネル
EP0570562B2 (en) Advertising sign
US6370802B1 (en) Back-lit fascia with spring loaded fascia tensioner
KR100991706B1 (ko) 현수막 설치대
US20030126777A1 (en) Versatile stretcher frame system
EP0628943A1 (en) Knockdown-elements framework for light signs
JP3002195B1 (ja) 広告器
JP4224285B2 (ja) スクリー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