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20B1 -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20B1
KR960002420B1 KR1019900702696A KR900702696A KR960002420B1 KR 960002420 B1 KR960002420 B1 KR 960002420B1 KR 1019900702696 A KR1019900702696 A KR 1019900702696A KR 900702696 A KR900702696 A KR 900702696A KR 960002420 B1 KR960002420 B1 KR 96000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ck
mode
hydrofoil
amphib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121A (ko
Inventor
더프티 브라이언
이.로들러 2세 왈도
에프.웨어맨 한스
Original Assignee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리챠드 비.미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리챠드 비.미그리 filed Critical 에프 엠 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70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2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foil type
    • B63B1/246Arrangements of propul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2301/00Retractable wheels
    • B60F2301/04Retractable wheels pivo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 도는 지면에 지지된 수륙양용 차량의 개략 도시도.
제2 도는 물을 통해 이동할때 워터 제트 모듈과 수중익선이 잠수되며, 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궤도 하부에 배치된 선회 궤도 커버를 나타내는 수륙양용 차량의 개략 도시도.
제3 도는 시간당 32.18㎞(20마일) 이상의 속도롤 주진되기 전에 물에 부양하는(floating) 차량의 개략 측면도.
제4 도는 지면 지지 위치 또는 모드에서의 죄측 궤도와 상승된 위치 또는 수중 형태에서의 우측 궤도와 그리고 육상 모드에서 좌측 궤도 커버와 선수 커버(bow cover)를 , 수상 모드에서 우측 궤도 커버와 선수 커버를 나타내는 차량의 정면도.
제5 도는 수상 모드에 배치된 차량의 우측상의 차량부품과 육상 모드에 배치된 차량의 좌측상의 부품을 나타내는 제4 도의 저면도.
제6 도는 우측 궤도 커버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모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제5 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 도는 상승된 수상 모드 위치에 있을때의 우측 궤도의 측면도.
제8 도는 선회축과 버퍼를 가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휘일 지지 시스템과 로드 휘일중의 하나의 수평 단면도.
제9 도는 하강된 육상 모드와 상승된 수상 모드 위치 사이의 우측 궤도의 로드 휘일중의 선택적 두 이동을 위한 완충된 유압 실린더를 나타내는 제8 도의 9-9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0도는 차량의 한 측면중의 단편과 육상 및 수상 모드 위치 사이의 관련된 수중익선 조립체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모터를 통해 취한 수평 단면도.
제11도는 수상 모드에서의 수중익선을 기계적으로 래칭하기 위한 수중익선 래칭 조립체를 나타내는 수중익선 조립체중의 하나의 관형 지지 레그를 통한 개략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차량이 고속으로 물을 통해 이동될때 견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궤도 커버 시스템의 개선된 형태의 측면도.
제13도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의 궤도중의 하나의 하부 연속부에 있을때 나타나는 궤도 집전 장치의 사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관련 출원에 대한 설명]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발명의 명칭이 "워터 제트 추진 모듈"인 로들러 2세 출원(양수인의 사건 정리 번호 28-10701와 동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의 수륙양용 차량, 특히 지지 아암과 수중익선(hydrofoil) 사이에 접속되며 적합하게 차량의 상부위의 적하위치(stowed position)와 물에 잠긴 수중익선과 추진 모듈을 가지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차량을 시간당 적어도 32.18㎞(20마일) 이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한쌍의 워터 제트 추진 모듈에 의해 구동된 공격형 수륙양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양수인인 미합중국의 사뮤엘의 특허 제3,420,204호는 시간당 약 16.09㎞(10마일)의 저속으로 물을 통해 궤도식 수륙양용 차량을 추진할 수 있는 워터 제트 반응 추진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미합중국 로들러 2세에 허여된 특허 제3,809,005호와 제4,073,257호는 워터 제트 추진 시스템의 두 변형이 개시되었으며, 물 흡입 덕트와 물 방출 덕트가 물 추진 방향의 두 180°반전을 필요로 하는 통로에 의해 접속되었다.
종래 기술의 워터 제트의 주 단점은 종래 기술 시스템을 통해 유동하는 물의 방향으로의 일부분의 각 변화로 인해 상대적인 추진 효율 저하에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수륙양용 차량은 해안 상륙을 안전하게 하도록 시간당 32.18㎞(20마일) 이상의 속도로 추진되어야만 하는 궤도식 군용 차량이다. 한쌍의 선형 유동 워터 제트 추진 장치는 물을 통해 차량을 추진하기 위해 물에 잠긴 위치 사이에서 차량이 그 지면 결합 궤도에 의해 추진될때에 차량위에 배치된 상륙 수송 위치로 이동을 위해 차량의 상대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수중익선상에 설치된다. 약 27.000㎏(30톤) 무게의 차량과 수중익선의 적합한 실시예는 시간당 32.18㎞(20마일) 이상으로 이동할때 그 양의 1/2 또는 약 13,500㎏(15톤) 이상의 리프트를 제공하도록 적합히 설계된 것이다.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
제1 도 내지 제5 도에 지시된 바와같이,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20)은 무장을 한 병력 또는 화물 운반 설비(carrier)로서 도시되었다. 차량은 지붕(26)위에 다수의 해치(승강구의 뚜껑)(24)를 가지는 방수 몸체(22)를 포함한다. 측벽(28 내지 30)은 지붕(26)과 하부 평면 차체 또는 바닥(32)에 방수 결합으로 용접된다. 측벽(28,30)의 상부는 부분(33,34)에서 내부 및 상부로 각이진다. 램프(36)(제1 도 및 제2 도)는 힌지(38)에 의해 후방 단부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화물의 큰 단편을 취급하기 위해 지면에 지지되는 상부 단부를 가지는 도시된 폐쇄 위치외 개방 위치 사이에서 가동된다. 소형의 병력 출입용 문(40)은 종래의 힌지에 의해 램프(36)에 선회가능하게 접속되며, 래치는 제1 도 및 제2 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때 문을 고착하도록 제공된다. 폐쇄될 때 램프(36)와 문(40)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도시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몸체(22)에 방수 결합으로 밀폐된다. 한쌍의 변이 제트(42,43)는 수륙양용 차량(20) 조향을 돕기 위해 차량의 후방 및 측벽에 설치된다.
수륙양용 차량(20)(제3 도 및 제4 도)의 전방은 무딘 전방벽(48), 경사진 측벽(50, 52), 경사진 상부벽(54)과 하부 평면 바닥(32)으로 조화된 경사진 하부벽(56)을 포함한다.
도시된 수륙양용 차량(20)(제1 도,제2 도 및 제4 도)는 동력 구동 무단 좌측 궤도 조립체(60)와 동력 구동 우측 궤도 조립체(62)를 가지는 궤도식 차량의 형태이다.
제4 도 및 제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 궤도 조립체는 지면 결합 모드로, 우측 궤도 조립체는 신축된(retracted) 수륙양용 모드로 도시되었다.
제2 도, 제3 도 및 제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륙양용 차량(20)이 높은 수상 속도 모드일때, 무단 궤도 조립체(60,62)는 물을 통해 추진되면서 물 견인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정상 지면 지지 위치로부터 무단 궤도 조립체가 약 22.86Cm(9인치) 상승된다.
제7 도, 제8 도 및 제9 도는 우측상의 궤도 지지 부품 또는 우현(starboard) 궤도 조립체(62)를 도시하였다.
우현 궤도 조립체(62)는 구동 스프로켓(66), 공정 스프로켓(68)과 다수의 로드 휘일(70) 주위에 연결된 무단 궤도(64)를 포함한다. 구동 스프로켓(66)은 차량 몸체에 저어널되며, 차량내의 동력 수단과 전달 수단(도시않음)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된다. 로드 휘일(70)은 구동 스프로켓(66)과 공정 스프로켓(68) 사이에 배치된다. 각 로드 휘일(70)은 로커 아암(76)에 접속된 스핀들(74)에 저어널되며 로커 아암은 방수 하우징(80)에 저어널된 스터브 축에 고착된다.
적합한 시일링(82)은 방수 시일을 유지하도록 하우징(80)과 로커 아암(76)의 허브 사이에 배치된다. 방수 하우징은 차량의 인접 측벽(30 또는 28)에 체결된 장착 플랜지(86)를 포함한다.
방수 하우징(80)내에 윤활재가 삽입된다.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20, 제2 도) 이고 수상 속도 모드에 있을때 견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로드 휘일(70)은 제2 도, 제3 도 및 제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육상 모드 위치 이상 약 22.86Cm(9인치) 상승된다.
제7 도 내지 제9 도를 참조하면, 관련된 로드 휘일(70)을 스터브 축(78)에 연결한 로커 아암(76)은 핀(90)을 포함한다. 완충 유압 실린더(92)는 피보트 핀(90)과 제2 피보트 핀(94) 사이에 선회 접속되며 제2 피보트 핀은 인접 측벽(30)의 하부 위치에 고정된다. 수륙양용 차량이 고 수상 속도 모드로 배치될때, 유압 유체는 제9 도 우측에 지시된 바와같이 육상 모드로부터 약 22.86Cm(9인치) 모든 로드 휘일을 상승시키기 위해 완충식 유압 실린더(92)(제8 도에 하나만 도시)의 각각으로 지향된다. 육상 모드일때, 다수의 실린더는차량 지지면상의 큰 고착으로 접촉될때, 각 로드 휘일이 독립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좌측 궤도 조립체는 우측 궤도의 것과 유사하며, 따라서 상세히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제4 도 및 제5 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측 궤도 커버(110, 112)는 각각 차량(20)에 선회 설치된다. 우측 플랩은 우측 트랙(62)밑에 연장된 수상 모드 위치와 신축된 육상 모드 위치(도시않음) 사이에서 이동되나 차량의 하부 평면바닥(32) 아래의 비작용 위치에 래치된 좌측 플랩(112)에 의해 지시된 것과 동일하다.
우축 궤도 커버(110)는 신장된 중심 및 후방부(114)와 상방 및 전방으로 경사진 전방부(116)를 포함한다. 전방부(116)의 경사부는 수상 모드로 될때 우측 궤도(62) 하부 거리의 다소의 각 변화를 보정한다.
특히, 두편 신장된 축(120)은 차량(23)의 하부 평면 바닥(32)에 고착된 슬리브(122)에 저어널된다. 신장된 슬리브(126)는 두편 축(120)에 고정되며, 다수의 탭(128)(제4 도)에 의해 궤도 커버(110)의 신장된 부분(114)에 접속된다. 경사진 전방 슬리브(130)는 두 단편 축(120)에 고정되며, 전방 경사부(116)에 대해 적합한 각으로 용접된다. 전방 및 후방 슬리브(130,132)는 차량의 물을 통해 추진될때 견인력을 최소화하도록 경사진다.
궤동 커버(110,112)가 전방으로 각이진 전방 단부 부분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로드 휘일(70)의 직경과 실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동 스프로켓(제2 도)과 공전 스프로켓(68)을 가지는 차량을 위해 각이진 부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좌우측 궤도 커버(110, 112)는 케이스(136)와 이중 단부 스플라인 축(138)을 가지는 전동기일 수 있는 전환가능한 방수 모터(134, 134a)(제5 도 및 제6 도)에 의해 적합하게 육상 모드와 수상 모드 사이에서 선회된다. 각 모터(134)는 축이 연장되는 단부판(142)을 가지는 하우징(140)(제6 도) 내에 고착된다. 궤도 커버(110)의 중심 및 후방부(114)는 하우징(140)에 용접되고, 축의 스플라인 단부는 차량의 수직벽(30)(제4 도)에 확고히 고정된 브라켓(144)에 저어널 된다. 모터 축(138)의 스플라인 단부는 두편 축(120)의 상대 스플라인 부분내에 결합된다. 전환 가능한 모터(134)는 제2 도 및 제3 도에 도시한 수중 모드와 플랩(110)이 180°회전후 제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인(chine) 플랩(112)과 정렬로 적하 위치 사이에서 우측 차인 플랩(110)을 가동하도록 작동된다.
T자형 래치 아암(150)을 가지는 다수의 전기 또는 유압 작동된 래치(148)는 제4 도 및 제5 도에 도시된 플랩 고착 위치와 T자형 아암(150)이 90°회전될때의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동된다. 제4 도 및 제5 도를 참조하면, 궤도 커버가 궤도 밑에 있는 수상 모드로 될때 플랩이 궤도의 외향으로 상당히 횡거리 연장되어 수륙양용 차량(20)의 평면 표면을 증가시키는 것을 주목해야할 것이다.
한쌍의 선수 커버(154,156)는 제3 도 내지 제5 도에 도시되었으며, 그 우측 궤도(62)에 관련된 선수 커버(154)가 작동 궤도 커버 위치로 도시되었고, 좌측 궤도(60)에 관련된 선수커버(156)가 비작동 적하 위치로 도시되었다.
각 선수 커버(154,156)는 시각 단부(160)를 가지는 커버판(158)을 포함하며, 시각 단부는 관련된 차인 플랩(110,112)의 전방부(116)(제3 도)에 결합된다. 두 내벽(162)은 제3 도 내지 제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 위치로 될때 전방 경사 슬리브(130)에 관련되어 물의 난류를 최소화하는 채널을 한정함으로써 차량의 물을 통해 고속으로 추진될때 견인력을 최소화한다. 각 커버판(158)의 전방 단부는 전환 가능한 모터(170)의 관련된 스플라인 축의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돈 콜러(164,166)(collar)를 가지며, 모터는 수륙양용 차량의 전방 단부에서 경사진 하부벽(56)에 확고히 고정된 하우징을 가진다.
제1 도 내지 제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 수중익선 조립체(172)는 유선형 지지 레그(176)와 물 결합 수중익선(178) 사이에 확고히 고정된 워터 제트 추진 모듈(174)을 포함한다. 지지 레그(176)의 종축과 수중익선(178)은 제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로부터 약 90°각이진다.
제1 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 수중익선 조립체(172)는 제1도에 도시한 육상 모드와 방수 전기 또는 유압 모터(180)에 의해 제2 도에 도시된 수상 모드 사이에서 상승 및 하강된다. 모터(180)(제10도)는 케이스(182)를 구비하며 케이스는 모터축(188)의 스플라인 단부가 연장되는 단부판(186)을 가지는 관형 하우징(184)내에 고정된 케이스(182)를 포함한다. 스플라인 단부는 브라켓(190)의 상대 스플라인에 결합되며, 이 브라켓은 차량(20)의 우측벽(30)에 고정된다.
유선형 지지 레그(176)(제11도)는 관형 하우징(184)에 확고히 고정되며, 포물선형 단부 캡(192)이 브라켓(190)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한 방향으로 모터(180)의 가압으로 인해 수중익선(178)이 수상 모드(제2 도)로 이동되며, 대향 방향으로 모터의 가압으로 인해 수중익선이 제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상 모드로부터 육상 모드로 상승된다.
제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중익선 조립체가 육상 모드일때, 좌우측 워터 제트 추진 모듈(174,174a)은 각부분(34,33)측을 따라서 배치되며, 그리하여 육상 모드로 될때 수륙양용 차량(20)의 전체 폭을 최소화한다. 우측 수중익선 조립체(172)는 좌측 수중익선 조립체(172a)의 전방으로 이격되며 그리고 양 수중익선 조립체는 차량의 후방 절반부에 설치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수중익선 조립체(172, 172a)가 제2 도 및 제5 도의 우측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그 하부 수상 모드 위치에 있을때, 좌우측 차인 플랩(110)의 신장된 중심부(114)는 관련된 지지 레그(176,176a)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94,194a)를 가지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좌우측 수중익선 조립체는 래치 메커니즘(196)에 의해 둘다 수상 모드에서 고착된다(제11도). 우측 래치 메커니즘만이 상세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우측 수중익선 조립체(172)가 수상 모드로 될때, 래치 메커니즘(196)(제4 도 및 제11도)은 우측 궤도 커버(110)와 협동한다. 각 래치 메커니즘(196)은 중공 지지 레그(176)에 용접된 고정 후크(200)(제11도)를 포함한다. 선회 가능한 후크(202)는 브라켓(204)에 저어널되며 홈(198)을 통해 돌출하며 도시된 고착 위치로 될때 궤도 커버(110)상의 인접부(205)에 결합하는 레그(206)를 가진다.
작동기 또는 실린더(208) 같은 동력 수단은 중공 지지 레그(176)에 고정되며, 도시된 고착 위치에서 래칭 메커니즘(196)을 가동 유지하도록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 레버(202)에 결합된 작동 요소를 가진다. 작동기 또는 실린더는 수중익선 조립체(172)를 해제하는 것이 필요할때 수륙양용 차량내의 제어 수단에 의해 작동된다.
궤도 커버 시스템(216)의 변형된 형태는 제12도,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20)에 사용된 궤도 집전 장치(218의 일반 형태는 제13도에 도시되었다. 궤도 집전 장치(218)는 종래의 핀(217)에 의해 함께 접속되며(제12도), 각 궤도 집전 장치는 그속에 개구(220)를 가진다. 양 궤도 커버 시스템(216)이 동일하므로 우측 시스템만이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2도를 언급하면, 종래의 스프링 귀환 리일(222)은 하부관(228)에 의해 그 전방 단부에서 함께 접속된 측벽(30)(단지 하나만 도시)에 저어널된 축(224)을 포함한다. 축(224)은 차량의 관련 측벽(30)에 고정되며, 포드(230)(pod)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리일(222)을 선회 지지한다. 포드는 관련된 궤도 조립체(62)의 상부 연속부의 일부를 덮는다. 유압 실린더(231)는 제1 커넥터(232)에 의해 차량의 인접 측벽과 그리고 제2 커넥터(234)에 의해 리일(222)의 측벽(226)에 선회 접속된다. 가요성 벨트(236)의 한 단부는 리일에 확고히 고정되며, 각이진 금속 후크(238)(단지 하나만 도시)는 벨트(236)의 다른 단부에 고정된다.
차량(20)이 물에 뜨고 가용성 벨트가 전방 단부와 궤도(62)의 하부 연속부를 거쳐 확고히 끌어 당겨지는 것이 필요할때, 유압 실린더(231)는 신축되어 리일(222)을 낮추어 각이진 후크(238)가 궤도 집전 장치(218)의 하나의 개구(220)로 들어간다. 궤도는 제12도에 화살표로 지시된 전방으로 구동되어 궤도(62)의 전방부, 그 하부와 궤도의 이동이 조작자에 의해 정지될때 적어도 궤도의 후방 단부의 하부 주위에 벨트가 확고히 둘러싸이게 된다.
가요성 벨트(236)를 리일(222) 위로 감는 것이 필요할때, 궤도는 대향 방향으로 구동되며, 유압 실린더(231)는 리일(222)을 실선 위치로 상승되도록 연장된다. 그리하여 리일 스프링(도시않음)은 리일로 가요성 벨트(236)를 다시 감는다. 후크(238)가 리일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될 때, 후크의 사선 하부 전방 모서리(240)는 다음 전방 궤도 핀에 의해 개구(220)로부터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하여 후크를 궤도로부터 해제한다.
종래의 유압 전기 또는 수동 제어(도시않음)는 소정의 전방 또는 전환 속도에서 좌측 궤도(60)와 우측 궤도(62)의 구동을 위한 동력 수단(도시않음)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의 유압 전기 또는 수동 제어는 제1 도에 도시한 육상 모드와 제2 도에 도시한 수상 모드 사이에서 수중익선(172,172a)을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180,180a)(제5 도) 작동이 제공한다.
좌우측 궤도 커버(110,112)(제2 도,제4 도 및 제5 도)는 제4 도 및 제5 도의 차량의 우측으로 도시된 육상 모드와 모터(134,134a) 작동에 의해 제4 도 및 제5 도에서 차량의 좌측으로 되시된 수상 모드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궤도 커버(110,112)가 그 수상 모드로 이동된 후에 좌우측 동력 수단(208)(제11도에만)이 제2 도에 도시된 수상 모드에서의 수중익선 조립체(172,172a)를 고착하도록 작동되며, 선수 플랩(154,156)은 모터(170)에 의해 제3 도에 도시된 수상 모드 위치로 이동된다.
수상모드로부터 육상 모드로 전환될때 상술한 절차는 역전되며, 궤도 커버(110,112)는 제4 도에서 좌측 궤도 커버(112)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148) 작동에 의해 비작동 육상 모드 위치로 고착된다.
궤도식 군용 공격형 차량(20)으로서 본 발명의 수중익선 차량의 통상적인 작동에 있어서는 공격할 해안으로부터 약 32.18㎞(20마일) 이상 떨어진 적 화기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위치된 함선으로부터 다수의 차량을 내리게(unloaded)된다. 차량은 병력 및 군수품을 태우거나 실은채 수상 이동된다. 각 차량(20)은 제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상 모드로 배치되며, 워터 제트 추진 모듈(174,174a)은 병력을 약 1시간내에 해안으로 수송하기 위해 시간당 32.18㎞(20마일) 이상으로 차량을 구동하기 위한 작동 상태로 배치되므로 병력은 전투를 위한 양호한 상태로 도착될 것이다. 차량(20)의 고 수상 속도와 그로 인해 차량이 물에 있게 되는 보다 짧은 시간은 차량이 적의 화력에 의해 파괴되는 기회를 최소화한다.
해변에 도달하기 전에, 조종자는 제2 도의 수상 모드로부터 제1 도의 육상 모드로 차량을 전환하는 제어 작동을 행한다. 육상 모드나 아직 물에 있는 동안에 조종자는 전방으로 궤도(60,62)를 구동하여 차량을 시간당 약 12.87㎞(8마일)로 해안까지 단거리 추진시키는 낮은 워터 속도 제트(42,43)를 작동시킨다. 상륙하면 차량은 병력 및 군수품을 하차시키기 위한 보호 위치로 시간당 약 72.4㎞(45마일)로 이동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은 워터 제트 추진 모듈에 의해 추진될때 시간당 32.18㎞(20마일) 이상의 수상 속도에서 함선으로부터 해안까지 병력 등을 운송하기 위해 육상 모드와 수상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궤도식 차량이며, 저속 워터 제트(42,43)에 의해 얕은 물에서 최종 단거리와 해안에서 차량의 궤도를 추진시킬때 시간당 약 12.87㎞(8마일)의 수상 속도로 구동되며, 그리고 차량이 육상 모드로 될때 육지에서 시간당 약 72.4㎞(45마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숙고된 적합한 형태가 도시 및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주제문제에 대한 이탈없이 변형 및 변화가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9)

  1. 육상 모드에서 지상에 지지될때 차량을 추진하기 위한 지면 결합 수단과, 수륙양용 차량에 연결된 수중익선을 가지며 수상 모드에서 물위에 떠있을때 차량을 추진하는 직렬의 워터 제트 추진 수단과, 수상 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지면 결합 수단의 레벨 아래의 수중 익선과 상기 직렬의 워터 제트 추진 수단을 이동시키고, 육상 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지면 결합 수단의 레벨 이상의 수중 익선과 상기 직렬의 워터 제트 추진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수륙양용 차량에 있어서, 수상 모드에 있을때 상기 지면 결합 수단을 커버하며 육상 모드에 있을때 지면 결합 수단을 개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결합 수단은 좌우 무단 궤도를 형성하며 상하부 연속부를 가지는 다수의 링크식 궤도 집전 장치(linked track shoe)를 포함하며, 수상 모드일때 상기 커버 수단은 각각의 궤도의 하부 연속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제트 추진 수단과 수중익선은 수상 모드에 있을때 궤도의 하부 연속부 하방의 축방향으로 선회가능한 각각의 지지 레그로부터 현수되며, 수상 모드에 있을때 상기 커버 수단을 궤도의 승강된 하부 연속부를 따라 위치시키기 위하여 궤도의 하부 연속부를 승강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며, 궤도의 승강된 하부 연속부 아래에 위치될때 상기 커버 수단을 각각의 지지 레그에 랫치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은 관련된 궤도에 인접한 차량의 차인(chine)에서 편평한 하부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육상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커버 수단을 상기 하부벽에 고정시키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은 상기 차인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신장된 차인 플랩, 전방 이물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선수 플랩, 그리고 상기 선수 플랩을 적하 위치로부터 이물벽을 향하여 관련 궤도의 전방에 있는 차폐 이물 위치까지 선회시키고 전방 이물벽과 하부 벽을 갖는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관련 차인 플랩과 결합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수단은 궤도의 각 상부 연속부위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스프링 귀환 리일 장치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각각의 궤도 집전 장치내에 제공된 개구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인 후크와 상기 후크를 궤도 집전 장치중의 하나와 관련된 개구내에 걸어 전방으로의 궤도 구동과 동시에 궤도의 전방 및 하부 연속부를 따라 벨트를 감싸고 있는 리일로부터 벨트를 풀어서 궤도의 전방 및 하부 연속부를 커버하는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벨트와 스프링 귀환 리일 장치를 궤도의 전방 및 상부 연속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선회시키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궤도를 위한 커버 수단은 각 트랙 집전 장치에 제공된 개구에 걸리도록 후크를 갖는 트랙 커버링 벨트, 상기 후크가 궤도 집전 장치 개구내에 걸리고 궤도가 전방으로 구동될때 트랙의 하부 연속부를 따라 벨트를 푸는 스프링 귀환 리일과 상기 후크가 트랙 집전 장치 개구에 걸리도록 리일과 후크를 하방으로 선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상 모드에 있을때 차량을 조향하고 수상 모드로부터 육상 모드로 전환될때 차량을 추진하기 위하여 한쌍의 워터 제트 수단이 차량의 선미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직렬의 워터 제트 추진 수단에 의하여 추진될때 적어도 시속 32.18㎞(20마일) 속도, 상기 워터 제트 수단에 의하여 추진될때 적어도 시속 12.87㎞(8마일) 속도, 그리고 궤도에 의하여 추진될때 적어도 시속 72.4㎞(45마일) 속도를 얻기 위하여 수중익선 보조 편평 선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KR1019900702696A 1989-06-21 1990-05-18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KR960002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9,173 1989-06-21
US369173 1989-06-21
US07/369,173 US5027737A (en) 1989-06-21 1989-06-21 Amphibious hydrofoil vehicle
PCT/US1990/002785 WO1990015752A1 (en) 1989-06-21 1990-05-18 Amphibious hydrofoi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121A KR920700121A (ko) 1992-02-19
KR960002420B1 true KR960002420B1 (ko) 1996-02-17

Family

ID=2345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696A KR960002420B1 (ko) 1989-06-21 1990-05-18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27737A (ko)
EP (1) EP0429605B1 (ko)
JP (1) JP2524259B2 (ko)
KR (1) KR960002420B1 (ko)
AR (1) AR248102A1 (ko)
BR (1) BR9006813A (ko)
DK (1) DK0429605T3 (ko)
ES (1) ES2056468T3 (ko)
GR (1) GR1001382B (ko)
IL (1) IL94802A0 (ko)
TR (1) TR26272A (ko)
WO (1) WO19900157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00A1 (ko) * 2016-10-11 2018-04-19 한화테크윈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709A (en) * 1993-04-26 1995-01-10 Wilkerson; William F. Amphibious all-terrain tracklaying vehicle
US5448963A (en) * 1994-09-13 1995-09-12 Gallington; Roger W. Hydrofoil supported planing watercraft
AUPN717895A0 (en) * 1995-12-15 1996-03-07 Matthews, Norman Leslie Improvements to marine craft
US5752862A (en) * 1996-09-25 1998-05-19 United Defense, L.P. Power train layout for an amphibious vehicle
US5765497A (en) * 1996-10-31 1998-06-16 United Defense Lp Bow vane with integral suspension fairings
US6482052B1 (en) 2001-08-21 2002-11-19 John J Giljam Amphibious vehicle
GB2438844A (en) * 2006-06-06 2007-12-12 Gibbs Tech Ltd Amphibious vehicle with retractable tracked drives
KR100773032B1 (ko) 2006-10-12 2007-11-02 한국차량공업(주) 상륙용 비치매트 전개장치와 이를 이용한 비치매트설치방법
RU2009118383A (ru) * 2006-10-18 2010-11-27 Наватек, Лтд. (Us) Транспортер-амфибия с плавучими гусеницами
GB2448186B (en) * 2007-04-05 2010-02-24 Gibbs Tech Ltd Amphibious vehicle with detachable armour
WO2009033153A2 (en) * 2007-09-07 2009-03-12 Fast Track Amphibian Llc High water-speed tracked amphibian
US7950973B2 (en) * 2007-12-18 2011-05-31 Hewitt Stanley C Amphibious vehicle
US20090156069A1 (en) * 2007-12-18 2009-06-18 Hewitt Stanley C Amphibious vehicle
US8070544B2 (en) * 2009-07-01 2011-12-06 Roman Kendyl A Clean energy powered surfboards
CA2679824A1 (en) * 2009-09-22 2011-03-22 Graham Fuglsang Amphibious vehicle for use on sea ice
US8454399B1 (en) 2011-02-17 2013-06-04 Yury Zelechonok Amphibious vehicle
US9284001B2 (en) 2011-03-04 2016-03-15 Navatek, Ltd.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and traction cells therefor
JP2016097774A (ja) * 2014-11-20 2016-05-30 Jmuディフェンスシステムズ株式会社 水陸両用車
JP6385290B2 (ja) * 2015-02-10 2018-09-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JP6738173B2 (ja) * 2016-03-18 2020-08-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陸両用車
RU177019U1 (ru) * 2017-01-27 2018-02-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Заслонка водомета,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повышенную управляемость на плаву
US11225116B2 (en) 2017-02-24 2022-01-18 Shawn Watling Amphibious multi-terrain water planing high speed tracked vehicle
CA3024738A1 (en) * 2018-07-19 2020-01-19 Wilco Marsh Buggies And Draglines, Inc. Amphibious vehicles
KR102138361B1 (ko) * 2019-03-29 2020-07-27 국방과학연구소 전방 형상 변형이 가능한 수상주행차량
CN111324117B (zh) * 2020-01-20 2021-01-08 郑州宇通重工有限公司 特种车辆的登陆辅助控制方法、系统和计算机存储介质
CN113968110B (zh) * 2021-10-28 2024-04-16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具有折叠式水翼结构的滑行式履带两栖车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9870A (en) * 1951-10-23 1956-06-12 Hydrofoil Corp Hydrofoil attack craft
US2928718A (en) * 1956-06-21 1960-03-15 Atomenergi Ab Method of burning sulphur containing fuels such as shale
US3027862A (en) * 1959-02-25 1962-04-03 Avco Mfg Corp Multi-purpose land and water craft
FR1345336A (fr) * 1962-12-28 1963-12-06 Véhicule amphibie
US3420204A (en) * 1966-10-17 1969-01-07 Fmc Corp Reaction propulsion system
US3487802A (en) * 1968-02-07 1970-01-06 Lynn H Roy Amphibious boat
FR1559402A (ko) * 1968-03-26 1969-03-07
JPS5122473Y2 (ko) * 1971-04-30 1976-06-10
JPS5145102Y2 (ko) * 1972-01-31 1976-11-01
US3809005A (en) * 1972-07-20 1974-05-07 W Rodler Propulsion system
US4073257A (en) * 1976-07-26 1978-02-14 Turbo Engineering Corporation Marine propulsion system
DE3329823A1 (de) * 1983-08-18 1985-03-07 ERA GmbH, 3300 Braunschweig Reinigungsanlage und verfahren zum entzug von schadstoffen aus heissen gasen
JPS61285107A (ja) * 1985-06-12 1986-12-15 Kanto Auto Works Ltd 水陸両用車
DE3717191C1 (en) * 1987-05-22 1988-08-25 Energie Versorgungssyst Evs Process for immobilising halogens on solids during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s, refuse or the like
DE4125890C1 (ko) * 1991-08-05 1992-09-17 Teset Ag, Weismes/Waimes, B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600A1 (ko) * 2016-10-11 2018-04-19 한화테크윈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KR20180040039A (ko) * 2016-10-11 2018-04-19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121A (ko) 1992-02-19
EP0429605B1 (en) 1994-07-20
BR9006813A (pt) 1991-08-06
US5027737A (en) 1991-07-02
DK0429605T3 (da) 1994-08-29
IL94802A0 (en) 1991-04-15
AR248102A1 (es) 1995-06-30
TR26272A (tr) 1995-02-15
JPH04500343A (ja) 1992-01-23
GR1001382B (el) 1993-10-29
JP2524259B2 (ja) 1996-08-14
EP0429605A1 (en) 1991-06-05
GR900100477A (en) 1991-11-15
EP0429605A4 (en) 1991-07-10
ES2056468T3 (es) 1994-10-01
WO1990015752A1 (en) 199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420B1 (ko) 수륙양용 수중익선 차량
KR960002421B1 (ko) 수중 지지 및 추진 시스템
US5181478A (en) Amphibious vehicle with retractable wheels
US7314395B2 (en) Amphibious vehicle
US6921304B2 (en) Amphibious vehicle
US20110045716A1 (en) Buoyant track amphibious transporter
US5765497A (en) Bow vane with integral suspension fairings
US20090124142A1 (en) High Water-Speed Tracked Amphibian
CA2266698A1 (en) Amphibious vehicle
CN102069690A (zh) 水陆两用车
CN201703214U (zh) 水陆两用车
US20090156069A1 (en) Amphibious vehicle
EP0438561B1 (en) Integrated propulsion and hydrafoil system
KR100290173B1 (ko) 해안공사용 수륙양용차
CA2679824A1 (en) Amphibious vehicle for use on sea ice
CN111391587B (zh) 一种固定式两栖载物登陆船
SU624799A1 (ru) Амфиби
RU37063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многоцелевое гусеничное шасси повышенной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и
RU2100243C1 (ru) Аэросани-амфибия
WO1994021515A1 (en) An amphibious craft
SU1691149A1 (ru) Транспортна амфиби
NZ526705A (en) Amphibious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