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811B1 -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811B1
KR950013811B1 KR1019870011084A KR870011084A KR950013811B1 KR 950013811 B1 KR950013811 B1 KR 950013811B1 KR 1019870011084 A KR1019870011084 A KR 1019870011084A KR 870011084 A KR870011084 A KR 870011084A KR 950013811 B1 KR950013811 B1 KR 95001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workpiece
processed
releas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314A (ko
Inventor
히까루 와다
Original Assignee
히까루 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까루 와다 filed Critical 히까루 와다
Publication of KR89000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3/00Making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 장치의 설명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펀치의 평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펀치의 측면도.
제2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펀치의 세로의 측면도.
제2d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펀치의 선 A-A' 단면도.
제3a도는 피가공재의 프레스 가공중의 상황을 도시한 설명도.
제3b도는 프레스 가공중의 피가공재의 각각의 단면도.
제4a도와 제4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예의 단면 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5개의 실시예에 의한 각각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펀치 2 : 피가공재
3 : 피가동재 이송장치 4 : 모루(anvil)
5 : 프레스 테이블 6 : 경사면
7 : 오목홈 8 : 펀치호울더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이형(異形) 단면을 갖는 이형 띠부재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이형 단면을 갖는 띠부재는 오래전에는 하모니커의 진동판등 악기의 진동판등의 재료로 이용되어 왔었지만 근래에는 부착 금속이나 커넥터등의 전자부품의 재료에도 사용되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변형 단면의 폭이 다른 재료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이형 띠부재의 성형 방법에는 절삭법, 압연법 및 그 양자의 병용 방법이 있다. 이들 종래의 방법에는 각각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어서 성형상 큰 제한을 받아 우수한 재료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곤란했다.
즉, 절삭 방법으로서는 회전하는 절삭공구를 재료에 대는 방법, 고정된 바이트에 대하여 재료를 이송하여 절삭하는 방법등이 있지만, 절삭층을 쓸데없이 낭비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이 크다.
종래의 압연 방법은 재료인 평판을 성형한 롤에 의해 주로 재료의 길이 방향으로 압연하면서 성형하는 방법이 있으며, 폭방향에 대한 재료의 진행은 대단히 작다. 이때문에 중앙에 오목부를 갖는 이형 판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두꺼운 판부와 얇은판부의 판 두께비 및 폭의 비율에도 제조의 한계가 있고 이 한계를 넘는 조건으로 가공하면 얇은 판부에 물결 현상을 생기게하고 파단에 이르는 경우가 있어서 재료로서 사용할 수 없다. 또 중앙부를 볼록형으로 하는 것은 압연이 곤란하므로 단면형상의 점에서도 기본적인 제한이 있다. 상기 절삭과 압연의 병용가공법은 각각의 결점을 보충하는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상기의 각 결점을 해결한 것은 아니다. 즉, 절삭방법에서는 이형 단면의 두께는 변화시키지만 폭은 불가능하다. 압연법에는 결정된 형상의 것밖에 제조할 수 없다.
[발명이 해결 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종래의 방법에 의한 곤란한 점 즉, 형상적인 제한을 적게 하고 재료의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다른 형상의 띠부재를 만들기 위하여, 즉 판재 및 돌기부재에 두께 다른 부분을 갖는 단면을 얻기 위하여 측면의 일부에 경사면을 갖는 가로로 봉형상인 펀치를 이용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펀치를 이용한다.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측면도, 제2c도는 그 측면도이다. 가로로 봉형상인 펀치와 원형의 펀치 호울더가 일체로 된 펀치라도 좋다. 이와같은 펀치의 선 A-A'절단면을 제2d도에 도시한다. 도면 부호중 1은 펀치, 6은 경사면, 8은 펀치 호울더이다. 평면형 띠부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다른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방법의 설명도로서, 제 1 도에 제조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2는 피가공재, 3은 재료의 이송장치, 4는 모루, 5는 프레스 테이블이다. 제 1 도에 의하면 펀치(1)를 반복하여 가압 하강함에 따라 펀치(1)의 선단측으로부터 피가공재를 이송장치(3)에 의해 화살표의 방향으로 보내어 넣는다. 이때의 피가공재의 프레스 가공 상황을 도시한 것이 제3a도 및 제3b도이다. 제3a도에 의하면 피가공재의 이동방향 화살표에 대하여 재료의 물리적 성질에 의존하지만 빠른 소성유동이 유지되는 각도 즉, 직각보다 작은 각도(α)를 취한 펀치(1)를 선단부로부터 점차 재료에 스트로크의 거리(S)로 가압하여 피가공재의 가로폭 방향으로 재료를 늘어나게 하면서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중앙의 오목 홈(7)을 갖는 즉, 두께가 다른 부분을 갖는 이형 띠부재를 제조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측면의 일부에 경사면을 갖는 가로로 봉형상인 펀치를 이용하여 평판형 띠부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이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데 있어서 피가공재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펀치의 가로방향을 부재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보다 작은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펀치를 피가공재위에 반복하여 내리눌러 가공함으로써 상기 부재에 두께가 다른 부분을 갖는 단면을 얻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펀치의 가로 방향을 상기 피가공재의 이동사이에 변동시킴으로써 그 부재의 브레스 가공된 두께가 달라진 부분의 가로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이형 띠부재의 제조법이다.
[작용]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가공방법을 행하므로 제3a도에 도시한 사선부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을 반복하여 제3b도의 D-D' 단면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펀치는 가로로 봉형상으로 제3a도에 도시한 각고(α)를 변화시켜도 재료 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중 및 그 전후에 펀치의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즉, 펀치의 가로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피가공재의 프레스 가공된 두께가 다른 부분의 가로폭(제3b도에 도시한)을 변화하여 제4b도와 같은 이형 띠부재로 제조가 가능하다. 또 1개의 부재 위에서 복수의 펀치를 서로 다른 가압 조건으로 가공한 경우를 제4b도에 도시하였다.
펀치의 측면에는 경사면각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재료의 1스트로크의 거리(S)에 대하여 1회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는 재료의 폭은 작게 되며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 재료는 판폭 방향으로 압출되어서 늘어나므로 가압시에 오목 판부의 물결 현상을 발생하는 일이 없다. 가공은 펀치의 경사부만으로 진행하고, 판두께부는 가공되지 않은 채 외측으로 도망가므로 1개의 펀치로 즉 펀치를 몇회씩이나 바꾸지 않아도 목적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또, 경사면을 가진 가로로 봉형상인 펀치를 사용함으로써 압연법, 절삭법, 평형고정 펀치로는 불가능한 작업 공정상의 자유도가 얻어진다. 즉 변형의 상태는 펀치의 가압력, 가압율, 단위 시간당의 가압회수 및 재료의 이송속도 등에 의해 변화되지만, 이 경우에는 펀치 재료의 진행 방향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변형부의 폭, 변형부의 두께등의 소성 변형도와 변형속도를 큰 폭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효과는 변형공정에 계속 소둔(anneal) 공정을 온라인으로 즉, 연속 소둔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전 공정의 시간을 큰폭으로 단축하는 일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법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서 제 1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제2d도, 제3a도, 제3b도에 의해 이미 설명했다.
다음에 도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능한 각종 이형 단면이다. 즉 제3b도의 D-D'로 도시한 것과 같은 이형 단면의 것 이외에 제4a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작업중에 펀치의 방향을 변화한 경우의 단면이나 또 제4b도와 같이, 펀치의 방향을 각각 변화한 복수의 펀치를 다른 가압 조건하에서 만들 수 있다. 이경우 2개의 펀치를 비대칭 폭으로 하면 가공된 부재의 단면도 비대칭의 것으로 된다. 또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각종의 이형 단면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에도 종래 압연법으로는 제조 불가능하게 되어 있던 중앙중에 볼록부를 갖는 단면형상의 것도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서 가능하다.
[작용 효과]
본 발명은 이와같이 측면 도피면을 갖는 펀치(1)를 재료(2)에 대하여 그 선단으로부터 점차 가압하강함으로써 재료를 판폭 방향으로 늘려서 이형 부재를 성형 가공하므로 박판부에 물결 현상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 형상에도 종래와 같은 제약이 없으며 각종 형상을 가지는 우수한 이형 긴 치수 부재를 자유로이 성형할 수 있어 그 효과는 극히 크다.

Claims (2)

  1. 측면의 일부에 경사면(6)을 가진 가로로 봉형상인 펀치(1)를 사용하여 평면형상 띠부재의 표면을 부분적으로 다른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피가공부재(2)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펀치(1)의 가로 방향을 상기 피가공부재(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보다 작은 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펀치 (1)를 피가공부재(2)에 반복 가압하여 가공함으로써 상기 피가공부재(2)에 두께가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부재(2)가 이동하는 사이에 상기 펀치(1)의 가로방향을 변동시킴으로써 상기 피가공부재(2)가 프레스 가공되어 두께가 다른 부분의 가로폭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KR1019870011084A 1987-05-26 1987-10-05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KR950013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27132 1986-06-03
JP62127132A JPS63295026A (ja) 1987-05-26 1987-05-26 異形状帯材の製造法
JP127132? 198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314A KR890006314A (ko) 1989-06-13
KR950013811B1 true KR950013811B1 (ko) 1995-11-16

Family

ID=1495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084A KR950013811B1 (ko) 1987-05-26 1987-10-05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95026A (ko)
KR (1) KR9500138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95026A (ja) 1988-12-01
KR890006314A (ko) 198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503444A (ja) パンチプレスに使用するための製品加工工具及びダイ
US4356718A (en) Bending tool
GB2116093A (en) Transforming the cross-section of a metal band
KR950013811B1 (ko) 이형 띠부재의 제조방법
CA2103150A1 (en) Precision forming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KR19980064116A (ko) 성형된 형상을 안착시켜서 가공하는 금속판재가공방법
KR930006499B1 (ko) 하프 스프릿 베어링의 제조방법
CN110961528B (zh) 无刮痕框架用折弯冲压模具
JPH0910860A (ja) プレス打抜装置
KR101901514B1 (ko)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KR900005967B1 (ko) 장척 금속띠의 연속 성형방법 및 성형 금형
KR19990045255A (ko) 재료를 제거하지 않고 박판을 기계가공 하는 방법 및 장치
JPH06328159A (ja) 板金ワーク製造方法
SU159016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ых изделий и штампы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3748600B2 (ja) 曲げ加工装置
SU157273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еталей с фаской и штамп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H09295072A (ja) プレス加工装置およびその成形品
KR960007052A (ko) 개선된 윙 너트 제조방법
JPS60263609A (ja) 板金素材の切断方法
JPH06277779A (ja) 高速金型圧延方法
JP4016834B2 (ja) 熱電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149426Y1 (ko) 프로그래시브 금형
JPH11239839A (ja) クロスローリング用型
KR930008588Y1 (ko) 벤딩용 프레스금형
KR910002725A (ko) 유리광학소자의 성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