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26B1 -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 Google Patents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26B1
KR960002426B1 KR1019930007557A KR930007557A KR960002426B1 KR 960002426 B1 KR960002426 B1 KR 960002426B1 KR 1019930007557 A KR1019930007557 A KR 1019930007557A KR 930007557 A KR930007557 A KR 930007557A KR 960002426 B1 KR960002426 B1 KR 960002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auxiliary power
circuit
starting means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216A (ko
Inventor
다까시 후루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오까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기다오까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2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7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safety arrangements or their actuating means, e.g. to pyrotechnic fuses or electro-mechanic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제1도는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4도는 제2도의 실시예의 동작 설명도.
제5도는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의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한 고장 진단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7도는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의 구성도.
제8도는 제7도의 실시예에 의한 고장 진단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9도는 종래의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적재 배터리(직류 전원) 3 : G 감지기(제1의 G 감지기)
4 : G 감지기(제2의 G 감지기) 5,6,8,13,16,27,37,28,38 : 저항
7 : 비교기 9 : 고장 진단 회로
10,20,30 : 기동 수단 12,22,32 : 보조전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에어백이나 시이트 벨트 프리텐셔너(pretensioner) 등 같이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고 동작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제9도는 예컨대 실개소 55-63245호 공보에 도시된 종래의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이다. 제9도에서 (1)은 차량 적재용 배터리 등의 직류 전원, (2)는 직류 전원 (1)과 직렬 접속된 점화 스위치, (3,4)는 충격으로 기계적 접점(3b),(4b)이 닫히는 G 감지기, (3a,4a)는 G 감지기(3,4)의 기계적 접점(3b,4b)과 병렬로 접속되며 이 기계적 접점이 열려있는 경우에 미소한 모니터 전류를 흘리기 위한 1KΩ 정도의 저항, (10,20,30)은 스퀴브(squibs)라 불리고 수 Ω의 저항값을 갖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수단, (11,21,31)은 각각의 기동 수단(10,20,30)에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 (12)는 충돌시에 직류 전원(1)으로부터의 전류 공급이 끊어져도 기동 수단(10,20,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이며, 저항(12a), 콘덴서(12b), 다이오드(12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G 감지기(4)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므로 전방 G 감지기라 불리며 정말로 승차원 보호 장치가 기동해야 할 충격을 감지했을 경우에만 기계적 접점(4b)이 닫히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G 감지기(3)는 차내에 설치되어 안전 G 감지기라 불리며 비교적 가벼운 충격으로도 기계적 접점(3b)이 닫히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G 감지기(3,4)의 기계적 접점(3b,4b)이 동시에 닫혔을때 직류 전원(1) 또는 보조 전원(12)으로부터 기동 수단(10,20,30)에 점화 전류가 공급되어 승차원 보호 장치가 작동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있으므로 1개의 급전 회로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기동 수단(10,20,30)의 저항값이 불균형이거나 어느 것인가 단락되어 있으며, 점화 전류가 균등하게 흐르지 않고 기동하지 않는 승차원 보호 장치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청구범위 제1 또는 2항의 발명은 상기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며 G 감지기의 수를 늘리지 않고 고장난 기동 수단이 다른 정상 기동 수단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응답성이 양호한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청구범위 제3 또는 4항의 발명은 기동 수단이나 G 감지기의 고장 진단을 개별적으로 행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으로부터 충전되는 제1의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전원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되는 제2의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에 의해 구성되고, 제1 및 제2의 기동 수단(10,20)은 상기 제1 및 제2의 보조 전원 장치(12,22)로부터 각각 전류의 공급을 받아 제1 및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이다.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 구성되고, 제1의 기동 수단(10)은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제2의 기동 수단(20)은 제1의 개폐 회로(3b)의 폐로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거쳐서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자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이다.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에 의해서 충전되는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 구성되고, 제1의 기동 수단(10)은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상기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하고 제2의 기동 수단(20)은 상기 제1의 개폐 회로(3b)의 단자간 전압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거쳐서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하고, 제1의 개폐 회로(3b)가 개로되었을 때 제1의 개폐 회로(3b)의 단자간 전압을 강제적으로 소정값으로 해서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개로시키는 차단 회로(8,4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이다.
제1의 기동 수단(10) 및 제2의 기동 수단(20)중 하나의 기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정도의 미소 전류를 흘릴 수 있게 하고, 이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기동 수단(10,20)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 수단(10,20)의 진단을 행하는 진단 장치(9)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범위 제1 내지 3항 기재의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이다.
[작용]
청구범위 제1항에서의 각 기동 수단(10,20)은 각각 독립해서 설치된 보조 전원 장치(12,22)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으므로 한쪽의 전원 고장으로 다른쪽의 기동 수단이 동작 불능에 빠지는 일이 없다. 또, 각 보조 전원 장치(10,20)는 일방향성 도통 소자(15,25)를 거쳐서 전류 전원(1)으로부터 충전되므로 한쪽의 보조 전원 장치 또는 기동 수단이 고장되어도 다른쪽의 보조 전원 장치 또는 기동 수단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기동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2항에서의 제2의 기동 수단(20)은 제1의 개폐 회로(3b)의 폐로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거쳐서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으므로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3)의 개폐 회로(3b)는 1개 설치되는 것만으로 되며,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3)과 보조 전원 장치(12,22)간의 배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서의 차단 회로(8),(4a)는 개폐 회로(3b)가 개로 했을 때의 단자간 전압을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개로시키는 전압으로 강제적으로 하므로 개폐 회로(3b)의 개로에 따라 즉시 반도체 개폐 소자(26)가 개로되며 동작에 시간 지연이 생기지 않으므로 제1의 개폐 회로(3b)가 개로되고 있으며 제2의 개폐 회로(4b)가 폐로 되었을 때 기동 수단(20)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서의 진단 회로(9)는 기동 회로(10,20)에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 회로(10,20)의 건전성 또는 고장 진단을 행하므로 기동 회로(10,20)의 신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제1도에서 (1~3,10,12,20,30)은 상기 제9도에 도시하는 종래예와 같은 것이므로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5,25,35)는 다이오드, (22,32)는 제9도에 도시한 보조 전원 (12)와 마찬가지인 보조 전원이며 저항(22a,32a), 콘덴서(22b,32b), 다이오드(22c,3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7)은 비교기이며 이 비교기(7)는 -입력 단자가 G 감지기(3)와 기동 수단(10)의 접속점(B)에 접속되며 +입력 단자는 G 감지기(3)의 전원측과 접지(100)간에 접속된 저항(5,6)의 접속점(A)에 접속되어 있다. 또, (26,36)은 기동 수단(20,30)의 전원측에 접속된 트랜지스터이며 이 트랜지스터(26),(36)는 비교기(7)의 출력에 의해 구동된다. (13)은 기동 수단(10)에 병렬로 접속된 1KΩ정도의 저항이다.
다음에 제1도의 실시예(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화 스위치(2)를 닫으면 다이오드(15,25,35)와 저항(12a,22a,32a)를 거쳐서 보조 전원(12,22,32)의 콘덴서(12b,22b,32b)가 충전된다. 그리고, G 감지기(3)가 열려있는 동안은 비교기(7)의 출력은 HIGH이며 트랜지스터(26,36)을 오프로 하도록 비교기(7)의 입자 단자 전압은 +단자>-단자로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G 감지기(3)의 접점(3b)이 닫히면 비교기(7)의 입력 단자 전압은 +단자>-단자로 되며 비교기(7)의 출력이 LOW로 되어서 트랜지스터(26,36)를 온 상태로 한다. 이 결과, 기동 수단(10),(20),(30)에는 배터리(1)로부터 다이오드(15,25,35)를 거쳐서 기동 전류가 기동되든가 또는 배터리(1)가 없는 경우엔 각각의 보조 전원(12,22,32)의 콘덴서(12b,22b,32b)로부터 다이오드(12c,22c,32c)를 거쳐서 기동 전류가 공급된다. 따라서, 기동 수단의 하나가 단락 등의 고장을 발생하고 있어도 다른 정상 기동 수단에 대한 통전에는 전혀 악영향을 끼치는 일이 없다.
또, 기동 수단(10)에는 저항(13)이 병렬 접속되어 있으므로 G 감지기(3)의 접점(3b)이 개방되고 있을 때 기동 수단(10)이 오픈해도 비교기(7)의 출력이 LOW로 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2]
제2도는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상기 제1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4)는 복수의 기동 수단(10,20,30)과 접지(100)간에 접속되며 소정 이상의 충격을 검출하면 접점(4b)를 닫는 제2의 G 감지기, (4a)는 접점(4b)과 병렬로 접속된 저항(11,21,31)은 기동 수단(10,20,30)으로부터 제2의 G 감지기(4)로 향해서 접속된 일방향 통전 소자로서의 다이오드, (8)은 제2의 G 감지기(4)와 다이오드(11,21,31)의 캐소드와의 접속점(c)와 점화 스위치(2)간에 접속된 1KΩ 전후의 저항(16,28,38)는 기동 수단(10,20,30)과 다이오드(11,21,31)의 애노드와의 접속점(D,E,F)과 접지(100)간에 접속된 1KΩ 전후의 저항이다.
다음에 제2도의 실시예 2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G 감지기(3)의 접점(3b)이 닫히는 동시에 트랜지스터(26,36)가 온 상태로 되는 동작은 실시예 1과 같다. 그리고 G 감지기(3)의 접점(3b)과 동시에 G 감지기(4)의 접점(4b)이 닫히면 기동 수단(10,20,30)은 각각 보조 전원(12,22,32)의 콘덴서(12b,22b,32b)로부터 기동전류를 받고 기동한다.
그러나, G 감지기(4)의 접점(4b)이 열려있을 때 G 감지기(3)의 접점(3b)만이 닫히고 다음에 G 감지기(3)의 접점(3b)이 열렸을 경우, 트랜지스터(26,36)가 오프 상태로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 지연이 생긴다. 이 이유를 제3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G 감지기(3)의 접점(3b)이 열려도 트랜지스터(26,36)가 온 상태이면, 보조 전원의 콘덴서(12b,22b,22b,32b)의 용량이 크므로 C점의 전위는 서서히 내려가며, 이것에 추종해서 비교기(7)의 -단자 즉 B점의 전위가 내려가며 비교기(7)의 +단자 즉 A점의 전위를 하회한 시점, 즉, G 감지기(3)의 접점(3b)이 열리고부터 Td 초 늦어서 트랜지스터(26,36)는 오프 상태로 된다. 이 Td 초간에 G 감지기(4)의 접점(4b)만이 닫힌 경우, B점의 전위가 내려가 비교기(7)의 출력이 HIGH로 되는 동안 트랜지스터(26,36)는 온 상태이므로 기동 수단(20,30)만에 대전류가 흐르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 2는 저항(8,16,28,38)에 의해서 통상, G 감지기(3,4)의 접점(3b,4b)가 열려있을 때엔 다이오드(11,21,31)가 컷오프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하듯이 G 감지기)(4)의 접점(4b)이 열려있을 때 G 감지기(3)의 접점(3b)만이 닫히고, 다음에 G 감지기(3)의 접점(3b)이 열렸을 때, 다이오드(11)가 곧 컷오프하고, 비교기(7)의 -단자 즉 B점의 전위가 내려가며 비교기(7)의 +단자 즉 A점의 전위를 하회하고 트랜지스터(26,36)는 오프 상태로 되며, 제3도와 같은 지연 시간은 없다.
[실시예 3]
제5도는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며, 상기 제2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에서 (9)는 아나로그 전압 측정을 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고장 진단 회로이며 이 고장 진단 회로(9)는 회로 각부의 접속점(G,C,D,B,H,E,F,I)에 접속되며 그 접속점의 전압(Va,Vb,Vc,Vd,Ve,Vf,Vg,Vh)를 입력하게 구성되어 있다. (27,37)은 트랜지스터(26,36)와 병렬로 접속된 1KΩ 정도의 저항이며, 트랜지스터(26,36)가 오프 상태인때 기동 수단(20,30)에 미소한 모니터 전류를 흘리게 되어 있다. (40)은 고장 진단 회로(9)에 접속된 경보 램프이다.
다음에 실시예3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G 감지기(3,4)의 접점(3b,4b)이 닫히고 기동 수단(10,20,30)을 기동시키는 것은 제2도의 실시예 2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할애하여 이하, 고장 진단 회로(9)의 동작을 제6도의 흐름도를 써서 설명한다. 처리 ST-301에서 Va,Vb의 전압을 측정하고 처리 ST-302에서 (1)식에 의해 G 감지기(4)의 저항값 R4를 계산한다.
R4=Vb/(Va-Vb)×R8………………………………………(1)
단, R8은 저항(8)의 저항값이다. 다음에 처리 ST-303에서 Vc, Vd의 전압을 측정하고, 처리 ST-304에서 (2)식으로 기동 수단(10)의 저항값 R10을 계산한다.
R10=(Vd-Vc)/Vc×R16……………………………………(2)
단, R16은 저항(16)의 저항값이다. 다음에 처리 ST-305에서 Ve, Vf의 전압을 측정하고, 처리 ST-306에서 (3)식으로 기동 수단(20)의 저항값 R20을 계산한다.
R20=(Ve-Vf)/Vf×R28……………………………………(3)
단, R28은 저항(28)의 저항값이다. 다음에 처리 ST-307에서 Vg, Vh의 전압을 측정하고 처리 ST-308에서 (4)식으로 기동 수단(30)의 저항값 R30을 계산한다.
R30=(Vh-Vg)/Vg×R38…………………………………(4)
단, R38은 저항(38)의 저항값이다. 그리고, 처리 ST-309에서 R4, R10, R20, R30의 값을 보고서, 어느 것인가 이상이 있으면 처리 ST-310으로 옮기고 경보 램프(40)를 점등하고 드라이버에 고장의 발생을 알리게 한다.
[실시예 4]
제7도는 청구범위 제4항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상기 제5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7도에서 (41)은 고장 진단 회로(9)에 의해서 제어되는 트랜지스터이며, 비교기(7)의 입력 단자와 접지(100)간에 접속되어 있다. 또, 고장 진단 회로(9)는 접속점(J,K)에도 접속되며, 이 접속점(J,K)의 전압(Vi, Vj)을 입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예 4의 동작을 제8도의 흐름도를 써서 제5도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처리 ST-5-1에서 트랜지스터(41)를 온시키고, 비교기(7)의 +단자를 레벨로 떨어뜨리면, 비교기(7)의 출력은 LOW로 되며 트랜지스터(26,36)가 온 상태로 된다.
다음에 처리 ST-502에서 트랜지스터(26,36)의 콜렉터 및 에미터의 전압(Ve,Vh,Vi,Vj)을 측정한다. 그리고, ST-503에서 전압 Ve와 전압 Vi, 처리 ST-504에서 전압 Vh와 전압 Vj를 비교하고 거의 같으면 비교기(7)이나 트랜지스터(26,36)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나 역으로 같지 않으면 처리 ST-505에서 경로 램프(40)을 점등시켜서 드라이버에 고장 발생을 알린다.
또한, 이같은 고장 진단은 실제로 점화 회로의 트랜지스터(26,36)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점화 스위치(2)가 온된 직후만에 행하게 한다. 또한, 저항(28,38) 및 다이오드(21,31)를 제7도와 같이 접속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트랜지스터(26,36)의 오프 고장을 개별로 진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기동 수단(10,20,30)은 G 감지기(3)에 직접 접속되고 있는 것이 1개, 트랜지스터(26,36)에 접속되고 있는 것이 2개로 되어 있는데 G 감지기(3)로서 다접점인 것을 쓰거나 트랜지스터의 수를 바꿔서, 기동 수단의 개수를 임의로 바꿀 수 있다. 또, 트랜지스터(26,36)에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쓰고 있는데 이 대신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나 다른 스위칭 소자를 써도 무방하다. 또, 고장 진단 회로(9)는 마이크로 컴퓨터 이외의 전기 회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청구 범위 제1항에서의 각 기동 수단은 각각 독립해서 설치된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으므로 한쪽의 전원의 고장으로 다른쪽의 기동 수단이 동작 불능에 빠지는 일이없다. 또, 각 보조 전원 장치는 일방향성 도통 소자를 거쳐서 직류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므로 한쪽의 보조 전원 장치 또는 기동 수단이 고장되어도 다른쪽의 보조 전원 장치 또는 기동 수단의 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소, 기동 회로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청구범위 제2항에서의 제2의 기동 수단은 제1의 개폐 회로의 폐로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를 거쳐서 제2의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으므로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의 개폐 회로는 1개 설치되는 것만으로 되며,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과 보조 전원 장치간의 배선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서의 차단 회로는 개폐 회로가 개로했을 때의 단자간 전압을 반도체 개폐 소자를 개로시키는 전압으로 강제적으로 하므로 개폐 회로의 개로에 따라 즉시 반도체 개폐 소자가 개로되며 동작에 시간 지연이 생기지 않으므로 제1의 개폐 회로가 개로되고 있으며 제2의 개폐 회로가 +로 되었을 때 기동 수단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서의 진단 회로는 기동 회로에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 회로의 건전성 또는 고장 진단을 행하므로 기동 회로의 신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서 동작하는 가속도 검출 수단(3)과,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를 갖는 보조 전원 장치와, 상기 가속도 검출 수단(3)의 동작으로 상기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1의 기동 수단(10)과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의 기동 수단(20)을 구비한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상기 직류 전원(1)부터 충전되는 제1의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상기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되는 제2의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기동 수단(10,20)은 상기 제1 및 제2의 보조 전원 장치(12,22)로부터 각각 전류의 공급을 받아 상기 제1 및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2. 제1의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 폐로하는 제1의 개폐 회로(3b)를 갖는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3)과, 상기 제1의 소정값보다 큰 제2의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 폐로하는 제2의 개폐 회로(4b)를 갖는 제2의 가속도 검출 수단(4)과,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된 축전기를 갖는 보조 전원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의 개폐 회로(3b),(4b)와 더불어 폐로했을 때 상기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1의 기동 수단(10)과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의 기동 수단(20)을 구비한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으로부터 충전되는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기동 수단(10)은 상기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상기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2의 기동 수단(20)은 상기 제1의 개폐 회로(3b)의 폐로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거쳐서 상기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상기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3. 제1의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서 폐로하는 제1의 개폐 회로(3b)를 갖는 제1의 가속도 검출 수단(3)과, 상기 제1의 소정값보다 큰 제2의 소정값 이상의 가속도에 의해 폐로하는 제2의 개폐 회로(4b)를 갖는 제2의 가속도 검출 수단(4)과, 직류전원(1)에 의해서 충전되는 축전기를 갖는 보조 전원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의 개폐 회로(3b),(4b)가 더불어 폐로했을 때 상기 보조 전원 장치로부터 전류 공급을 받아서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1의 기동 수단(10)과,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는 제2의 구동 수단(20)을 구비한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장치는 제1의 일방향 도통 소자(15)를 거쳐서 직류 전원(1)부터 충전되는 축전기(12b)를 갖는 제1의 보조 장치(12)와, 제2의 일방향 도통 소자(25)를 거쳐서 직류 전원(1)에 의해서 충전되는 축전기(22b)를 갖는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의 기동 수단(10)은 상기 제1의 보조 전원 장치(1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상기 제1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하고, 상기 제2의 기동 수단(20)은 상기 제1의 개폐 회로(3b)의 단자간 전압에 응답 동작해서 폐로하는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거쳐서 상기 제2의 보조 전원 장치(22)로부터 전류의 공급을 받아서 상기 제2의 승차원 보호 수단을 동작시키게 구성하고, 상기 제1의 개폐 회로(3b)가 개로되었을 때 상기 제1의 개폐 회로(3b)의 단자간 전압을 강제적으로 소정값으로 해서 상기 반도체 개폐 소자(26)를 개로시키는 차단 회로(8,4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기동 수단(10) 및 제2의 기동 수단(20)중 하나의 기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정도의 미소 전류를 흘릴 수 있게 하고, 이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기동수단(10;20)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수단(10;20)의 진단을 행하는 진단 장치(9)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기동 수단(10) 및 제2의 기동 수단(20)중 하나의 기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정도의 미소 전류를 흘릴 수 있게 하고, 이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기동수단(10;20)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수단(10;20)의 진단을 행하는 진단 장치(9)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제1의 기동 수단(10) 및 제2의 기동 수단(20)중 하나의 기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는 정도의 미소 전류를 흘릴 수 있게 하고, 이 미소 전류를 흘렸을 때의 기동수단(10;20)의 저항값에 의거해서 기동수단(10;20)의 진단을 행하는 진단 장치(9)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KR1019930007557A 1992-05-28 1993-05-03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KR960002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60057A JP2728600B2 (ja) 1992-05-28 1992-05-28 乗員保護装置の起動回路
JP92-160057 1992-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216A KR930023216A (ko) 1993-12-18
KR960002426B1 true KR960002426B1 (ko) 1996-02-17

Family

ID=1570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557A KR960002426B1 (ko) 1992-05-28 1993-05-03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42244A (ko)
JP (1) JP2728600B2 (ko)
KR (1) KR960002426B1 (ko)
DE (1) DE4319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515A (ja) * 1993-09-14 1995-03-28 Nippondenso Co Ltd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001872U (ja) * 1994-03-09 1994-09-06 センサ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DE19508850A1 (de) * 1995-03-11 1996-09-12 Telefunken Microelectron Schal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sicherheitskritische Systeme in Fahrzeugen zur Personenbeförderung
JPH08332913A (ja) * 1995-04-07 1996-12-17 Kansei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DE19530238B4 (de) * 1995-08-17 2004-04-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Sicherheitseinrichtung und 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445041B2 (ja) * 1995-11-13 2003-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DE19627877A1 (de) * 1996-07-11 1998-01-15 Telefunken Microelectron Verfahren zur Auslösung eines passiven Insassen-Schutzsystems für Kraftfahrzeuge
US6647886B2 (en) * 1998-01-29 2003-11-18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system
JP4625184B2 (ja) 1998-12-01 2011-02-0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車両乗員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点火回路
DE10236770B4 (de) * 2002-08-10 2010-05-12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ordnung zur Zündung von Rückhaltemitteln
KR101028281B1 (ko) * 2004-11-02 2011-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부보조전원을 이용한 에어백 콘트롤 유니트
DE102010031596B4 (de) * 2010-07-21 2020-06-10 Robert Bosch Gmbh Steuergerät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3740U (ko) * 1977-03-11 1978-10-02
JPS5563245U (ko) * 1978-10-25 1980-04-30
JPH0218756U (ko) * 1988-07-25 1990-02-07
JP2694651B2 (ja) * 1988-07-25 1997-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4958851A (en) * 1989-05-01 1990-09-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 bag firing circuit
US4980573A (en) * 1989-10-02 1990-12-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Firing circuit with three crash sensors
EP0494859B1 (de) * 1989-10-10 1994-04-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ungsanordnung zum auslösen eines insassen-schutzsystems eines fahrzeuges
US5192838A (en) * 1990-02-15 1993-03-09 David S. Breed Frontal impact crush zone crash sensors
JP2510326B2 (ja) * 1990-04-18 1996-06-26 日本電装株式会社 エアバッグ作動装置
JPH0450549U (ko) * 1990-09-05 1992-04-28
JP2511217Y2 (ja) * 1990-09-20 1996-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2654576B2 (ja) * 1991-04-02 1997-09-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起動装置
US5309030A (en) * 1992-10-19 1994-05-03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urrent source for a supplemental inflatable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319001A1 (de) 1993-12-02
JP2728600B2 (ja) 1998-03-18
JPH05330400A (ja) 1993-12-14
US5442244A (en) 1995-08-15
KR930023216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4755A (en) Airbag triggering system
US493357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riggering a safety system
KR960002426B1 (ko) 승차원 보호 장치의 기동 회로
US7154733B2 (en) Low cost squib driver for airbag application
JPH05264584A (ja) 故障診断機能付きの車両安全装置制御システム
US6504264B2 (en) Activating device of vehicular passenger protection system
US11643038B2 (en) Device for initiating a protective function in a vehicle
US7142407B2 (en) Squib driver for airbag application
JP2654576B2 (ja) 車両用乗員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起動装置
JP3702577B2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診断装置
US64959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an electric circuit, in particular an ignition circuit of a motor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JP2000009781A (ja) 乗員保護装置の故障検出装置
JP3288507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513083B1 (ko) 에어백
JP2757696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のための故障検出装置
US20230358807A1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the monitored switching on of an electrical and/or electronic load
JP3325672B2 (ja) 乗員保護装置
JP2889725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6633088B1 (en) Control circuit for an alternating-current ignition circuit of a restraining means
JP3442444B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3935606B2 (ja) 乗員保護装置
JP3319179B2 (ja) 起爆素子着火装置
JPH0215844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検出装置
JPH0672281A (ja) 車両用安全装置の点火制御装置
JP2002055114A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