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162B1 -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162B1
KR910008162B1 KR1019830001057A KR830001057A KR910008162B1 KR 910008162 B1 KR910008162 B1 KR 910008162B1 KR 1019830001057 A KR1019830001057 A KR 1019830001057A KR 830001057 A KR830001057 A KR 830001057A KR 910008162 B1 KR910008162 B1 KR 91000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housing
rearview mirror
mirror device
external rear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002A (ko
Inventor
쟝 제임스 데스훠게스 패트릭
Original Assignee
브리탁스(게코) 에스. 에이.
미첼 카보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탁스(게코) 에스. 에이., 미첼 카보넬 filed Critical 브리탁스(게코)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4000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경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A-A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배면경을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위치에서 제1도의 선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배면경을 안정되게 뒤로 접혀진 위치에서 도시한, 제3도와 유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1c : 접촉면
1b : 홈 2 : 미러(mirror)
3 : 접합재료 4 : U자형 걸쇠
5 : 인장 스프링 6 : 연결부재
6a, 6d : 경사면 6b : 세레이션(serration)
6c : 가장자리 7 : U자형 링크
8 : 레버 9 : 기부
10, 15 : 고정핀 11 : 블록
12 : 고정 끼움쇠 13 : 압축 스프링 와셔
14 : 덮개 16 : 케이지(cage)
17 : 지지구 20 : 배면경 장치
본 발명은 미러(mirror)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는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형태의 외부 배면경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그중 몇몇은 차량의 내부에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배면경 장치는 차량의 몸체에 매우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이 발생한 후에 이러한 외부 배면경 장치가 뒤로 접혀지기는 매우 어렵다.
외부 배면경 장치는 차량의 외관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팔레트(pallets)나 트레일러상에서의 운송을 용이하게 하려면 뒤로 접혀지는 위치로 변환될 수 있어야만 한다.
하우징이 차체와 비교적 많이 떨어져 있는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치들은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이 차체에 밀접할 경우에, 특히 하우징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이때는, 실제로 문제가 복잡해진다.
외부 배면경 장치가 차량의 앞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하는 하나의 핀과, 뒷쪽으로 접혀질 수 있게 하는 다른 하나의 핀으로 구성된, 2개의 힌지 핀(hinge pin)을 사용한 장치가 개시되었다. 이와 같은 장치는 정상작동위치에서 배면경 장치의 안정성이 좋고, 공기역학적 효과나 차량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제작이 복잡하며, 따라서 그 제조 비용 또한 고가이다.
반면에, 프랑스공화국 특허 제2,502,560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하우징이 연결부재에 의해 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기부는 차체에 고정된다. 탄성부재가 연결부재 및 이 연결부재에 고정된 작동레버를 하우징에 연결시킨다. 연결부재에는, 배면경 장치가 뒤로 접혀졌을 때 하우징의 접촉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 걸림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수단은, 배면경이 정상작동위치에 있을 때 노출되는 하우징의 모서리 부분과 맞닿게 되는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하우징상의 페인트 칠해진 면 또는 다른 마무리된 면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사고시 앞이나 뒤로 접혀질 수 있으며, 차량의 운송시 안정된 상태로 뒤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러가 장착된 하우징이 차체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경우나 하우징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불리한 점들을 제거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배면경 장치는, 미러가 장착되어 있으며, 연결부재에 의해서 차량 몸체에 고정된 기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된 레버와, 이러한 레버 및 연결부재를 하우징에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면경 장치가 뒤쪽으로 접혀졌을 때 하우징의 접촉면과 접촉하는 걸림수단이 상기 연결부재상에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걸림수단은 상기 접촉면이 미끄러지는 연결부재의 경사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몸체 가까이에 외부 배면경 장치가 설치되어도, 배면경 장치가 뒤로 접혀지거나 원래의 위치로 퍼지는 과정에서 차체와 하우징이 접촉되는 일이 없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서 제작이 용이하고, 따라서 전체적인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경 장치(20)가 사용시의 정상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이 배면경 장치(20)는, 예를 들어 폴리플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하우징(1)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1)의 벽은 두껍게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몇 개의 합성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내에는 미러(2)가 장착되어 있으며, 미러(2)는 아교 등의 접합재료(3)에 의해서 지지구(17)에 연결된 채로 고정된다. 하우징(1)은 부분적으로 구형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6)에 의해서, 차량의 몸체에 부착된 기부(9)와 연결된다. 기부(9)는, 연결부재(6)와의 접촉부분의 형상이 서로 보족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블록(11)이 압축 스프링 와셔(13)에 의해서 기부(9)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 스프링 와셔(13)는 덮개(14)와 접촉하여 있다. 기부(9)는 고정 끼움쇠(12)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하우징(1)내에는 U자형 걸쇠(4)의 일단부가 케이지(cage)(16)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 U자형 걸쇠(4)의 타단부는, 연결부재(6)의 일단부(21)(제3도 및 제4도 참조)를 지지해 주는 하우징(1)의 부분(19)(제1도 참조)과 접촉하고 있다. 인장 스프링(5)은 그 일단부가 U자형 걸쇠(4)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U자형 링크(7)에 고정되어 있으며, U자형 링크(7)는 연결부재(6)의 양쪽 경사면(6a) 사이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U자형 걸쇠(4)는 스프링(5)의 인장력을 하우징(1)에 전달하여 하우징(1)을 연결부재(6)와 접촉시킨다.
차량 내부로 설치된 레버(8)가 기부(9)를 관통하여 연결부재(6)의 안쪽으로 끼워져 있어서, 하우징(1)의 방향조정을 제공한다. 이 레버(8)는 2개의 고정핀(10과 15)에 의해서 연결부재, 블록(11), 압축 스프링 와셔(13) 및 덮개(14)에 고정되어 있다. 또는, 연결부재(6)와 레버(8)를 하나의 부품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6)에는 2개의 경사면(6a)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경사면(6a)에는 각각 하나의 단(notch) 또는 세레이션(serration)(6b)으로 이루어진 걸림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하우징(1)이 뒤로 접혀진 상태에서는(제4도 참조), 하우징(1)의 접촉면(1a)이 세레이션(6b)안으로 걸려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의 홈(1b)에는, 하우징(1)이 뒤로 접혀진 상태(제4도 참조)에 있을 때 연결부재(6)의 가장자리(6c)를 수용하는 제2걸림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로 접혀진 위치에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우징(1)의 정상적인 사용위치로 배면경 장치(20)를 복귀시키려면, 하우징(1)의 접촉면(1a) 및 홈(1b)을 인장 스프링(5)의 작용에 반하여, 각각 연결부재(6)의 세레이션(6b) 및 가장자리(6c)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혹은 하우징(1)에 어떤 상당한 힘이 부과된 경우에는, 하우징(1)의 접촉면(1a)이 연결부재(6)의 경사면(6a)을 따라서 이동하여 세레이션(6b)에 끼워지게 된다. 동시에, 하우징(1)의 홈(1b)은 연결부재(6)의 가장자리(6c)를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6)의 세레이션(6b) 및 가장자리(6c)에서의 이중 걸림작용으로 인하여, 하우징(1)의 뒤로 접혀진 상태에서 고도의 안전성이 제공된다.
하우징(1)은 제4도에 도시된 방향의 반대쪽 즉, 앞쪽으로 접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앞쪽으로의 접힘은 충돌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 하우징(1)의 접촉면(1c)은 연결부재(6)의 경사면(6d)을 따라서 이동된다. 적절하다면, 이 경사면(6d)상에는 하우징(1)이 앞쪽으로 접해질 때 하우징(1)을 고정시키기 위한 세레이션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Claims (10)

  1. 내부에 미러(2)가 장착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구형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6)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된 기부(9)와 연결되는 외부 하우징(1)과,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된 레버(8)와, 그리고 상기 레버(8) 및 상기 연결부재(6)를 상기 하우징(1)에 연결해 주는 탄성부재(4,5)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재(6)에는 상기 배면경장치(20)가 차체의 뒷쪽으로 접혀졌을 때에 상기 하우징(1)의 접촉면(1a)과 접촉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걸림수단(6b)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면(1a)을 상기 탄성수단(4,5)의 작용력에 반하여 상기 걸림수단(6b)으로부터 헤제시킴으로써 상기 배면경 장치(20)가 정상적인 작동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6b)은 상기 접촉면(1a)이 미끄러지는 상기 연결부재(6)의 경사면(6a)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6b)이 상기 연결부재(6)의 상기 경사면(6a)상에 형성된 단 또는 세레이션(6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에는 상기 배면경 장치가 뒤로 접힌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재(6)의 가장자리(6c)와 결합되는 제2걸림수단(1b)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수단(1b)이 상기 하우징(1)내에 형성된 하나의 홈(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의 상기 경사면(6a)이 굴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 및 상기 레버(8)를 상기 하우징(1)에 연결시키는 상기 탄성부재(4,5)가 U자형 걸쇠(4)와 인장 스프링(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U자형 걸쇠(4)의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U자형 걸쇠(4)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6)의 일단부(21)를 지지해주는 하우징(1)의 부분(19)과 접촉하여 있으며, 상기 인장 스프링(5)의 일단부는 상기 U자형 걸쇠(4)의 상기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인장 스프링(5)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부재(6)에 고정된 고정수단(7)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5)을 상기 연결부재(6)에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수단(7)이 상기 연결부재(6)의 상기 경사면(6a)의 사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5)을 상기 연결부재(6)에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수단(7)이 U자형 링크(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가 2개의 경사면(6a)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에는 상기 하우징(1)이 뒤쪽으로 접혀질 때 상기 하우징(1)의 접촉면(1c)과 접촉하도록 배열된 경사면(6d)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배면경 장치.
KR1019830001057A 1982-03-19 1983-03-16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KR91000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04758 1982-03-19
FR8204758A FR2523529B1 (fr) 1982-03-19 1982-03-19 Retroviseur exterieur a position stable de rabattement et a commande depuis l'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FR4758 1982-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002A KR840004002A (ko) 1984-10-06
KR910008162B1 true KR910008162B1 (ko) 1991-10-10

Family

ID=927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057A KR910008162B1 (ko) 1982-03-19 1983-03-16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S58211935A (ko)
KR (1) KR910008162B1 (ko)
ES (1) ES270990Y (ko)
FR (1) FR2523529B1 (ko)
GB (1) GB2116923B (ko)
IT (1) IT1161918B (ko)
MY (1) MY8600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758A (en) * 1984-08-18 1987-07-14 Britax Wingard Limited Exterior rearview mirrors for vehicles
EP0214337B1 (de) * 1985-09-13 1988-08-17 Hohe Kg Durch einen Handhebel verstellbarer Fahrzeug-Aussenspiegel
GB8525778D0 (en) * 1985-10-18 1985-11-20 Britax Wingard Ltd Exterior rear view mirrors
GB8615065D0 (en) * 1986-06-20 1986-07-23 Britax Wingard Ltd Exterior rearview mirr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27455A (fr) * 1959-03-07 1960-08-22 Rétroviseur extérieur rabattabl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GB995664A (en) * 1962-11-16 1965-06-23 Stadium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ar view wing mirror mountings
FR2405843A1 (fr) * 1977-10-12 1979-05-11 Bsg Int Ltd Perfectionnements aux retroviseurs exterieurs commandes de l'interieur du vehicule
FR2502560A1 (fr) * 1981-03-24 1982-10-01 Manzoni Bouchot Sa Dispositif de montage d'un boitier de retroviseur sur un organe d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61918B (it) 1987-03-18
ES270990Y (es) 1984-03-01
IT8320074A0 (it) 1983-03-15
GB2116923B (en) 1985-10-02
JPH045569B2 (ko) 1992-01-31
FR2523529B1 (fr) 1985-11-15
GB8306840D0 (en) 1983-04-20
ES270990U (es) 1983-08-16
JPS58211935A (ja) 1983-12-09
IT8320074A1 (it) 1984-09-15
GB2116923A (en) 1983-10-05
KR840004002A (ko) 1984-10-06
FR2523529A1 (fr) 1983-09-23
MY8600333A (en) 1986-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9614A (en) Pedal Pad
US4886296A (en) Belt force limiting device
KR910008162B1 (ko) 차량용 외부 배면경 장치
JPS5917303A (ja) 安全ベルトの締結手段
US5711630A (en) Connector-holding structure
JP2001141645A (ja) 雨滴検出装置
JP2743953B2 (ja) ベルトの端末固定構造
KR200169654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하부힌지구조
KR960010639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0132314Y1 (ko) 자동차의 이중 로킹해제형 시트 벨트
JP3226783B2 (ja) 固定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車載用アンテナ装置
JP2761840B2 (ja) ガタつき防止機構付き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002222678A (ja) コネクタ装置
KR960010641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970001832Y1 (ko) 자동차용 도어 로크레버
JPH08138480A (ja) スイッチ
JPS60261744A (ja) 緩衝式ドアミラ−
JPS623549Y2 (ko)
KR200152863Y1 (ko) 트림 결합용 블랭킹 커버 및 클립
KR100210303B1 (ko) 승합 차량의 시트 벨트지지 기구
KR0130445Y1 (ko) 자동차의 카페트 고정용 클립
KR970004416Y1 (ko) 차량의 윈도우 고정구조
KR200151746Y1 (ko) 카고네트가 부착된 트렁크
JP3051872B2 (ja) 自動車モール用クリップ
KR19980051612A (ko) 에어백 커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