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551B1 -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551B1
KR960002551B1 KR1019920020292A KR920020292A KR960002551B1 KR 960002551 B1 KR960002551 B1 KR 960002551B1 KR 1019920020292 A KR1019920020292 A KR 1019920020292A KR 920020292 A KR920020292 A KR 920020292A KR 960002551 B1 KR960002551 B1 KR 960002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re
belt
tip
inter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888A (ko
Inventor
쉬모데 하르트뮤트
스트롬 지그프레드
티힐레 헬뮤트
위베 올리히
다비드 베른드
헤트란드 데트레브
코른펠드 한스-죠히임
살텐 죠한-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베른드 할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베른드 할레르 filed Critical 웨이드뮐러 인테르파세 게엠베하 & 코우
Publication of KR93000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5Hand tools for crimping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 Y10T29/53209Terminal or connector
    • Y10T29/53213Assembled to wire-type conductor
    • Y10T29/53222Means comprising hand-manipulatable implement
    • Y10T29/53226Fastening by de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제1도는 절단부, 스트립핑부 및 크림핑부를 가진 조합 공구의 개략도.
제2도는 인접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부를 가진 크림핑부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와 같은 것으로 상호 연결된 2개의 코어선단 슬리브 사시도.
제4도는 이송 플레이트를 가진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부와 크림핑 드럼의 사시도.
제5도는 각기 다른 형상의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부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8,58b : 이송장치 58c : 탄성브라켓
58d : 후방수평암 58e : 암
64 : 베이스 64a : 치형부
65,66 : 측벽 67 : 안내홈
68 :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 70 : 금속슬리브
71 : 플라스틱 슬리브 72 : 돌출부
73 : 천공슬롯
본 발명은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경우 전방영역에 금속슬리브와 후방영역에 이 금속슬리브와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플라스틱 슬리브를 갖고서, 플라스틱 슬리브에 의해 코어선단 슬리브가 상호 연결되는 코어선단 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또한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립핑(Crimping)장치는 이미 유럽특허번호 EP-Al-0,327,452에 개시되었다.
이에 의해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코어선단 슬리브는 벗겨낸 도선선단상에 크림프될 수 있다.
각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는 전방영역에 금속슬리브를 가지며, 후방영역에 금속슬리브와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그와 영구적으로 연결된 플라스틱 슬리브가 형성된다.
이때, 코어선단 슬리브는 플라스틱 슬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는 베이스와 상호 대향측벽을 갖는 그루브(groove)형상의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에 안내된다.
이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는 플라스틱 슬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는 베이스와 상호 대향측벽을 갖는 그루브 형상의 코어산단 슬리브 안내트랙에 안내된다.
이 경우 상호 측벽들간의 거리는 각가의 종방향에서 직각으로 이송된 코어선단 슬리브의 길이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두께가 다른 도선에 대한 다른 두께를 갖는 코어선단 슬리브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서로 다르고 대체 가능한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들이 공지의 크림핑 장치에 제공된다.
각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은 단 한종류의 코어선단 슬리브를 지자하는데 적합하므로서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은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코어선단 슬리브를 사용할때는 언제든지 변경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코어선단 슬리브들이 크림프되는 도선의 단면 크기에 관계없이 하나 또는 동일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에서 이송될 수 있는 코어선단 슬리브를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도록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의 안내트랙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선단 슬리브의 플라스틱 슬리브는 각 경우 그 후방단에 벨트의 외측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향하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의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은 측벽중 하나가 베이스의 연장부에 형성되어 안내트랙을 따라 각각의 이송중 조립식으로 코어선단 슬리브의 돌출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안내홈을 갖는다.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는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으로 밀려들어가므로서 각각의 돌출부는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의 베이스에 고정된다.
이 경우, 이들 돌출부는 안내홈으로 돌출한다.
돌출부없이 도시된 코어선단 슬리브의 길이는 상호 안내트랙의 측벽거리와 매칭(matching)되므로서, 코어선단 슬리브는 각각의 종방향으로 과도한 작용이 일어나지 않고 벨트의 종방향과 각각이 종방향에 직각으로 안내트랙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트랙의 베이스에 대한 안내홈의 직각 높이는 돌출부의 대응높이의 매칭되므로서, 코어선단 슬리브는 실제로 어떤 작용없이 안내트랙의 베이스에 직각으로 지지된다.
예를들면 도선 단면이 0.5㎟, 0.75㎟, 1.0㎟, 1.5㎟ 그리고 2.5㎟으로 크림프될 수 있는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슬리브 코어선단에 대하여 벨트의 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각각의 돌출부 높이는 플라스틱 슬리브의 직경과 무관하게 되어, 동일 코어선단 안내트랙이 각기 다른 크기의 코어선단 슬리브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내트랙 측벽간의 거리는 돌출부가 없는 코어선단 슬리브 길이에 매칭된다.
따라서 각기 다른 도선단면에 대한 코어선단 슬리브는 동일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 플라스틱 슬리브들이 모든 단면크기에 대하여 동일 길이로 될 경우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들은 안내트랙의 홈 종방향에 존재하는 스텝에 의해 각각의 종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돌출부가 없는 플라스틱의 길이는 스텝과 종방향홈이 위치된 측벽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이때, 금속슬리브는 스텝위에 고정된다.
이 경우 가장 작은 도선단면에 대한 코어선단 슬리브의 금속슬리브는 스텝에 직접 놓일 수 있는 반면, 더큰 도선단면에 대한 코어선단 슬리브의 금속슬리브는 스텝 상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경우 플라스틱 슬리브는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벨트의 종방향 및 그 후방에 형성된 천공슬롯을 갖는다.
이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를 안내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안내트랙의 베이스로 부터 위치된 실제로 2개의 돌출부가 있다.
천공슬롯은 플라스틱 슬리브의 크기 또는 직경에 따라 더 크거나 더 작은 폭을 가지게 되므로서, 돌출부의 벨트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높이는 모든 경우 안내홈의 높이에 대응한다.
플라스틱 슬리브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된 천공슬롯으로써,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는 단 하나의 돌출부만으로 불가능한 일단 또는 타단에 의해 안내트랙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다.
돌출부는 플라스틱 슬리브의 제작과 동시에 사출 성형된다.
안내홈 내측의 코어선단 슬리브의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안내홈에 대향한 안내트랙의 측벽상 특히 안내트랙의 끝단에 탄성가압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이 좀더 정확한 위치 결정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이들의 안내트랙의 선단에서 크림핑 장치의 요홈으로 이송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크림핑 장치는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코어선단 슬리브에 대하여 각기 다른 요홈을 갖는 크림핑 드럼으로 될 수 있다.
탄성 가압요소는 일단 요홈이 코어선단 슬리브에 부하가 작용하면 크림핑 드럼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특히 유리하다.
상기 크림핑 드럼은 안내홈을 갖는 측벽에서 제거되고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가 이것과 함께 이동한다.
요홈에 위치한 코어선단 슬리브가 크림핑 드럼의 적당한 회전에 의해 정확히 계속될때까지 벨트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경우, 이동된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것은 탄성 가압요소에 의해 실시된다.
이 가압요소는 코어선단 슬리브를 안내홈을 포함한 측벽에 대하여 가압함에 따라 돌출부를 다시 안내홈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코어선단 슬리브는 다음 작동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안내트랙의 선단영역에서 코어선단 슬리브의 위치 결정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서도, 베이스는 안내트랙의 선단 치형 열에 제공된다.
또한, 이 치형열은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가 크림핑 드럼에서 제거될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를 체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블레이드는 안내트랙의 선단에 있는 베이스영역에 위치될 수 있고, 이 블레이드는 크림핑 드럼이 회전함과 동시에 요홈에 위치한 코어선단 슬리브가 블레이드를 통과 이동될 경우 서로로부터 코어선단 슬리브를 분리한다.
코어선단 슬리브를 가진 요홈에 부하를 걸기 위하여, 코어선단 슬리브를 단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장치는 안내트랙 상측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이송장치는 크림핑 드럼과 동기하여 구동되거나, 그 회전에 의해 제어된다.
그 결과, 동기화 공정은 특히 쉽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의 이송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가 설치된 공구(1) 또는 조합공구를 도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선단 슬리브는 이들 공구(1)를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공구(1)는 몸체(2)를 가지며, 몸체(2)에는 상부핸들(3)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몸체(2)의 상부핸들(3)은 캐비티를 형성한다.
고정 클램핑턱(clamping)(4)은 몸체(2)의 전방하단에 끼워진다.
상부핸들(3)의 상부는 회전 가능한 커버(5)로 구성되므로서 몸체(2)에 부착된 축(6)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상부핸들(3)에는 몸체(2)의 일부 및 커버(5)와 함께 벨트의 형태로 서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22)의 계속적인 공급을 위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는 베이스(3a)가 위치된다.
몸체(2)의 하부에는 가동 클램핑턱(8)이 선회할 수 있도록 지지된 베어링핀(7)이 위치된다.
이 가동클램핑턱(8)은 몸체(2)에 정열되고 공구(1)의 핸들단을 향하여 베어링핀(7)의 측면상에 지지된 제어면(9,9a)을 가진다.
가동 클림핑턱(8)은 제어면(9,9a)상에 형성된 조인트레버(10)에 의해 베어링핀(7) 주위에서 회전 또는 구동된다.
공구(1)의 하부핸들(11)은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핀(13)에 의해 몸체(2)에 결합된 구동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조인트레버(10)는 베어링핀(13)의 전방에 위치한 지점의 구동부(12)에 조인트식으로 연결된다.
상,하핸들(3,11)이 서로를 향하여 가동될 경우, 조인트레버(10)는 제어면(9,9a)상에서 떨어져서 클램핑턱(4,8)이 먼저 폐쇄되고, 조인트레버(10)가 제어면(9a) 상에서 작용할 경우 다시 계속 개방한다. 구동부(12)의 몸체(2) 상이에 인장되게 걸어진 인장스프링(14)은 상,하핸들(3,11)을 원위치(개방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된다.
구동부상에 형성된 치형부(15)는 실제가압상태로 상,하핸들(3,11)을 체결하기 위하여 몸체(2)상에 탄성 가동식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된 체결축(16)과 함께 사용된다.
고정, 가동 클램핑턱(4,8)은 또 다른 부품과 함께 도선의 절연부를 벗겨내기 위하여 스트립핑부를 형성하는 한편, 몸체(2)의 하부 영역에 전기적인 도선을 통하여 절단하기 위한 또 다른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2)에 부착된 블레이드(44)와 핸들(11)의 카운터 베어링(43)은 절단되는 도선을 지지하기 위하여 절단부를 형성한다.
크림핑부(17)는 상방 및 전방에 위치한 몸체(2)의 일부에 정열된다. 이 크림핑부는 몸체(2)에 부착된 축(18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크림핑 드럼(18)을 가진다.
크림핑 레버(19)는 몸체(2)에 부착된 축(A)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크림핑 스탬프(56)가 제공된다. 크림핑 레버(19)의 자유단은 핀(40)에 의해 구동부(12)내측에 위치된 절곡 안내트랙(39)에 결합된다.
상,하핸들(3,11)에 서로를 향하여 가동될 경우, 크림핑 레버가 제어되면서 이동되고, 이때문에 크림핑 스탬프(56)가 크림핑 드럼(18)의 방향으로 가동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크림핑 드럼(18)은 그 외주상에 균일하게 분포된 다수의 요홈(47,48,49)이 형성된다.
이들 요홈은 각기 다른 단면을 가진 코어선단 슬리브(22)를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예를들면, 도선단면이 0.5㎟, 0.75㎟인 코어선단 슬리브가 요홈(47)에 걸리게 될 수 있는 한편, 요홈(49)은 도선단면이 1.0㎟, 1.5㎟인 코어선단 슬리브를 지지하는데 적합하도록 되어있다.
요홈(49)은 도선단면 2.5㎟인 코어선단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요홈(47)은 코어선단 슬리브가 공급 및 이송부(23)에 수용될 수 있는 작동위치에 위치된다.
이미 벗겨진 도선이 요홈(47)에 위치된 코어선단 슬리브내에 삽입될 경우, 크림핑 드럼(18)은 축방향에서 후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도선선단은 체결러그(52)상에서 작용하고, 상기 러그에 의해 크림핑 드럼(18)이 그것과 함께 걸리게 된다.
각 경우 요홈(47,48,49)의 선단에는 체결러그(52)가 형성된다.
크림핑 드럼(18)이 이와같이 축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드럼은 각진 안내트랙으로 돌출한 핀에 의해 구동부에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도시되지 않은 이송레버의 쌍을 이룬다.
크림핑 드럼(18)은 후방측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각 경우 이에 대응하는 요홈을 갖는 돌출부(54)에 의해 이송 레버의 쌍을 이룬다. 크림핑 드럼(18)이 이송레버에 의해 구동부(12)의 쌍을 이룰 경우, 상기 드럼은 상,하핸들(3,11)이 함께 가압될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요홈(47)이 작동위치에서 크림핑 위치로 회전되어 나온다. 일단 요홈(47)이 크림핑위치에 도달하면, 크림핑 스탬프(56)는 상,하핸들(3,11)이 동시에 가압될 경우 크림핑 위치로 안내되므로서, 도선선단과 코어선단 슬리브는 서로 크림프된다.
상,하핸들(3,11)이 해제될 경우, 크림프 스탬프(56)가 처음의 크림핑 위치로 부터 이동되는 한편, 크림핑드럼(18)은 계속해서 반대방향 후방으로 회전되므로서, 요홈(47)은 다시 크림핑 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송된다.
크림핑 드럼(18)이 이와같은 전체 회전 공정시, 상기 드럼은 하우징(제4도 참조)에 고정된 적합한 체결벽(53) 후방에 결합된 체결러그(52)로서 정확하게 그 축방향 이동위치에 체결된다.
또한, 크림핑 드럼(18)은 이동되지 않은 위치에서 코어와 슬리브에 부하가 걸려있지 않을 경우 손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서, 소저으이 요홈(47,48,49)이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이와같은 회전위치는 그 전방축에 있는 돌출부(50)에 체결되고 몸체(2)의 내벽상에 대응하는 개구로 가압된다.
이를 위해 스프링은 크림핑 드럼(18)의 후방축과 몸체(2)의 후방 하우징벽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이와같이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체결러그(520)가 체결벽(53)후방으로 다시 돌출할 경우 크림핑드럼(18)이 전방으로 밀려지는 수단에 의한다.
제1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어선단 슬리브(22)용 공급 및 이송부(23)는 베이스(3a)의 전방에 정열되고 크림핑 드럼(18)에 인접 위치 되어있다.
이와같은 공급 및 이송부(23)는 코어선단 슬리브(52)를 순차로 공급하기 위한 이송부(58)(이송장치)를 갖는다.
이송 플레이트(58)는 스프링(58a)의 도움으로 크림핑 드럼(18)의 방향으로 미리 인장된다.
그 하부에는 코어선단 슬리브(22)상에서 작용하는 이송플레이트(58)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탄성력(59)이 제공된다.
이송플레이트(58)는 베이스(3a)에 반드시 평행하게 설치되고, 러그(59)는 크림핑 드럼(18)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향한다.
크림핑 드럼(18)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크림핑 드럼의 후방으로 이송플레이트(58)를 평행하게 이동시킴에 따라 코어선단 슬리브(22)는 이와함께 파지되면서 크링핑 드럼(18)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플레이트(58)가 크림핑 드럼에서 떨어져 이동될 경우, 러그(59)는 코어선단 슬리브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단지 이들 위쪽으로 미끄러진다.
이와는 달리, 이송플레이트(58)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전체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는 이와함께 파지된다.
따라서, 이때 최선단 코어선단 슬리브가 작동 위치로 요홈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크림핑 드럼(18)은 아직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탄성 러그(59a)는 베이스(3a)를 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러그는 크림핑 드럼(18)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코어선단 슬리브(22)가 크림핑 드럼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탄성러그(59a)는 영구히 고정된다.
이들 탄성리그(59a) 대신에, 베이스(3a)는 예를들면 코어선단 슬리브(22)의 동시 이동을 방지하는 3개 이상의 치형부(제4도)를 갖는 일열의 치형부(64a)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크림핑 드럼(18)에 인접하는 제1열의 치형부(64a)는 부하를 받는 코어선단 슬리브에 대하여 가능한한 한정된 초기 위치를 얻기 위해 다른 치형부보다 더 크거나 더 높게 될 수 있다.
제4도는 이동플레이트(58)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를 도시한다.
특히, 이와같은 이송플레이트(58)는 전방측상으로 경사면(61)을 갖는다. 크림핑 드럼(18)이 도선선단을 요홈으로 삽입시 축방향 후방으로 이동될 경우, 하나의 돌출부(54)는 경사면(61)상부에 고정된다.
크림핑 드럼(18)의 연속적인 회전시, 크림핑 드럼(18)에서 떨어진 이송플레이트(58)는 돌출부(54)가 경사면(61)상에서 작용하므로 이동되고, 돌출부에 의해 이송플레이트(58)을 떨어지게 한다.
그 다음 러그(59)는 공급 및 이송부(23)에 위치된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 위쪽으로 탄성을 받으며 미끄러지지만, 스프링력 때문에 크림핑 드럼의 방향으로 그것을 인장시킨다.
크림핑 드럼(1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요홈에 있는 코어선단 슬리브는 하우징에 고정된 블레이트(63)의 근처로 처음으로 이동되고, 이것이 크림핑 위치에 도달하기전 코어선단 슬리브의 고정상태에서 제2에 도시된 상기 블레이드에 위해 절단된다.
크림핑 드럼(18)이 크림핑 공정이 완료된 후 초기 위치로 되돌아 회전될 경우, 돌출부(54)는 경사면(61)을 처음으로 해제한다.
그러나, 이 경우 이송플레이트(58)는 요홈이 아직 작동위치에 도달되지 않았으므로 크림핑부(18)로 되돌아 이동되지 않는다.
이 보다는 오히려 다음 코어선단 슬리브가 크림핑 드럼(18)의 외주상에서만 처음으로 고정된다.
요홈이 작동위치에 도달하자마자 이송플레이트(58)의 이동은 요홈의 공간이 다음 코어선단 슬리브에 대해 유용하므로 해제된다.
따라서, 스프링(58a)은 이송플레이트(58)를 크림핑 드럼(18)의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코어선단 슬리브가 요홈에 걸려 작동된다.
이와 동시에 크림핑 드럼(18)은 그 전방으로 다시 이동된 위치에 있게되고, 여기서 이송레버와 더 이상 결합되지 않는다.
제5도는 그 이송플레이트(58b)의 영역에서 공급 및 이송장치(2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러그 또는 브러시 대신에, 이송플레이트(58b)는 예를들면, 강철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탄성 스프링요소(58)를 그 하부에 설치한다.
이 탄성 스프링요소(58c)는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상에 고정되어 코어선단 슬리브(22)를 각각의 베이스(3a,64)에 대하여 가압하는 수평 암(58d)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스프링 요소(58c)의 크림핑 드럼(18)의 방향 또는 그 상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암(58c)은 크림핑 드럼(18)의 다음에 위치된 코어선단 슬리브(22)와 다음 코어선단 슬리브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결합한다.
그 이유는 이송플레이트(58b)를 가진 스프링 요소(58c)가 크림핑 드럼(18)을 향하여 이동될 경우 작동위치에 있는 요홈(이 경우 47)으로 처음에 언급한 코어선단 슬리브를 밀기 때문이다.
암(58e)은 공급방향에서 본 수평암(58d)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송플레이트(58b)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수평암(58d)은 슬리브와 함께 이동 하지 않고 코어선단 슬리브 상으로 떨어져 미끄러진다.
암(58e)과 수평암(58d)은 또한 별도의 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고, 이송플레이트(58b)에 연결될 수 있다.
코어선단 슬리브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치형부 종방향에 있는 상기 치형부(64a)에 의해, 이송플레이트(58b)가 크림핑 드럼(18)에서 제거될 경우 이동이 방지된다.
제2도는 공급 및 이송장치(23)의 코어 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은 그부르 형상으로 구성되며, 참조번호(63)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루브 그 자체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베이스(64)와 상호 대향 측벽(65,66)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64)는 상부 핸들측의 베이스(3a)의 연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벨트이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22)는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종방향 또는 그루브 방향으로 이송되고, 각각의 코어선단 슬리브들(22)은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종방향 직각으로 각각 정지된다.
코어선단 슬리브(22)는 상기와 같이 적당한 방법으로 상호 연결된다. 측벽(65)에 위치된 안내홈(67)은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6)내측에서 코어선단 슬리브(22)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이 안내홈(67)은 베이스(64)를 측벽(65)내로 연장하여 얻어지고 베이스(64)에 대해 홈높이(h)를 갖는다.
안내홈(67)은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의 전길에 걸쳐 그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다른 측벽(66)은 측벽(65)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미리 연장된 탄성 가압요소(68)를 가진 그전방영역에 제공된다.
예를들면 이 탄성 가압요소(68)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고 측벽(66)에 연결된 러그로 될 수 있다.
탄성 가압요소(68)는 크림핑 드럼(18)이 축방향에서 후방으로 이동된 후 측벽(65)에 대하여 코어선단 슬리브(22)의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를 가압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문에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는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전방영역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의 전방영역내에 있는 코어선단 슬리브들은 전체적으로 측벽(65)에 더이상 고정되지 않게되므로서, 코어선단 슬리브 벨트에서 요홈(47)에 위치된 코어선단 슬리브가 분리된 후 측벽(65)의 방향으로 나머지 코어선단 슬리브(22)의 후방 이동이 필요하다.
후방으로 회전된 후 크림핑 드럼(18)은 다시 그 축방향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 새로운 작동 공정이 일어난다.
이때, 요홈(47)과 다음 코어선단 슬리브는 상호 정열된다. 베이스(64)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69)를 형성하기 위해 크림핑 드럼(18)의 근처와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전방영역에서 하방으로 굽어져 있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플레이트(58)가 측벽(66)의 영역에서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상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도에 따른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에 사용하기 위한 코어선단 슬리브를 구성을 도시한다.
제3도에 따르면, 전방영역에 위치된 금속슬리브(70)와 후방영역에 위치한 플라스틱 슬리브(71)로 구성된 각 코어선단 슬리브는 금속슬리버(70)위로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금속슬리브(70)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플라스틱 슬리브(71)는 플라스틱 웨브(Webs) (6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 웨브(62)는 크링핑 드럼(18)의 회전시 블레이드(63)에 의해 절단되고, 플라스틱 슬리브(71)의 종방향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플라스틱 슬리브(71)에 일체로 연결된 돌출부(72)는 플라스틱 슬리브(71)의 후방선단 즉, 금속슬리브(70)에 떨어져 대면하는 플라스틱 선단(71)의 선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돌출부(72)는 후방으로 플라스틱 슬리브(71)의 연장부로 간주될 수 있고, 즉, 플라스틱 슬리브(71)의 외주형상을 갖는다. 돌출부(72)는 코어선단 슬리브(32)에 의해 설정된 벨트의 평면에 대하여 외부 벨트면상에 고정된다.
다시말하면,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가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내측에 위치될 경우, 돌출부(72)는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베이스(64)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돌출부(72)는 안내홈(67)에 결합됨에 따라 벨트의 평면과 베이스(64)에 직각으로 형성된 높이(h)를 갖는다. 이 높이는 홈높이(h)에 매칭된다.
이 경우 돌출부(72)의 높이(h)는 홈높이(h)보다 다소 작기 때문에 돌출부(72)는 작은량의 작동만으로도 안내홈(67)의 종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22)의 길이는 금속슬리브(70)의 자유단이 홈(67)에 대향 위치된 측벽(66)을 통하여 안내된다.
따라서,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의 종방향 또는 홈방향으로 코어선단 슬리브(22)의 이송이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돌출부(72)는 벨트의 종방향 그리고 그 후방선단상에 형성된 천공슬롯(73)이 제공된 플라스틱 슬리브(71)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72)에 대향되니 안내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또 다른 돌출부가 얻어진다.
크기가 다른 도선 단면을 코어서단 슬리브(22)는 코어선단 안내트랙(63)의 도움으로 예를들면 도선단면이 0.5/0.75㎟, 1.0/1.5㎟ 그리고 2.5㎟인 코어선단 슬리브에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선단 슬리브가 각기 다른 도선단면에 대하여 각기 다른 직경을 갖지만, 항상 각각의 플라스틱 슬리브(71)의 후방선단상에 돌출부(72)가 동일 높이(h)가 주어지지 않게 되므로서, 모든 돌출부는 코어 선단 슬리브를 위해 제공된 도선 단면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 안내홈(67)의 도움으로 측벽(65)에서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러가지 도선 단면용 코어선단 슬리브(22)는 동일 축방향길이를 가지므로서,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의 측벽은 홈(67)에 대향하고 코어선단 슬리브를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돌출부와는 별도로, 코어선단 슬리브(22)의 길이는 상기 슬리브를 위해 제공된 도선 단면과 관계없이 상호 측벽(65,66)의 거리에 대응한다.

Claims (11)

  1.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경우 전방영역에 금속슬리브(70)와, 후방영역에 이 금속슬리브(70)와 부분적으로 결합하고 이것에 영구적으로 연결된 플라스틱 슬리브(71)를 갖고서, 플라스틱 슬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코어선단 슬리브(22)에 있어서, 플라스틱 슬리브(71)는 각가의 후방선단상으로 벨트의 외측에 고정되고 후방을 향하는 돌출부(72)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각 경우 플라스틱 슬리브(71)가 돌출부(72)를 형성하기 위해 벨트의 종방향으로 그리고 그 후방선단에 형성된 천공슬롯(7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3. 제1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벨트의 평면에 직각으로 형성된 돌출부(72)의 높이(h)가 플라스틱 슬리브의 직경과 별도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4. 베이스(64)와 상호 대항 측벽(65,66)을 가진 홈형상의 코어선단 슬리브 안내트랙(63)을 구비한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와 그 이송용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측벽이 베이스(64)의 연장부에 결합되고 안내트랙(63)을 따라 각각의 이송이 코어선단 슬리브(22)의 돌출부(72)를 끼워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안내홈(67)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안내홈(67)에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66)의 선단영역에 안내홈(67)의 방향으로 미리 인장되어 걸어지는 탄성가압요소(68)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왕복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송장치(58,58b)가 코어선단 슬리브(22)의 계단식 피딩을 위해 안내트랙(63) 상부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7. 제4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베이스(64)는 이송장치(58,58b)가 후방으로 밀릴 경우 코어선단 슬리브벨트가 후방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치형부(64a) 열을 가진 안내트랙(63)의 선단상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이송장치(58)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피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향하는 다수의 탄성러그(59)를 그 하부에 지지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이송장치(58b)가 그 하부에 탄성 브라켓(58c)을 지지하고 공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하고 공급방향이 전방에 위치된 암(58e)과 후방 수평암(58d)을 구비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탄성브라켓(58c)이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슬리브(71)를 상호 분리시키기 위한 블레이트(63)가 그 베이스(64)의 영역내의 안내트랙(63) 선단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의 형태로 상호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이송장치.
KR1019920020292A 1991-11-04 1992-10-31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KR960002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136301.9 1991-11-04
DEP4136302.7 1991-11-04
DE4136301A DE4136301A1 (de) 1991-11-04 1991-11-04 Gurtfoermig miteinander verkettete aderendhuelsen und vorrichtung zu ihrem 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88A KR930009888A (ko) 1993-06-21
KR960002551B1 true KR960002551B1 (ko) 1996-02-22

Family

ID=644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292A KR960002551B1 (ko) 1991-11-04 1992-10-31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00941A (ko)
EP (1) EP0540879B1 (ko)
JP (1) JPH088137B2 (ko)
KR (1) KR960002551B1 (ko)
AT (1) ATE132301T1 (ko)
CA (1) CA2082017C (ko)
DE (2) DE4136301A1 (ko)
TW (1) TW2128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1224C1 (de) * 1992-12-08 1994-01-20 Wezag Gmbh Werkzeug zum Verpressen von isolierten Aderendhülsen in Bandform
FR2806842B1 (fr) * 2000-03-24 2004-03-26 Legrand Sa Pince de distribution et de sertissage pour des accessoires de cablage a sertir tels que des embouts et dispositif d'avance pour une telle pince
US7124499B2 (en) * 2003-07-29 2006-10-24 Simpler Networks Inc. Apparatus for installing a length of wire
DE202006002004U1 (de) * 2006-02-07 2007-06-2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bmantelwerkzeug
CN104009362B (zh) * 2014-05-26 2016-05-18 宁波江丰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多股通信线缆集合压制的装置及方法
TWM521832U (zh) * 2015-12-11 2016-05-11 Hanlong Ind Co Ltd 壓接鉗
BE1027095B1 (de) * 2019-03-05 2020-10-05 Phoenix Contact Gmbh & Co Magazin zur Verarbeitung von Aderendhülsen und Handwerkzeug zum Verpressen von Aderendhülsen
DE102019117856A1 (de) * 2019-07-02 2021-01-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agazin zur Verarbeitung von Aderendhülsen und Handwerkzeug zum Verpressen von Aderendhüls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0610A (en) * 1970-06-05 1973-01-16 Bunker Ramo Wire terminal crimping tool
DE2402187C3 (de) * 1974-01-17 1980-02-07 C. A. Weidmueller Kg, 4930 Detmold Hand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FR2626803B1 (fr) * 1988-02-05 1991-12-06 Legrand Sa Distributeur a machoires de sertissage pour accessoire de cablage a sertir, en particulier embout
DE4008515A1 (de) * 1990-03-16 1991-09-19 Zoller & Froehlich Hand-pressgeraet
DE4104736A1 (de) * 1991-02-15 1992-08-27 Weidmueller C A Gmbh Co Crimpbares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zum anwenden in einem crimpgeraet mit integrierter zufuehrung, und crimpgeraet zum verarbeiten dieser anschlusselem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00941A (en) 1995-03-28
DE4136301A1 (de) 1993-05-06
TW212858B (ko) 1993-09-11
JPH05217654A (ja) 1993-08-27
DE59204829D1 (de) 1996-02-08
EP0540879A1 (de) 1993-05-12
KR930009888A (ko) 1993-06-21
CA2082017A1 (en) 1993-05-05
ATE132301T1 (de) 1996-01-15
CA2082017C (en) 2002-05-14
JPH088137B2 (ja) 1996-01-29
EP0540879B1 (de) 1995-12-27
DE4136301C2 (ko) 199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0998A (en) Tongs for dressing conductor ends
US4031613A (en) Closed barrel terminal applicator
KR100225316B1 (ko) 와이어압착소켓 커넥터 제조 방법 및 장치
KR960002551B1 (ko) 벨트로 연결된 코어선단 슬리브 및 그 이송장치
JPH1126137A (ja) 端子アプリケータ
US3553814A (en) Terminal applicator for terminals in strip form
JP5828526B2 (ja) 端子圧着機用の搬送機構
JPH0754729B2 (ja) 端子ストリップ圧着機械
EP0855767A2 (en) Device for mounting connector terminals used for wire harness
KR960013716B1 (ko) 도선 선단 드래싱용 플라이어
JPH0435849B2 (ko)
US4253222A (en) Apparatus for applying assembled connector terminals to a plurality of leads
JPS6226156B2 (ko)
CN111146661B (zh) 套环站
US4765044A (en) Semiautomatic termination apparatus for ribbon cable
EP3028351B1 (en) Feed mechanism for a terminal crimping machine
US42584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ctrical connectors
US4534098A (en) Apparatus for applying assembled connector terminals and the like to a plurality of leads
US3641641A (en) Covering for a connecting member
JPH0112792Y2 (ko)
JPH0514392B2 (ko)
JPH05212648A (ja) 部品供給装置
US4521960A (en) Apparatus for terminating flat flexible cables
JP3530038B2 (ja) 端子圧着機
EP0467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wire le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