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198Y1 -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 Google Patents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198Y1
KR960005198Y1 KR2019940000259U KR19940000259U KR960005198Y1 KR 960005198 Y1 KR960005198 Y1 KR 960005198Y1 KR 2019940000259 U KR2019940000259 U KR 2019940000259U KR 19940000259 U KR19940000259 U KR 19940000259U KR 960005198 Y1 KR960005198 Y1 KR 960005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writing instrument
grip member
instrument body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996U (ko
Inventor
요시오 노구치
도시히코 가게야마
오사무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도시히코 가게야마,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40000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198Y1/ko
Publication of KR950022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에서의 필기구몸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그립장치에 적용된 그립부재의 사시도.
제3도는 필기구몸체에 그립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의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필기구몸체에 그립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의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에서의 필기구몸체의 요부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그립장치에 적용된 그립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필기구몸체에 그립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의 제5도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구몸체 2 : 그립부재
3 : 홈 4 : 경사부
5 : 공극부 6 : 숫나사부
7 : 녹크부 8 : 단면 6각형상의 볼록부
9 : 단면 6각형상의 오목부
본 고안은 필기구를 손으로 잡고서 필기를 하도록 된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Grip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기구의 몸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피로를 막기 위해 필기구몸체의 손으로 잡는 부분인 그립부에다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표면에 미끄럼방지용 파형무늬 같은 것이 새겨진 그립부재가 끼어지도록 된 것이 제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것은 모두 그립부재가 필기구몸체에 끼워져 몸체의 외주면과 밀착시켜지도록 되어 있는 것인바. 이와 같은 구조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부여되는 탄력이 그립부재의 재질에 의해 생기는 것만이어서 자체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탄력이 큰 스폰지 같은 것으로 그립부재를 만드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탄력이 큰 성질을 가진 것으로 만들어진 그립부재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마모등으로 열화(劣化)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는 것이 문제로 된다.
이에 본 고안은, 필기구몸체의 그립부재로서 경질고무나 플라시틱과 같은 탄력부재를 쓰고, 또 구조상으로도 비약적인 탄력을 얻을 수가 있으며, 그립부재의 회전방지도 고려되고,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오래 사용하더라고 열화되지 않는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필기구를 손으로 잡고서 필기를 하도록 된 필기구본체의 그립부에 형성된 단면 다각형상부분과 그립부재사이에 축방향으로 복수의 공극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필기구몸체와 그립부사이에 복수의 축방향공극부가 형성되면서 그립부재의 회전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기구몸체를 잡고서 필기를 하는 경우 그립부재의 탄력에 더해져 이 공극부의 의해 탄력이 더해지게 됨으로써 필기조작성이 극히 좋아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필기구의 몸체(1)의 그립부주위에 플라시틱으로 만들어진 원통형상의 그립부재(2)가 설치되는바, 즉 필기구몸체(1)의 그립부재에 축방향으로 6줄의 긴홈(3)이 형성되고서, 이들 홈(3)의 양 끝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에서 윗끝 가장자리를 향하는 경사부(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원통형상의 그립부재(2)가 필기구몸체(1)의 그립부주위에 끼워지게 되면 홈(3)에 의해 그립부재(2)와 필기구몸체(1)사이에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공극부(5)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그립부재(2)를 앞끝부위로부터 뒷끝부위쪽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하면, 필기구몸체(1)가 앞끝으로부터 그립부재(2)를 밀어넣기가 쉬워지게 된다. 그립부재(2)가 이렇게 구성되면 필기구몸체(1)에서 빠져나가기 쉬우나, 실제로는 필기구몸체(2) 앞끝의 숫나사부(6)에 선구가 나사결합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그 선단캡에 의해 그립부재(2)가 걸려져 문제가 되지 않는다. 도면중 참조부호 7은 필기구몸체(1)의 뒷끝부위에 설치되는 샤아프펜슬 등의 녹크부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1실시예 그립장치는, 사용자가 필기구본체(1)의 그립부를 잡고서 사용하려면 그립부재(2)에 제4도에서의 화살표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바, 이때 그립부재(2)와 필기구몸체(1)사이에 홈(3)에 의해 형성된 공극부(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립부재(2)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변형되어 압력을 흡수하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로서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된다. 그에 더해서 공극부(5)때문에 필기구를 잡는 힘에 의해 그립부재(2)가 안쪽으로 휘어져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특별히 미끄럼방지수단으로 그립부재(2) 외주면에 파형무늬등을 형성시켜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제1실시예 그립장치에 다시 그립부재(2)의 회전방지기능을 부가시켜진 장치가 나타내어져 있다.
즉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기구몸체(1)의 그립부 양끝에 단면 6각형상을 한 볼록부(8)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립부재(2)에 내주면 양쪽 끝에도 상기 필기구몸체(1)의 단면6각형상 볼록부(8)에 대응하는 단면6각형상의 오목부(9)가 각각 형성되어, 그립부재(2)가 일단 필기구몸체(1)에 끼워지면 이들 볼록부(8)와 오목부(9)의 걸림작용으로 그립부재(2)가 필기구몸체(1)에 대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제7도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듯히, 볼록부(8)의 상단 즉 단면6각형의 각 꼭지부의 외접원을 그립부재(3)의 두께분만큼 필기구몸체(1)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면, 그립부재(3)가 필기구몸체(1)의 외주면에서 튀어나오지 않아 미관상 좋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에 의하면, 탄력이 한정된 탄성부재를 써서 구조상 비약적으로 향상된 탄력을 얻을 수가 있게 되고, 또 그립부재가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열화되지 않는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필기구 등을 손으로 잡고서 필기를 하게 되는 중공의 필기구몸체(1)의 그립부에 형성된 단면다각형상부분과 그립부재(2) 사이에 축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공극부(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5)의 양쪽끝부위가 바닥에서 윗끝가장자리쪽을 향해 경사부(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몸체의 그립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몸체(1)의 그립부 외주와 상기 그립부재(2)의 내주에 각각 그립부재(2)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저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지수단이, 상기 필기구몸체(1)의 잡는 부위외주에 형성된 다각형상부(8)와 상기 그립부재(2)의 내주에 형성된 다각형상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KR2019940000259U 1994-01-10 1994-01-10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KR960005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259U KR960005198Y1 (ko) 1994-01-10 1994-01-10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259U KR960005198Y1 (ko) 1994-01-10 1994-01-10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96U KR950022996U (ko) 1995-08-21
KR960005198Y1 true KR960005198Y1 (ko) 1996-06-24

Family

ID=1937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259U KR960005198Y1 (ko) 1994-01-10 1994-01-10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1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53B1 (ko) * 2007-12-06 2009-06-11 정광진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53B1 (ko) * 2007-12-06 2009-06-11 정광진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996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908A (en) Barrel with finger gripping means
JP4959567B2 (ja) 筆記用具
KR960005198Y1 (ko)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JP5025979B2 (ja) 筆記具
US6298514B1 (en) Cleaning tool for electronic and computer equipment
US5911534A (en) Cap for writing tool
US6866435B2 (en) Writing implements
JP3817719B2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H11334273A (ja) 筆記具の把持部材取り付け構造
JPH0737680U (ja) 軸体のグリップ装置
JP4676905B2 (ja) 筆記具
JP2011093270A (ja) 筆記具の軸筒
JP3701897B2 (ja) 筆記具用グリップ
KR100460183B1 (ko) 가동후드
JP3452500B2 (ja) 筆記具用軸筒
JP3918081B2 (ja) 筆記具
JP2008068523A (ja) 筆記具
JP2606762Y2 (ja) 筆記具の滑り止め
JP5035683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の螺合構造
JP2581871Y2 (ja) 筆記具の滑り止め装置
KR930000111Y1 (ko) 회전캠식 보올펜
JP4305757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3271228B2 (ja) 筆記具、塗布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JP6475913B2 (ja) 熱変色性筆記具及び摩擦具
KR0119938Y1 (ko) 필기구의 손잡이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