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514B1 -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 Google Patents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514B1
KR101901514B1 KR1020170050219A KR20170050219A KR101901514B1 KR 101901514 B1 KR101901514 B1 KR 101901514B1 KR 1020170050219 A KR1020170050219 A KR 1020170050219A KR 20170050219 A KR20170050219 A KR 20170050219A KR 101901514 B1 KR101901514 B1 KR 10190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ending
blocks
curvature
curvatur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화
Original Assignee
오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화 filed Critical 오성화
Priority to KR102017005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1D11/203Round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상하 대향 되는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며 프레스 밴딩 처리되는 밴딩프레스 금형 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각각 대향 구비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1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후면을 각각 분리 및 체결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트(200,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의 전후면을 따라 개별 인입되며 밴딩 대상물의 곡률을 조정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과;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곡률 조정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금형(1)의 상측과 상기 상부금형(2)의 하측에 결합되는 밴딩금형블럭(400,400')과,;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에 끼워지며 프레임과 접한 상태에서 프레싱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 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트래치 밴딩을 적용하여 프레스 금형에 의한 밴딩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되 여러개의 블럭들이 개별 조절에 의한 프레임의 미세한 곡률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밴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비교적 내부 구조가 복잡한 프레임 밴딩 성형시 프레임의 표면층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밴딩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밴딩 과정에서 홈이나 레일 등이 휘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제품의 신뢰성 및 고품질군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프레스 타입의 적용에 의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프레임 소재의 손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None scratch frame type banding press mold}
본 발명은 밴딩 프레스금형에 관한 것으로, 금형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밴딩 처리되는 대상물의 정밀한 밴딩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대상물의 표면층이 밴딩 과정에서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 금형에 관한 것이다.
홈이나 레일등을 형성하는 복잡한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을 일정 곡률을 갖도록 밴딩 성형하기 위해, 채택되는 밴딩 방식으로 롤러밴딩방식과 스트레치 밴딩 방식 또는 프레스를 이용하는 밴딩방식을 취하고 있다.
롤러밴딩방식의 경우 롤러가 다수개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사이에 프레임을 삽입하여 밴딩하는 것으로 그 밴딩 속도가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트레치 밴딩의 경우 직선의 프레임 양단을 클램프로 클램핑 한 후 곡선의 다이를 따라 밴딩이 되도록 압력을 가하여 밴딩 처리하는 것으로 롤러밴딩기보다 생산 속도가 떨어지고 양단에 클램핑되는 부분을 절단 처리하게 되므로 자재 손실이 많아 생산 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프레스를 이용하는 밴딩 작업의 경우 곡선 형태의 금형다이가 설치되어 있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프레임을 놓고 가압하여 밴딩하는 것으로 밴딩속도가 좋은 반면에 홈이나 레일 등이 휘어지는 현상이 있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각 롤러 밴딩 방식이나 스트페치 밴딩 방식 또는 프레스 밴딩 방식을 통하여 얻게 되는 밴딩 제품의 경우 그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얻기 힘들고 고품질의 제품군을 얻을 수 없는 단점 등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61801 호(2008.10.08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576948 호(2015.12.11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445841 호(2014.09.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내부 구조가 복잡한 프레임 밴딩 성형시 밴딩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프레임 표면층이 밴딩 과정에서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밴딩 과정에서 홈이나 ㄹ레일 등이 휘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제품의 신뢰성 및 고품질군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치 밴딩 방식을 이용하여 밴딩 처리하되, 프레스 타입의 적용에 의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프레임 소재의 손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절감하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 대상품인 프레임의 밴딩 성형시 3차원 절곡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되 압력을 고르게 가하며 미세한 곡률 조정에 의한 정밀한 밴딩 제품을 얻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상하 대향 되는 상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밴딩 처리되는 밴딩프레스 금형 구조에 있어서,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각각 대향 구비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1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후면을 각각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00,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의 전후면을 따라 개별 인입되며 밴딩 대상물의 곡률을 조정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과,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곡률 조정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금형(1)의 상측과 상기 상부금형(2)의 하측에 결합되는 밴딩금형블럭(400,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래치 밴딩을 적용하여 프레스 금형에 의한 밴딩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되 여러개의 블럭들이 개별 조절에 의한 프레임의 미세한 곡률 조정이 가능한 상태에서 밴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비교적 내부 구조가 복잡한 프레임 밴딩 성형시 프레임의 표면층에 스크래치가 발생 되지 않는 상태에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밴딩 효율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고,밴딩 과정에서 홈이나 레일 등이 휘어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제품의 신뢰성 및 고품질군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프레스 타입의 적용에 의한 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프레임 소재의 손실을 방지하여 제품의 생산 코스트를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밴딩 대상물의 정밀한 3차원적 밴딩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밴딩 성형 제품의 신뢰성과 정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금형의 분리된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부금형 중 하부금형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하부금형의 각 구성들을 분리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곡률조정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금형을 개괄적으로 정단면 처리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프레임의 밴딩 작업을 위해 상하부금형에 구비되는 곡률조정블럭을 조정하는 예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부금형을 길이방향으로 단면처리한 개괄적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와 같이 도 6의 측단면도 상태에서 프레임의 밴딩 작업을 위해 상하부금형에 구비되는 곡률조정블럭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상하부금형을 이용한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에 밴딩 작업을 위한 프레임이 인입된 상태에서 프레싱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밴딩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치 밴딩 방식과 프레스 밴딩 방식을 혼합한 밴딩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상부금형(2)과 하부금형(1)을 이루는 각 구성들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상하로 대향 설치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바, 이후 본 발명의 구성은 하부금형(1)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그 구성들은 상부금형(2)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구조에서 특히 하부금형(1)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하부금형(1)을 이루는 전체적 구성들은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기대 상면에 고정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와, 그 금형본체베이스(100)의 전후면에 각각 구비되며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의 내부에 인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곡률조정블럭(300)들과, 상기 곡률조정블럭(300)의 상면측에 구비되는 밴딩금형블럭(400)과, 상기 밴딩금형블럭(400)의 상단 내측에 인입되어 밴딩 대상물을 이루는 프레임과 표면 접촉하며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변형방지밴딩금형(50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금형(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1)과 동일한 구조를 이루되 상호 대향 되는 위치를 이루며 구성되는 것으로 이후 하부금형(1)의 각 구성들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먼저 하부금형(1)에서 금형본체베이스(100, 상부금형에서는 도면부호 100')가 구비되는데, 금형본체베이스(100,100')에는 다수개로 등간격 이격 되는 격벽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부(110)와 격벽부(110) 사이에는 전후방이 개구 되며 요입홈(120)을 형성하되 상기 요입홈(120) 저부에는 측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상향 테이퍼지는 형태를 갖는 가이더(1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면과 후면(도면상 보았을 때)을 커버하는 고정플레이트(200,200')를 고정하게 된다.
금형본체베이스(100,100')와 고정플레이트(200,200')을 고정하기 위해, 금형본체베이스(100,100')의 격벽부(110) 전후면에 각각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과 일치되는 고정플레이트(200,200')의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여 볼트 등의 고정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금형본체베이스(100,100')와 고정플레이트(200,200')를 고정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요입홈(120)은 전후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가이더(120)에 의해 상향 테이퍼 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후술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은 상기 요입홈(12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곡률조정블럭(300,300')은 다수개로 개별적인 구성들로 이루어지며 요입홈(120)에 인입되는데,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전후 위치 조정에 의해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상단(상부금형일 경우에는 하단방향)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길이가 서로 달라질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곡률조정블럭(300,300')이 상기 가이더(121)를 따라 전후 이송되며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밑변부(310)와 그 밑변부(310)로부터 수직상으로 이어지는 수직변부(320)와, 상기 수직변부(320)의 단부에서 밑변부(310)측으로 이어지는 경사변부(330)로 이루어지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이루되, 수직변부(320)에는 홈(3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변부(320)로부터 경사변부(330)를 관통하는 관통장공(3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수직변부(320) 홈(321)으로, 고정플레이트(200,200')의 구멍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어저스트볼트(322)에 의해 전후로 상기 요입홈(120)의 가이더(121)에 의해 안내되며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전후 이송에 의해 곡률조정블럭(300,300')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곡률조정블럭(300,300')은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개별 블럭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곡률조정블럭(300,300')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은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상측부(상부금형의 경우에는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곡률조정블럭(300,300')과 접하는 평활면(410)과 반대되는 타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20)와 돌출부(420) 사이에 안착부(430)를 형성하고,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폭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안착부(430)가 제외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20)로부터 평활면(410)으로 수직상 절개되는 수직절개부(440)를 형성하고,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양측으로 곡률조정블럭(300,300')의 관통장공(340)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관통공(450)을 천공하여 밴딩금형고정볼트(470)에 의해 밴딩금형블럭(400,400')과 곡률조정블럭(300,300'), 금형본체베이스(100,100')가 고정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밴딩금형블럭(400,400')이 전후면(도면상 보았을 때) 즉 돌출부(420)로부터 평활면(410)을 관통하되 안착부(430)는 관통되지 않도록 수직절개부(440)를 형성하게 되면, 전술한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상하 조정에 따라 이와 대응된 돌출부(420) 영역이 동일하게 조정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은 측면의 조정에 의해 곡률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밴딩금형블럭(400,400')이 미세한 곡률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밴딩 성형되는 프레임의 3차원 곡률 밴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정플레이트(200,200')측을 관통하며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측면과 접하는 밴딩금형곡률조절볼트(460)를 조절하여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측면 곡률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상하로의 미세한 곡률조정에 의해 밴딩금형블럭(400,400')의 미세한 상하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측면으로 상기 밴딩금형곡률조절볼트(460)를 이용한 미세 조정에 의해 측면곡률조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어저스트볼트(322)를 이용한 곡률조정블럭(300,300')의 미세한 상하 위치 조정과, 밴딩금형곡률조절볼트(460)를 이용한 밴딩금형블럭(400,400')의 미세한 측면 위치 조정에 의해, 정밀한 3차원의 밴딩 성형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은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평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는 위치에 절개부(510)를 교호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절개부(510)는 전술한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수직절개부(440)와는 그 위치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특히 상기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의 절개부(510)와, 밴딩금형블럭(400,400')에 형성되는 수직절개부(440)의 위치는 교호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은 그 재질을 비철금속보다 경도가 약한 수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밴딩 대상물인 프레임을 밴딩할 때 프레임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밴딩 성형하고자 할 때, 먼저 밴딩 대상부재인 프레임을 상하부금형(2,1)이 벌어진 상태에서 하부금형(1)의 최상단에 속하는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개별적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위치를 어저스트볼트(322)를 이용하여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상하 높낮이 조절 작업이 완료되면 그 상측(하부금형의 경우에는 하측방향으로 위치됨을 이해하여야 함)에 접하며 고정되어 있는 밴딩금형블럭(400,400')이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위치 변이에 따라 대응되며 수직절개부(440)가 벌어지거나 또는 좁혀지는 작용에 의해 전체적으로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높이에 따라 대응 변이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밴딩금형블럭(400,400')은 프레임의 밴딩 성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안착부(430)에 안착 고정되어 있는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도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변형된다.
본 발명에서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의 '변형방지'의 의미는 밴딩 대상부재인 프레임의 내부 구조 특히 레일이나, 홈 등의 치수 및 모양 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전술한 '동일한 곡률을 갖으며 변형된다'에서의 '변형'의 의미는 프레임을 밴딩 성형하기 위해,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이 일정한 형태로 곡률을 갖으며 변형된다는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조정은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의 밴딩을 위한 형태로 변형이 이루어진 후 상부금형(2)의 하강에 의해 밴딩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가압하여 소정 형상으로의 밴딩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며, 밴딩이 완료된 프레임의 외표면은 스크래치 등의 손상 없이 깨끗한 면을 갖는 형태로 밴딩될 수 있다.
아울러 종전과 같은, 스트레치 밴딩에 의해 발생되었던 부재의 로스 현상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어,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하부금형 2; 상부금형
100,100'; 금형본체베이스 110; 격벽부
120; 요입홈 121; 가이더
200,200'; 고정플레이트 300,300'; 곡률조정블럭
310; 밑변부 320; 수직변부
321; 홈 322; 어저스트볼트
330; 경사변부 340; 관통장공
400,400'; 밴딩금형블럭 410; 평활면
420; 돌출부 430; 안착부
440; 수직절개부 450; 관통공
460; 밴딩금형곡률조절볼트 470; 밴딩금형고정볼트
500,500'; 변형방지밴딩금형 510; 절개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각각 대향 구비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후면을 각각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00,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의 전후면을 따라 개별 인입되며 밴딩 대상물의 곡률을 조정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곡률 조정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금형(1)의 상측과 상기 상부금형(2)의 하측에 결합되는 밴딩금형블럭(400,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은 밑변부(310)와 그 밑변부(310)로부터 수직상으로 이어지는 수직변부(320)와 상기 수직변부(320)의 단부에서 밑변부(310)측으로 이어지는 경사변부(330)로 이루어지는 직각삼각형 형태를 이루되, 수직변부(320)에는 홈(3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변부(320)로부터 경사변부(330)를 관통하는 관통장공(340)이 형성되어 각각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에는 다수개로 등간격 이격 되는 격벽부(110)와 격벽부(110) 사이의 요입홈(120)에 인입되어 상기 요입홈(120)의 저부 가이더(121)와 상기 경사변부(330)가 접하며 전후 이송에 의해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수직변부(320) 홈(321)으로, 고정플레이트(200,200')의 구멍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어저스트볼트(322)에 의해 전후로 상기 요입홈(120)의 가이더(121)에 의해 안내되며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전후 이송에 의해 곡률조정블럭(300,300')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6.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각각 대향 구비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후면을 각각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00,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의 전후면을 따라 개별 인입되며 밴딩 대상물의 곡률을 조정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곡률 조정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금형(1)의 상측과 상기 상부금형(2)의 하측에 결합되는 밴딩금형블럭(400,40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은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상측부(상부금형의 경우에는 하측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곡률조정블럭(300,300')과 접하는 평활면(410)과 반대되는 타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420)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420)와 돌출부(420) 사이에 안착부(430)를 형성하고,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폭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안착부(430)가 제외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420)로부터 평활면(410)으로 수직상 절개되는 수직절개부(44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의 양측으로 상기 곡률조정블럭(300,300')의 관통장공(340)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관통공(450)을 천공하여 밴딩금형고정볼트(460)에 의해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과 곡률조정블럭(300,300'), 금형본체베이스(100,100')가 고정체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8.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에 각각 대향 구비되는 금형본체베이스(100,100') 전후면을 각각 분리 및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00,200')와, 상기 금형본체베이스(100,100')의 전후면을 따라 개별 인입되며 밴딩 대상물의 곡률을 조정하게 되는 곡률조정블럭(300,300')들의 곡률 조정상태에 대응되며 상기 하부금형(1)의 상측과 상기 상부금형(2)의 하측에 결합되는 밴딩금형블럭(400,400')과, 상기 밴딩금형블럭(400,400')에 끼워지며 프레임과 접한 상태에서 프레싱에 의해 변형이 방지되는 상태에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금형(1) 및 상부금형(2)이 대향되며 동일 구조를 이룬 상태에서 상하부금형(2,1) 사이에 프레임이 진입하여 곡률조정블럭(300,300')에 의해 곡률 조정된 상태로 밴딩 성형되도록 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는 평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되는 위치에 절개부(510)를 교호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밴딩금형(500,500')의 절개부(510)와, 밴딩금형블럭(400,400')에 형성되는 수직절개부(440)의 위치는 교호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50219A 2017-04-19 2017-04-19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KR10190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9A KR101901514B1 (ko) 2017-04-19 2017-04-19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19A KR101901514B1 (ko) 2017-04-19 2017-04-19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514B1 true KR101901514B1 (ko) 2018-11-05

Family

ID=6432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19A KR101901514B1 (ko) 2017-04-19 2017-04-19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36B1 (ko) * 2019-10-30 2020-12-28 주식회사 제일금속 환봉 벤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201A (ja) * 2003-04-30 2004-11-25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板曲げプレス
KR101676362B1 (ko) * 2015-09-09 2016-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입 대차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판 성형 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0201A (ja) * 2003-04-30 2004-11-25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板曲げプレス
KR101676362B1 (ko) * 2015-09-09 2016-1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입 대차 및 이를 구비하는 곡면판 성형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636B1 (ko) * 2019-10-30 2020-12-28 주식회사 제일금속 환봉 벤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946B (zh) Press forming apparatus and press forming method
WO1994001233A1 (en) Two stage die set
JP2011036916A (ja) 連続して四角形の管を成形するための線形物形状可変装置
KR100778763B1 (ko) 한 개의 공전롤을 갖는 인발형 연속 전단변형장치
JP2014512276A (ja) 同時切断によるフランジ付き絞り加工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784972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ing-shaped member
CN108472705B (zh) 弯曲方法
JP2013533806A (ja) 変形可能な材料および変形可能な管状断面の形状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01514B1 (ko)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금형
JP2015174145A (ja) サンルーフパネル用のレール成形装置
KR20160110009A (ko) 연속 금속 프로파일 가공을 위한 가공 스테이션
US67726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itu leveling of progressively formed sheet metal
US52378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metal roll-formed parts
JPH09150224A (ja) 板金プレス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205763290U (zh) 一种细长五金件的冲压模具
KR101963516B1 (ko) 원상복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무스크래치 프레임용 밴딩 프레스 금형
CN110961528B (zh) 无刮痕框架用折弯冲压模具
CN102319801A (zh) 弹性夹内斜楔式弯曲模
KR20100034301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조립체의 펀칭장치
CN111687307B (zh) 具有能够恢复原状的结构的无刮痕框架用弯曲压模
DE102017101235B4 (de) Vorrichtung zum Kaltwalzprofilieren von Blech zu einem Profilblech
DE202009007527U1 (de) Flexibler Niederhalter für Walzprofilieranlagen
CN219357621U (zh) 一种制作金属圆环件的模具
KR102109282B1 (ko) 소재 성형 장치와 방법
JPH09122763A (ja) ベン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