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625Y1 -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 Google Patents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625Y1
KR960009625Y1 KR2019940013224U KR19940013224U KR960009625Y1 KR 960009625 Y1 KR960009625 Y1 KR 960009625Y1 KR 2019940013224 U KR2019940013224 U KR 2019940013224U KR 19940013224 U KR19940013224 U KR 19940013224U KR 960009625 Y1 KR960009625 Y1 KR 960009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il
tension reel
diameter
spr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26U (ko
Inventor
이재원
이관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김만제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3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625Y1/ko
Publication of KR960000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6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브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슬리브가 텐션릴(Tension Reel)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도는 텐션릴의 직경의 확대된 상태
(b)도는 텐션릴의 직경이 축소된 상태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리브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리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 슬리브 10 : 몸체부
14a, 14b : 모서리 16a, 16b : 경사면
18 : 구멍 20 : 보울트 부재
100 : 권취기 110 : 텐션릴(Tension Reel)
112 : 세그먼트(Segment)
본 고안은 스트립(Strip)을 코일(coil)형으로 감아주는 권취기(coiler)의 텐션릴(Tension Reel)에 장착되는 슬리브(Sleev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로부터의 취출공정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수명이 크게 연장되며, 스트립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개선된 스프링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취기(100)의 텐션릴(110)에 장착되어 스트립(S)을 감아주는 슬리브(12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원통형 구조 또는 고무(rubber)원통형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같은 슬리브(120)는 텐션릴(110)로서 직접 스트립(S)을 코일형으로 감아주는 경우 텐션릴(110)의 직경을 확대 및 축소시키는 세그먼트(Segment)(112)의 표면이 스트립(S)에 권취마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텐션릴(110)의 직경을 축소시킨 다음, 슬리브(120)를 텐션릴(110)상에 끼우고 다시 직경을 확대 시켜서 고정하고, 상기 슬리브(120)의 외주면에 스트립(S)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철제 슬리브(120)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는 코일 형으로 스트립(S)을 권취한 다음, 이를 별도의 장소에서 코일(C)로 부터 슬리브(120)를 인출하게 되는바, 이때에는 철제 슬리브(120)의 인출 도중에 코일(C)의 내측면을 동시에 끌어 당김으로서 소위 텔레스코프(Telescope)현상을 발생시킴으로서 코일을 재권취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이같은 슬리브(120) 인출 작업의 번거로움은 고무재료의 슬리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특히 고무 슬리브의 경우는 그 파손정도가 심각하여 수명이 짧은 문제점을 갖는 것이고, 철제 슬리브는 자체 중량에 의해서 다루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원통형 구조를 갖춘 슬리브(120)에서는 코일(C)로 부터의 인출 작업에 따른 생산성 저하와 텔레스코프 발생에 따른 스트립 완성품의 풀질저하가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로 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텔레스코프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서 작업공정 단축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수명이 대폭 연장되어 생산원가절감을 이룰수 있으며 코일 완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음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스프링 슬리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권취기(coiler)의 텐션릴에 장착되어 스트립을 코일형으로 감아주도록 된 슬리브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의 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모서리를 갖추며 상기 모서리중의 어느하나는 다수개의 보울트 부재를 통하여 상기 텐션릴의 하나의 세그멘트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는 개방되어 텐션릴의 직경이 확대 및 축소됨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몸체부의 직경을 확대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슬리브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슬리브(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슬리브(1)는 중공 원통형 구조를 이루는 몸체부(10)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0)는 일측단부(12a)로부터 타측 단부(12b)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개된 모서리(14a)(14b)를 갖추며 이러한 모서리(14a)(14b)의 각각에는 서로 대향한 경사면(16a)(16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슬리브(1)는 스프링 강을 이용함으로써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또는 경도가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측 모서리(14a)에 근접한 몸체부(10)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18)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8)에는 각각 보울트 부재(20)가 끼워져서 텐션릴(110)의 다수개의 세그먼트(112)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암나사 구멍(미도시)에 나사 결합가능 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슬리브(1)가 텐션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P1)는 모서리 사이의 간극이고,(P2)는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체부(10)의 모서리(14a)(14b)에 형성된 경사면(16a)(16b)이 서로 접촉하여 몸체부(10)가 원형 단면을 형성한 상태로 유지되며 보울트 부재(20)에 의해서 텐션릴(110)에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스프링 슬리브(1)의 내주면은 텐션릴(1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스프링 슬리브(1)를 이용하여 코일 권취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2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권취기(100)를 작동하여 텐션릴(110)의 직경을 약간 확대시키면, 각각의 세그멘트(112)사이에는 간극(P2)이 형성되고, 이때, 본 고안의 스프링 슬리브(1)는 일측 모서리(14a) 부분이 어느 하나의 세그멘트에 보울트 부재(20)를 매개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 모서리(14b)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텐션릴(110)의 직경확대정도에 따라서 내경이 확대되어 양측 모서리(14a)(14b)가 벌어져서 간극(P1)을 형성하게 되고, 이렇게 내경이 확대된 상태로 유지되며, 그 내주면은 더욱 확대된 직경의 텐션릴(110)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프링 슬리브(1)의 외주면에 스트립이 감기게 되어 코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의 내주면에는 본 고안의 스프링 슬리브(1)가 원형 외주면을 형성하고, 모서리(14a)(14b)사이의 간극(P1)이 적은 크기이기 때문에 아무런 결함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일정크기의 코일로서 권취작업이 완료 되면 작업자는 권취기의 작동을 텐션릴(110)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서 제2도의(가)도와 같이 스프링 슬리브(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내경을 축소시키고, 양측 모서리(14a)(14b)의 경사면(16a)(16b)을 최초의 상태로 다시 서로 겹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프링 슬리브(1)의 외주면은 코일(C)의 내주면 보다 직경이 적게되고, 코일(C)은 스프링 슬리브(1)의 외주면에 헐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미도시된 코일카(Coil car)를 이용하여 텐션릴(110)로 부터 권취된 코일을 취외(取外)하면 코일(C)이 용이하게 스프링 슬리브(12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슬리브를 코일과 함께 인출하여 별도의 작업장에서 슬리브를 코일로 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전혀 없다.
따라서 코일 생산 작업과정이 현저히 단축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스프링 슬리브(1)는 보울트 부재(20)에 의해서 텐션릴(110)로 부터 탈착가능 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코일(C)의 직경별로 다른 직경의 스프링 슬리브를 준비하였다가 교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로 부터 슬리브를 인출하여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정 단축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스프링 슬리브의 재질도 경도가 높은 스프링강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명이 향상되며, 코일 완제품 상에 종래의 텔레스코프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있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1)

  1. 권취기(coiler)(100)의 텐션릴(110)에 장착되어 스트립(S)을 코일(C)형으로 감아주도록 된 슬리브에 있어서 원통형 구조의 몸체부(10)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모서리(14a)(14b)를 갖추며 상기 모서리(14a)(14b)중의 어느 하나는 다수개의 보울트 부재(20)를 통하여 상기 텐션릴(110)의 하나의 세그멘트(112)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모서리는 개방되어 텐션릴(110)의 직경이 확대 및 축소원에 따라 턴성적으로 몸체부(10)의 직경을 확대 및 축소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슬리브,
KR2019940013224U 1994-06-08 1994-06-08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KR960009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24U KR960009625Y1 (ko) 1994-06-08 1994-06-08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224U KR960009625Y1 (ko) 1994-06-08 1994-06-08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26U KR960000626U (ko) 1996-01-17
KR960009625Y1 true KR960009625Y1 (ko) 1996-10-25

Family

ID=1938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224U KR960009625Y1 (ko) 1994-06-08 1994-06-08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6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26U (ko) 199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376B2 (ja) ウエブ巻取り方法及び巻取装置
JPH06107377A (ja) 金属線条体用リ−ル
JPH0145921B2 (ko)
KR960009625Y1 (ko) 스프링 슬리브(Spring sleeve)
CA23209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reeling a web material
SI1636123T1 (sl) Zvitek s srediĺ äśnim odvijanjem, postopek izdelave
JP2009138934A (ja) ウォームネジ山クランプ
JP2679001B2 (ja) 金属帯巻き取り用ゴムスリーブ
JP2007246247A (ja) ボビンおよびインクシートカートリッジ
KR20040042863A (ko) 금속 와이어용 릴
US864063A (en) Spool adhesive plaster.
JPH0957345A (ja) 精整ラインの鋼帯巻取りリール
KR102231418B1 (ko) 필름형 원단의 지지장치
KR200305476Y1 (ko) 낚시줄패
KR101630174B1 (ko) 슬리터의 지관 고정용 권취판
JPS62281314A (ja) コイル巻枠
JP3907466B2 (ja) ベルト保護層用コードの張力調整装置
KR200201241Y1 (ko) 권취용보빈구조
KR200163378Y1 (ko) 사단부고정기구
GB191227355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panding Reel Bars or Cores for use in Winding and Unwinding Paper, Cloth and like Material.
JP3192758B2 (ja)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JPH07178453A (ja) リール用スリーブ
KR980008084U (ko) 보빈용 텐션 캡의 개량구조
JPH07124646A (ja) 鋼帯の巻き取り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ゴムスリーブ
US2900144A (en) Thread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