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639Y1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639Y1
KR960010639Y1 KR2019940026087U KR19940026087U KR960010639Y1 KR 960010639 Y1 KR960010639 Y1 KR 960010639Y1 KR 2019940026087 U KR2019940026087 U KR 2019940026087U KR 19940026087 U KR19940026087 U KR 19940026087U KR 960010639 Y1 KR960010639 Y1 KR 960010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hinge
side mirror
fl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032U (ko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 윤용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
Priority to KR2019940026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639Y1/ko
Publication of KR960014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미러가 정상적으로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2도와 제1도에서 보인 경첩의 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미러의 하우징이 전방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제3b도는 본 고안에 의한 사이드미러의 하우징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이스 3 : 하우징
4 : 경첩 13 : 안내돌기
14 : 요입홈 15 : 돌기
16 : 안내리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행방향 또는 반대편방향으로부터 충격이 사이드미러에 가해질 경우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스프링으로 탄설된 하우징이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과 동일한 젖혀지도록 하여서 차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하우징을 베이스로 부터 젖힘가능하게 유지시켜주는 수단을 일본국 실개소 59-51646호로 알려진 바와 같은 더블링크로 하거나, 대한민국 실용공고번호 90-7247호로 알려진 바와 같이 하우징과 베이스 사이에 핀끼움구멍과 탄력스프링끼움구멍을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시킨 링크를 고정핀과 탄력스프링으로 설치하여 얻는 것이었기 때문에 비교적 협소한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베이스 사이에서 조립하기가 매우 어려웠었고, 특히 더블링크로 된 전자의 경우 결합상대부재인 베이스의 전단과 하우징의 후단부에서 힌지부재의 전단부 및 후단부를 감싸는 연장부들에 하중이 크게 작용되는 것이므로 베이스를 반드시 강도높은 금속으로 만들어 주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었으며, 고정핀과 탄력스프링으로 베이스와 하우징 양쪽을 링크로 연결하는 후자의 경우에도 고정핀이 끼워지도록 베이스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핀끼움구멍을 가진 끼움편에 하중이 크게 작용되므로 전자의 더블링크로 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와 하우징을 강도높은 금속으로 만들어주어야만 하였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인 바,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에만 고정되는 경첩으로 하우징을 베이스로부터 젖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매우 간편하며, 사이드미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장코일스프링(1)의 양쪽끝을 각각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2)와, 미러가 장착되는 하우징(3)속에 고정시켜서 하우징(3)을 베이스(2)로부터 젖혀질 수 있도록 탄설시킨 것에 있어서, 베이스(2)쪽에 고정되는 경첩(4)으로 하우징(3)을 베이스(2)로부터 젖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경첩(4)은 제2도에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나사끼움구멍(5)을 가진 고정단부(6)로 부터 절곡된 상태로 길게 뻗혀진 자유단부(7)와, 이 자유단부(7)의 끝에서 위, 아래로 돌출된 피버트(8)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2)의 전단부에는 상기 경첩(4)의 고정단부(6)를 나사(9)로 고정시켜줄 때 이용되는 나사끼움구멍(10)을 가진 돌기(11)와, 상기 하우징(3)이 제3a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젖혀질 때 하우징(3)의 앞쪽 후단부(3')가 삽입된 상태로 스윙될 수 있도록 해주는 반구형요입부(12)와, 상기 하우징(3)이 제3b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안내해주는 안내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의 후단부 앞쪽 내측에는 제3a, 제3b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첩(4)의 피버트(8)에 끼워졌다가 이탈될 수 있도록 한쪽이 개방된 요입홈(14)을 가진 돌기(15)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의 후단부 뒷쪽 내측에는 제3b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이 후방으로 젖혀질 때 상기 베이스(2)의 안내돌기(13)와 접하는 안내리브(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로 부터 미러가 장착되는 하우징은 충격에 의해서 젖혀졌다가 복귀되도록 탄설하고, 하우징을 베이스에 젖혀질 수 있도록 연결함에 있어서,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전단부에 경첩(4)의 고정단부(6)를 나사(9)로 고정시킨 다음 하우징(3)의 후단부 앞쪽 내측에 형성된 돌기(15)의 요입홈(14)속에 상기 경첩(4)의 자유단부(7)쪽 피버트(8)가 위치되도록 하고, 베이스(2)의 안내돌기(13)와 하우징(3)의 안내리브(16)가 겹쳐지도록 단순히 끼워맞춤하여서 자동차의 주행중 하우징(3)에 전,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3a, 3b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경첩(4)의 피버트(8)를 중심축으로 하여서 하우징(3)을 전방으로 젖혀주었다가 복귀되도록 하거나, 미끄럼접촉하는 베이스(2)쪽 안내돌기(13)와 하우징(3)의 안내리브(16)를 통해서 하우징(3)을 후방으로 젖혀주었다가 복귀되도록 한 것이므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조립을 매우 쉽게 할 수 있으며, 경첩(4)만을 금속으로 만들고, 나사끼움구멍(10)을 가진 돌기(11)와 반구형요입부(12) 그리고 안내돌기(13)를 포함하는 베이스(2)와, 경첩(4)의 피버트(8)와 결합되었다가 이탈되는 요입홈(14)을 가진 돌기(15)와 안내리브(16)를 포함하는 하우징(3) 모두를 금속보다 가벼운 합성수지사출물로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어서 자동차에 장착하기도 손쉬운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나사끼움구멍(10)을 가진 돌기(11)와, 반구형요입부(12) 및 안내돌기(13)를 포함하는 베이스(2)에, 한쪽이 개방된 요입홈(14)을 가진 돌기(15)와 안내리브(16)를 포함하는 하우징(3)을, 나사끼움구멍(5)을 가진 고정단부(6), 상기 고정단부(6)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자유단부(7) 및 상기 자유단부(7)의 끝에 돌출되어 있는 피버트(8)로 되어 있는 경첩(4)으로 연결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19940026087U 1994-10-06 1994-10-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960010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87U KR960010639Y1 (ko) 1994-10-06 1994-10-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087U KR960010639Y1 (ko) 1994-10-06 1994-10-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32U KR960014032U (ko) 1996-05-17
KR960010639Y1 true KR960010639Y1 (ko) 1996-12-23

Family

ID=1939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087U KR960010639Y1 (ko) 1994-10-06 1994-10-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6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03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0928A (en) Spring biased hinge for spectacle frames
KR910007134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백 미러(Outside Back Mirror)
US5847801A (en) Hinge structure and bearing member for hinge in frame of spectacles
CN110789309B (zh) 遮阳板连接器
KR890015911A (ko) 자동차 외부 미러
KR96001063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US5165060A (en) Adjustable spring loaded eyeglass bow
KR880000276A (ko) 차량용 외부 백미러
US4705368A (en) Anti-vibration device for vehicle rearview mirror
US6996876B2 (en) Elastic hinge for eyeglasses
KR910008162B1 (ko)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KR0126212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200144095Y1 (ko) 자동차 사이드마크의 조립구조
KR950003657Y1 (ko) 자동차용 룸밀러 고정구
KR920003937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0144096Y1 (ko) 자동차 사이드마크의 조립구조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91000167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손잡이와 레버의 조립체
KR200173417Y1 (ko) 자동차의 인 사이드 리어 뷰 미러 어셈블리
GB2217279A (en) An external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3226783B2 (ja) 固定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車載用アンテナ装置
KR0140242Y1 (ko) 범퍼 스테이
KR100312459B1 (ko) 자동차의 하이마운트 스톱램프 커버 결합구조
JP3020337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バネ蝶番ツルへの装飾部品の取着構造
KR900007247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