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65Y1 -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65Y1
KR960003665Y1 KR2019900014946U KR900014946U KR960003665Y1 KR 960003665 Y1 KR960003665 Y1 KR 960003665Y1 KR 2019900014946 U KR2019900014946 U KR 2019900014946U KR 900014946 U KR900014946 U KR 900014946U KR 960003665 Y1 KR960003665 Y1 KR 960003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upper holder
cam drive
slide
cam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129U (ko
Inventor
강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4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665Y1/ko
Publication of KR920006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30B1/261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by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상홀더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홀더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드라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슬라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스물 10 : 상홀더
11 : 펀치 고정판 12 : 스프리퍼 Ⅰ
13 : 가이드 부재 14 : 탄성부재
15 : 이동 공간 16 : 캠슬라이드 수용부
17 : 가이드핀 18 : 가이드부쉬
19 : 펀치부재 20 : 하 홀더
21 : 다이 22 : 스트리퍼 Ⅱ
23 : 슈트 30 : 캠드라이브
31 : 돌설부 40 : 캠슬라이드
41 : 삽탈부 42 : 고착부
본 고안은 프레스의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스물을 사이드 피어싱(SIDE PIERCING) 작업을 하기 위해서, 금형의 상홀더에 캠드라이브와 펀치부재를 배설시킨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레스물을 사이드 피어싱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상홀더에 캠드라이브를 배설하고, 금형의 하홀더에 캠슬라이드 및 이 캠슬라이드를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 장치를 배설하여서, 상홀더의 하강에 의해 상홀더에 배설된 캠드라이브가 하홀더에 배설된 캠슬라이드를 이동시켜서 프레스물을 사이드 피어싱 작업을 한 후, 상홀더의 상승에 의해서 캠드라이브가 캠슬라이드로부터 이탈되면서 복원장치가 작동되어 캠슬라이드를 복원시켜 사이드 피어싱된 프레스물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였다.
이와 같이, 프레스물을 사이드 피어싱 작업하기 위해서는 금형의 하홀더에 캠슬라이드 및 복원장치가 배설됨으로써, 금형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금형 제작 시간 및 금형 세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홀더에 배설된 복원장치 및 잦은 고장으로 프레스물의 불량률이 증가된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상홀더에 캠드라이브와 펀치 부재가 삽입 고착된 캠슬라이드를 배설하여서, 상홀더가 하강됨에 따라 캠슬라이드가 이동되어서 프레스물을 용이하게 사이드 피어싱 작업한 후, 상홀더가 상승됨에 따라서 캠드라이브가 캠슬라이드를 복원시켜서 사이드 피어싱된 프레스물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는, 상홀더의 하부면에 고착되고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돌설부가 형성된 캠드라이브와, 상기 캠드라이브에 형성된 돌설부가 삽탈되도록 삽탈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홀더의 하강에 의해서 다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홀더의 상승에 의해서 다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캠슬라이드와, 상기 캠슬라이드가 다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캠슬라이드를 수용하는 캠슬라이드 수용부가 형성된 스트리퍼 Ⅰ과, 상기 스트리퍼 Ⅰ의 하부면에 고착되어서 상기 캠드라이브를 가이드하고 상기 캠슬라이드가 이동되도록 이동 공간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홀더에 캠드라이브와 펀치부재가 삽입 고착된 캠슬라이드가 배설됨으로써, 금형의 크기가 소형화됨은 물론, 금형 제작 시간 및 금형 세팅 시간이 감소되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캠드라이브에 의해 캠슬라이드가 원활히 복원되어서 프레스물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상홀더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상홀더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캠슬라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참고부호 (10)은 도시되지 않은 프레스의 슬라이드에 고착되어서 상하 왕복 운동을 하는 상홀더로써, 하부면에는 펀치 고정판(11)이 고착되고, 이 펀치 고정판(11)의 하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트리퍼 볼트에 의해서 상기 상홀더(10)에 캠슬라이드 수용부(16)가 형성된 스트리퍼 Ⅰ(12)가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상홀더(10)와 스트리퍼 Ⅰ(12) 사이에는, 상기 상홀더(10)가 하강될 경우 프레스물(1)의 충격을 완화시켜서 프레스물(1)의 찢어짐 등을 방지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4)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홀더(10)의 하부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 경사진 돌설부(31)가 형성된 캠드라이브(30)가 도시되지 않은 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착되어서, 그 하부 즉, 돌설부(31)가 상기 스트리퍼 Ⅰ(12)의 하부면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리퍼 Ⅰ(12)의 하부에는, 일면이 상기 캠드라이브(30)를 가이드하고 후술하는 캠슬라이드(40)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이동공간(15)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13)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드라이브(30)의 돌설부(3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일면이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지고 타측면이 개구된 삽탈부(41)가 형성된 캠슬라이드(50)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 부재(13)의 이동공간(15)에 위치한다. 또, 상기 캠슬라이드(40)의 일면에는 펀치부재(19)가 삽입 고착되는 고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홀더(10)의 하강에 의해서 캠드라이브(30)가 가이드부재(13)에 형성된 이동공간(15)의 일면에 가이드되면서 하강되어서 펀치부재(19)가 삽입 고착된 캠슬라이드(13)을 후술하는 다이(21) 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레스물(1)을 사이드 피어싱 작업을 한다.
또, 상기 상홀더(10)가 상승에 의해서 캠드라이브(30)에 돌설부(31)가 캠슬라이드(40)의 삽탈부(41)를 다이(21)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캠슬라이드(40)를 스트리퍼 Ⅰ(12)에 형성된 캠슬라이드 수용부(16)로 수용하여서 프레스물(1)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도 및 제2도에서 참고부호 (20)은 도시하지 않은 볼스터의 상부에 고착되는 하홀더로서, 상부 중앙에는 내부에 프레스물(1)의 스크랩이 취출되도록 슈트(23)가 형성되고 프레스물(1)을 재취시키는 다이(21)가 배설된다.
또 상기 다이(21)의 하부에는 사이드 피어싱된 프레스물(1)을 용이하게 취출하는 스트리퍼 Ⅱ(22)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에서 미설명부호 (17)은 가이드핀이고, (18)은 상기 가이드핀(17)을 수용하는 가이드 부쉬이다.
이와 같은 구성된 금형장치에 의하면, 상기 금형의 상홀더(10)가 하강됨에 의해 캠드라이브(30)가 가이드부재(13)에 형성된 이동공간(15)의 일면에 접촉되면서 하강되어 펀치부재(19)가 삽입고착된 캠슬라이드(40)를 다이(21)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다이(21)에 재치된 프레스물(1)을 사이드 피어싱한다.
이때, 프레스물(1)의 스크랩은 다이(21)의 내부에 형성된 슈트(23)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 상기 금형의 상홀더(10)가 상승됨에 의해 캠드라이브(30)의 돌설부(31)가 캠슬라이드(40)의 삽탈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캠슬라이드(40)는 다이(2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리퍼 Ⅰ(12)의 캠슬라이드 수용부(16)에 수용되어 사이드 피어싱 된 프레스물(1)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에 의하면, 캠드라이브와 캠슬라이드가 상홀더에 배설되고 복원장치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금형의 크기가 소형화됨은 물론, 금형 제작 시간 및 금형 세팅 시간이 감소되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홀더가 상승됨에 따라 캠슬라이드가 캠드라이브에 의해서 원활히 복원되어서 복원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프레스물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상홀더(10)의 하부면에 고착되고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돌설부(31)가 형성된 캠드라이브(30)와, 상기 캠드라이브(30)에 형성된 돌설부(31)가 삽탈되도록 대응되고 삽탈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상홀더(10)의 하강에 의해서 다이(21)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홀더(10)의 상승에 의해서 다이(2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캠슬라이드(40)와, 상기 캠슬라이드(40)가 다이(21)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캠슬라이드(40)를 수용하는 캠슬라이드 수용부(16)가 형성된 스트리퍼 Ⅰ(12)와, 상기 스트리퍼 Ⅰ(12)의 하부면에 고착되고 상기 캠드라이브(30)를 가이드하며 상기 캠슬라이드(40)가 이동되도록 이동공간(15)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드라이브(30)는 상기 가이드부재(13)에 형성된 이동공간(15)의 일면에 가이드되어 상하 운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슬라이드(40)에는 일면에 고착부(42)가 형성되어서 프레스물(1)을 사이드 피어싱하는 펀치부재(19)가 삽입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슬라이드(40)는 상기 캠드라이브(30)의 돌설부(31)에 의해서 상기 상홀더(10)가 상승될 경우 복원되어서 프레스물(1)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캠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KR2019900014946U 1990-09-27 1990-09-27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KR960003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946U KR960003665Y1 (ko) 1990-09-27 1990-09-27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946U KR960003665Y1 (ko) 1990-09-27 1990-09-27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29U KR920006129U (ko) 1992-04-21
KR960003665Y1 true KR960003665Y1 (ko) 1996-05-04

Family

ID=19303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946U KR960003665Y1 (ko) 1990-09-27 1990-09-27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6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11B1 (ko) * 2006-09-29 2008-05-08 고범진 이종 내용물 펌핑용기의 노즐캡 제조용 성형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34B1 (ko) * 2007-05-16 2008-05-28 장세국 순차이송금형의 사면 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611B1 (ko) * 2006-09-29 2008-05-08 고범진 이종 내용물 펌핑용기의 노즐캡 제조용 성형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29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708A (ko) 캠 피어싱 스크랩 취출장치
KR960003665Y1 (ko) 상홀더에 캠드라이브 및 캡슬라이드가 배설된 금형장치
US2976754A (en) Blanking die means with resiliently supported stripper plate means
KR880000610B1 (ko) 프레스 안전방법 및 장치
JPH07314057A (ja) プレス金型構造
KR19990001538A (ko) 프레스 금형장치
JPH0340421Y2 (ko)
KR890009039Y1 (ko) 프레스용 트리밍 금형의 취출장치
KR100369182B1 (ko) 피어싱 프레스 장치의 스크랩 취출용 다이 부시
KR940007310Y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절단장치
KR900004103Y1 (ko) 프레스기에서 2종제품 단공정가공 금형장치
KR890009041Y1 (ko) 밴딩 및 해밍가공용 복합금형
KR19990030092U (ko) 캠 펀칭구조의 스크랩 제거장치
CN117259586B (zh) 钣金冲压模具
JPH11300696A (ja) 局部打抜き屑の除去装置
KR20020058726A (ko) 피어싱 프레스 장치
KR20060024991A (ko) 프레스 펀칭용 펀칭날
KR870000927Y1 (ko) 성형 프레스의 제품 취출장치
KR930000279Y1 (ko) 포밍 및 피어싱용 프레스금형
KR920004834Y1 (ko) 프레스의 드로우잉 제품의 트리밍 장치
JPH10113895A (ja) 打抜屑除去工具
KR890003348Y1 (ko) 가동식 다이를 이용한 밴딩금형
JPS6350030Y2 (ko)
KR200166004Y1 (ko) 지퍼탈피기의 치절장치
JP2606889B2 (ja) プレス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