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69B1 - 가역 구동 장치를 갖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가역 구동 장치를 갖는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1969B1 KR960001969B1 KR1019890005688A KR890005688A KR960001969B1 KR 960001969 B1 KR960001969 B1 KR 960001969B1 KR 1019890005688 A KR1019890005688 A KR 1019890005688A KR 890005688 A KR890005688 A KR 890005688A KR 960001969 B1 KR960001969 B1 KR 960001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sette
- mounting means
- cassette mounting
- coupling member
- dr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characterised by using glass fib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scanning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08—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sub-scanning by translatory movement of the picture-bearing su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16—Rotational positioning, i.e. with respect to an axi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6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for reducing inactive scanning periods, e.g. increasing speed of carriage during return mov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5—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 scanning element or carriage, e.g. of a polygonal mirror, of a drive mo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6—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sheet, the sheet support or the photoconductive surfa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1—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sub-scan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식 영상 프린트 장치의 부분 판단 사시도.
제2도는 다른 부분을 파단한 또다른 사시도.
제3도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세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토글너트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프린트 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부품의 분해 사시도.
제5a도 및 제5b도는 각각 프린트 장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형식의 필름 유니트와 필름 카셋트를 나타낸 도면.
제6도 내지 제9도는 프린트 장치 작동의 여러가지 위치들을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프린트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축중 하나의 장착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필름 유니트 24 : 카셋트
28 : 광 노출구멍 42 : 하우징 조립체
46 : 캐리지 66 : 연동장치
72 : 주사기구 74 : 모터
76 : 기어감속장치 82 : 커플링 기구
88 : 토글너트 조립체 90 : 작동기 조립체
92 : 캠 블록 112 : 역전 스프링
112 : 스위치 140 : 부호화 기구
본 발명은 전자식 프린터, 특히 그러한 프린터에 사용되는 구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기구는 영상기록 재료를 수용한 캐리지를 상이한 속도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가역왕복 운동시킨다.
본 발명은, 1988년 2월 22일 로렌스 엠 더글러스에 의해 출원되고 공동 양도되어 공동계류중인 " 전자식 영상 프린트 장치"로 명명된 미합중국 출원 번호 158,585에서 기술되어 있는 형식의 전자식 프린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출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전자식 프린터는 공동 구동기구에 의해 출발 프린트 위치와 필름 처리 위치 사이를 일정한 속도로 왕복하는 필름 캐리지를 갖는다. 필름 캐리지 상에 폴라로이드사 제품과 같은 자기 현상성 종류의 복수의 적충된 개별 필름 유니트들을 수용하는 필름팩 혹은 카셋트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필름 캐리지는 저속주사운동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매우 느린속도로 선형으로 전진 한다. 저속주사운동중에 광선은 필름팩 구멍에 맞추어져 각 필름 유니트의 영상영역을 가로질러 빠르게 주사된다. 이 급속주사는 일반적으로 저속주사 방향에 가로방향이다. 저속주사운동과 급속주사 운동의 조합은 필름 유니트들의 개개에 대해 래스터(raster)주사 영상화를 제공한다. 필름 캐리지는 공동 모터와 안내 나사장치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된다.
상기의 구동장치는 만족스럽게 기능하지만, 일정상태에서는 필름 캐리지의 필름 처리 위치로의 이동 후에 이어지는 출발프린트 위치로의 복귀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러한 증가는 단위시간당 프린트되는 필름 유니트의 전체수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필름 캐리지를 상이한 속도로 가역왕복 시킬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이며 프린터의 전체 코스트를 상당하게 증가시키지 아니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것을 이룰수 있는 구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 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는 그러한 구동 장치가 원하지 않는 픽셀(pixel) 이동편차를 피할 수 있도록 저속주사운동의 정밀성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잇는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형태의 프린터를 개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셋트 내에 해제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영상 기록 유니트를 각각 상에 영상을 프린트하는 전자식 영상 프린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하우징 조립체와 이 하우징 조립체내에 배치되며 카셋트를 출발 프린트 위치와 처리위치 사이에서 양방향운동을 하도록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한줄기의 광선을 제공하고, 프린트를 위해 선정된 물체의 영상에 대응하는 전자 신호에 응하여 광선을 변조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변조된 광선을 미리 선정된 주사선을 가로질러 영상 기록 유니트에 주사하기 위해 조작가능한 광 주사 수단이 제공된다. 변조된 광선을 광 주사 수단으로 그리고 광 주사 수단으로부터 영상 기록 유니트중 하나의 영상 평면으로 광학적으로 유도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카셋트 장착 수단을 출발위치와 처리위치 사이를 왕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 수단이 마련되어, 광 주사 수단이 주사선을 가로질러 변조된 광선을 주사할 때, 구동 수단은 카셋트 장착 수단을 프린트 방향으로 출발 프린트 위치로부터 처리위치로 전진시켜, 프린트될 물체의 래스터주사 영상이 변조 광선에 의해 기록 유니트상에 형성되게 한다. 연속적 영상 기록 유니트를 카셋트와 하우징 조립체로부터 방출하기 위한 수단이 하우징 조립체내에 배치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카셋트 구동 수단은, 적어도 한쌍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거의 평행하고 상대에 대해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나사붙이 구동축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카셋트 장착 수단에 연결되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출발위치와 처리위치 사이에서 상이한 속도로 교호 선형 왕복시키도록 구동축의 하나 혹은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카셋트 장착 수단의 작동에 응해 변환가능한 커플링 수단이 제공된다.
예시한 본 실시예에서, 커플링 수단은 구동축들 사이에서 선회운동하도록 카셋트 장착 수단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글너트 커플링 부재를 갖는다. 커플링 부재는 그의 대향한 표면상에 이중 나사부를 갖는다. 각 나사부는 커플링 부재의 변환에 응하여 나사붙이 구동축의 각각의 것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해체 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의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이 제공된다.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은 각 나사부가 구동축의 각자의 것에 맞물리고 해체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커플링 수단은 구동축들의 상기한 선택적인 맞물림과 해체를 실행하기 위해 커플링 부재의 과도중심 변환을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분리된 작동기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 예시한 실시예에서, 작동기 조립체는 한쌍의 캠부재와, 각각의 캠부재에 연결되는 역전 스프링으로 특정된다. 역전 스프링은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의 작용력에 대항하여 커플링 부재의 과도중심을 밀어서 그에 의해 커플링 장치를 반대 위치로 효과적으로 젖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영상 기록 유니트를 수용하는 캐리지를 상이한 속도로 두 위치 사이에서 단순하고 신뢰성 있게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가지는 전자식 프린트 장치를 제공하고, 캐리지를 전진할 때 보다 더 빨리 복귀시키는 상기한 형식의 장치를 제공하고, 캐리지가 한쌍의 구동축중 어느 하나에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연결되게 하는 구동기구를 갖는 상기한 형식의 장치를 제공하고, 그리고 프린터의 가격을 상당히 증가시키지 아니하는 상기한 형식의 구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과 그 밖의 목적 및 특징 그리고 발명 그자체는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서 같은 구조물은 동일참고부호로서 표시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20)의 적절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 내지 10도를 참조한다.
프린트 장치(20)는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설명된 형식의 전자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프린트 장치(20)의 많은 세부 내용들은 그 자체로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을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그들의 특징들만은 제공될 것이다.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20)는 복수의 감광성 필름 유니트(22) (제5a도) 각각에 영상을 만들고 현상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유니트(22)들은 폴라로이드사에서 제조되는 종류와 같이 자기-현상 방식의 것이다. 그외의 영상 기록 매체들이 사용상 고려되었다. 그러나 어떤 종류들이 선택되든간에, 그들은 기록을 위해 사용된 적합한 에너지원에 의한 노출에 대해 감도가 좋아야 함은 물론이다. 전형적으로, 각 필름 유니트(22)는 파열 가능한 처리액 주머니를 갖는 프레임에 대해 테두리된 영상 형성 영역(22a)을 가지며, 이 주머니는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충분히 설명된 방식으로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20)에 의한 처리과정에 따라 파열된다. 기본적으로 그러한 필름 유니트(22)는 후술될 한쌍의 가압살포 롤러에 그리고 이들 사이로 전진한다. 살포 롤러는 주머니를 파열시켜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필름 유니트(22)의 양의 영상수신 소자들(도시않음) 사이에 처리액을 살포한다. 이러한 작용은 공지의 확산 전달 과정을 일으키고 그에 의해 영상 형성 영역(22a)에 잠상(latent image)들이 현상된다. 필름 유니트(22)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 유니트(22)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형식의 것이다. 이러한 필름 카셋트(24)는 상기 종류의 필름 유니트(22)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형식의 것이다. 이러한 필름 카셋트(24)는 앞에서 언급한 출원 혹은 예를들어 공동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685,791호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기서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제5b도를 참조하면, 필름 카셋트(24)는 광 노출구멍(28)을 한정하는 벽(26)을 가지며, 이 광 노출구멍은 연속적인 필름 유니트(22) 개개의 영상 형성 영역(22a)과 맞추어지도록 배치된다. 필름 카셋트(24)는 출구장공(30a)을 갖는 안내 단부벽 조립체(30)와 반대편의 후방벽(32) 및 대향한 측벽들(34)을 갖는다. 스프링 가압판 또는 팩스프링(도시않음)이 필름 유니트(22)를 위한 가변(yieldable) 플랫포옴을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연속적인 유니트들을 카셋트의 노출구멍(28)에 의해 한정된 초점면으로 이송한다. 필름 카셋트(24)는 카셋트 구멍(28)이 아래로 향하도록 프린트 장치(20)내에 배치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각 필름 유니트(22)를 방출하기 위해, 벽(26)에는 피킹(picking)기구가 연속적으로 노출된 필름 유니트(22)를 출구장공(30a)을 통해 밀수 있도록 허용하는 긴 홈이나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다. 카셋트(24)에는 카셋트의 적절한 위치잡기를 보조하는 대향한 측벽(34)상에 기준돌기부 (40)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프린터(20)의 이동 가능한 하우징 조립체(42)를 나타낸 제1도를 참조한다. 하우징 조립체(42)는 상부벽(42a), 하부벽(42b), 대향한 측벽(42c) 그리고 전후벽부분(42d, 42e)을 가지고 평행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필름 유니트들(22)은 필름카세트(24)로부터 그리고 전벽부 혹은 도어(door)(42d)를 통하여 방출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도어(42d)는 배출 또는 방출장공(44)을 가지며, 이 장공은 그것을 통한 필름 틀(dark slide)과 처리된 필름 유니트(22)의 연속적인 방출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전방도어(42d)는 필름 카셋트(24)의 전방 장전( front loading)과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 조립체(4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전방도어(42d) 는 걸쇄(latch)(도시않음) 에 의해 폐쇄 지점에 걸린다.
필름 카셋트 캐리지(46) (제1도∼제5)는 영상출발 프린트 위치(제9도)와 필름 유니트 처리 위치(제6도) 사이의 예정된 직선 경로를 따라 왕복운동하도록 하우징 조립체(42) 내부에 장착된다. 경로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대체로 평행하고 세로로 신장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 로드(48, 50)에 의해 한정된다.
카셋트 캐리지(46)의 한 측벽에는 가이드 로드(48)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를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하는 파지브라케트(52)가 측벽으로부터 측방으로 신장되어 있다. 캐리지의 반대쪽 측벽에는 가이들 로드(50)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되며 내부 구멍(56)을 한정하는 성형 중공블록(54)이 그로부터 신장되어 있다. 또한, 카셋트 캐리지(46)의 이 측면에서 가이드 로드 브라케트(58) (제5도)가 돌출하여 있으며, 이는 가이드로드가 통과하여 이어지는 가이드 로드 개구부를 한정한다. 판스프링(59) (제5도)은 가이드 로드 브라케트(58)내의 V자형 자공(도시않음)에 대하여 가이드 로드(50)를 윗쪽으로 바이어스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카셋트 캐리지(46)는 확실히 안내되어 직선 경로를 따라 왕복한다. 가이드 로드(50)의 양단부들은 한쌍의 장착판(60)에서 각각 지지되고, 장착판들은 대응하는 측벽들(42c) (제5도)중 하나 상의 대응 구조물에 스냅( snap) 결합된다. 가이드 로드(48, 50)의 양단부들 역시 하우징 조립체(42)의 적절한 구조물 내에서 지지된다.
카셋트 캐리지(46)는, 구멍(28)과 맞추어지는 따라서 그 구멍에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연속적인 필름 유니트(22) 개개의 전체 영상 영역(22a)과 맞추어지는 크기와 형상의 구멍(64)을 한정하는 돌출부(62)를 갖는다. 캐리지(46)는, 카셋트(24)가 필름 처리위치내에 있을때 카셋트(24)로부터 노출된 필름 유니트(22)의 각각의 것들을 집어내게 할 수 있는 픽크 슬롯(picl slot), (도시않음)을 갖는다.
계속해서 제2도∼제5도를 참조하면, 연동장치(66)는 캐리지 (46)의 대향한 측부돌상에 스냅핏(snap)결합되도록 배치되고 필름 카셋트(24)위로 연장한다. 연동장치(66)는 한쌍의 후방으로 연장된 연동스프링핑거(finger)(68)를 가지며, 이 핑거는 카셋트(24)가 캐리지(46)위에 잘못된 방법으로 놓여지는 것을 방지한다(즉, 구멍이 위로 향하는 것).
필름 연동장치(66)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된 것은 하향 신장된 탭(tap)을 각각 한쌍의 스프링 부재(70)이며, 탭은 카셋트(46)의 각 측부상의 기준면(38)과 통상 구부러질 수 있게 맞물린다. 각 탭은 또한 이후 설명되는 것처럼 각각의 기준 돌출부(40)와 결합할수 있다. 스프링 부재(70)의 가변성 바이어싱(biasing)은 순차적으로 분리되어질 커플링 부재의 과도중심화를 허용할 목적으로 캐리지를 카셋트(24)에 대해 이동하게 한다. 캐리지(46)의 측벽들의 내면에는 카셋트(24)의 이동에 대한 마찰 저항이 제공되며 스프링(70)의 편작용력이 마찰저항 보다 크기 때문에 스프링(70)은 캐리지내에서 카셋트를 앞으로 위치시킨다. 만약 카셋트(24)가 스프링(70)과 처음부터 접촉하고 있지 않으면 전벽 또는 도어(42d)의 닫힘에 의해 카셋트(24)가 밀리게 되고 그에 의해 돌출부(40)는 스프링과 맞물리게 될 것이다. 필름 연동장치는 설명될 커플링 부재의 과도중심화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역할한다.
소형이며 일체인 주사기구 혹은 수단(72)이 제공된다. 주사기구(72)를 나타낸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한다. 주사기구(72)는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잘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급속 및 저속주사운동 모두를 구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구의 간략한 설명이 주어진다.
저속주사운동과 고속복귀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전기구동모터(74), 기어감속장치(76)와 한쌍의 저속주사 및 고속복귀 리이드 스크류(lead screw)(78, 80)를 가진 구동 수단이 제공되며, 리이드 스크류 각각은 선택적으로 커플링 수단 혹은 기구(82)에 연결된다. 모터(74)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리이드 스크류(78, 80)에 회전변위를 제공한다. 리이드 스크류(78, 80) 모두는 캐리지(46)의 선형 경로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간격을 갖고 떨어져 있는 장착판(60)내에서 회전하도록 지지된다.
기어감속장치(76)는 기어(84, 86)를 포함하며, 이들 기어는 이들과 함께 회전하는 리이드 스크류(78, 80)의 각각의 것에 확고하게 장착된다. 기어(84)는 기어(86)와 맞물려서 기어(86)를 더욱 고속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따라서, 리이드 스크류(78)는 캐리지(46)를 더욱 저속으로 구동한다. 고속복귀 리이드 스크류(80)가 훨씬 고속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서 필름 카셋트 캐리지(46)는 상응하는 고속으로 출발 프린트 위치에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장치(20)는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단위시간당 더 많은 개개의 필름 유니트를 프린트할 수 있다. 덧붙여 복귀 리이드 스크류(80)는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보다 낮은 예를들면 24tpi(twist per inch)의 피치를 갖는다. 이는 그만큼 더욱 고속의 복귀 속도를 조장한다. 제10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판(60)중의 하나 내에 그를 위한 오목부에 보유된 연마 베어링볼(79)이 있다. 나사축(78)의 연마부단는 스프링 클립(81)의 추력하에서 볼에 접촉한다. 이 결합은 저속주사중에 작동 부품의 정확성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다음에 토글너트 조립체(88)와 한쌍의 간격을 갖고 떨어진 작동기 조립체(90)를 갖는 커플링 기구(82)를 참조한다(제5도, 제6∼제9도). 제6도 내지 제9도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작동의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측벽(42)은 제거되었지만 측벽상의 커플링 수단의 작동 부품은 남겨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토글너트 조립체(88)는 캐리지(46)를 양방향으로 상이한 속도로 구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이드 스크류(78, 80)의 각각의 것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맞물림은 토글너트 조립체가 운동할 때 토글너트 조립체(88)와 선택적 맞물리는 작동기 조립체(90)에 의한다.
다음은 토글너트 조립체(88)에 대해 언급한다(제4도). 이것은 성형블록(54), 토글너트 캠부재 또는 블록(92) 그리고 한쌍의 휘어진 과도중심 스프링(94)을 필수적으로 갖는다. 성형블록(54)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그 바닥부에 V자형 장공(96)이 형성되어 있다. 각 V자형 장공(96)은 토글너트 캠블록(92)의 대향한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선회기둥(98) 각각의 것을 안착시켜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로 토글너트 캠블록(92)은 성형블록(54)과 리이드 스크류(78, 80)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선회 기둥 축선들은 리이드 스크류(78)의 축선과 서로 교차한다. 따라서, 리이드 스크류의 흔들림에 기인한 캐리지 이동편차는 매우 최소화 된다. 토글너트 캠블록(92)은 맞물렸을 때 리이드 스크류(78, 80)의 어느것의 회전운동을 직진 캐리지운동으로 변환한다.
토글너트 캠블록(92)은 이중나사부(100, 102)를 가지며, 이들의 각각은 리이드 스크류(78, 80)중 각자의 것과 나사 맞물림할 수 있다. 나사부들(100, 102)은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캠블록(92)의 최우단부를 향하여 수렴한다. 이 수렴은 토글너트 캠블록(92)이 리이드 스크류중의 하나에만 물리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비교적 가까운 간격의 리이드 스크류 사이에서 블록을 장착하고 조정하는 것을 또한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토글너트 조립체(88)의 소형화를 향상시킨다. 휘어진 과도중심 스프링(94)은 토글너트 캠블록(92)를 성형블록(54)에 대해 굽어질 수 있도록 유지한다. 스프링의 바이어스 때문에, 나사의 마멸변형은 캐리지(46)의 운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멸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는 영상 가공구조(image artifacts)는 상당히 감소된다. 과도중심 스프링(94)은 캐리지(46)를 아래로 그리고 캠블록(92)을 위로 당긴다. 과도중심 스프링(94)의 단부는 고리로된 장착부를 갖는다. 과도중심 스프링(94)의 상단부는 성형블록(54)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꽂히며, 성형블록 내의 가로로 연장된 봉(104)과 상호작동하는 그 장착부가 있다. 과도중심 스프링(94)의 양단부상의 고리로된 장착부는 캠블록(92)상의 한쌍의 돌출부에 걸린다. 캠블록(92)에서 나온 하나의 돌기부는 캠기둥(106)이다(제5도 및 제6 내지 9도).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46)의 양방향 운동은, 캠기둥(106)을 백엎 캠(backup cam)(108)에 맞물리게 하는 한편, 작동기 조립체(90)의 일부를 형성하는 역전 스프링(112)의 굽어진 아암(110)(제5도 및 제6 내지 9도)과 맞물리게 한다. 각 역전 스프링(112)은 나사 부재(114)에 의해 측벽(42c)에 고정된다(제5도). 측벽(42c)으로부터 연장된 기둥들은 도면들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역전 스프링(112)의 양단부들과 맞물린다. 제6도 내지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12), 나사 부재(114) 및 백엎 캠(108)과 같은 측벽(42c)상의 작동 부품들은 본 발명의 작동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되었지만, 반면에 측벽(42c)은 나타내지 않았다.
커플링 기구(82)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3, 4 및 6 내지 9도를 참조한다. 저속주사는, 캐리지(46)를 제9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6도에 나타낸 위치로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의 회전당 약 300미크론의 비율로 구동시키는 모터(74)에 의해 이루어진다. 캐리지가 우측으로 진행할때 캠기둥(106)은 백엎 캠(108)위로 올라가고(제6도), 그에 의해 캠블록(92)은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맞물린 상태에서 더욱 확고히 유지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저속주사중에 캐리지(46)는 가압롤러를 향하여 이동한다. 또한 캠기둥(106)은 역전 스프링(112)의 처짐을 일으키는 굽어진 아암(110)과 맞물리게 된다. 역전 스프링(112)의 편작용력은 충분한 처짐후에 해제되었을 때 과도중심 스프링(94)을 다른 위치로 변환시키거나 젖힌다(예를들면 리이드 스크류(80)와 맞물림, 제7도 참조). 역전 스프링(112)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캠기둥(106)이 백엎 캠(108)을 미끌어져 지날때까지 캠블록(92)를 젖힐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저속주사중에 카셋트 캐리지(46)는 스위치(116)가 블록(54)상의 스위치 기둥(118)과 접촉하여 닫힐때까지 모터(74)에 의해 계속 구동된다. 그 결과,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 및 캐리지(46)는 정지한다. 결국 이때에 이후 설명될 필름 픽킹(picking)기구가 노출된 필름 유니트(22)를 카셋트(46)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하게된다. 제6도에 나타낸 위치는 필름처리 위치에 관한 것이다. 캐리지(46)가 한 위치에서 정지하여 캠기둥(106)이 강성지지체 구실을 하는 백엎 캠(108)에 의해 확고히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그에 의해 카셋트(24)를 캐리지(46)에 싣고 내림에 따른 캐리지(46)의 바라지 않는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위치에 있을 때 캠기둥(106)은 역전 스프링(112)을 젖힌다. 백엎 캠(108)은 역전 스프링의 굽힘을 위한 부작용 부재의 역할을 하며 해제된 역전 스프링의 저장 에너지가 과도중심 스프링을 압도할 수 있게 한다.
캐리지(46)가 출발 프린트 위치로 복귀할 때, 모터(74)는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를 구동하기 위해 다시 작동되어 캐리지가 제7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우측으로 과도이동 혹은 전진하게 하며, 그에 의해 캠기둥(106)이 백엎 캠(108)에서 떨어진다. 그리하여, 변형된 역전 스프링(112)은 저장된 에너지를 과도 중심 스프링(94)의 바이어스를 극복하기 위해 방출하며 그 결과 캠블록(92)을 제위치로 젖히고, 그곳에서 나사부(102)는 고속복귀 리이드 스크류(80)와 맞물린다. 이 약간의 과도이동 혹은 우향 이동중에 캐리지(46)는 처리롤러 조립체(도시않음)를 향하여 천천히 진행한다. 카셋트(24)는 그 위치에서 처리롤러 조립체에 미리 닿아 있지 않으면 곧 이렇게 하여 캐리지(46)가 카셋트에 대해 우측으로 과도이동하는 동안 정지하게 된다. 이점에 있어, 돌기부(40)와 맞물리는 스프링 부재(70)는 캐리지(46)가 계속하여 진행하는 것을 허용할 만큼 충분히 변형되어 캠기둥(106)이 백엎 캠(108)의 절벽부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중에, 캠기둥(106)은 역전 스프링(112)에 의해 하향구동되고 그에 의해 이 이동은 토글너트 캠블록(92)를 하향선회하게 한다. 따라서, 나사부(102)는 리이드 스크류(80)와 맞물리고, 초기에 젖혀짐에 저항하는 과도중심 스프링(94)은 결국 캠블록(92)이 이 새로운 위치로 젖혀지는 것을 돕게 된다(제7도).
그리고 캐리지(46)는 매우 빠른 속도로 후방으로 구동된다. 리이드 스크류(78, 80) 모두는 동시에 회전한다. 캐리지 복귀중에 캠기둥(106)은 결국 다른 백엎 캠(108)과 맞물린다(제8도). 그 결과, 캠블록(92)은 고속복귀 리이드 스크류(80)와 더욱 확고히 맞물린다. 백엎 캠(108)은 역시 다른 하나의 역전 스프링(112)내에 에너지가 충분히 저장될 때까지 그 스프링의 굽어진 아암(110)을 젖히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해제되었을 때 과도중심 스프링들(94)의 조합 편작용력을 극복하도록 한다. 물론, 과도중심 스프링(94)은 캠블록(92)이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다시 맞물리도록 캠블록을 젖히는 것을 돕는다. 캠블록(92)의 복귀행정 끝부근에 캠블록의 하부와 만나는 완충패드(12)가 마련되어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패드(120)는 캠블록(92)이 그와 만났을 때 약간 상향 선회하여 고속주사 복귀 리이드 스크류(80)와의 맞물림이 떨어지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물론, 이 분리는 캠기둥(106)이 백엎 캠(108)에서 자유로울 때 일어난다. 그에 의해, 역전 스프링(112)은 캠블록(92)을 상향 구동시킬 수 있고, 그 상향 이동은 결국 과도중심 스프링(94) 자신들의 도움을 받게된다. 따라서 나사부(100)는 리이드 스크류(78)와 일단 다시 맞물린다.
스위치 기둥(118)은 캠블록(92)이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다시 맞물릴 때 측벽(42c)상의 스위치(122)를 개방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진다. 그때, 모터(74)는 작동을 중지하고 캐리지(46)는 출발 프린트 위치에서 정지한다. 캐리지 관성 때문에 스위치 기둥(118)은 스위치(122)를 약간 넘어서 위치하게 되어, 반대 방향으로 모터(74)가 캐리지의 운동을 시작시키기 위하여 다시 작동할 때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스위치와 다시 맞물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위치(122)는 폐쇄되었을 때 고속주사와 프린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어회로(도시않음)에 신호를 보낸다.
프린트 작업은 그 자체로서 본 발명의 내용을 구성하지 않으며,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설명된 것과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하여는 간략하게만 설명한다. 그러나, 간단히 말해서 저속주사운동은 스위치기둥(118)이 스위치(116)와 접촉할때까지 계속하며, 그 결과 제어회로는 모터(74)에 작동을 중지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캐리지(46)는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한다. 스위치(116)를 닫는 것은 설명될 필름 픽킹 기구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시작하게 한다. 그리하여, 필름처리 작업이 시작한다.
이제 고속주사 작업으로 되돌아가서 참조한다.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더욱 상세한 설명이 주어졌기 때문에 간단한 설명만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저속주사와 동시에 고속주사가 제공된다. 고속주사는 필름 유니트(22)의 폭을 가로지르는 변조광선 스포트의 고려된 운동이다. 저속 및 고속주사운동 모두는 필름의 영상 형성 영역상에 래스터주사 영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고속 및 저속주사운동을 수행하는 주사기구(72)를 나타낸 제2도 및 3도를 다시 참조한다. 구조물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출원을 참조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속주사용으로 거울 구동기구(126)에 의해 직접 진동되는 진동 가능한 주사거울 조립체가 포함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거울 구동기구(126)는 구동모터(74)의 출력축에 직접 연결되는 회전 가능한 캠(128)을 포함한다. 주사거울 조립체(124)는 대체로 직사각형 주사거울(130)을 포함하며, 이 거울은 직립 지지체(132)에 의해 한정된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진동하도록 장착된다. 주사거울(130)은 보오드(131)에 장착된 발광 다이오드(도시않음)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다발을 반사한다. 본랜, 주사거울(130)은 다이오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광스포트로 필름 평면을 주사한다.
캠종동체(134)는 주사거울(130)과 일체이며, 그 일단부는 바이어스 스프링(도시않음)에 의해 캠(128)의 캠표면(136)에 대하여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스프링은, 주사거울(130)을 하우징 조립체(42)내의 정지부(도시않음)에 접촉하는 거울에 의해 한정되는 출발주사 위치로 구부러질 수 있게 밀기 위하여 하우징 조립체(42)내의 캡종동체(134) 및 기둥(도시않음)에 그리고 그 사이에 연결된다. 캠표면(136)이 출력축의 회전에 응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캠종동체(134)는 거울 진동을 일으킨다. 캠 프로파일이 필름상의 픽셀(pixel)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 부호화 기구(14)가 제공된다. 매번, 신호는 부호와 기구(140)의 광 센서(142)에 의해 감지되고,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원(도시않음)은 빛을 방출하기 위하여 에너지가 가해진다.
부호화 기구(140)의 광 센서(142)와 연결되는 것은 부호 휠(144)이다. 부호 휠(144)은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거의 설명된 바와 같이 모터(74)의 출력축에 부착된다. 부호 휠(144)은, 부호 틱크 클럭 펄스(tick clock pulse)를 제공하기 위하여 광 센서(142)와 함께 기능하는 부호화 마크(도시않음)를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센서(142)의 각 부호 틱크가 제어회로(도시않음) 내의 데이터 클럭(도시않음)으로 전달된다. 그후, 부호응답 클럭 펄스가 제어회로내의 마이크로 컴퓨터(도시않음)로 전달된다. 마이크로 컴퓨터가 수신한 영상 데이타는 자기 테이프나 디스크와 같은 어떤 공지의 정보원으로부터 그후 광원의 발광다이오드 출력의 강도를 변조하는 회로소자로 향하게 된다. 물론, 전자 영상 데이타는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의 에너지화는 부호 틱크 펄스가 부호 휠의 회전 변위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터 출력축의 속도 함수이다.
영상 프린트 장치(20)내에 사용되는 광학시스템(146)을 도해한 제2도에 대해 간단히 언급한다. 이 광학 시스템(146)은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그래서, 그것은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광학시스템(146)은 본래 전대물(preobjective) 주사광학 시스템으로, 그에 의하여 광방출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빛은 예정된 평면 경로를 따라 주사한다. 광학시스템(146)에 포함되는 것은 광선을 정지거울(150)로부터 주사거울(136)로 향하게 하는 렌즈그룹(148)이다. 주사거울(130)로부터 광선은 광수렴 렌즈그룹(도시않음)으로 향하게 된다. 광선은 광수렴 렌즈 그룹으로부터 한쌍의 적절히 위치된 반사거울(도시않음)에 부딪히고 주사 장공(도시않음)을 통하여 평 필름면 상으로 진행한다.
노출된 각 필름 유니트(22)를 처리하는 필름 처리기구(154)를 나타낸 제2도를 계속 참조한다. 그리고, 또한, 필름 처리기구의 구조와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출원을 참조한다. 처리기구(154)는 모터(도시않음)와, 처리롤러 조립체의 한쌍의 필름 처리롤러(160, 162)를 구동하는 치차열 조립체(158), 그리고 전체를 부호(164)로 표시한 필름 픽킹(Picking)기구를 가진다. 처리롤러(160, 162)는 하우징 조립체(42)의 전방도어(42d)내에서 지지되며, 소정의 틈새에 의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 틈새는 필름 유니트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처리 유체 농도를 바라는 대로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한쌍의 스프링(도시않음)이 제공되며, 이들 각각의 최상부 처리롤러(160)의 일단부를 구부러질 수 있게 바이어스한다. 처리롤러(160, 162)는 필름 유니트(22)가 확산 전달 과정을 시작하기 위하여 그를 거쳐 이동할 때 필름 유니트(22)상에 점진적인 압력을 가한다.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름 픽킹기구(164)는 처리롤러를 향하여 필름 유니트를 뽑아내는 기능을 한다. 필름 픽킹기구(164)는 앞에서 언급한 출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간단한 설명은 한다. 축차기어(sequencing gear)(166)상에는 돌기부가 픽크 슬라이드(pick slide)(170)의 전단부에서 탭(168)과 맞물리기 위해 배열된다. 이 맞물림은 픽크 슬라이드(170)가 하우징 조립체(42)의 전방부를 향하여 미끄럼 운동하게 한다. 픽크 슬라이드(170)는 적절히 장착되어, 하우징 조립체(42)에 그 타단이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172)의 추력에 대항하여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프링(172)은 축차기어(166)상의 돌기부가 더 이상 탭(168)과 맞물리지 않았을 때 픽크 슬라이드(170)를 정지 위치에서의 정상 상태로 되돌려 보낸다. 그러나, 탭(168)이 축차기어(166)에 의해 맞물리면, 픽크 슬라이드는 한계 행정까지 진행하여 픽크 슬라이드(170)에 결합된 픽크 아암(도시않음)이 필름 유니트(22)와 효과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픽크 아암은 필름 캐리지(46)내의 장공(도시않음)과 필름 카셋트(24)내의 절개부(cut out)를 통하여 이동한다. 물론, 축차기어(166)의 계속된 회전은 픽크 아암이 필름 유니트를 출구장공(30a)을 통하여 전진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그에 의하여 배출된 필름 유니트의 안내 모서리는 처리롤러(160, 162)의 닙(nip)에 물리게 된다.
축차기어(166)의 계속된 회전은 그 돌기부가 회전하게 하며, 그리하여 그것은 스위치(도시않음)의 아암과 만나게 된다. 이 스위치는 제어회로를 통하여 처리기구 모터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정지시킨다. 스위치의 연결은 필름 유니트가 필름 카셋트 및 하우징 조립체로부터 처리롤러에 의해 전진해 버린 후에 일어난다. 따라서 필름 유니트는 작업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전자 프린트 장치(20)와 특히 커플링 기구(82)에 대한 상기 설명의 결과 그 작동은 명확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음을 설명한다.
프린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어회로는 모터(74)에 효과적으로 동력을 가한다. 그에 따라 기어감속기구(76)는 리이드 스크류(78, 80) 모두와 동시에 효과적으로 역회전한다. 출발프린트 위치에서 캐리지(46)는 토글너트 캠블록의 나사부(100)가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맞물린 상태에서 제9도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 상기될 것이다 그리하여, 캐리지(46)와 필름 카셋트(24)는 저속으로 처리롤러(160, 162)를 향해 구동된다. 스위치 기둥(118)은 스위치(116)와 결합하여 모터(74) 및 그에 따른 캐리지의 운동을 정지하게 한다. 정지는 캠기둥(16)이 백엎 캠(108)과 맞물려 있는 동안에 일어나서 역전 스프링(112)의 변형을 유발시킨다. 백엎 캠(108)은 캐리지와 반작용면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여 아암(110)이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캐리지가 이 위치에 있는 동안, 필름 픽킹기구(164)와 필름 처리기구(154)는 노출된 필름 유니트를 장치(20)로부터 방출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캐리지를 출발 프린트 위치로 되돌려 보내기 위하여, 모터(74)가 다시 작동된다. 캠블록(92)이 아직 저속 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캐리지(46)는 캠블록(92)과 함께 우측으로 진행한다. 카셋트(24)는 처리롤러 조립체(도시않음)와 접하기 때문에 우향 이동이 제한된다. 캐리지(46)가 과도 이동할 때, 캠기둥(106)은 백엎 캠(108)의 절벽부에서 떨어진다. 변형된 역전 스프링(112)의 저장 에너지는 이제 해방되어 과도중심 스프링(94)의 초기 저항을 극복하여 캠블록(92)을 고속복귀 리이드 스크류(80)와 맞물리게 민다. 캠블록이 과도중심 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과도중심 스프링(94)이 캠블록을 복귀 리이드 스크류(80)와 맞물리도록 미는 작용을 하게 된다. 캐리지(46)가 출발 프린트 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이러한 물림 직후에 시작한다.
캐리지(46)는 스위치 기둥(118)이 스위치(122)와 연결된 후에 출발 위치에서 결국 정지하게 된다. 이는 모터(74)의 작동 정지를 야기한다. 스위치(122)가 접촉되고 캐리지가 정지하기 직전에 캠기둥(106)은 백엎캠(108)에서 떨어지고 역전 스프링(112)은 충분히 강하여 캠블록을 저속주사 리이드 스크류(78)와 맞물리도록 젖힐 수 있다. 그리하여 캐리지 운동의 사이클은 완료된다. 따라서, 캐리지는 모터가 방향을 역전시킬 필요없이 언급한 바와 같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여기 포함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어떠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도면에 나타낸 모든 것들은 한정적인 의미로서가 아니라 예식적인 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Claims (19)
- 카셋트 내에 방출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복수의 영상 기록 유니트(image recording units) 개개의 것에 영상을 프린트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조립체와, 출발위치와 처리위치 사이에서 대향하는 프린트 방향과 복귀방향으로 양방향 운동하는 카셋트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수단과, 하나 이상의 광선을 제공하며, 프린트를 위해 선택된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전자 신호에 응하여 광선을 변조하는 수단과, 변조된 광선을 미리 선정된 주사선(scanning line)을 가로질러 영상 기록 유니트중 하나의 위에 주사하기 위하여 사용가능한 광 주사 수단과, 변조된 광선을 광 주사 수단으로, 그리고 광 주사 수단으로부터 한 영상 기록 유니트의 영상 평면으로 광학적으로 향하게 하는 수단과, 카셋트가 처리위치에 있을 때 연속한 주사된 기록 유니트를 카셋트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로부터 방출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출발위치와 처리위치 사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왕복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구동 수단으로서, 상기 광 주사 수단이 변조된 광선을 주사선을 가로질러 주사할 때,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프린트 방향으로 출발위치로부터 처리위치로 진행시켜 프린터를 위해 선정된 물체의 래스터(raster) 주사영상이 변조된 광선에 의해 한 영상 기록 유니트상에 주사되게 하며,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프린트 방향으로 이동할때와 다른 속도로 복귀방향으로 복귀시키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구동모터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거의 평행하며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나사있는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중의 하나를 나머지하나의 다른 속도로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기어기구와, 그리고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출발위치와 처리위치 사이에서 교호 선형 왕복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나와 축 혹은 상기 나머지 축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카셋트 장착 수단의 작동에 응하여 변환 가능한 커플링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상기 구동축들 간에서의 선회운동을 위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토글너트 커플링 부재로서, 그 대향한 표면상에 이중의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나사부 각각이 상기 구동축들중 각자의 것과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해체되는 커플링 부재와, 상기 토글너트 커플링 부재를 바이어스하고 그에 의해 상기 커플링 부재가 그 과도중심 상태를 지났을 때 상기 나사부 각각의 것을 상기 구동축중 각자의 것과 맞물리게 하는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과, 그리고 각각이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상기 나머지 구동축 사이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와의 유효한 맞물림에 응하여 상기 커플링 부제 과도중심의 변환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작동기 조립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리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작동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작동기 조립체 각각은 캠부재 및 그와 연결되는 역전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캠부재들 및 역전 스프링들 각각은 프린트 및 복귀방향으로의 상기 커플링 부재의 이동의 끝부근에서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게 위치되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처리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역전 스프링중 하나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젖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캡부재들중 하나상에 놓이고, 그에 의해 카셋트 및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위한 수직 지지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프린트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때 카셋트에 대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과도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상에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하나의 캠부재와 해체될 때, 상기 하나의 역전 스프링이 상기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을 극복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를 변환시켜 상기 나머지 구동축과 맞물리게 하며, 그에 의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고속복귀운동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 및 역전 스프링의 다른 하나가 출발위치 부근에 위치되어, 상기 돌기부가 고속복귀중에 그와 맞물릴 때 상기 다른 하나의 역전 스프링이 충분히 젖혀지게 하여, 상기 돌기부가 더이상 상기 다른 하나의 캠부재와 맞물려 있지 않을 때 상기 다른 하나의 젖혀진 역전 스프링이 상기 커플링 부재를 변환시켜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커플링 부재를 밀어 상기 구동축들과 확고히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과 상기 커플링 부재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과도중심 스프링을 가지며, 그에 의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제어된 변환에 대한 나사마멸의 역효과를 최소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과도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카셋트 상의 분리된 기준 돌기부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한쌍의 탄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카셋트가 프린트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않고 정지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재가 변위하여 상기 카셋트 수단이 프린트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연상 프린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한쌍의 간격을 두고 떨어진 지지봉과, 카셋트를 수용하는 캐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 조립체가 상기 지지봉상에 왕복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주사중 상기 구동축 흔들림의 역효과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구동축의 길이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선회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영상 프린트 장치.
- 카셋트 내에 방출가능하게 수용되어 복수의 영상 기록 유니트 개개의 것에 영상을 프린트 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조립체와,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대향한 제1 및 제2방향으로 양방향 운동하는 카셋트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조립체내에 배치되는 수단과,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대향한 방향으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왕복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구동 수단으로서, 제1방향으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진행시켜 프린트를 위해 선정된 물체의 영상이 영상 기록 유니트 상에 기록되게 하며, 제2방향으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제1방향으로 이동할때와 다른 속도로 제2위치로 복귀시키며, 구동모터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거의 평행하고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나사있는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들중 하나를 상기 구동축들중 다른 하나와 다른 속도로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기어기구를 가지는 구동 수단과, 그리고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교호선형 왕복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구동축 혹은 상기 다른 하나의 구동축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작동에 응하여 변환 가능한 커플링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상기 구동축 사이에서의 선회운동을 위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 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토글너트 커플링 부재로서, 그 대향한 표면상에 이중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나사부 각각이 상기 구동축들중 각자의 것과 선택적으로 맞물리거나 해체되는 커플링 부재와, 상기 토글너트 커플링 부재를 바이어스하고, 그에 의해 상기 커플링 부재가 그 과도중심 상태를 지났을 때 상기 나사부 각각의 것을 상기 구동축중 각자의 것과 맞물리게 하는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과, 그리고 각각이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상기 나머지 구동축 사이에서 상기 커플링 부재와의 유효한 맞물림에 응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 과도중심의 변환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한쌍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작동기 조립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작동기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부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작동기 조립체는 캠부재 및 그와 연결되는 역전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캠부재들 및 역전 스프링들 각각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이동의 끝부근에서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게 위치되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역전 스프링중 하나가 상기 돌기부에 의해 젖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캠부재들중 하나 상에 놓이며, 그에 의해 카셋트 및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을 위한 수직 지지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플링 부재를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제1방향으로 이동을 계속할 때 카셋트에 대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과도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상에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돌기부가 상기 하나의 캠부재와 해체될 때, 상기 하나의 젖혀진 역전 스프링이 상기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을 극복하여 상기 커플링 부재를 변환시켜 상기 다른 하나의 구동축과 맞물리게 하며, 그에 의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고속복귀운동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 및 역전 스프링의 다른 하나가 제1위치 부근에 위치되어, 상기 돌기부가 고속복귀중에 그와 맞물릴 때 상기 다른 하나의 역전 스프링이 충분히 젖혀지게 하여, 상기 돌기부가 더이상 상기 다른 하나의 캠부재와 맞물려 있지 않을 때 상기 다른 하나의 젖혀진 역전 스프링이 상기 커플링 부재를 변환시켜 상기 하나의 구동축과 맞물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중심 바이어스 수단은 상기 커플링 부재를 밀어 상기 구동축들과 확고하게 맞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과 상기 커플링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과도중심 스프링을 가지며, 그에 의해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제어된 변환에 대한 나사마멸의 역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과도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카셋트 상의 분리된 기준 돌기부와 각각 맞물릴수 있는 한쌍의 탄성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카셋트가 제1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않고 정지 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재가 변위하여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제1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이 한쌍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지지봉과, 카셋트를 수용하는 캐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 조립체가 상기 지지봉상에서 왕복이동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카셋트 장착 수단의 전진중 상기 구동축 흔들림의 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의 구동축의 길이 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선회축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프린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88265/88 | 1988-04-29 | ||
US07/188,265 US4804982A (en) | 1988-04-29 | 1988-04-29 | Printer having reversible driving mechanis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6484A KR890016484A (ko) | 1989-11-29 |
KR960001969B1 true KR960001969B1 (ko) | 1996-02-08 |
Family
ID=2269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5688A KR960001969B1 (ko) | 1988-04-29 | 1989-04-28 | 가역 구동 장치를 갖는 프린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4804982A (ko) |
EP (1) | EP0339287B1 (ko) |
JP (1) | JPH0211350A (ko) |
KR (1) | KR960001969B1 (ko) |
CA (1) | CA1324215C (ko) |
DE (2) | DE68909294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85714A (en) * | 1990-01-22 | 1991-01-15 | Polaroid Corporation | Film dispenser with articulated catcher |
US5926289A (en) | 1991-08-30 | 1999-07-20 | Nikon Corporation | Image digitizing system |
JP3431027B2 (ja) * | 1991-08-30 | 2003-07-28 | 株式会社ニコン | 画像読取装置及びストリップフィルム用アダプタ |
EP0707408A1 (en) * | 1994-10-11 | 1996-04-1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Optical scanner device for transparent media |
US6069747A (en) * | 1997-01-30 | 2000-05-30 | Fuji Photo Film Co., Ltd. | Cam mechanism |
US6417911B1 (en) * | 2000-01-31 | 2002-07-09 | Polaroid Corporation | Processing fluid spread system for an electronic photographic printer and camera and related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68048A (en) * | 1917-09-10 | 1918-05-28 | Orville P Norman | Mechanical movement. |
US1421163A (en) * | 1920-10-08 | 1922-06-27 | Charles E Burrows | Reverse motion |
US1918587A (en) * | 1930-12-03 | 1933-07-18 | T C Entwistle Company | Traverse-motion for winding machines and the like |
DE745181C (ko) * | 1936-07-23 | |||
US2467592A (en) * | 1943-07-22 | 1949-04-19 | Russell H Morgan | Driving mechanism for x-ray grids |
JPS5422846B2 (ko) * | 1973-12-29 | 1979-08-09 | ||
JPS561245B2 (ko) * | 1974-03-30 | 1981-01-12 | ||
US4047192A (en) * | 1975-03-03 | 1977-09-06 | Polaroid Corporation | Photographic apparatus with sequencing system |
US4159813A (en) * | 1977-10-19 | 1979-07-03 | Yale Engineering Inc. | Reciprocating traverse mechanism |
JPS57173187A (en) * | 1981-05-18 | 1982-10-25 | Seiko Epson Corp | Head feeding mechanism for printer |
JPS6044371A (ja) * | 1983-08-20 | 1985-03-09 | Ricoh Co Ltd | サ−マルヘツドの駆動方法 |
US4584612A (en) * | 1984-02-21 | 1986-04-22 | Dainippon Screen Seizo Kabushiki Kaisha | Picture recording method |
JPS61145540A (ja) * | 1984-12-19 | 1986-07-03 | Sharp Corp | 原稿走査部の移動制御方法 |
JPS62161578A (ja) * | 1986-01-09 | 1987-07-17 | Canon Inc | 記録装置 |
EP0460772B1 (en) * | 1986-04-04 | 1994-12-28 | Seiko Epson Corporation |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on a record medium |
US4800400A (en) * | 1987-10-05 | 1989-01-24 | Polaroid Corporation | Electronic image printing apparatus |
US4809020A (en) * | 1987-12-28 | 1989-02-28 | Polaroid Corporation |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image printer |
-
1988
- 1988-04-29 US US07/188,265 patent/US480498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10-24 US US07/261,609 patent/US4868586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
- 1989-03-16 CA CA000593945A patent/CA132421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3-30 EP EP89105675A patent/EP033928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9-03-30 DE DE89105675T patent/DE68909294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9-03-30 DE DE198989105675T patent/DE339287T1/de active Pending
- 1989-04-27 JP JP1106133A patent/JPH0211350A/ja active Pending
- 1989-04-28 KR KR1019890005688A patent/KR9600019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339287A3 (en) | 1991-04-24 |
EP0339287B1 (en) | 1993-09-22 |
CA1324215C (en) | 1993-11-09 |
KR890016484A (ko) | 1989-11-29 |
DE68909294D1 (de) | 1993-10-28 |
DE68909294T2 (de) | 1994-01-13 |
EP0339287A2 (en) | 1989-11-02 |
DE339287T1 (de) | 1990-03-01 |
US4868586A (en) | 1989-09-19 |
JPH0211350A (ja) | 1990-01-16 |
US4804982A (en) | 1989-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71660B1 (en) | Printhead servicing station for printers | |
US5754314A (en) | Imag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images from an original document | |
US7898745B2 (en) | Lens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 |
KR960001969B1 (ko) | 가역 구동 장치를 갖는 프린터 | |
EP1918771B1 (en) | Camera being equipped with a projector | |
US4800400A (en) | Electronic image printing apparatus | |
US6034719A (en) | Image input apparatus | |
EP0282044B1 (en) | Scanning exposure device | |
US5160958A (en) | Image projecting apparatus | |
US6046815A (en) | Retractable print medium tray for use in an optical printer | |
JP2742587B2 (ja) | 撮像装置 | |
US5903790A (en) | View finder for an electric still camera | |
US4273433A (en) | Two-bladed shutter mechanism for microfiche camera | |
US4286853A (en) | Microfiche camera having motor control system | |
JP3022951U (ja) | オートスライド映写機の早送り機構 | |
JPH0588070U (ja) | 光学読み取り装置 | |
JP2005225618A (ja) |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 |
JP2630247B2 (ja) | 画像露光装置 | |
JP2002144635A (ja) | 光学式プリンタ | |
JPH03263023A (ja) | リーダプリンタ | |
JPH02204887A (ja) | 光学読取装置 | |
JP2004017620A (ja) | プリンタ | |
JP2002156699A (ja) | 往復移動機構 | |
JPH05273663A (ja) | スライド投影装置 | |
JPS63163331A (ja) | 回動・並進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2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