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481Y1 -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 Google Patents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481Y1
KR960007481Y1 KR2019930016101U KR930016101U KR960007481Y1 KR 960007481 Y1 KR960007481 Y1 KR 960007481Y1 KR 2019930016101 U KR2019930016101 U KR 2019930016101U KR 930016101 U KR930016101 U KR 930016101U KR 960007481 Y1 KR960007481 Y1 KR 960007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ring groove
dice
protrus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843U (ko
Inventor
정태호
Original Assignee
심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진수 filed Critical 심진수
Priority to KR2019930016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481Y1/ko
Publication of KR950005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1/00Making articles shaped as bodies of revolution
    • B21H1/18Making articles shaped as bodies of revolution cylinders, e.g. rolled transversely cross-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제1도는 소형축을 보인 것으로
좌측은 소재의 정면도
우측은 본 고안의 다이스로 제작한 완성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롤링다이스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한조로된 본 고안 롤링다이스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소재의 초반가공 단계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소재의 중반가공 단계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소재의 종반가공 단계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종반가공에서 끝단면의 가공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이스11 : 가공면
12 : 머리부 안장턱13 : 링홈성형돌기
14 : 길이절단돌기15 : 면취성형부
16 : V홈17 : 널링부
18 : 꼬투리
본 고안은 동일한 치수의 소형축을 신속, 정확하면서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롤링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소형축이라 하면 각종 전자제품에 있어서 기판을 고정한다든지 각 부분의 회동기구 또는 회전기구의 축으로 사용등 여러가지 용도로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작은축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 일반적인 형태는 제1도의 우측에서 보듯이 원통축(A')의 일측단에는 머리부(B)가 있고, 타측단에는 E링을 끼울수 있는 링홈(F)이 마련됨과 동시에 끝단면은 면취 즉, 모떼기(C)나 라운드(R)처리되는 것이 보통이며, 이는 머리부로 부터 링홈까지의 거리(b), 머리부로 부터 끝단면까지의 길이(l), 링홈의 간격(d), 면취부(c)의 치수가 중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소형축을 생산하기 위한 종래의 가공수단으로는 주로 선반이 이용되었는바 이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지적되었다.
첫째, 각각의 부분 부분을 하나의 공정으로 하여 단계가공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둘째, 인위적인 수작업에 의존되어 있으므로 균일한 치수공차의 제품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불량발생율이 높고, 셋째, 크기가 극히 작을 경우(예컨대, 전체 길이가 수 mm내외의 크기)에는 선반작업이 용이치 못하며, 넷째, 절단바이트의 끝이 끝단면의 중심부위에 미세하게 접근할 수 없으므로 해서 꼬투리가 잔류하게 되는 바 별도의 다듬질가공을 가져야 하는등 생산성향상에 역행되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형축가공방법을 탈피해 각 부분의 치수가 정확,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가공하여 다량으로 생산해낼수 있는 롤링다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가공면이 동일한 한쌍의 다이스를 마련하되 각각의 가공면 상단에는 전 길이에 걸쳐 마련한 머리안장턱과, 그 아래에 길이방향으로 양측 끝까지 형성하되 좌반부의 도입부쪽이 낮게 구배지도록 형성한 링홈성형돌기와, 그 아래에서 도입부측 중간부분부터 시작해 완성부끝까지 형성하되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한 길이절단돌기와, 이 길이절단돌기의 상측 구석부분에 구비된 면취성형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한쌍의 다이스(1)중 하나를 보인 것으로서 가로로 긴 육면체의 앞쪽인 가공면(11)상단에 전 길이게 걸쳐 소재(A)의 머리부(B)가 얹힐 수 있도록 머리부안장턱(12)을 마련한다.
임의의 간격을 두고 그 아래에는 도면상 좌측의 도입부(10)쪽으로 부터 우측의 완성부(20)까지 링홈성형돌기(13)를 형성하되 그 좌반부는 도입부(10)쪽으로 갈수록 낮아져 가공면(11)과 거의 동일면으로부터 시작되는 구배를 줄 뿐만 아니라 그 돌기의 두께도 도입부(10)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한다.
또한, 그 아래에는 중간부분으로부터 완성부(20)인 우측끝까지 길이절단길이(14)를 형성하되 높이를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하고, 그 폭도 점차 넓어지게 하며, 이때의 길이절단길이(14)의 상측 구석에는 면취성형부(15)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길이절단돌기(14)의 상측구석을 경사지게 하면 소재(A)에 모떼기(C)가공이 되는 것이고, 오목한 라운드로 형성하면 소재는 볼록한 라운드(R)가공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을 하되 상기한 링홈성형돌기(13)의 선단부 바로 아래쪽에는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V홈(16)을 형성해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E링홈(F)성형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머리부안장턱(12)과 링홈성형돌기(13)사이의 가공면 좌반부에는 널링부(17)을 형성해 도입부로 도입된 소재(A)가 미끄러지지 않고 바람직한 구름이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길이절단돌기(14)는 완성부(20)에 가서는 한조의 다이스를 상호 마주시켰을때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도록 해주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즉, 일측의 길이절단돌기(14)는 양측 다이서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 소재(A)의 중심보다 약간 더 높게 하고, 반대측 다이스의 길이절단돌기(14)는 소재의 중심보다 상대적으로 약간더 낮게 해주면 길이의 끝단면 중앙에 꼬투리(18)가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가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다이스로 소형축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제1도의 좌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재(A)를 준비하여야 한다. 즉, 소재는 머리부와 축의 직경과 절단해 낼 여유를 가진 길이로 미리 형단조제작하여 공급되어야 한다.
머리(B)가 형성되어 있는 소재(A)는 머리(B)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다이스의 머리부안장턱(12)에 얹힌채 도입되어 일측 다이스(1)가 전진하면 구름이동하면서 성형되는데 이는 제4도내지 제7도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처음에는 제4도에서 보듯이 링홈성형돌기(13)에 의해 링홈이 성형된다.
즉, 높이와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는 도입부쪽의 링홍성형돌기(13)가 소재의 원통축(A')하단를 눌러 주며 이 상태로 계속 구름이동하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홈(F)이 완성 된다. 이때 도입부쪽의 링홈성형돌기(13)는 그 바로 아래에 V홈(16)이 마련되어 있어 소재의 원통면(A')을 파고 들어 갈때 그 잉여분이 이 V홈(16)으로 밀려 났다가 다시 V홈이 없어지는 중방이후의 평면(11)에 의해 마무리된다.
또, 링홈(F)이 성형됨과 동시에 길이절단돌기(14)와 면취성형부(15)에 의해 길이절단작업 및 면취부성형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같은 길이절단길이(14)에 의해 원통형 소재의 끝단면이 성형됨에 있어서는 양측다이스의 길이절단돌기(14)가 서로 가까이 근접한다 하드라도 서로 간섭이 일어나면 안되므로 어느정도의 간격을 둘 수 밖에 없는데 간격을 둘 경우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면의 중앙에 꼬투리(18)가 잔존하게 되는바 이를 없애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길이절단돌기(14)는 양측 다이스의 사이에 물려 가공될 소재(A)의 반경보다 더 높게 하고, 여기에 상응하여 반대측의 길이절단돌기(14)는 소재의 반경보다 더 낮게 배려되어 있기 때문에 더 높게 형성된 길이절단돌기(14)에 의해 끝단면의 중앙에 꼬투리(18)가 남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소재(A)가 전진하는 양측 다이스(1)에 의해 완성부(20)를 통과하게 되면 머리부(B)아래로 링홈(F)과 면취부(C)와 길이가공이 끝난 완성된 소형축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이스의 모양을 제8도의 (가)(나)(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 소재의 형태를 달리할 수도 있다.
즉, (가)와 같이 길이절단돌기(14)상측 구석의 면취성형부(15)를 둥글게 라운드형으로 하여 소재의 끝단을 둥글게 처리 할 수도 있고, (나)와 같이 길이절단돌기(14)의 상측구석을 직각으로 처리하면 면취부없이 끝단면이 처리되는 것이며, 소형축에 링을 끼울필요가 없을 때에는 (다)와 같이 링홈성형돌기를 생략하면 링홈이 없이 가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스에 의하면 소재가 한번의 다이스이동으로써 소형축이 완성되므로 작업시간이 대축단축되며, 널링부(17)가 있어 소재가 미끄럼없이 정확히 구름이동될 수 있게 되어 항상 정확하고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 수 mm내외의 극소형 제품도 생산이 용이하여, 나가서는 자동화가 가능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길이절단돌기의 높이를 적절히 변형시켜 주므로 해서꼬투리가 잔존하지 않게 할 수 있는등 다방면으로 유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정정) 가공면이 동일한 한쌍의 다이스(1)를 마련하되, 각각의 가공면(11) 상단에는 전 길이에 걸쳐 마련한 머리안장턱(12)과;
    상기 머리안장턱(12)의 아래에 길이방향으로 양측 끝까지 형성하되 좌반부의 도입부(10)쪽이 낮게 구배지도록 형성한 링홈성형돌기(13)와;
    상기 링홈성형돌기(13)의 아래에서 도입부(10)측 중간부분부터 시작하여 완성부 끝까지 형성하되 점차 높아지도록 형성한 길이절단길이(14)와;
    상기 길이절단돌기(14)의 상측 구석부분에 구비된 면취성형부(15)와;
    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축 성형용 롤링다이스.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다이스(1)중 일측편의 절단부 최상높이를 소재(A)의 중심보다 약간 높게 하고, 여기에 대응하는 상대측 다이스의 절단부 최상높이는 약간 낮게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축 성형용 롤링다이스.
KR2019930016101U 1993-08-19 1993-08-19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KR960007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101U KR960007481Y1 (ko) 1993-08-19 1993-08-19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101U KR960007481Y1 (ko) 1993-08-19 1993-08-19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43U KR950005843U (ko) 1995-03-20
KR960007481Y1 true KR960007481Y1 (ko) 1996-08-29

Family

ID=1936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101U KR960007481Y1 (ko) 1993-08-19 1993-08-19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4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276A (ko) * 1999-12-10 2001-07-04 이완규 모니터 커넥터용 고정나사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다이
KR100978529B1 (ko) * 2009-11-24 2010-08-27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롱볼트나 길이가 긴 타이로드 제품의 홈성형용 전조기 다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276A (ko) * 1999-12-10 2001-07-04 이완규 모니터 커넥터용 고정나사의 제조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다이
KR100978529B1 (ko) * 2009-11-24 2010-08-27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롱볼트나 길이가 긴 타이로드 제품의 홈성형용 전조기 다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843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27722A (ja) ロ−ル成形装置
KR960007481Y1 (ko) 소형축성형용 롤링 다이스
JPS6247631B2 (ko)
JPH0513452Y2 (ko)
JP2630167B2 (ja) 曲りタイルの成形法
KR950013811B1 (ko)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JPS598463B2 (ja) キ−加工方法
JPS58171220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におけるコ−ナ部の加工方法
US1092882A (en) Die.
JP3341002B1 (ja) ボールチェーン部材の製造方法と製造用金型
KR900005967B1 (ko) 장척 금속띠의 연속 성형방법 및 성형 금형
JPS58209876A (ja) 多芯コネクタ−プラグの連続製造方法
KR900005405B1 (ko) 전조 압연 금형
JPS62248156A (ja) テ−プガイドの製造方法
SU956278A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имерных изделий с резьбой
SU1215864A1 (ru) Пресс-форма дл прессовани изделий из порошков
SU402915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ерритового сердечника магнитной головки
JPS5550932A (en) Parts staking method in production process of optical apparatus or the like
KR930008551B1 (ko) 원추형 부품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0175590Y1 (ko) 전자총 부품의 가공용 펀치
JP2000289048A (ja) 金属板状材と合成樹脂材の一体化した製品の製造方法
SU1139558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ых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JPS63154239A (ja) 鍔付金属丸棒の製造方法
JPS5669041A (en) Machining of bevel gear
JPH0631375A (ja) すりわり付きねじ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