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69B1 -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 Google Patents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69B1
KR960001069B1 KR1019900015790A KR900015790A KR960001069B1 KR 960001069 B1 KR960001069 B1 KR 960001069B1 KR 1019900015790 A KR1019900015790 A KR 1019900015790A KR 900015790 A KR900015790 A KR 900015790A KR 960001069 B1 KR960001069 B1 KR 96000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means
base
typ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894A (ko
Inventor
카시와 요우이찌
타니카와 요시카주
사이토 준
Original Assignee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세이트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제이 엘.세이트칙 filed Critical 엠프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0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제1도는 제1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4도는 제2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2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201,301,401,501,601 : 엣지 콘넥터
2,102,202,302,403,502,602 : 콘택트
4,104,204,304,404,504,604 : 하우징
5,105,205,305,405,505,605 : 공동부
6,106,406 : 자기판(子基板)
8,108,208,308,408,508,608 : 모기판(母基板)
10,110,210,310,410,510,610 : 제1접점수단
11,111,211,311,411,511,611 : 기부(基部)
12,112,212,312,412,512,612 : 제1지부(제1부분)
14,114,214,314,414,514,614 : 제2지부(제2부분)
20,120,220,320,420,520,620 : 엣지부(탄성지지부)
30,130,230,330,430,530,630 : 제2접점수단
240,340,440,470,540,570,640 : 접속수단 690 : 고정수단
본 발명은 예를들면 메모리 모듈등을 탑재한 자기판(子基板)의 단부를 수용하여, 그 메모리 모듈등과 모기판(母基板)의 외부회로등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기 위한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각종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기판의 넓은 범위의 판 두께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성을 구비한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즉, 자기판의 판두께에 관해서는 1.27-01/-0.08(mm)로 하는 미국의 규격과, 1.2·0.15/-0.12(mm)로 하는 일본의 규격이 있다. 이 쌍방의 규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약 0.3mm의 판두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는 콘택트가 필요하지만, 종래의 콘택트는 이러한 판두께 차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또, 충분한 긴 길이의 자기판을 이용하는 다접점형 엣지 콘넥터에서는 자기판 자체에 생기는 휘어짐에 대해서도 종래의 콘택트는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예를들면, 이 종류의 콘택트로서 미국 특허 제4,737,120호의 저삽입력 콘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가 있다. 이것은 자기판의 단부를 2개의 대향하는 콘택트부에 협지시키는 것인데, 일방의 콘택트부는 거의 변형할 여지가 없고, 또, 타방의 콘택트부는 변형하는 근원부와 접촉하는 접점부가 가깝기 때문에 큰 탄성변형을 할 수 없으므로, 크게 변형되면 근원부가 소성변형 또는 파손한다는 문제가 있고, 넓은 범위의 자기판의 판두께에 대응할 수 없다.
또, 특개소 60-230378호 공보 및 특개소 63-193473호 공보에 개시된 콘넥터에 사용되는 콘택트는 어느것도 자기판의 단부를 수용하는 약 C자형의 접점부재와 그 C자형의 접점부재를 지지하는 기부와의 사이의 지지부 길이가 짧으므로, 그 지지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소성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 콘택트부의 탄성 변형은 C자형의 접점부재에만 의존하는 것이므로, 탄성변형량에 한계가 있고, 이 콘택트도 넓은 범위의 자기판의 판두께에 대응할 수 없다.
다음에, 특개소 63-193473호 공보에는 엣지 콘넥터를 취부하는 모기판의 표면에 납땜부착하는 타입(표면실장타입, 이하 [SMT타입]이라함)의 콘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톤택트의 기부의 저면을 직접 모기판에 납땜부착하는 것이지만, 온도 변화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 콘택트와 모기판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하여 또는, 콘넥터에로의 모기판의 장착시 등에 외력이 직접 콘택트의 기부에 인가됨으로써, 모기판과 콘택트의 기부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납땜의 크랙이 발생하고, 도통이 끈길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탄성변형을 크게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자기판의 판두께에 대응할 수 있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SMT타입의 경우에는 납땜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발명의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는 하우징의 공동부저부에 고정된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는 약 C자형의 제1접점수단과, 이 제1접점수단의 상기 기부근방으로 부터 상기 기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하는 탄성 지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약 C자형의 제2접점수단과 상기 제1접점수단의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저벽을 돌출하여 모기판에 접속되는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접점수단의 일방 또는 양방을 지지판의 접점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2의 발명의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는 하우징의 공동부저부에 고정된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는 약 C자형의 제1접점수단과 이 제1접점수단의 상기 기부 근방으로부터 상기 제1접점수단내에 연장하는 탄성지지부의 선단에 결합된 약 C자형의 제2접점수단과 상기 제1접점수단의 상기 제1또는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모기판에의 접속 또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접점수단의 일방 또는 양방을 자기판에의 접점으로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각종 실시예에 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콘택트 및 하우징이 개요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하우징 (4)내에 콘택트(2)가 화살표시(P)의 위치로 상방에서부터 삽입되어 하우징(4)내에 압입되고, 하우징(4)의 공동부(5)의 저부에 있어서 콘택트(2)의 양측면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2a)와 하우징(4)의 내벽(4a)과 계합하여 보지된다.
콘택트(2)는 기부(11)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지주 (제1 부분) (12)와 타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그 선단이 콘택트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2지주(제2부분)(14)를 포함하는 약 C자형의 제1접점 수단(10)과 상기 제2지주(14)의 근원부(기부근방)로 부터 기부(11)에 대해 예각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 엣지부(탄성지지부)(20)와 이 엣지부(20)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지주(14)의 선단으로 연장된 후 U턴하여 상기 엣지부(20), 제2지주(14)의 내측에 연하여 약 C자형으로 만곡하여 연장된 제2접점수단(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변형하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엣지부(20)의 선단(20a)은 상기 제2지주(14)로 향하여 제1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접점수단(30)의 선잔(30a)은 상기 제1접점(20a)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제2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2지주(14)의 선단내측(14a)은 상기 제1접점(20a)으로 향하여 예비 접점이 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자기판(6)을 상기 제1접점(20a)과 제2접점(30a)의 사이에 삽입하고, 화살표시(Q)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자기판(6)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자기판 (6)의 판두께가 얇은 때에는 제1접점(20a) 및 제2접점(30a)과 상기 자기판(6)의 표면이, 또는, 상기 자기판(6)의 판두께가 두꺼울 때에는 상기 2개의 접점 (20a,30a)외에, 상기 제2의 지주(14)의 선단내측에 예비의 접점(14a)이 상기 자기판(6)의 표면과 접속된다. 더우기 상기 예비의 접점(14a)은 상기 제2접점수단(30)이 특히 판두께가 두꺼운 자기판의 회동시에 과도한 변형을 하지 않으므로 변형량을 규제하는 오버스트레스 방지 수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엣지부(20)는 기부(11)에 대응하여 예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엣지부 (20)의 길이를 길게하여 탄성변형 가능량이 크게됨과 동시에 콘택트를 저배(low profile)화, 더 나아가 콘넥터를 저배화할 수 있다.
더우기 콘택트(2)는 상기 제2접점수단(30)의 선단(30a)과 반대의 단(외면) (30b)에 대면하는 상기 제2지주(14)의 부분으로 경사진 활동면(14b)을 가지고 있다. 이 활동면(14b)은 상기 제2접점수단(30)이 자기판(6)의 장착시에 변형할 때, 상기 외면(30b)에 당접하여 제2접점수단(30)의 선단(30a)을 자기판(6)의 표면(6a)에 따라서 미끄러지게 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콘택트(2)의 상기 제1접점(20a) 및 제2접점(30a)과의 사이에 자기판(6)을 삽입하고, 6'로 표시하는 위치까지 회점시킴으로써, 약 C자형의 제2접점수단(30) 및 엣지부(20)가 탄성변형하고, 또한 변형량 및 응력이 상기 제2접점수단(30) 및 엣지부(20)에 분산되므로, 콘택트(2)의 탄성변형량을 크게 잡을 수 있고, 자기판(6)의 넓은 범위의 판두께에 대응할 수 있음은 물론 큰 접촉압을 가지고 자기판 (6)의 표리양면에 접촉하는 전기적 접촉이 확실한 콘택트가 실현된다.
또한, 상기 예비의 접점(14a)이 상기 제2접점수단(30)의 오버스트레스방지수단으로써 작용하여 상기 제2접점수단(30)의 변형량을 규제하여 과도한 변형에 의한 소성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접점수단(30)의 선단부의 상기 단(30b)이 상기 활동면(14b)에 당접하여, 이것에 연해서 상승하고 상기 선단(30a)은 자기판(6)의 표면(6a)에 연하여 미그러짐으로써 자기판(6)의 표면(6a)에 흠집등의 요철이 있어도 자기판(6)은 미끄러져 장착되고 상기 제2접점수단(30)이 과잉으로 변형하여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것윽 방지하고 있다.
더우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지주(12)의 내측(12a) 또는 엣지부(20)의 선단의 평면(20b)에 돌기를 설치하고, 상호 당접하여 상기 엣지부(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오버스트레스방지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도면번호 16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모기판(8)에 납땜부착된 콘택트(2)의 타인부(16)로써, 콘택트(2)의 타인부(16)의 횡으로 콘택트(2)에 인접한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의 타인부(17)(타인부(16)와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다.)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제1접점(120a)과 제2접점 (130a) 사이에 끼워진 자기판(106)이 하우징의 저면과 평행의 위치(106')에 최종적으로 감합하는 타입의 것을 표시한다. 콘택트(102)의 구조는 엣지부(탄성지지부)(120)가 제2지주(114)의 근원부(기부근방)로부터 기부(111)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이 상태도 기부(111)에 대하여 예각의 범위내에 있다.) 이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그 작용은 도면에서 명백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우기 접점 기타 제1도의 실시예와 동등한 부분에는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붙였다.
제3도는 SMT타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콘택트(202)는 약 C자형의 제1접점수단(210)과 모서리부(220)와 제2접점수단(230)의 타에 제1접점수단(210)의 제2지주(214)의 측부로부터 외측으로의 연출부(242), 그 연출부(242)로부터 하우징(204)의 벽(250)에 연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엣지부(244) 및 그 엣지부(244)로부터 상기 하우징(204)의 저면에 거의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납땜접합부(246)로 되며, 모기판에의 접속수단(2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수단(240)은 상기 제2지주(214)로부터 납땜접합부(246)까지 비교적 긴 거리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연출부(242)와 엣지부(244)의 사이가 구부러져 있으므로, 상기 접속수단(240)이 탄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콘넥터(204)와 엣지부(244)의 사이가 구부러져 있으므로, 상기 접속수단(240)이 탄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콘넥터(204)에 자기판의 장착시에, 특히 상기 콘넥터(201)의 길이방향의 하중이 상기 콘넥터(201)에 인가될 때에, 상기 접속수단(240)이 쿠션이 되므로 상기 하중이 경감되어 납땜접합부(246)에 전해지며, 납땜접합부(246)와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납땜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콘택트(202)중에 모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것은 상기 접속수단(240)의 비교적 표면적이 작은 남땜접합부(246)의 저부만이므로, 납땜용융온도로부터 실온까지의 냉각사이의 온도변화가 있어도, 콘택트와 모기판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이 작아지고, 따라서 납땜크랙이 발생하는 위험을 억제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 접속수단(240)은 타발가공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굽힘가공으로 형성된 접속수단과 비교하여, 치수정도를 높일수 있고, 상기 납땜접합부(246)의 위치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납땜접합상태의 품질이 안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4)은 상기 접속수단(240)중의 상기 연출부(242) 및 상기 엣지부(244)를 그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형성된 보호벽(252)을 구비하고 있어서 콘넥터(201)의 조립시까지는 반송시에 있어서, 부주의로 상기 연출부(242) 및 상기 엣지부(244)에 접촉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우기 상기 하우징(204)의 적어도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밤바(254)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콘넥터(201)의 조립시까지는 반송시에 있어서, 부주의로 상기 납땜접합부(246)에 접촉하여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 납땜접합부(246)의 양측에는 보호벽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납댐 결합상태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제1접점수단(210)의 제2지주(214)로부터 접속수단이 외측으로 연장하는 타입을 표시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제1지주(212)의 측부로부터 접속수단을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수단을 상기 제2지주(21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 콘택트와 상기 제1지주(2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 콘택트를 상호 배열하면, 납땜접합부(246)의 배열 피치가 콘택트의 배열피치의 2배로 되어, 모기판(208)의 납땜접합 패드의 면적을 크게 잡을 수 있고, 납땜접합의 신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납땜접합 상태의 검사가 용이하게 된다.
제4도는 SMT타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하우징(304)의 저면보다 하향으로 돌기(360)가 연장되어 모기판(308)에 설치된 구멍(309)에 계합하여, 콘넥터(301)의 위치결정 및 콘넥터의 사용시에 인가되는 하중이 접속수단(34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SMT타입의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그 작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어느것도, 제1접점과 제2접점사이에 끼워진 자기판의 최종적으로 수직으로 감합하는 타입의 SMT타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5도에 있어서, 콘택트(402)는 제2지주(412)의 측면 거의 중앙부로부터 만곡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출부(442), 그 연출부(442)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엣지부(444) 및 그 엣지부(44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납땜접합부(446)로 되는 접속수단(440)을 구비하고 있다.
더우기, 도면번호 470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콘택트(402)의 가로로 인접하는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의 접속수단이며, 이 2종류의 콘택트를 교대로 배열하는 것에 따른 이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6도에 있어서, 콘택트(502)는 저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580)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504)에 설치된 구멍(509)을 관통하여 모기판(508)의 납땜부착면과 납땜계합된다.
접속수단(540)의 납땜접합부(546)이외에 상기 돌기(580)에 있어서 납땜접합되기 때문에, 콘넥터(501)의 사용시에 하중이 인가되어도 접속수단(540)에 걸리는 하중을 더욱 작게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돌기(580)의 저면적은 콘택트(502)의 저면적에 비하여 상당히 작으므로 상기 돌기(580)와 상기 모기판(508)의 사이에 납땜 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적다.
또한, 돌기(582)는 콘택트(502)에 인접하는 콘택트(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한 돌기이고, 이것들의 콘택트를 교대로 배열하는 잇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7도는 SMT타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콘택트(602)는 제1지주 (612)로부터 접속수단(640)이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연출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지주(614)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연장하는 고정수단 (690)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고정수단(690)의 저면(692)이 모기판(608)의 납땜부착면과 납땜접합된다. 상기 고정수단(690)은 그 자신 탄성을 갖지 않은 대신에, 콘택트(602)와 강고히 결합되어 있으므로, 콘넥터(601)에 인가되는 하중의 대부분을 받고, 접속수단(640)에 걸리는 하중을 줄여주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고정수단(690)의 저면(692)의 저면적은 비교적 작으므로 납땜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적다. 더우기, 접속수단이 제2지주로부터, 또한 고정수단이 제1지주로부터 각각 연출하는 콘택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602)를 교대로 배열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돌기 및 고정수단은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한 SMT타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도 각기 적용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밤바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하는 SMT타입의 각종 실시예에도 필요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는 제1접점수단의 기부근방으로부터 탄성지지부가 기부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저배구조로서도 탄성지지부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할 수 있고, 탄성변형가능량을 크게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자기판과 접촉하는 약 C자형의 제2접점수단의 C자부와 함께 탄성지지부도 탄성변형하고, 변형량 및 응력이 분산되므로, 이 콘택트에 소성변형이 생기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탄성변형 가능량이 크므로, 삽입되는 자기판의 넓은 범위의 판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엣지 콘넥터용 콘택트는 그 측부로부터 탄성을 가진 접속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콘넥터 사용시에 인가되는 외력이 접속수단을 거쳐서 줄어들게 되고, 납땜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수단과 모기판의 접속은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눈으로 볼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성도 이다. 더우기 접속수단의 선단의 납땜접합부의 저면적이 작으므로 모기판과 납땜접합부와의 사이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기인하는 납땜크랙의 발생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내에 콘택트를 고정하기 위한 C형의 제1접점수단과, 제1위치에서 자카드를 수용하여 제2위치로 회전하는 C형의 제2접점수단을 갖는 전기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C형의 제2접점수단은 상기 C형의 제1접점수단으로부터 상기 C형의 제1접점수단의 기부에 대하여 예각을 가지고 연장된 비교적 긴 탄성지지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며, 상기 C형의 제1접점수단의 자유단은 제2접점수단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제2접점수단의 자유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2. 상부 개방부를 통하여 하우징내의 콘택트 수용 공동부내에 삽입되어지며 카드의 모서리를 삽입 및 회전시켜 수용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에 있어서, 제1 및 제2지주와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 공동부 내부벽과의 결합에 의하여 콘택트 수용 공동부내에 고정되는 기부를 구비한 C자형의 제1접점수단과 ; 양 종단에 2개의 접점을 가지며 탄성지지부로 상기 제1접점수단에 결합되는 C자형의 제2접점수단과 ; 상기 제1접점수단의 적어도 한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모기판에 부착되는 표면장착 접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1접점수단의 기부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제1접점수단의 기부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KR1019900015790A 1989-10-06 1990-10-05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KR960001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9976 1989-10-06
JP1259976A JP2704300B2 (ja) 1989-10-06 1989-10-06 エッジ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
JP1-259976 1989-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894A KR910008894A (ko) 1991-05-31
KR960001069B1 true KR960001069B1 (ko) 1996-01-18

Family

ID=1734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790A KR960001069B1 (ko) 1989-10-06 1990-10-05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0421474B1 (ko)
JP (1) JP2704300B2 (ko)
KR (1) KR960001069B1 (ko)
DE (1) DE69027500T2 (ko)
MY (1) MY1071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446B2 (ja) * 1994-01-11 1998-10-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2531A (en) * 1971-06-16 1973-05-08 Bunker Ramo Electric contacts
US3848952A (en) * 1973-07-27 1974-11-19 Amp Inc Zero insertion force edge card connector
EP0158413B1 (en) 1984-04-06 1990-01-31 Molex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controlled contacts
US4737120A (en) 1986-11-12 1988-04-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insertion force and overstress protection
US4713013A (en) * 1987-01-30 1987-12-15 Molex Incorporated Compliant high density edge card connector with contact locating features
MY105824A (en) * 1989-07-10 1995-01-30 Whitaker Corp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04300B2 (ja) 1998-01-26
EP0675572A3 (en) 1996-03-27
KR910008894A (ko) 1991-05-31
JPH03122981A (ja) 1991-05-24
DE69027500T2 (de) 1996-10-31
EP0675572A2 (en) 1995-10-04
EP0421474A1 (en) 1991-04-10
MY107147A (en) 1995-09-30
DE69027500D1 (de) 1996-07-25
EP0421474B1 (en)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3666B2 (en) Socket receiving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ads
US5971775A (en) Single-sided, straddle moun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647126A (en) Compliant lead clip
JP3452662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保持装置
US4629266A (en) Electrical device, such as a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for surface mounting on a circuit board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US2005004294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perfomance contacts
US6464514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grounding pad
JPH08124638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ンタクト
JP3106967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2872023B2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KR960001069B1 (ko) 엣지 콘넥터용 콘택트
JP2515432Y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11553607B2 (en) Electronic device
JP3151185B2 (ja) コネクタ
KR100599896B1 (ko) 인쇄 회로 기판 접속용 표면 장착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
WO1997003484A1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fastening device used in the same
JP2769965B2 (ja) 表面実装コネクタ
JPH0982429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用固定装置
JPH051597B2 (ko)
JP2609123B2 (ja) コネクタ
JP3569843B2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H0935784A (ja) コンタクト
JP3006206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H10289641A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