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426Y1 - 프로그래시브 금형 - Google Patents

프로그래시브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426Y1
KR200149426Y1 KR2019930003924U KR930003924U KR200149426Y1 KR 200149426 Y1 KR200149426 Y1 KR 200149426Y1 KR 2019930003924 U KR2019930003924 U KR 2019930003924U KR 930003924 U KR930003924 U KR 930003924U KR 200149426 Y1 KR200149426 Y1 KR 200149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ection
groove
machining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272U (ko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3000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426Y1/ko
Publication of KR940022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3/00Methods of pressing not special to the use of presses of an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 다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스트립 상의 공작물을 연속타발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펀칭구간, 컷팅구간과, 코이닝구간등을 구비하여 된 프로그레시브 다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그루부구간과 연속되도록 스파킹 구간이 구비되어 공작물의 가공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공작물의 연속가공시 가공응력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프로그래시브 금형
제1도는 종래 프로그래시브 다이가 가공순서에 따라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의한 가공순서에 따라 각 공정을 수행하는 다이의 배열순서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제3a도 내지 3d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의해 공작물이 가공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펀칭부 220 : 그루브부
230 : 스파킹부(Spaking Part) 240 : 컷팅부
250 : 코이닝부(coining part)
본 고안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속하여 가공되는 공작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이부재의 배열상태가 개선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한 연속가공은 각 단계의 금형을 순차적으로 배열설치하고 스트립 상의 공작물을 간헐적으로 연속이송시켜 가공하는 것으로, 그 일반적인 형태는 하부 홀더 사이에 밴딩(bending), 그루브(groove), 펀칭등의 금형이 순차적으로 배열설치되어 된 것으로, 이것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태의 일예를 제1도에 블록도로서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스트립 상의 공작물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공작물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그루브 구간(10)과, 펀칭하는 펀칭구간(20)과, 컷팅하는 컷팅구간(30)과, 가공면을 다듬질하기 위하여 다이와 펀치를 이용하여 가공면을 압착 다듬질하는 코이닝(coining) 구간(40)등이 순차적으로 배열설치되어 이루어 진다. 여기에서 각 구간에는 스트립상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다이, 펀치등 각종 금형과 부대 장치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가공구간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프로그레시브 금형(100)에 의해 스트립상의 공작물을 연속하여 가공하기 위해서는 공작물을 각 구간을 통과시키면서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공작물을 인입가공하는 그루브 구간(10)이 공작물을 가공하는 첫공정에 위치하게 되므로 공작물이 순차이동되어 타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루브 가공시 발생된 응력이 풀리면서 가공피차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어 연속가공시 피치의 변화가 누적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스트립상의 공작물의 이송시키기 위한 피치가 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공구간이 배열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연속되는 타발에 의해 가공된 그루브가 변형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그루브를 깊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속가공되는 공작물의 변형을 극소화 할 수 있으며 이송피치가 변화됨으로써 공작물의 가공부위가 정확하게 가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작물의 연속되는 가공시 발생되는 가공응력을 줄여 공작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트립 상의 공작물을 연속타발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펀칭부, 컷팅부와, 코이닝부등을 구비하여 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부와 연속되도록 스파킹부가 구비되어 공작물의 가공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공작물을 연속하여 가공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하 홀더 또는 공작물을 단계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펀치 및 다이등의 각종 금형 및 부대설비가 설치되는데, 각종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금형등이 설치되는부위를 가공공정에 따라 분리하면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다.
이것은 연속되는 공작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제하거나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211)와 다이(212)로 이루어진 펀칭부(210)와, 이 펀칭부(210)와 연속되며 공작물(300)에 소정의 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21)와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한 펀치(222)로 이루어진 그루브부(groove part)(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그루브된 공작물에 각공시 발생된 잔류응력을 제거하며 변형된 부위를 평탄하게 펴는 것으로 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평활한 펀치(231)를 가진 스파킹부(sparking part)(230)와, 스파킹된 공작물(300)을 소정의 형상으로 컷팅하는 컷팅부(240)와, 컷팅된 부위를 다이와 펀치를 이용하여 다듬질하며 공작물(300)을 단차지게 가공하는 것으로 제3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51)와 코이닝 펀치(252)로 이루어진 코이닝부(coining part; 250)를 포함한다.
상술한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각 부는 공지의 프로그래시브 금형과 같이 단일의 홀더에 각 펀치가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다이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200)은 순차적으로 연속공급되는 스트립상의 공작물이 각 구간을 통과할 때에 단계별로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그루브부(220)와 연속하여 스파킹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루브부(220)에서 공작물 가공시 발생되는 잔류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공작물(300)에 소정깊이의 그루브를 형성하는 경우 인접되는 부위가 뒤틀리거나 변형되게 되는데, 스파킹부(230)에서 하면이 평활한 펀치(231)를 이용하여 눌러주게 되므로 변형된 것을 바로 잡을 수 있고 그루브 형성시 발생된 변형응력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그루브 깊이를 깊게 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이송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의해 제작된 공작물의 불량율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트립 상의 공작물을 연속타발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펀칭부, 컷팅부, 그루브부, 코이닝부들을 구비하여 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부(220)와 스파킹부(230)가 연속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부(220)가 연속되는 구간중 최후단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KR2019930003924U 1993-03-17 1993-03-17 프로그래시브 금형 KR200149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924U KR200149426Y1 (ko) 1993-03-17 1993-03-17 프로그래시브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924U KR200149426Y1 (ko) 1993-03-17 1993-03-17 프로그래시브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272U KR940022272U (ko) 1994-10-19
KR200149426Y1 true KR200149426Y1 (ko) 1999-06-15

Family

ID=1935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924U KR200149426Y1 (ko) 1993-03-17 1993-03-17 프로그래시브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272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1032A1 (en) Cutting technology for metal sheet
US4543811A (en) Progressive forming method of product having varied cross-sectional length
US5263353A (en) Punch and die apparatus for producing flat stamped contact devices having improved contact edge surfaces
US519917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lf-split bearings
GB2116093A (en) Transforming the cross-section of a metal band
US6155093A (en) Method of fabricating metal electronic enclosures
KR200149426Y1 (ko) 프로그래시브 금형
KR930006499B1 (ko) 하프 스프릿 베어링의 제조방법
KR100655456B1 (ko) 링크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US3202122A (en) Method of making precision formed metal parts
JP2000210732A (ja) プレス打ち抜き製品のバリなし加工方法
US3190996A (en) Precision formed metal bars having hardened bearing portions
JPH07108418B2 (ja) 板金ワーク製造方法
GB222719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de of electron gun of cathode ray tube
KR102369612B1 (ko) 싸이드커팅단계를 구비한 정밀가공와셔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JPH07176361A (ja) 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の成形方法及び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7454408B2 (ja) 端面加工装置及び端面加工方法
JPS58122145A (ja) 歯車の鍛造方法
KR100292648B1 (ko) 비계용 클램프의 가공방법
KR0174782B1 (ko) 봉부재의 헤드부 홈 냉간단조방법
JPS6242688B2 (ko)
KR19990025338A (ko) 트림작업과 플랜지성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프레스 다이구조
JP6898612B2 (ja) プレス加工品の製造方法
JPS6325890B2 (ko)
KR19990010196U (ko) 순차이송형 프레스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