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60B1 -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60B1
KR960005860B1 KR1019920009250A KR920009250A KR960005860B1 KR 960005860 B1 KR960005860 B1 KR 960005860B1 KR 1019920009250 A KR1019920009250 A KR 1019920009250A KR 920009250 A KR920009250 A KR 920009250A KR 960005860 B1 KR960005860 B1 KR 96000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inforcement
reinforcing
vehicle body
reinforce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388A (ko
Inventor
미찌다까 오오다
히로아끼 고다마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2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가로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후부차체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후부 측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IV-IV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V-V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제 2 도의 VI-VI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의 문개방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자동차 추출시에 있어서의 문개방구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제 7 도 상당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후부차체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모식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가로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가로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가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쿼터패널
3 : 벨트라인보강부재 4 : 후면기둥보강부재
5 : 사이드실(Side sill) 6 : 보강수단
7 : 서스펜션타워 8 : 서스펜션타워보강부재
9 : 전방부 보강부 10 : 후방부 보강부
11 : 후면펜더패널 12 : 문개방구
13 : 경사면 14 : 보강판
15 : 문 16 : 소음기
17 : 동력장치 18 : 배기관
19 : 차륜 20 : 사이드실 내부부재
21 : 사이드실 외부부재 22 : 사이드실 보강부재
본 발명은 후부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구성하는 벨트라인부에 있어서의 변형특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부에는 추돌시에 있어서의 차체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보강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평 2-445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차체후부의 벨트라인부에 벨트라인 보강부재(belt line reinforcenent)를 배치해서 보강부재와 쿼터패널(quarter panel)에 의해 구성되는 폐단면구조의 보강수단에 의해 차체 개방구의 강성을 강화하는 방법이 있다.
또,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전면단말을 후면기둥에 결합시키므로서 차체의 강성을 강화하는 방법도 종래로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추돌시에 있어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벨트라인 보강부재가 어느정도 좌굴변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종래로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경우 단면이 모자형상의 벨트라인 보강부재를 쿼터패널에 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추돌시에 있어서는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후부가 주로 좌굴변형하게 되어서 좌굴 변형량이 크게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추돌시의 충격력이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앞쪽끝에 결합되어 있는 후면기둥을 전방으로 미는 힘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문개방구의 변형을 가져오기 쉽게 된다는 불합리한 점이 발생한다.
또,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안쪽에는 서스펜션장치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suspension tower)가 설치되는 일이 많이 있으나, 그 경우, 추돌시에 있어서의 벨트라인 보강부재의 전방 이동에 따라서 서스펜션타워가 크게 전방으로 이동할 염려가 있어, 서스펜션장치에 악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불합리한 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쿼터패널로서 구성되는 보강수단의 추돌시에 있어서의 변형특성을 연구하므로서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의 문개방구의 변형을 가급적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면 단말이 후면기둥에 결합되고,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은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치체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에 의해 폐단면구조로 된 보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시키는 굴곡 모우드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굴곡 모우드 제어수단을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전방보강부와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혹은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있어서 차체 전후방향 중앙부에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를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의 전방에 문개방구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부착시키고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후면기둥의 하단부를 사이드실(side sill)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소음기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 후부에 사이드실 후부의 차체전후방향의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앞끝이 후면기둥에 결합되고,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는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차체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에 의해 폐단면구조로 된 보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 변형시키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 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와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 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7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를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7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의 전방에 문개방구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부착시키고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7에 기재한 자동차의 차체후부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후면기둥의 하단부를 사이드실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소음기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 후부에 사이드실 후부의 차체전후방향의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쿼터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보강수단이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되기 때문에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 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지기 때문에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쿼터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보강수단이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와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혹은 차실측)에 형성된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와의 굴곡모우드 제어작용에 의해 위쪽으로 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되어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지기 때문에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서스펜션타워 배치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5 또는 11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보강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때의 힘을 보강판에 의해 막아내게 되기 때문에 문개방구의 변형이 방지되게 된다.
청구항 6 또는 12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소음기의 찌부러진 남은 부분에 의해 사이드실에 작용하는 차체 전방으로의 하중에 의한 사이드실의 굴곡이 보강부재에 의해 강성강화작용에 의해 방지되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쿼터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보강수단이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 측과 차체 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기 때문에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져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8 또는 9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쿼터패널에 의해 구성되는 보강수단이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와 상기한 보강수단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와의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 변형시켜지기 때문에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지게 되어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수단에 다음과 같은 작용이 얻어진다.
즉,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의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서스펜션타워 배치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 변형시켜지게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앞끝이 후면기둥에 결합되고, 차체전후방향으로 뻗은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차체 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된 보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시키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설치해서 자동차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되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지는 결과로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문개방구의 변형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2 또는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한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에 있어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보강수단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와 보강수단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혹은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추돌시에 있어서의 보강수단의 굴곡 변형(즉, 굴곡모우드 제어)이 보강부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수단의 차체전면부측이 차실측에 형성된 보강부에 의해서 차외측으로 굴곡 변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문개방구의 뒤가장자리가 차실측으로 향하게 되어 문개방구가 변형했다고 해도 문과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 구조에 있어서,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 중앙부에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를 설치해서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서스펜션타워 배치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가 원활히 행해짐과 동시에 서스펜션타워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가급적 적게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보강수단의 전방에 문개방구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부착시켜서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때의 힘을 보강판에 의해 막아내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에 의한 추돌충격력의 효과적 흡수와 함께 문개방구의 변형이 한층 방지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후면기둥의 하단부를 사이드실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소음기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 후부에 사이드실의 차체전후방향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해서 자동차 추돌시에 소음기의 찌부러지고 남은 부분에 의해 사이드실에 작용하는 차체전방으로의 하중에 의한 사이드실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에 의한 추돌 충격력의 효과적 흡수와 함께 문개방구의 변형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앞끝이 후면 기둥에 결합되고,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벨트라인 보강부재와 차체 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된 보강수단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에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 굴곡변형되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설치해서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변형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을 크게 취할 수 있게 되는 결과로 추돌 충격력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문개방구의 변형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8 또는 9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굴곡 모우드 제어수단을 보강수단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와 보강수단의 차체 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혹은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추돌시에 보강수단의 굴곡 변형(즉, 굴곡모우드 제어)이 보강부를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보강수단의 차체전면부측이 차실측에 형성된 보강부에 의해 차외측으로 굴곡 변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문개방구의 뒤가장자리가 차실측으로 향하게 되어서 문개방구가 변형되었다고 해도 문과의 간섭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보강수단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 중앙부에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를 설치해서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서스펜션타워 배치부위를 중심으로 해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방향으로 굴곡 변형하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가 원활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서스펜션타워의 전방이동을 가급적 적게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보강수단의 전방에 문개방구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부착시켜서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때의 힘을 보강판에 의해 막아내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에 의한 추돌 충격력의 효과적인 흡수와 함께 문개방구의 변형이 더한층 방지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후면기둥의 하단부를 사이드실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소음기가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 후부에 사이드실 후부의 차체 전후방향의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해서 자동차 추돌시에 소음기의 찌부러지고 남은 부분에 의해 사이드실에 작용하는 차체전방으로의 하중에 의한 사이드실의 굴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보강수단의 굴곡모우드 제어에 의한 추돌 충격력의 효과적 흡수와 함께 문개방구의 변형을 더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몇개의 적절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 내지 제 9 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계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청구항 1, 2, 4, 5 및 6의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차체(1)의 후부에 있어서의 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2)의 벨트라인부에 따라 벨트라인 보강부재(3)이 배치되고, 그 벨트라인 보강부재(3)의 앞끝이 후면기둥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면기둥 보강부재(4)에 결합되고, 그 후면기둥 보강부재(4)의 아래끝이 사이드실(side sill)(5)에 결합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3)은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은 단면이 모자형상의 부재로 되어있고 상기한 쿼터패널(2)와의 접합에 의해 폐단면구조의 보강수단(6)을 구성하고 있다(제 3 도- 제 5 도 참조).
상기한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서스펜션장치(도시생략)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suspension tower)(7)이 설치되어 있다.
그 서스펜션타워(7)은 상기한 쿼터패널(2)의 일부와 그 쿼터패널(2)의 차외측에 있어서 아래끝을 쿼터패널(2)에, 위끝을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접합된 서스펜션타워 보강부재(8)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제 4 도 참조).
또한, 서스펜션타워(7)은 중앙기둥과 바닥패널에 결합되어 있고, 차체폭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계가 되기 쉽다.
그리고, 상기한 쿼터패널(2)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6)을 구성하는 부분은 상기한 서스펜션타워(7)로 부터 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실측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있다.
결국, 상기한 보강수단(6)은 차체후부의 벨트라인부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뻗은 통형상체로 되어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한 보강수단(6)에는 상기한 서스펜션타워(7)로부터 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체실[즉, 쿼터패널(2)]측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전방부 보강부(9), (9)가 상기한 서스펜션타워(7)로부터 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외측[즉,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후방부 보강부(10), (10) ...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이들 보강부(9), (9) 및 (10), (10)...은 쿼터패널(2) 및 벨트라인 보강부재(3)을 각각 오목하게 함몰시키므로서 형성되고,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을 서스펜션타워(7)로부터 전방부위에서는 차외측으로, 서스펜션타워(7)로부터 후방부위에서는 차실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시키는(즉,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 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시킨다)굴곡모우드 제어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부 보강부(9), (9)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보다 크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서스펜션타워(7)의 전방부위에서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보강부(9), 전방측에 위치하는 보강부(9)의 순서로 굴곡 변형해 가게된다.
또, 후방부 보강부(10), (10)...은 전방측에 위치하는 2개가 후방측에 위치하는 2개보다 크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서스펜션타워(7)의 후방부위에서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보강부(10), (10) 후방측에 위치하는 보강부(10), (10)의 순서로 굴곡 변형하여 가게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후부의 바깥판을 구성하는 후면펜더패널(11)의 전단부(11a)는 문개방구(12)의 뒤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고, 그 후면 펜더패널 전단부(11a)에는 경사지게 바깥측으로 향한 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후면펜더 패널 전단부(11a)의 내면측에는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3)의 앞끝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한 문개방구(1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4)가 접합되어 있다(제 7 도 참조).
그 보강판(14)는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때의 힘을 막아내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부호(15)는 문이다.
다시,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차체(1)의 저면부에 있어서의 후방부위에는 차폭방향 한쪽에 배기계통 기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음기(16)이 배치되어 있다.
부호(17)은 동력장치, (18)은 배기관, (19)는 차륜이다.
상기한 사이드실(5)는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폐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 접합되는 사이드실 내부부재(20) 및 사이드실 외부부재(21)로 되어 있고, 사이드실 내부부재(20)과 사이드실 외부부재(21)의 사이에는 양자간의 폐단면을 2분할하는 사이드실 보강부재(22)가 개재되어 설치되어 있다.
통상의 사이드실 보강부재(22)는 사이드실(5)에 있어서의 문개방구(12)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음기(16)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사이드실(5)에 있어서의 사이드실 보강부재(22)에는 후면기둥 보강부재(4)와의 결합주위 후방에까지 뻗어 설치된 연장설치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설치부(22a)에 의해 사이드실(5)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 강성을 구성으로 하고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드실 보강부재 연장설치부(22a)가 사이드실(5)의 후부에 있어서의 차체 전후방향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소음기(16)을 2개 갖는 형의 자동차의 경우 양쪽의 사이드실 보강 부재(22)에 연장설치부(22a)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는 벨트라인 보강부재(3)과 쿼터패널(2)에 의해 구성되는 보강수단(6)은 그 후부가 좌굴 변형함과 동시에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는 전면측에 위치하는 보강부(10), (10)후방측에 위치하는 보강부(10), (10)의 순서로 굴곡 변형하고, 동시에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서는 후면측에 위치하는 보강부(9), 전면측에 위치하는 보강부(9)의 순서로 굴고 변형하게 되어서 제 1 도에 후보(6')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에서는 차실측으로 만곡되고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S"자 형상의 변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이 크게 취해지게 되어 추돌 충격력이 효과적으로 흡수된다.
그 결과, 보가수단(6)의 앞끝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급적 억제되게 되어 문개방구(12)의 변형이 억제된다.
이때, 서스펜션타워(7)은 제 1 도에 부호(7')표시한 바와같이 보강수단(6)에 있어서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가 변형한 분만 전방 이동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전방 이동량도 극히 적은 것이 된다.
그런데,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갖고 있지 않은 종래예의 경우에는 추돌시에 보강수단(6)의 후부만이 부호(6')로 표시한 바와같이 좌굴 변형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추돌 충격흡수가 불충분하게 되어서 보강수단(6)의 앞끝이 크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문개방구(12)의 변형량이 크게된다.
또, 보강수단(6)의 전후방향 변형량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 비해서 변형량의 차 "△D"만큼 적게 억제되기 때문에 그 변형량의 차 "△D"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서스펜션타워(7)이 제 1 도에서 부호(7")로 표시하는 바와같이 크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의 예의 것에 비해 문개방구(12)의 변형량 및 서스펜션타워(7)의 전방 이동량을 대폭 적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가 추돌시에 차외측으로 만곡되는 변형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보강수단(6)의 앞끝은 안으로 향한 상태가 되고, 예를들면 문개방구(12)가 다소 변형되었다고 해도 문(15)와의 간섭이 회피되는 것이다.
다시 또 본 실시예의 경우 후면펜더패널 전단부(11a)에 경사지게 바깥쪽으로 향한 경사면(13)을 형성하고 또한 후면펜더 전단부(11a)의 내면측에 상기한 벨트라인 보강부재(3)의 앞끝과 대향하는 위치에 문개방구(1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4)를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추돌시에 보강수단(6)이 전방 이동하는데 있어서 보강수단(6)이 전방 이동하려하는 때의 힘이 보강판(14)에 의해 막아내지게 됨과 동시에 보강수단(6)의 굴곡 변형에 따른 후면팬더(11)의 차실측으로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고(제 8 도 참조) 문(15)와의 간섭회피가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되게 된다.
다시 또 추돌시에 있어서 소음기(16)이 찌부러져 남으면 제 9 도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소음기(16)이 없는 쪽에 비해서 소음기(16)이 있는 측의 차체(1)의 변형량이 적어져서 소음기(16)이 있는 측의 사이드실(5)에 대해 커다란 전방 하중이 걸리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사이드실(5)의 후부가 사이드실 보강부재 연장설치부(22a)에 의해 강성이 강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전방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되어 사이드실(5)의 굴곡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면 기둥 보강부재(40)의 전방 이동이 억제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제10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청구항 1, 3, 4, 5 및 6의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수단(6)에는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외측[즉,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상하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전방부 보강부(9), (9)가 형성되고,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에는 차실측[즉, 쿼터패널(2)]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후방부 보강부(10), (10)...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형성된 전방부 보강부(9), (9)와 쿼터패널(2)에 형성된 후방부 보강부(10), (10)...에 의해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을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서는 차실측으로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에서는 차외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시키는(즉,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 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시킨다)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는 보강수단(6)은 제10도에 부호(6')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서도 차실측으로,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에서는 차외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되게 되어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을 크게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제1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에 3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청구항 7, 8, 10, 11 및 12의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수단(6)에는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실측[즉, 쿼터패널(2)]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전방부보강부(9), (9)가 형성되고,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실측[즉, 쿼터패널(2)]에 상하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후방부 보강부(10), (10)...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 쿼터패널(2)에 형성된 전방부 보강부(9), (9) 및 후방부 보강부(10), (10)...에 의해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을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에 있어서 차외측으로 각각 굴곡변형시키는[즉,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는 보강수단(6)은 제11도에 부호(6')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스펜션타워(7) 보다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에서 차외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시켜지게 되기 때문에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을 크게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
제12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에 4에 관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는 청구항 7, 9, 10, 11 및 12의 발명에 대응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보강수단(6)에는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외측[즉,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전방부 보강부(9), (9)가 형성되고, 서스펜션타워(7)보다 후방부위에 있어서는 차외측[즉,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상하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후방부 보강부(10), (10)...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 벨트라인 보강부재(3)에 형성된 전방부 보강부(9), (9) 및 후방부 보강부(10), (10)에 의해 자동차 추돌시에 보강수단(6)을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에 있어서 차실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시키는(즉,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면적부측과 후면부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 추돌시에 있어서 보강수단(6)은 제12도에 부호(6')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서스펜션타워(7)보다 전방부위 및 후방부위에서 차실측으로 각각 굴곡 변형되므로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변형량을 크게 취할 수 있는 것이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계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앞끝이 후면기둥에 결합되고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은 벨트라인 보강부재(3)와 차체 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2)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된 보강수단(6)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6)에는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6)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 변형시키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보강부(9)와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9)와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수단(6)의 전방에는 문개방구(1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기둥의 하단부가 사이드실(5)에 결합되어 있고, 소음기(16)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5) 후부에는 사이드실(5) 후부의 차체전후방향의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7. 앞끝이 후면기둥에 결합되고 차체전후 방향으로 뻗은 벨트라인 보강부재(3)과 차체내벽을 구성하는 쿼터패널(2)에 의해 폐단면 구조로된 보강수단(6)을 구비한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수단(6)에는 자동차 추돌시에 그 보강수단(6)을 위쪽으로부터 보아서 차체전면부측과 차체후면부측에서 동일방향으로 굴곡변형되는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9)와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실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굴곡모우드 제어수단이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으로 형성된 상하방향의 전방부 보강부(9)와 상기한 보강수단(6)의 차체후방부위에 있어서의 차외측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후방부 보강부(10)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보강수단(6)에 있어서의 차체전후방향의 중앙부에는 서스펜션장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타워(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11. 제 7 항에 있어서, 보강수단(6)의 전방에는 문개방구(12)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1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12. 제 7 항에 있어서, 후면기둥의 하단부가 사이드실(5)에 결합되어 있고 소음기(16)이 배치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사이드실(5) 후부에는 사이드실(5) 후부의 차체전후방향의 강성을 강화하는 보강부재 연장설치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2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KR1019920009250A 1991-05-29 1992-05-29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KR960005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125962A JP3112978B2 (ja) 1991-05-29 1991-05-29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91-125962 1991-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388A KR920021388A (ko) 1992-12-18
KR960005860B1 true KR960005860B1 (ko) 1996-05-03

Family

ID=1492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250A KR960005860B1 (ko) 1991-05-29 1992-05-29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67772A (ko)
JP (1) JP3112978B2 (ko)
KR (1) KR960005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098B2 (en) 2004-09-17 2008-09-23 Suzuki Motor Corporatio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4799B4 (de) * 1992-10-15 2005-06-30 Adam Opel Ag Zur Anordnung an einer Fahrzeuglängsseite zwischen zwei tragenden, vertikalen Säulen ausgebildete Kraftfahrzeugtür
DE19528874C2 (de) * 1995-08-05 1998-02-26 Volkswagen Ag Tragstruktur für ein Fahrzeug
US5842736A (en) * 1997-09-02 1998-12-01 Hung; Shu Hui Vehicle safety rear panel for supporting horn
JP3436232B2 (ja) * 2000-03-10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US7052077B1 (en) * 2000-06-13 2006-05-30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Crumple zone for body panels
DE10060784B4 (de) * 2000-12-07 2006-03-16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Heckmodul für Personenkraftfahrzeuge
JP2003182636A (ja) * 2001-12-18 2003-07-03 Fuji Heavy Ind Ltd ピックアップトラックの車体後部構造
JP2003182647A (ja) * 2001-12-20 2003-07-03 Fuji Heavy Ind Ltd 車両の後部車体構造
WO2009078288A1 (ja) * 2007-12-19 2009-06-25 Honda Motor Co., Ltd. 車体側部構造
JP4500856B2 (ja) * 2008-01-23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US8727380B2 (en) * 2010-02-18 2014-05-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tower structure for vehicle
US20120256445A1 (en) 2011-04-05 2012-10-11 Ridha Baccouche Vehicle roof support pillar
US9403492B1 (en) * 2015-03-27 2016-08-02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10214243B2 (en) * 2017-07-11 2019-0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US11505252B2 (en) 2021-02-18 2022-11-22 Honda Motor Co., Ltd. Interior structure for an automat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4151A (en) * 1986-03-21 1987-08-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trolled collapsible frame rail
JP2728094B2 (ja) * 1988-08-05 1998-03-18 富士通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95724B2 (ja) * 1989-08-30 1997-04-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強度部材の製造方法
JPH0750301Y2 (ja) * 1989-09-30 1995-11-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7098B2 (en) 2004-09-17 2008-09-23 Suzuki Motor Corporatio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53080A (ja) 1992-12-08
US5267772A (en) 1993-12-07
JP3112978B2 (ja) 2000-11-27
KR920021388A (ko) 199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860B1 (ko) 자동차의 후부차체구조
AU705222B2 (en) Front structure of car body, and method of absorbing impact by means of the front structure
KR950010168Y1 (ko)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CN107922015B (zh) 车辆的框架结构
JP3876742B2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20010094988A (ko) 차량의 펜더 구조
EP1389575B1 (en) Vehicle front-end body structure
JPH0930452A (ja) 自動車用サイドシル補強構造
JP3148764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4431161B2 (ja)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JP3348481B2 (ja) 車両側部構造
JP3407549B2 (ja) 側面衝突用センサの取付構造
JP3788191B2 (ja) 車両前部の構造
JP4525374B2 (ja) 車体構造
JP2000095148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3663927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CN218519749U (zh) 门槛梁加强结构和配备有该门槛梁加强结构的车辆
JPH01309881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3527420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部の構造
JP4140186B2 (ja) 車両のフェンダ構造
KR100579954B1 (ko) 차량의 리어 범퍼 연결 구조
KR0133775B1 (ko) 자동차 전면기등 하단부의 보강구조
JP3800005B2 (ja) 車両前部の構造
KR200197875Y1 (ko)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200260745Y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