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53Y1 -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53Y1
KR960001153Y1 KR2019930015899U KR930015899U KR960001153Y1 KR 960001153 Y1 KR960001153 Y1 KR 960001153Y1 KR 2019930015899 U KR2019930015899 U KR 2019930015899U KR 930015899 U KR930015899 U KR 930015899U KR 960001153 Y1 KR960001153 Y1 KR 960001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trunk
antenna
piece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218U (ko
Inventor
노완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5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153Y1/ko
Publication of KR950006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제 1 도 a는 폭이 작은 스포일러(spoiler)를 사용한 종래 고안의 평면도
제 1 도 b는 트렁크의 열림각을 작게한 종래 고안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트렁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트렁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 5 도 a,b는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포일러(spoiler) 2 : 결합편
3 : 스포일러 접힘부 4,12 : 걸림편
5,13 : 삽입공 6 :형 장착구
7 : 스프링 8 : 힌지축
9 : 트렁크 프레임 10 : 트렁크 사이드 패널
11,11' : 지지구 14 : 케이블
15,15' : 걸림돌부 16 : 트렁크
17 : 안테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을 돋보이게 하고, 주행시 공기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트렁크 위에 스포일러(spoiler)를 장착한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가 트렁크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차량에 있어서는 라디오를 켜놓고 트렁크를 열게될 경우에 스포일러(spoiler)가 안테나에 닿게되어 안테나가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a)의 폭을 줄여줌으로서 트렁크(c)를 열어도 안테나(b)에 스포일러(a)가 닿지 않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것은 스포일러(a)의 폭이 제한받게 되어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이 손상되고 공기 역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기 때문에 스포일러(a)를 장착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1 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c')의 열림각을 줄여줌으로서 트렁크(c')를 열어도 안테나(b')에 스포일러(a')가 닿지않게 한 것이 있으나 이것은 트렁크(c')를 열고 짐을 싣고 내릴때 열림각이 작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트렁크가 열리게 될 경우 스포일러 접힘부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접히게 되어 스포일러가 안테나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트렁크를 닫게 되면 케이블이 스포일러 접힘부를 당겨 원상태로 펴지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에 폭이 넓은 스포일러를 장착하여도 트렁크의 열림시 안테나가 스포일러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렁크가 열리면 스포일러 접힘부가 스프링에 의해 접히게 되어 라디오를 켜 놓음으로서 올라온 상태의 안테나에 스포일러가 닿지 않게 한 것으로서 트렁크의 열림시 안테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렁크를 닫으면 스포일러 접힘부가 케이블에 의해 당겨서 원상태로 펴지게 함으로써 행시 폭이 넓은 스포일러로 인한 공기역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라디오를 켜놓고 트렁크를 열때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하는 스포일러의 폭을 줄여주거나 트렁크의 열림각을 작게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서 스포일러의 디자인 설계에 제한을 받지않게 하기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포일러(1)의 일측 내부에 결합편(2)를 돌설하여형 장착구(6)의 하부를 고정 설치하고,형 장착구(6)의 상부에 스프링(7)이 탄력설치되게 스포일러 접함부(3)를 힌지축(8)으로 축착하며, 스포일러 접힘부(3) 내부에 삽입공(5)이 천공된 걸림편(4)을 돌설하고 트렁크 프레임(9)과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에 지지구(11)(11')를 고정설치하며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의 뒷부분에 삽입공(13)이 천공된 걸림편(12)를 형성하고, 걸림돌부(15)(15')가 양끝에 형성된 케이블(14)을 지지구(11)(11')에 삽입하여 걸림돌부(15)(15')가 삽입공(5)(13)에 걸리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스포일러 접힘부(3)에서 트렁크 프레임(9)을 거쳐 트렁크 사이드 패널(10)까지 연결 설치된 케이블(14)의 길이는 트렁크(16)를 닫았을때 걸림편(4)에서 지지구(11)(11')를 거쳐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의 걸림편(12)에 이르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케이블(1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부(15)(15')가 걸림편(4)(12)에 닿게되어 케이블(14)이 팽팽히 당겨진 상태가 된다.
케이블(14)이 팽팽히 당겨진 상태에서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 접힘부(3)가 공기역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펴져 스포일러(1)의 폭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다.
제 3 도는 트렁크(16)가 열린 상태를 보인 것으로 스포일러 접힘부(3)내의 걸림편(4)에서 지지구(11)(11')를 거쳐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의 걸림편(12)에 이르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스포일러 접힘부(3)를 당기고 있던 케이블(14)의 장력이 제거된다.
이렇게 케이블(14)의 장력이 제거되면 스포일러 접힘부(3)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7)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스포일러 접힘부(3)가 힌지축(8)을 중심으로 제 5 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혀지게 된다.
상기 스포일러 접힘부(3)는형 장착구(6)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형 장착구(6)는 스포일러(1)의 결합편(2)에 볼트(2')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스포일러(1) 일측의 스포일러 접힘부(3)가 상기와 같이 트렁크(16)를 여는 것과 동시에 접히게 되면 트렁크(16)가 안테나(17)쪽으로 젖혀져도 스포일러 접힘부(3)가 라디오(도시되지 않음)를 켜놓아 올라와 있는 안테나(17)에 닿지 않게 되어 안테나(17)가 손상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트렁크(1)를 닫게되면 걸림편(4)에서 지지구(11)(11')를 거쳐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의 걸림편(12)에 이르는 거리가 트렁크(16)를 연 상태보다 길어지게 되고 걸림돌부(15)(15')가 삽입공(5)(13)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게 설치된 케이블(14)이 스포일러 접힘부(3)를 당겨 힌지축(8)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펴지게 하는 것으로 이때 스프링(7)은 압축되며 케이블(14)은 팽팽히 당겨져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스포일러 접힘부(3)가 젖혀지지 못하게 한다.
이렇게 케이블(14)에 의해 펴진 스포일러 접힘부(3)는 스포일러(1)의 폭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공기 역학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트렁크(16)가 열리게 될 경우 스포일러 접힘부(3)가 스프링(7)에 의해 힌지축(8)을 중심으로 접히게 되어 라디오를 켜 안테나(17)가 올라온 상태에서도 스포일러(1)가 안테나(17)를 손상시킬 염려가 없으며, 트렁크(16)를 닫게되면 케이블(14)이 스포일러 접힘부(3)를 당겨 스포일러(1)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펴지게 구성함으로써 트렁크(17)에 공기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착되는 스포일러(1)의 폭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스포일러(1)의 일측 내부에 결합편(2)를 돌설하여형 장착구(6)의 하부를 고정 설치하고,형 장착구(6)의 상부에 스프링(7)이 탄력 설치되게 스포일러 접힘부(3)를 힌지축(8)으로 축착하며, 스포일러 접힘부(3) 내부에 삽입공(5)이 천공된 걸림편(4)을 돌설하고 트렁크 프레임(9)과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에 지지구(11)(11')를 고정 설치하며 트렁크 사이드 패널(10)의 뒷부분에 삽입공(13)이 천공된 걸림편(12)를 형성하고, 걸림돌부(15)(15')가 양끝에 형성된 케이블(14)을 지지구(11)(11')에 삽입하여 걸림돌부(15)(15')가 삽입공(5)(13)에 걸리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 않게 접히는 장치.
KR2019930015899U 1993-08-18 1993-08-18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KR96000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99U KR960001153Y1 (ko) 1993-08-18 1993-08-18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899U KR960001153Y1 (ko) 1993-08-18 1993-08-18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218U KR950006218U (ko) 1995-03-20
KR960001153Y1 true KR960001153Y1 (ko) 1996-02-07

Family

ID=1936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899U KR960001153Y1 (ko) 1993-08-18 1993-08-18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1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218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511B2 (en) Hinge structure for opening-and-closing member of automobile
KR19980071506A (ko) 콘버터블 차량의 트렁크 덮개 및 후방 횡단 부재 개폐 장치
KR880000294A (ko) 자동차의 후드걸림구조
JPH0629074Y2 (ja) 自動車の開閉式屋根幌
KR960001153Y1 (ko)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시 스포일러가 안테나에 닿지않게 접히는 장치
KR100705131B1 (ko) 도어힌지구조
JPS6344298Y2 (ko)
KR20030050437A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KR970004440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조립체
KR100207196B1 (ko) 화물트럭의 적재함 리어포스트
KR100370836B1 (ko) 게이트와 플로워 블랭크 공간 커버링 장치
KR100302438B1 (ko) 자동차 프런트 도어의 열림 장치
KR100199494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가이드 롤러 지지구조
KR100330673B1 (ko) 리어 게이트 잠금장치
KR200151741Y1 (ko) 강성이 보강된 체커 브래킷
KR0135273Y1 (ko) 차량의 퓨즈박스 및 콤비램프 커버
KR970001533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개폐각도 제한구조
KR960001136Y1 (ko) 자동차의 후드캐치(Hood Catch)
KR200144269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스톱퍼와 캐치의 결합구조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JPH0849466A (ja) 蓋の開閉機構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KR100226078B1 (ko) 자동차 트렁크용 토숀바 장착구조
KR200198171Y1 (ko) 화물차용 전면패널의 힌지구조
KR0118188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센터레일 은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