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530Y1 -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530Y1
KR960004530Y1 KR2019940017636U KR19940017636U KR960004530Y1 KR 960004530 Y1 KR960004530 Y1 KR 960004530Y1 KR 2019940017636 U KR2019940017636 U KR 2019940017636U KR 19940017636 U KR19940017636 U KR 19940017636U KR 960004530 Y1 KR960004530 Y1 KR 960004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adjustment
latch
steering column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6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863U (ko
Inventor
이영식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76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530Y1/ko
Publication of KR960004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5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제1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휠의 틸팅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티어링 휠의 틸팅상태도.
제3도는 제2도 A부의 상세도.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지게차 또는 로우더 등 각종 중장비의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컬럼의 하부에 형성된 조절노브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속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틸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틸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50)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50)는 스티어링 휠(52)과 스티어링 컬럼(54) 및 스터어링 하부와 연결된 조향기구(56)로 구성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52)의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틸트기구(60)가 스티어링 컬럼(54)의 하부측에 설치된다.
상기 틸트기구(60)는 플로어(61)에 고정수단(62)으로 고정된 브래킷(64)에 핀삽입홀(64a)이 천공되고, 스티어링 컬럼(54)의 하부에는 다수의 핀삽입홀(66a)을 천공한 조절편(66)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조절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조절핀(6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틸트기구(60)에 의해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스티어링 휠(52)을 틸팅하려면, 먼저 조절핀(68)을 핀삽입홀(64a)(66a)로부터 빼낸 다음, 스티어링 컬럼(54)을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티어링 컬럼(54)이 힌지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스티어링 컬럼(54)에 고정된 조절편(66)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같이 조절된 상태에서 브래킷(64)의 편삽입공(64a)에 조절편(66)의 핀삽입공(66a)을 일치되게 맞춘 후, 조절핀(68)을 삽입시킴에 따라 스티어링 휠(52)이 틸팅된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후 틸트기구(60)를 이용하여 다시 스티어링 휠(52)을 틸팅시키면서 상기의 과정을 역순으로 분해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종래의 틸트기구(6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조절핀(68)을 핀삽입홀(64a)(66a)에 삽입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부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이를 다시 원하는 위치로 틸팅시키려면 구부린 조절핀(68)을 다시 펴서 빼내고,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공간이 협소하여 틸팅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조절핀(68)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정확한 조립공차를 유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최초의 조립시에는 조립공차를 유지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티어링 컬럼(54)의 진동 등에 의해 조절핀(68)이 마손되면서 유격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조절핀(68)의 유격에 따른 스티어링 휠(52)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와 함께 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한편 스티어링 컬럼(54)에 용접된 조절편(66)과 핀삽입홀(66a) 및 조절핀(68)이 외부로 나타나기 때문에 외관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의 틸팅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히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성향상과 함께 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치 형상을 갖고 다수의 조절턱을 구비한 래치를 스티어링 컬럼에 힌지연결한 것과, 상기 패치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조절노브를 고정수단으로 래치와 연결한 것과, 플로어에 고정되어 래치의 조절턱에 삽입되며 스티어링 휠의 틸팅위치를 설정케하는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이 래치의 조절턱에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래치의 단부에 형성된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티어링 휠의 틸팅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 형상을 갖고 다수의 조절턱(10a)을 구비한 래치(10)를 스티어링 컬럼(12)에 힌지핀(14)으로 힌지연결하고, 스티어링 컬럼(12)의 장공(12a)으로 부터 외부에 돌출 형성된 조절노브(26)가 래치(10)의 일단부와 고정수단(18)으로 연결되게 하고, 플로어측패널(20)에 고정수단(22)으로 고정된 조절편(24)의 상단부가 상기 조절턱(10a)에 삽입되게 형성하여 스티어링 휠(26)의 틸팅위치를 설정하게 하며, 스티어링 컬럼(12)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핀(28)과 래치(10)에 천공된 구멍(10b)을 통해 인장스프링(30)을 연결하여 래치(1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26)을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부합되게 맞추려면 다음과 같은 작동순서에 의해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제2도의 스티어링 휠(26)의 조정위치는 스티어링 휠(26)이 운전자 쪽으로 최대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스티어링 휠(26)의 위치가 운전자와 가까이 있는 것이다. 이같은 상태는 앉은키가 작은 운전자에게 적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26)의 위치를 운전자로 부터 좀더 멀리하려면, 먼저 조절노브(26)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고, 이와 동시에 스티어링 휠(26) 또는 스티어링 컬럼(12)를 앞으로 밀게되면 스티어링 컬럼(12)이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함께 래치(10)가 힌지핀(14)의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절턱(10a)에 삽입되어 있던 조절편(24)의 상단은 자유상태가 된다. 이후, 원하는 틸팅위치에서 당겼던 조절노브(26)를 놓게 되면 래치(10)는 인장스프링(30)에 의해 당겨짐과 동시에 조절편(24)의 상부가 다수의 조절턱(10a)중 어느 하나의 턱 사이에 삽입되어 틸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절방식에 의해 스티어링 휠(26)의 틸팅을 간편하고 신속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틸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과, 조립의 견고성을 보장하는 이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조절턱을 구비한 래치를 스티어링 컬럼에 힌지수단으로 연결하고, 스티어링 컬럼의 장공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조절노브가 래치의 일단부와 고정수단으로 연결되게 하며, 플로어측 패널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조절편의 상단부가 상기 조절턱에 삽입되게 형성하여 스티어링 휠의 틸팅위치를 설정하게 하며, 래치에 인장 고정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을 스티어링 컬럼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KR2019940017636U 1994-07-16 1994-07-16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KR960004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36U KR960004530Y1 (ko) 1994-07-16 1994-07-16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36U KR960004530Y1 (ko) 1994-07-16 1994-07-16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63U KR960004863U (ko) 1996-02-16
KR960004530Y1 true KR960004530Y1 (ko) 1996-06-03

Family

ID=1938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636U KR960004530Y1 (ko) 1994-07-16 1994-07-16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5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63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9345B2 (en) Structure for extending bed of pickup truck
US5531317A (en) Tilt-type steering column device
JPH09323542A (ja) ガラスホルダー
JP4075543B2 (ja) ミラー駆動装置
KR960004530Y1 (ko) 중장비용 스티어링 휠의 틸팅장치
US4815331A (en) Right-hand steering wheel for an automobile
JP3109319B2 (ja) ケーブルの位置調整構造
KR0150908B1 (ko) 틸트와 텔레스코트 기능을 갖는 스티어링 컬럼구조
JPS6291363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装置
KR0135138Y1 (ko) 자동차 패널의 용접장치
JP3128587B2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4427894B2 (ja) 自動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0139745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
KR0178650B1 (ko) 틸트장치
JPH0643186B2 (ja) メモリ−機構付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05029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위치조정장치
KR100334876B1 (ko) 차량용 조향컬럼의 록/언록장치
JPH0243825Y2 (ko)
KR19990024912U (ko) 자동차의 조향축 조절장치
JPH054757Y2 (ko)
KR100764187B1 (ko)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마운팅 힌지구조
JPH0744545Y2 (ja) ダイナモの起倒用遠隔装置における連結ロッドの連結構造
JP2606137Y2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770435B2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0126863Y1 (ko) 스티어링 휠의 기울기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