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69B1 - 전사식 프린터 - Google Patents

전사식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69B1
KR960000969B1 KR1019910011969A KR910011969A KR960000969B1 KR 960000969 B1 KR960000969 B1 KR 960000969B1 KR 1019910011969 A KR1019910011969 A KR 1019910011969A KR 910011969 A KR910011969 A KR 910011969A KR 960000969 B1 KR960000969 B1 KR 96000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unit
main body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342A (ko
Inventor
사또시 기타하라
슈지 고야마
츠기오 시오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덱크
구보 미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86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731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86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63866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덱크, 구보 미츠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덱크
Publication of KR92000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22Supply arrangements for webs of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프린터
제1도 내지 제19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라벨프린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상기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기 프린터의 정면도.
제3도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기 프린터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상기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리본 유니트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제2도에 대응한 정면도.
제6도는 리본 유니트 및 리본 지지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리본 지지기구가 신장된 상태를 리본 유니트의 일부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6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리본 유니트의 평면도.
제10도는 축단부의 정면도.
제11a도는 회전축 단부의 측면도.
제11b도는 회전축 단부의 정면도.
제12도는 헤드 유니트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헤드 유니트의 일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XIV-XIV선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XV-XV선 단면도.
제16도는 고정판을 개방한 상태에서의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고정판을 닫은 상태에서의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8a도는 및 제18b도는 리본 유니트와 슬라이더의 각각 상이한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19a도는 제19b도는 걸어맞춤핀과 걸어맞춤구멍의 상이한 걸어맞춤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20도는 로크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제17도에 대응하는 사시도.
본 발명은 용지에 접촉한 전사리본의 잉크를 인자헤드를 이용하여 용지에 전사함에 의하여 인자하는 전사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전사식 프린터는 예를 들면 라벨에 상품명이나 바코드를 인자하는 라벨프린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라벨프린터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와 누름접촉하는 라인 서어멀 헤드를 가지는 인자부를 구비하고 있다. 인자부 상측에는 전사리본의 공급축 및 권취축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등에 의해서 권취축이 회전하면, 전사리본은 공급축에서 인출되어 가이드축 및 인자부를 거쳐서 권취축에 감겨진다. 공급축에는 부하기구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하기구에 의하여 공급축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전사리본에 소망하는 백텐션이 주어진다.
종래, 전사리본을 교환할 때에는 프린터 본체 내부의 좁은 공간내에서 다른 구성부품을 피하면서 전사리본의 착탈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라인 서어멀 헤드의 교환시 또는 청소시에도 프린터 본체 내부의 좁은 공간내에서 다른 구성부품을 피하면서 라인 서어멀 헤드의 착탈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불량하였다.
그래서, 최근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용이화하기 위하여, 리본이 감겨진 공급축과 권취축을 케이스내에 수납하여 유니트화하고, 이 유니트를 프린터 본체내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착한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 프린터에 의하면, 유니트를 프린터 본체에서 떼어내어 프린터 외측에서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라인 서어멀 헤드를 프린터 본체에서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지지한 프린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사리본, 공급축 및 권취축을 유니트화한 경우, 전사리본 자체의 교환작업은 용이하지만, 프린터에 대한 리본 유니트의 착탈작업은 여전히 프린터 본체내의 좁은 공간내에서 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성이 불량하다.
또, 리본 유니트나 라인 서어멀 헤드를 프린터 본체에 대하여 데어내기 가능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완전한 고정식에 비해 이것들의 부착강도가 낮기 때문에, 인자동작중에 프린터 본체내에서 리본 유니트, 인자헤드의 요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사리본이 사행(蛇行)하거나 전사리본에 주름이 발생하여 인자품질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사리본, 인자헤드 등의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자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사식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사식 프린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인자헤드 및 인자헤드에 대향하여 위치한 플래튼 가지며, 인자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수단과;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공급장치-이 리본공급장치는 상기 전사리본과, 전사리본이 감겨진 공급축 및 권취축을 가지는 리본 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리본 유니트를 구동하는 리본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와;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 유니트를 이 리본 유니트가 상기 리본 구동부와 걸어맞춰지는 제1위치와 리본 유니트가 상기 리본구동부에서 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한 지지수단과; 상기 리본 유니트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리본 유니트와 걸어맞춰져서 리본 유니트를 상기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과 걸어맞춰져서 이 자유단을 지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리본 유니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리본 유니트가 본체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리본 유니트가 지지수단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전사리본의 교환을 일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리본을 교환한 후에는 리본 유니트가 지지수단에 의하여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리본구동부에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가 용이하게 프린터에 장착된다. 그리고, 고정부재를 고정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리본 유니트가 고정부재와 걸어맞춰져서 제1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를 소정위치에 요동됨이 없이 유지할 수 있어 인자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인자헤드가 고정된 헤드 프레임을 가지는 헤드 유니트와 ; 본체에 고정된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며 플래튼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샤프트-이 지지샤프트는 상기 헤드 유니트를 상기 인자헤드가 플래튼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위치에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플래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지지되어있다-;를 구비하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자유단 및 상기 헤드 유니트와 걸어맞춰져서 이것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다. 또, 상기 헤드 유니트를 상기 작동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에 의하면, 본체에 설치된 지지샤프트를 따라 헤드 유니트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인자헤드를 본체에서 떼어낼 수 있고 또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 헤드 유니트가 본체내의 작동위체에 장착된 후에는, 지지샤프트는, 그 자유단이 고정수단에 의해서 지지도미으로써 양측(兩側) 지지된다. 또한, 헤드 유니트는 유지수단에 의해서 작동위치에 유지됨으로써 그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헤드 유니트를 프린터 본체냉 장착하였을 때의 헤드 유니트의 부착강도가 향상되므로 인자헤드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인자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사식 프린터를 라벨프린터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프린터는 대략 장방형상의 상자형으로 된 본체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 케이스(1)는 장방형상의 베이스(2)와, 1쌍의 측벽 및 상별을 일체로 가지며 베이스(2)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치된 단면 U자 형상의 사이드 패널(3)과, 베이스(2)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인자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구(4)를 가진 L자 형상의 제1전면판(5a)과, 사이드 패널(3)과 일체로 형성되며 제1전면판(5a) 상부에 연속하여 위치한 제2전면판(5b)과, 베이스(2)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전면판(5a,5b) 측방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3전면판(5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의 부호 8은 프린터에 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본체 케이스(1)내에는 인자를 하기 위한 인자기구(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하 이 인자기구(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기구(11)는 지지체로서의 본체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상기 베이스(2) 상면에 고정된 수평한 저판(13)과, 이 저판(13)의 좌,우 양단부에 세워 설치된 프레임 측판(14,15)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2장의 프레임 측판(14,15)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인자기구(11)는 플래튼 유니트(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래튼 유니트(21)는 프레임 측판(14,15)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프레임 측판(14,1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유니트(21)는 1쌍의 지지점축(22)과 2장의 단판(23)과 플래튼 롤러(24)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점축(22)은 프레임 측판(14,15)에 각각 고정되어 회동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2장의 단판(23)은 평판구조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 측판(14,15)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단판(23)의 후단부는 각각 지지점축(22)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지지점축 (22) 둘레에서 각각 개별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각 단판(23)의 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축받이에는 플래튼 롤러(24)의 플래튼 축(28)이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플래튼 롤러(24)는 양 단판(23)의 전단부 사이에 대락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24)의 일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용지공급기구에 접속되며, 이 용지공급기구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지지점축(22)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션스프링이 감겨져 있으며, 이 토선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래튼 유닌트(21)의 지지점축(22) 이외의 부분이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24)는 라인 서어멀 헤드(39)에 하측에서 밀어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튼 유니트(21)의 지지점축(22) 이외의 부분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후술하는 리본 유니트를 장진하거나 혹은 떼어낼 때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수동 또는 자동제어에 의하여 지지점축(2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 유니트(21)의 상측 위치에는 헤드 프레임(31)이 설치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31)의 전단부 하면에는 라인 서어멀 헤드(39)가 고정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라인 서어멀 헤드(39)에는 그 하측에서 플래튼 롤러(24)가 맞대어져 있다. 헤드 프레임(31)을 지지하는 지지샤프트(32)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리본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18)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3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리본 공급장치(45)의 리본 유니트(46)를 지지하는 리본 지지기구(44)가 형성되어 있다. 리본 지지기구(44)는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신장된 단면 U자 형상의 고정암(43)과 가이드기구(89)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24)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고정암(43) 위에 놓여진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슬라이더(91)을 구비하며, 리본 유니트(46)는 슬라이더(91) 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놓여져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암(43)은 그 일단이 프레임 측판(14)에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 측판(15) 근방까지 신장되어 있다. 즉, 고정암(43)은 편측(片側) 지지로 되어 있다. 고정암(43)의 선단부에서 L자형상의 돌출판(92)이 돌출되어 있고 그 수직면에 고정핀(92a)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91)의 상면은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즉 수평으로 연장되어 리본 유니트(46)가 놓여지는 지지면(91a)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 측판(15)은 프레임 측판(14)보다도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고정암(43)에 대향하는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제5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기구(89)는 하부레일(93), 1쌍의 중간레일(95,96) 및 상부레일(97)을 구비하며, 이들 레일은 고정암(43)과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암(43)과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하부레일(93)은 나사(94)에 의하여 고정암(43)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레일(96)은 하부레일 (93)내에 끼워맞춰지며 이들 레일 사이에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9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레일(96)은 하부레일(9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중간레일(95)은 중간레일(96) 위에 고정되며, 상부레일(97)은 중간레일(95)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91)는 1쌍의 나사(98)에 의하여 상부레일(9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91)는 제4도에 나타낸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제2위치에서 슬라이더(91) 전체가 거의 본체 케이스(1)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슬라이더(91)의 지지면(91a)에는 상기 나사(98)를 이용하여 1쌍의 걸어맞춤핀(100)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핀(100)은 슬라이더(91)의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핀(100)은 그 선단부측의 지름이 하단부측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슬라이더 (91)에는 리본공급장치(45)의 리본 유니트(46)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걸터놓이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리본 유니트(46)는 제2도 내지 제7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지지프레임(48), 공급축(49), 권취축(50), 텐션축(51) 및 리본구동축(52)을 구비하고 있다.
리본지지프레임(48)은 서로 대향하는 2장의 측판(53,54)의 저부를 하부 횡가재(55)로 연결함과 아울러, 측판(53,54)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57)를 손잡이부로서의 상부 횡가재(56)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 횡가재(56)는 둥근 봉으로 형성되며, 이것은 리본 유니트(46)를 운반할 때의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 횡가재(55)에는 1쌍의 걸어맞춤구멍(101)이 2조(組)로 형성되어 있다. 일측 1조의 걸어맞춤구멍(101)에 슬라이더(91)에 형성된 걸어맞춤핀(100)이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본 유니트(46)가 슬라이더(91) 위에 유지된다. 상기 2조의 걸어맞춤구멍(101)은 하부 횡가재(55)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경계로 한 대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측판(53,54)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상부 축받이(58)가 돌출부(57) 앞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대향하는 제2상부 축받이(59)가 상기 돌출부(57) 후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측판(53,54)에는 그 앞측 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60)가 각각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측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6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상부 축받이(58,59)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의 축받이부(62)와 이 축받이부(62) 상측에 근접하게 위치한 후크부(63)를 가지는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63)의 근원측 부분은 가요변형이 가능한 박육(薄肉)구조로 되어 있다. 이 근원측 부분을 가요변형시킴으로써, 후크부(63)는 축받이부(62)의 개방부 상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공급축(49)은 그 양측의 축단부(49a)가 리본지지프레임(48)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상부 축받이(59)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54) 사이에 걸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이 공급축(49)은 제2상부 축받이(59)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상부 축받이(59)에 끼워맞춰져 지지된 공급축(49)의 양 축단부 (49a)의 상부 둘레면에 후크부(63)가 누름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 후크부(63)에 의하여 공급축(49)이 제2상부 축받이(59)에서 상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리본지지프레임(448)에 부착된 공급축(49)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공급축(49)을 상측으로 잡아당기기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후크부(63)가 탄성변형하여 축단부 (49a)가 축받이부(59)에서 상측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공급축(49)을 떼어낼 수 있다.
권취측(50)도 그 양측의 축단부(50a)가 리본지지프레임(48)의 앞측에 위치하는 제1상부 축받이(5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54) 사이에 걸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이 권취축(50)도 제1상부 축받이(58)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착탈순서는 상기한 공급축(49)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공급축(49) 및 권취측(50)은 서로 동일한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축(49)과 권취축(50)은 전후 2조의 축받이(58,59)에 대하여 상기한 착탈순서에 따라 교환가능하게 리본지지프레임(48)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공급축(49)과 권취축(50)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58,59) 각각은 모두 리본 유니트(46)의 전후방향 중심을 지나는, 즉 공급축(49)과 권취축(50) 사이를 이것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면(H)(제9도 참조)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공급축(49) 및 권취축(50) 각각에는 전사리본(29)이 감겨지는 원통체로 된 권심(64)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권심(64)은 그 일단에 도시하지 않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에 상기 축(49 및 50)에 형성된 돌기(119)(제9조 참조)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축에 대한 회전이 규정된다. 전사리본(29)은 공급축(49)에 지지된 권심(64)에 감겨져 있으며, 여기서 인출되어 텐션축(51) 및 리본구동축(52)등을 순차 경유한 후에 권취축(50)에 지지된 권심(64)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전사리본(29)의 텐션축(51)에서 리본구동축(52)에 이르는 부분은 인자부를 구성하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 사이를 통과한다.
리본구동축(52)은 그 양측의 축단부(52a)가 축받이(6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면, 2장의 측판(53,54) 사이에 걸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이 리본구동축 (52)은 헤드 프레임(31) 앞측에 위치하며, 인자부와 권취축(50)사이에 설치된다. 리본구동축(52)의 외주면에는 인자부에서 권취축(50)으로 향하는 전사리본(29)이 걸쳐지며, 그 접축부분은 전사리본(29)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축(51)은 그 양측의 축단부(51a)가 축받이(6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54) 사이에 걸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이 텐션축(51)은 헤드 프레임(31) 후측에 위치하며, 인자부와 공급축(49) 사이에 설치된다. 이 텐션축(51)의 외주면에도 공급축(49)에서 인자부로 향하는 전사리본(29)이 걸쳐지며, 그 접촉부분은 전사리본(29)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축(51)은 리본구동축(52)과 동일한 위치,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축(51,52)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60,61) 각각은 상기 가상면(H)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지지프레임(48)에 옆걸기된 회전가능한 4개의 축(49,50,51,52)은 리본 유니트(46)의 중심(P){제9도에 있어서 가상면(H) 위를 축(49,50,51,5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고 있다}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축단부(49a,50a,51a,52a)에는 각각 접속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축단부(49a)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면, 접속구멍(66)의 내주면에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6개의 홈(67)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어서, 제2도 내지 제5도 등을 참조하여 리본구동부(47)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리본구동부(47)는 각 단부가 직각으로 꺽여진 장방형상의 베이스(68)를 가지고 있으며, 하측의 수평한 판부분이 프레임 측판(14)의 단부상면에 나사(14a)에 의하여 나사고정되어 있다. 베이스(68)의 수직이 되는 판부분에는 4개의 회전축(69,70,71,72)이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전축(69,70,71,72)은 리본 유니트(46)의 축(49,50,51,52)의 배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68)의 앞측 하부에 배치된 회전축(69)에는 동축적(同軸的)으로 치차 (75)가 설치되며, 이 치차(75)에는 치차(76)가 맞물려져 있다. 치차(76)에는 동축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풀리(77)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68)의 앞측 상부에 배치된 회전축(71)에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78)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 이 베이스(68)의 중앙측 하부에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79) 및 구동치차(80)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톱니가 형성된 풀리(77,78,79)에는 타이밍벨트(81)가 걸려있다. 이 타이밍벨트(81)에는 텐션롤러(82)가 누름접촉되어 있으며, 이 타이밍벨트 (81)에 대하여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구동치차(80)는 상기 플래튼 롤러(24)의 구동계 치차(85)가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는 플래튼 롤러(24)에 동기하여 구동된다.
상기 각 회전축(69,70,71,72)의 구성은 제11a도 및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둘레에 축방향을 따르는 3개의 돌기부(84)를 가지고 있다. 각 돌기부(84)는 상기 접속구멍(66)에 형성된 복수의 홈(67)에 끼워 맞춰져서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 돌기부(84)의 선단부는 끝이 뽀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 유니트(30)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착구조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즉, 본체 프레임(12)의 일측 프레임 측판(14)에는 지지부재로서의 지지샤프트 (32)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편측 지지되어 있다. 지지샤프트(32)는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자유단은 프레임 측판(15)의 상측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12)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 측판(14)에는 1쌍의 위치결정핀 (120)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4)측의 측벽에는 위치결정핀(120)이 끼워맞춰지는 1쌍의 위치결정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5)측의 측벽에는 지지샤프트(32)가 관통하는 걸어맞춤구멍 (122)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핀(124)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헤드 유니트(30)는, 걸어맞춤구멍(122)에 지지샤프트(32)를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관통시킴과 아울러 위치결정핀(120)을 위치결정구멍(121)에 끼워맞춤으로써 편측 지지되어 있다.
지지샤프트(32)의 고정단에는 헤드 프레임(31)을 지지샤프트(32)상의 소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기구(125)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기구(125)는 제12도 내지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32)의 고정단에 고정된 E링(126)과, 지지샤프트(32)에 감겨지며 그 일단이 E링(126)에 고정된 코일스프링(127)과, 코일스프링 (127)의 타단에 고정된 헤드 지지판(128)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지지판(128)은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130)와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131)를 가지고 있다. 수평부(130)에는 1쌍이 통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4)측의 단부 상면에도 통공(132)에 대응한 1쌍의 나사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공(132)을 통하여 나사구멍(134)에 나사(135)를 나사조임함으로써 헤드 지지판(128)이 헤드 프레임(31)에 고정된다. 또, 수직부(131)에는 통공(1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136)에 지지샤프트(32)의 기단부가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부(131)는 코일스프링(127)에 의해서 프레임 측판(14)에 눌려 붙여져 있다. 따라서, 헤드 프레임(31)은 유지기구(125)에 의해서 프레임 측판(14)에 누름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그 이동이 규제된다.
또, 제12도 및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의 타측 프레임 측판(15)의 외면에는 힌지(138)을 통하여 고정판(140)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힌지(138)의 상측 위치에 1쌍의 위치결정핀(14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40)에는 제1 내지 제5걸어맞춤구멍(142,143,144,145,146)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로크기구(14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40)은 제12도에 나타낸 개방위치에서 제17도에 나타낸 고정위치로 힌지(138)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제1걸어맞춤구멍(142)에 헤드 프레임 (31)의 고정핀(124)이, 제2걸어맞춤구멍(143)에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고정암(43)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핀(92a)이, 제3걸어맞춤구멍(144)에 지지샤프트 (32)의 자유단이, 제4걸어맞춤구멍(145)에 일측의 고정핀(141)이, 제5걸어맞춤구멍 (146)에 타측의 고정핀(141)이 각각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지지샤프트(32)의 자유단,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5)측의 단부 및 고정암(43)의 자유단이 고정판 (14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결과 지지샤프트(32), 헤드 프레임(31) 및 고정암(43)이 양측 지지된다.
로크기구(147)는 고정판(140)의 표면측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조작손잡이(147a)와 고정판(140)의 이면측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로크편(147b)을 가지며, 로크편(147b)은 회동축(147c)을 통하여 조작손잡이(147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손잡이(147a)의 회동조작에 따라 로크편(147b)이 회동축(147c)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고정판(140)이 고정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조작손잡이(147a)를 회동하면 로크편(147b)이 프레임 측판(15)의 상단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고정판(140)이 고정위치에 로크된다.
고정판(140)의 선단부 이면에는 탄성부재, 예를 들면 고무로 돈 고정 부시 (148)가 고정되어 있다. 이 부시(148)는 리본 유니트(46)가 리본구동부(47)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판(140)이 고정위치로 회동되면, 리본 유니트(46)의 측판(54)에 접하여 리본구동부(47)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리본 유니트(46)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어멀 프린터에 전사리본(29)를 세트할 '때에는 본체 케이스(1)의 사이드 패널(3)(제1도 참조)을 떼어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우선, 고정판(140)의 조작손잡이(147a)를 회동하여 로크편(147b)과 프레임측판(15)의 상단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화살표 B방향으로 고정판(140)을 개방위치까지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고정판(140)은 자자셔푸투 (32), 헤드프레임(31) 및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고정암(43)에서 떨어진다. 따라서,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5)측의지지 및 고정암(43)의 프레임 측판 (15)측의 지지가 해제된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46) 및 헤드 유니트(30)의 떼어냄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플래튼 롤러(24)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라인 서어멀 헤드(39)에서 떨어뜨리고, 이어서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슬라이더(91)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레일(97) 및 중간레일(95,96)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됨으로써, 슬라이더(91)가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인출된다.
이어서, 리본지지프레임(48)에 전사리본(29)을 부착하고, 리본지지프레임 (48)의 텐션축(51)과 리본구동축(52) 사이의 리본부분을 약간 늘어지도록 하측으로 인출한다. 이 상태에서 전사리본(29)의 상기 인출부분을 슬라이더(91)에 걸은 후, 리본 유니트(46)를 슬라이더(91) 위에 얹어놓는다. 이 리본 유니트(46)를 얹어놓을 때에는, 먼저 제18a도 및 제1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91)의 걸어맞춤핀 (100)이 리본 유니트(46)의 하부 횡가재(55)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 (101)의 대경부내에 각각 끼워지는 상태로 하부 횡가재(55)가 슬라이더(91) 위에 놓여진다. 그 후, 리본 유니트(46)를 제1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를 향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100)의 머리부가 걸어맞춤구멍(101)의 소경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본 유니트(46)가 슬라이더(91) 위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리본 유니트(46)를 유지한 후, 리본 유니트(46)는 슬라이더(91)와 함께 프린터의 본체 케이스(1)내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91)는 제1위치까지 이동되어 리본 유니트(46)가 본체 케이스(1)내에 수납된다.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50,51,52)의 접속구멍(66)은 프레임 측판(14)위에 고정되어 있는 리본구동부 (47)의 회전축(69,70,71,72)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와 리본 유니트(46)가 연결되어 리본공급장치(45)가 조립된다.
또, 전사리본(29)의 늘어진 부분을 서로 떨어져 있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 사이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권취축(50)을 손으로 돌려서 전사리본(29)의 잉여분을 감는다. 이어서, 본체 케이스(1)의 후면에 부착된 용지홀더 (106)(제1도 참조)에 장착된 롤러(107)에서 다수의 라벨이 붙여진 용지가 인출되어 본체 케이스(1)의 후면을 통하여 본체 케이스(1)내로 도입된다. 이 용지는 전사리본 (29)의 하측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 사이를 통과한다. 그 후, 플래튼 롤러(24)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라인 서어멀 헤드(39)에 접촉시킨다.
리본 유니트(46)가 리본구동부(47)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판(140)이 고정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고정판(140)의 제1걸어맞춤구멍(142)에 헤드 프레임(31)의 고정판(124)이, 제2걸어맞춤구멍(143)에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고정암(43)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핀(92a)이, 제3걸어맞춤구멍(144)에 지지샤프트(32)의 자유단이, 제4걸어맞춤구멍(145)에 일측의 고정핀(141)이, 제5걸어맞춤구멍(146)에 타측의 고정핀(141)이 각각 걸어맞춰진다. 또, 고정판(140)의 선단부가 부시(148)를 통하여 리본 유니트(46)의 측판(54)에 누름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판(140)의 조작손잡이(147a)를 회동하여 로크편(147b)을 프레임 측판(15)의 상단부에 걸어맞춤으로써, 고정판(140)이 고정위치에 로크된다. 따라서, 본체 프레임(12)의 프레임 측판(14)에 편측 지지되어 있는 지지샤프트(32)의 자유단, 헤드 프레임(31)의 프레임 측판(15)측의 단부 및 고정암(43)의 자유단이 고정판(14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결과, 지지샤프트(32), 헤드 프레임(31) 및 고정암(43)이 양측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세트된 전사리본(29)은 공급축(49)에서 권취축(50)에 이르는 부분이 인자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 서어멀 헤드(39)의 동작에 의하여 전사리본(29)의 잉크가 용지의 라벨에 전사되어 인자가 실시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라벨프린터를 사용할 때의 리본공급장치(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지공급 구동장치(도시생략)의 동작에 연동하여 플래튼 롤러(24)가 회전하면, 치차(85)를 통하여 리본구동부(47)의 치차(80)가 회전된다. 따라서, 톱니가 형성된 풀리(79)를 통하여 타이밍벨트(81)가 주행하고, 치차(76 및 75)를 통하여 회전축(69)이 회전된다. 또, 톱니가 형성된 풀리(78)를 통하여 회전축(71)이 회전된다.
회전축(69)에는 리본 유니트(46)의 리본구동축(52)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리본구동축(52)이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둘레에 접하고 있는 전사리본(29)을 주행시킨다. 또, 회전축(71)에는 권취축(50)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축(50)이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본구동축(52)을 경유한 전사리본(29)을 감는다.
또한, 이때에는 전사리본(29)의 권취력에 의해 공급축(49) 및 텐션축(51)이 종동회전하므로, 전사리본(29)이 공급됨과 동시에 텐션축(51)에 의하여 전사리본(29)에 장력이 부여된다. 전사리본(29)의 주행에 동기하여 용지도 소정방향으로 주행되며, 라인 서어멀 헤드(39)에 의해서 용지 위의 라벨에 소망한 정보가 인자된다.
그런데, 상기한 인자가 계속되어 전사리본(29)이 모두 감겨지면, 전사리본(29)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우선 상기한 공정에 따라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프레임(12) 외측으로 인출한다. 이 상태에서 리본 유니트(46)의 축받이(58,59)에 형성된 후크부(63)를 가요변형시켜서 공급축(49)과 권취축(50)을 떼어내고, 새로운 전사리본(29)이 감겨진 공급축(49)과 권취축(50)을 리본 유니트(46)의 축받이(58,59)에 부착한다.
그 후, 상기한 바와 같이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내에 끼워넣어 세트함으로써 교환이 종료된다.
또한, 잉크가 남아있는 전사리본(29)의 재사용은 다음과 같이 하여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리본 유니트(46)는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리본 유니트(46)의 상부 횡가재(손잡이)(56)를 손으로 쥐고서 슬라이더(91)에서 떼어낸다. 그리고, 리본 유니트(46)를 가상면(H)상의 P선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반전시킨 후 슬라이더(91) 위에 부착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9)와 함께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내로 끼워넣어 리본구동부(47)와 연결시킨다. 이 교환에 있어서,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52)의 축단부(49a~52a)에 형성된 접속구멍(66)은 이것들과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리본구동부(47)의 회전축(69,70,71,72)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접속구멍(66)의 복수의 흠(67)과 회전축(69,70,71,72)의 복수의 돌기부(84)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본구동부(47)에서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52)으로서의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인자가 장시간 실시되면, 라인 서어멀 헤드(39)를 교환하거나 혹은 청소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우선 고정판(140)의 조작손잡이(147a)를 회동하여 고정판(140)의 로크를 해제한 후, 고정판(140)을 그 고정위치에서 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고정판(140)은 지지샤프트(32),헤드 프레임(31), 고정암(43)에서 이탈된다. 이어서, 플래튼 롤러(24)를 지지접촉(2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시켜 라인 서어멀 헤드(39)에서 떨어지게 한다.
이어서, 헤드 지지판(128)에 헤드 프레임(31)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135)를 푼 다음, 헤드 유니트(30)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헤드 유니트(30)가 지지샤프트(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프레임 측판(15)의 측방에서 외부로 꺼내진다. 이와 같이 헤드 유니트(30)를 외부로 꺼낸 후, 라인 서어멀 헤드(39)를 새로운 것과 교환하거나 혹은 청소한다. 그 후, 헤드 유니트(30)를 상기한 반대의 순서로 본체 프레임(12)에 부착한다. 그리고, 고정판(140)을 개방위치에서 고정위치로 회동시킨 후, 로크기구(147)에 의하여 고정위치에 로크함으로써, 헤드 유니트(30) 및 지지샤프트(32)는 양측 지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의 프린터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12)에 리본 유니트(46)를 지지하는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를 형성하고, 이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슬라이더(91)를 이동시킴으로써, 리본 유니트(46)는 리본구동부(47)와 연결되는 제1위치와 리본구동부(47)에서 떨어져서 본체 케이스(1) 외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에 대한 리본 유니트(46)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본체 케이스(1) 외측에서 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 리본 유니트(46)가 리본구동부(47)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판(140)을 고정위치에 로크함으로써, 리본 유니트 지지기구(44)의 고정암(43)의 자유단이 고정판(140)에 의하여 지지됨과 아울러 리본 유니트(46)가 부시(148)를 통하여 리본구동부(47)를 향하여 압압된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46)는 프린터 본체내에 장착 되었을 때에 소정위치에 안정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인자동작중에 리본 유니트(46)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전사리본(29)이 사행하거나 혹은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인자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에 의하면, 헤드 유니트(30)는 일측의 프레임 측판(14)에 편측 지지된 지지샤프트(32)에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어, 이 지지샤프트(32)를 따라 프린터 본체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유니트(30)를 프린터 본체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라인 서어멀 헤드(39)를 헤드 프레임(31)에 대하여 착탈하 수 있어 헤드의 교환 혹은 청소작업이 극히 용이해진다.
헤드 유니트(3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프린터 본체내의 작동위치에 세트한 후에는 지지샤프트(32) 및 헤드 프레임(31)의 자유단이 고정수단으로서의 고정판(140)에 의해서 고정된다. 따라서, 지지샤프트(32) 및 헤드 프레임(31)을 양측 지지할 수 있다. 또, 헤드 프레임(31)은 지지샤프트(32)의 기단부에 형성한 유지기구(125)에 의해서 프레임 측판(14)의 내면에 누름접촉되어 지지샤프트(32)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라인 서어멀 헤드(39)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어 일층 양호한 인자를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판(140)의 로크기구(147)는 본체 프레임(12)의 프레임 측판(15)과 걸어맞추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크기구(147)는 고정암(43)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판(92)와 걸어맞추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Claims (13)

  1. 본체와 ;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인자헤드 및 인자헤드에 대향하여 위치한 플래튼 가지며, 인자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수단과 ;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공급장치-이 리본공급장치는 상기 전사리본과, 전사리본이 감겨진 공급축 및 권취축을 가지는 리본 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리본 유니트를 구동하는 리본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와 ;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 유니트를 이 리본 유니트가 상기 리본구동부와 걸어맞춰지는 제1위치와 리본 유니트가 상기 리본구동부에서 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한 지지수단과; 상기 리본 유니트의 이동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리본 유니트와 걸어맞춰져서 리본 유니트를 상기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고정위치와의 사이를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과 걸어맞춰져서 이 자유단을 지지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전사식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도록 상기 지지부재위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 유니트가 상기 슬라이더에 부착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측판을 가지는 본체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단이 상기 제1측판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2측판 근방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측판에 상기 고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자유단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돌출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을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리본 유니트와 맞닿아서 이것을 상기 리본 구동부를 향하여 압압하는 압압부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탄성물질로 형성된 부시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이 고정부재를 상기 고정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수단을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상기 본체와 걸어맞춰져서 고정부재를 고정위치에 로크하는 로크위치와 상기 본체에서 떨어지는 해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로크편과, 로크편을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헤드가 고정된 헤드 프레임을 가지는 헤드 유니트와 ; 상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단과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플래튼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샤프트-이 지지샤프트는 상기 헤드 유니트를 상기 인자헤드가 플래튼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작동위치에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플래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지지샤프트의 자유단 및 상기 헤드 유니트와 걸어맞춰져서 이것들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대향한 제1 및 제2측판을 가지며, 상기 지지샤프트는 상기 제1측판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제2측판 근방까지 연장된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측판에 상기 고정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 유니트를 상기 작동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전사식 프린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니트는 상기 작동위치에서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에 각각 인접하는 제1 및 제2단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제1단부를 상기 제1측판에 눌러 붙이는 탄지수단을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지지샤프트에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헤드 유니트의 제1탄부에 고정된 유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지지샤프트에 부착되어 상기 유지부재를 제1측판에 눌러붙이는 스프링을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은 상기 작동위치에 유지된 상기 인자헤드에 대하여 접촉 및 떨어지기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KR1019910011969A 1990-07-13 1991-07-13 전사식 프린터 KR960000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6886A JPH0473176A (ja) 1990-07-13 1990-07-13 転写式プリンタ
JP2186884A JP2638665B2 (ja) 1990-07-13 1990-07-13 転写式プリンタ
JP2-186886 1990-07-13
JP2-186884 1990-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342A KR920002342A (ko) 1992-02-28
KR960000969B1 true KR960000969B1 (ko) 1996-01-15

Family

ID=2650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969A KR960000969B1 (ko) 1990-07-13 1991-07-13 전사식 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80236A (ko)
KR (1) KR960000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733A (en) * 1992-07-24 1995-01-24 Summagraphics Corporation Ribbon cassette for a printer
US5267802A (en) * 1992-07-24 1993-12-07 Summagraphics Corporation Ribbon cassette storage and transfer apparatus for a printer
JP3337549B2 (ja) * 1994-03-25 2002-10-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転写式プリンタ及びこのプリンタに用いるインクリボンマガジン
EP0699540B1 (en) * 1994-09-01 1999-09-01 Sharp Kabushiki Kaisha Printer system with automatic ink ribbon cassette exchange function
EP1577105B1 (en) * 2004-03-15 2010-1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JP2006137108A (ja) * 2004-11-12 2006-06-01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CN105599464B (zh) 2010-11-15 2018-12-07 Zih公司 介质处理装置及相关系统
US9676214B2 (en) * 2013-09-27 2017-06-13 Transact Technologies Incorporated Docking station for a removable printer mechanism and methods of providing a removable printer mechanism
USD892922S1 (en) * 2018-01-24 2020-08-11 di support GmbH Printer device
CN108372728B (zh) * 2018-03-29 2023-12-26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便携打印机的传动装置及便携打印机
KR102658506B1 (ko) * 2023-10-23 2024-04-18 주식회사 성림섬유 재생 탄소섬유와 나일론섬유를 포함하는 혼방 소모방적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0780A (ja) * 1983-06-13 1984-12-25 Toshiba Corp 熱転写材カセツト
JPS60172570A (ja) * 1984-02-20 1985-09-0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168275A (ja) * 1984-09-13 1986-04-08 Fuji Xerox Co Ltd 転写型感熱記録装置
DE3583378D1 (de) * 1984-10-02 1991-08-08 Fujitsu Ltd Drucker mit einer von der vorderseite einfuehrbare papiervorschubeinrichtung.
US4815871A (en) * 1986-11-14 1989-03-28 Varitronic Systems, Inc. Head control apparatus
JPS63306067A (ja) * 1987-06-08 1988-12-14 スター精密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JP2572109B2 (ja) * 1987-10-22 1997-01-16 グラフテック株式会社 感熱記録装置におけるサーマルヘッドの支持装置
JP2757187B2 (ja) * 1988-06-09 1998-05-25 株式会社サトー 値札用サーマルプリンタのサーマルヘッド支持機構
JP2560448B2 (ja) * 1988-09-26 1996-12-04 神鋼電機株式会社 熱転写記録装置のサーマルヘッド保持構造
JP2638661B2 (ja) * 1990-03-30 1997-08-06 株式会社テック 転写式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342A (ko) 1992-02-28
US5180236A (en) 199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029A (en) Label printer
US5546115A (en) Cassette assembly for mounting thermal transfer ribbon in a thermal printer
KR960000969B1 (ko) 전사식 프린터
KR960000968B1 (ko) 전사식 프린터
KR940010996B1 (ko) 서어멀 프린터
JP2003026351A (ja) カードクリーニングデバイスおよびカード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
EP0422649B1 (en) Thermal printer
KR960000967B1 (ko) 전사식 프린터
US5238314A (en) Transfer printer with ribbon lock
JPS61266271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JP2001063107A (ja) 記録装置
US5030969A (en) Ribbon charging mechanism in a multicolor thermal transfer printer
KR950008988B1 (ko) 전사식 프린터
JPS61266277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JP2547462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2778796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H0473176A (ja) 転写式プリンタ
JP2638665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S61266262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JP2019073025A (ja) プリンタ
JPH0471876A (ja) 転写式プリンタ
JPS61266261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JPH03281373A (ja) 転写式プリンタ
JP2547463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H03782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