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834Y1 -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 Google Patents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834Y1
KR960001834Y1 KR2019900017054U KR900017054U KR960001834Y1 KR 960001834 Y1 KR960001834 Y1 KR 960001834Y1 KR 2019900017054 U KR2019900017054 U KR 2019900017054U KR 900017054 U KR900017054 U KR 900017054U KR 960001834 Y1 KR960001834 Y1 KR 960001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jack
microcomputer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775U (ko
Inventor
전병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834Y1/ko
Publication of KR920010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제1도는 종래의 무선 리모콘의 입력신호 자동전한 회로의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무선 리모콘의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의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여러대의 전자기기를 연결한 실시예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무선리모콘 20, 200 : 수신기
30, 300 : 마이크로컴퓨터 400 : 신호전환부
1, A6 : 입력잭(JACK) 2, A7 : 출력잭(JACK)
3, A3 : 신호전환스위치 4, A8 : 버퍼
A1 : 유선리모콘 A2 : 연결잭(JACK)
A4 : 증폭기(AMP) A5 : 마이크로 컴퓨터
C100 : A장치 C200 : B장치
C300 : C장치 C303 : 수광부
본 고안은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환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대의 전자기기를 멀티시스템(Multi System)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리모콘으로 동시에 같은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도록 한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티 시스템(예컨대, 멀티 VCR)에서는 각 전자기기 세트를 리모콘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각 전자기기 세트에 대응하는 리모콘을 사용하여야 적절한 제어작용을 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제어시키고자 하는 전자기기에 대응한 리모콘을 분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일정한 리모콘의 작용으로 인한 전파 산란으로 다른 전자기기 세트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종래의 무전 리모콘의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의 블럭도로서, 일정한 전자기기를 제어하고자 무선리모콘(10)을 동작시키면, 위로 무선 리모콘(10)에서 발생된 신호가 수신기(20)에 감지되어 마이크로 컴퓨터(30)에 인가된다.
이때,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수신되는 신호에 적합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전자기기 세트(미도시)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동작상태를 보면, 리모콘으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한정된 전자기기만 동작시키고, 다른전자기기 세트에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인가시켜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복합적으로 구성된 여러 전자기기 세트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리모콘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일정한 전자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발생되는 전파 산란으로 다른 전자기기가 오동작을 하는 한편, 하나의 리모콘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 하고자 하면 복잡한 배선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고장발생시 수리하는데 시간의 소비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위의 신호 전환부(400)는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때, 그 신호를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출력하는 입력잭(1), 위의 입력잭(1)의 삽입에 의해 "오프"되어 위의 무선 리모콘(1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위의 수신기(200)를 거쳐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전환 스위치(3), 위의 입력잭(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연결된 전자기기가 단락(short)되더라도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0)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그 입력된 신호를 손실없이 출력하는 버퍼(4), 위의 입력잭(1)의 출력신호를 위의 버퍼(4)를 통해 입력받아 다른 전자기기의 입력잭(1)으로 출력하는 출력잭(2)으로 구성된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전자기기로 부터 입력잭(1)으로의 입력신호가 없는 상태 (즉, 입력잭(1)이 신호전환 스위치(3)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선 리모콘(100)으로 부터 일정한 신호가 발생되면 이 발생된 신호는 수신기(200)에 입력된 후 마이크로 컴퓨터(30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0)는 입력된 신호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자기기 세트(미도시)로 출력함으로써 그전자기기를 제어하게 된다.
즉, 입력잭(1)이 신호전환 스위치(3)에 삽입되지 않았기 대문에, 신호전환 스위치(3)는 "온"되어 위의 수신기(200)를 통해 입력되는 무선 리모콘(100)의 출력신호가 우선신호로 선택되어 위의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출력됨으로써 전자기기 세트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전자기기 세트로 부터 입력잭(1)으로 입력신호가 있으면, (즉, 입력잭(1)이 신호전환 스위치(3)에 삽입되면), 신호 전환 스위치(3)는 "OFF" 되어 무선 리모콘(100)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는 수신기(200)를 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전송되지 못하는 대신, 입력잭(1)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출력된다.
또한, 이때, 입력잭(1)에 입력되는 신호는 버퍼(4)를 거쳐 출력잭(2)으로 전송되므로, 위의 출력잭(2)에 다른 전자기기 세트를 제4도와 같이 연결하면, 역시 연결된 전자기기 세트들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좀도 자세히 설명하면, 비디오 테이프 복사용 멀티 VCR에 있어서, 여러대의 멀티 VCR들을 제4도와 같이 연결하면 연결된 여러대의 멀티 VCR들을 1개의 리모콘으로만 동시에 같은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역기에서, 위의 버퍼(4)는 일정한 전자기기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전자기기 세트에 영향을 주지못하도록 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하여 주는 것이다. 즉, 연결된 전자기기가 단락(Short)되더라도 마이크로 컴퓨터(300)가 정상 동작하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제3도의 본 고안에 따른 유선 리모콘의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제2도상의 무선 리모콘(100)대신 유선 리모콘(A1)이 연결잭부(A2)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선 리모콘(A1)으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다른 전자기기 세트와 연결된 입력잭(A6)으로 수신되는 신호보다 우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A5)에 입가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하나의 유선 리모콘(A1)으로 전체시스템을 동시에 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4도에 관하여 부연 설명하자면,
A장치(C100), B장치(C200), C장치(C300)에 IN, OUT으로 표기된 부분은 각기 제2도상의 입력잭(1), 출력잭(2)을 나타낸다.
제4도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전자기기들(예컨대, 멀티 VCR들)을 1개의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일정한 전작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때 전파산란으로 발생되던 다른 전자기기의 오동작과, 각각의 전자기기에 대응한 다수개의 리모콘 구비와, 전체 시스템을 하나로 제어 하고자 할 때 필요했던 복잡한 배선으로 인한 고장검사에 시간의 소비가 많았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 하나의 리모콘으로 다수개의 전자기기들을 제어함으로써, 전파산란으로 인한 디른 전자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며, 간단한 배선으로 고장발생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각 전자기기들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리모콘을 하나로 구성함으로써 제조원가 역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정) 일정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무선 리모큰(100) ;
    상기 무선 리모콘(1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0) ;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때, 그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전환수단(400) ;
    상기 신호 전환수단(40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해당하는 적절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컴퓨터(300) ; 로 구성된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환수단(400)은
    입력되는 신호가 있을 때, 그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출력하는 입력잭(1) ;
    상기 입력잭(1)의 삽입에 의해 "오프" 되어, 상기 무선 리모콘(1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수신기(200)를 거쳐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300)로 전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신호전환 스위치(3) ;
    상기 입력잭(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신호를 손실없이 출력하는 버퍼(4) ;
    상기 입력잭(1)의 출력신호를 상기 버퍼(4)를 통해 입력받아 다른 전자기기의 입력잭(1)으로 출력하는 출력잭(2) ;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신호 자동 전환회로.
KR2019900017054U 1990-11-08 1990-11-08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KR960001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054U KR960001834Y1 (ko) 1990-11-08 1990-11-08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054U KR960001834Y1 (ko) 1990-11-08 1990-11-08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75U KR920010775U (ko) 1992-06-17
KR960001834Y1 true KR960001834Y1 (ko) 1996-02-28

Family

ID=1930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054U KR960001834Y1 (ko) 1990-11-08 1990-11-08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8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9284B2 (ja) * 2001-05-24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パルス伝送路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775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507B1 (ko) 원격 제어 시스템
KR950002265B1 (ko) 데이터전송시스템
KR960001834Y1 (ko) 입력신호 자동전환 회로
JPS62112451A (ja) 選択信号方式の設定方式
US5436854A (en) Microcomputer-controlled electronic device
US4941206A (en) Loop-type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master and slave apparatus
EP0447933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lor television signals
JPH05347719A (ja) 映像機器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映像機器通信制御方法
KR0155641B1 (ko) 티브이 성능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JPH0484351A (ja) アドレス設定方法
JPH03251902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H0558565A (ja) エレベーター用リモコン装置
KR0170867B1 (ko) 제어기의 조작 패널에서의 키이입력 확인 디스플레이 시스템
JP3239371B2 (ja) 機器接続処理方式
JPH0332428B2 (ko)
KR950004421B1 (ko) 이중 기능을 갖는 분리형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신호처리 장치
JPH0583646A (ja) Avセレクタ
SU15134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команд телеуправлени
JPH0336452A (ja) 空気調和機のグループ制御システム
JP2587847B2 (ja) 監視装置
KR100192523B1 (ko) 공유형 팩스 및 그 정보 전달 방법
JP2530361B2 (ja) 端末機器インタフェ―ス装置
JP2732682B2 (ja) 磁気記録装置
JPH03245742A (ja) 遠隔制御装置
JP3429695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