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553B1 -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 Google Patents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553B1
KR100902553B1 KR1020070125925A KR20070125925A KR100902553B1 KR 100902553 B1 KR100902553 B1 KR 100902553B1 KR 1020070125925 A KR1020070125925 A KR 1020070125925A KR 20070125925 A KR20070125925 A KR 20070125925A KR 100902553 B1 KR100902553 B1 KR 10090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bodies
tightening
guide groove
poly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진
Original Assignee
정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진 filed Critical 정광진
Priority to KR102007012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하부 몸체를 분리하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로서, 조임이 완료되면서 걸림부재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 위치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은 상부 몸체(10)에 형성한 암체결부(11)의 하단 면에 어느 한 위치로 형성하는 걸림 단턱(12)의 상단을 시작하여 나선방향으로 걸림 단턱(12)의 하단에 이르게 하는 나선 안내홈(13)을 형성함과,
상기 하부 몸체(20)에 수체결부(21)를 형성하는 상단 면에 상기 나선 안내홈(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걸림편(22)을 형성하여 상,하부 몸체(10,20)의 결합 조임이 완료되면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필기구, 다각형 필기구, 상,하부 몸체

Description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a pen having many-sides}
본 발명은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하로 분리되어 체결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몸체가 체결 조립할 때 각 모서리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리지를 교환하도록 한 필기구는 튜브 형상의 몸체가 상하로 분리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몸체의 외면이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상,하부 몸체를 나사 결합할 경우 상하부 몸체가 어떤 위치에서 체결이 완료되어 조임이 이루어져도 외관상 원형이기 때문에 어떠한 표식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몸체의 둘레 면이 다각형인 경우에는 상하부 몸체를 결합할 경우 체결하여 조임이 완료될 때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일직선상으로 동일한 위치로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즉, 조임력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필기구의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한계를 갖게 하고 있는 실정이 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를 동일선상에 맞추도록 거의 조임이 될 때 스톱부재에 의하여 걸려지도록 할 수 있으나 걸림 위치에서는 더 이상이 조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덜 조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림이 이루어진 경우 상,하부 몸체가 풀리어 정상적인 필기구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량 제품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하부 몸체를 분리하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로서, 조임이 완료되면서 걸림부재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 위치에 걸려지도록 하여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술적 구성수단으로,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상,하부 몸체로 분리하여 암,수체결부로 결합 되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로서,
상기 상부 몸체의 암 체결부를 갖는 하단 면에 형성한 걸림 단턱의 상단을 시작으로 걸림 단턱의 하단에 이르도록 형성하는 나선 안내홈과, 상기 하부 몸체의 수결합부 상단 면에 상기 나선 안내홈에 위치하는 걸림편을 형성하여 조임이 완료되어 상,하부 몸체의 조임 상태에서 걸림 단턱에 걸림편이 걸리게 되면 다각형 형상을 갖는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각형을 갖는 상,하부 몸체를 조립하면 자동적으로 상,하부 몸체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으로 위치하여 외관상 일체형을 갖도록 하므 로 카트리지를 교환하도록 하는 필기구의 몸체를 다양한 각형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제품의 디자인을 범위를 더욱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형 필기구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상,하부 몸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하부 몸체의 암,수체결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암,수체결부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암,수 체결부를 일부 절개한 분리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서와 같이, 필기구(P)는 상,하부로 분리되면서 다각형 형상을 갖는 튜브형의 상,하부 몸체(10,20)와, 몸체(10,20)에 내장되는 볼팁(31)을 구비한 카트리지(30)와, 카트리지(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0)와, 몸체(10,20)의 상단에 구비되어 누름조작에 따라 내장된 노크부재에 의해 볼팁(31)만 선단 개구에 입출되게 하는 누름구(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10)의 하단에 형성한 암체결부(11)의 입구인 하단 면(10a)에 어느 한 위치에 형성하는 걸림 단턱(12)의 상단을 시작으로 걸림 단턱(12)의 하단에 이르도록 하는 나선형태의 나선 안내홈(13)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몸체(20)에 수체결부(21)를 형성하는 상단 면(20a)에 상기 나선 안내홈(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걸림편(22)을 형성하여 상,하부 몸체(10,20)의 결합 조임이 완료되면 걸림 단턱(12)에 걸림편(22)이 걸리도록 한다.
상기 걸림 단턱(12) 및 걸림편(22)은 상,하부 몸체(10,20)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에 걸려지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각 모서리의 동일한 위치에서 걸려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편(22)은 전방이 걸려지므로 후방은 낮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5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10)에 형성된 암체결부(11)의 나사산 보다 수 체결부(21)의 나사산을 1피치 더 형성하여 마지막 조임할 때 억지조임으로 체결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몸체(10,20)는 외면이 다각형 형상을 갖는데 도면에서 사각형을 실시 예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각, 오각, 육각 등 다양한 각형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 교환 등으로 분리된 상,하부 몸체(10,20)를 암수 체결부(11,21)에 의하여 나사조립에 의해 거의 조임이 다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하부 몸체(20)의 상단 면(20a)에 형성된 걸림편(22)이 상부 몸체(10)의 하단 면(10a)에 형성한 나선 안내홈(13)에 위치한 걸림 단턱(12)에 약하게 걸리게 되는데 암수 나사산의 유격차이 등으로 인하여 걸림편(22)이 걸림 단턱(12)을 타고 넘게 되며,
이후 나선형태의 나선 안내홈(13)에 걸림편(22)이 끼워진 상태가 되면서 어느 한쪽 몸체(10,20)를 계속 돌리며 걸림편(22)이 나선 안내홈(13)을 따라 이동하다가 결국 걸림 단턱(12)에 걸리어 더 이상 조임이 이루어지지 않고 조임이 완료되는 것이며, 여기서 걸림 단턱(12)을 시작으로 나선 안내홈(13)을 한바퀴 돌면 다시 걸림 단턱(12)에 이르게 되어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과정에 의하여 걸림 단턱(12)에 걸리기 전에 나사산의 조임과정에서 상기 상부 몸체(10)에 형성된 암체결부(11)의 나사산 보다 수 체결부(21)의 나사산을 1피치 더 형성되어 있어 수 체결부(21)의 나사산이 암 체결부(11)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을 파고 조임이 되어 유격 없이 억지 조임으로 체결되는 것이며, 이 억지 조임 과정에서는 조임을 강하게 부여하여 행하여지고 풀 경우에도 시작시 강하게 풀림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의해서 걸림편(22)이 걸림 단턱(12)에 걸려지는 위치는 동일하게 되므로 걸림 위치에 상,하부 몸체(10,20)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일치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어 각형 형상을 갖는 상,하부 몸체(10,20)가 결합되면 자동으로 상,하부 각 모서리가 틀어짐이 없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각형 몸체(10,20)를 가지면서도 상,하부로 분리되는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필기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상,하부 몸체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상,하부 몸체의 암,수체결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서의 암,수체결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암,수 체결부를 일부 절개한 분리도

Claims (4)

  1. 상,하부 몸체(10,20)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에 형성한 암체결부(11)의 하단 면(10a)에 어느 한 위치로 형성하는 걸림 단턱(12)의 상단을 시작하여 나선방향으로 걸림 단턱(12)의 하단에 이르게 하는 나선 안내홈(13)을 형성함과,
    상기 하부 몸체(20)에 수체결부(21)를 형성하는 상단 면(20a)에 상기 나선 안내홈(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걸림편(22)을 형성하여 상,하부 몸체(10,20)의 결합 조임이 완료되면 다각형의 상,하부 몸체(10,20)의 각 모서리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단턱(12) 및 걸림편(22)의 걸림 위치가 상,하부 몸체(10,20)의 어느 한쪽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3. 제 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22)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0)에 형성된 암체결부(11)의 나사산 보다 수체결부(21)의 나사산을 1피치 더 형성하여 마지막 조임할 때 억지 조임으로 체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KR1020070125925A 2007-12-06 2007-12-06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KR10090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25A KR100902553B1 (ko) 2007-12-06 2007-12-06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925A KR100902553B1 (ko) 2007-12-06 2007-12-06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553B1 true KR100902553B1 (ko) 2009-06-11

Family

ID=4098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925A KR100902553B1 (ko) 2007-12-06 2007-12-06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5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360U (ko) * 1989-10-30 1991-06-27
KR960005198Y1 (ko) * 1994-01-10 1996-06-2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KR200366040Y1 (ko) 2004-07-24 2004-11-04 남철환 샤프펜슬
KR20050080080A (ko) * 2005-07-08 2005-08-11 영훈산업 주식회사 쉬트 디스펜서가 구비된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360U (ko) * 1989-10-30 1991-06-27
KR960005198Y1 (ko) * 1994-01-10 1996-06-2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필기구몸체의 그립장치
KR200366040Y1 (ko) 2004-07-24 2004-11-04 남철환 샤프펜슬
KR20050080080A (ko) * 2005-07-08 2005-08-11 영훈산업 주식회사 쉬트 디스펜서가 구비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9341A1 (en) Insert nut and insert t-nut
PL1929581T3 (pl) Wkładka przeznaczona do umocowania w elemencie, w celu przytwierdzenia i podłączenia elektryczności do końcówki przyłącza elektrycznego
KR100902553B1 (ko) 다각형 몸체를 갖는 필기구
US20170022645A1 (en) Embroidery decoration
TW201636516A (zh) 螺紋緊固組件及其螺合件
CN205806147U (zh) 一种扣钉及用其连接的板材组件
RU200812325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арматурных стержней
JP2004204936A (ja) 薄板部材のネジ止め構造
CN206160329U (zh) 冷风扇
CN106089936A (zh) 一种防止螺纹损坏的螺母
CN209510866U (zh) 家具用双牙连接螺杆
CN205639223U (zh) 一种塑料卡扣
CN208997104U (zh) 一种连接器及应用有该连接器的型材组装结构
KR101873705B1 (ko)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 결합 구조를 갖는 귀걸이
US20030115811A1 (en) Snap hold frame
CN107940082B (zh) 一种龙头手柄
US10162192B2 (en) Assembly structure for eyeglass lens
KR200482966Y1 (ko) 나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목 지지용 구조체
JP2007126873A (ja) 間仕切り
US20100152673A1 (en) Syringe
KR200375670Y1 (ko) 식탁 또는 탁자용 연결 고정구
KR20200048980A (ko) 이중나사선 볼트, 너트 및 압축결합 너트
CN209573903U (zh) 一种l型支撑脚连接件
CN209801262U (zh) 一种喷泉灯的卡管结构
KR20070001197U (ko) 자개문양 탁상용 액자의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