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88B1 - 전사식 프린터 - Google Patents

전사식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88B1
KR950008988B1 KR1019950005879A KR19950005879A KR950008988B1 KR 950008988 B1 KR950008988 B1 KR 950008988B1 KR 1019950005879 A KR1019950005879 A KR 1019950005879A KR 19950005879 A KR19950005879 A KR 19950005879A KR 950008988 B1 KR950008988 B1 KR 95000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core
shaft
set shaf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아끼 스기모토
오사무 고이즈미
이쿠조 스기우라
사토시 기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텍크
구모 미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839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74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39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87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395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1957B2/ja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10005030A external-priority patent/KR960000968B1/ko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텍크, 구모 미츠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텍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02Fee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2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 B41J33/28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by mechanism pulling or gripping the ribbon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사식 프린터
제1도∼제19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라벨프린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상기 프린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기 프린터의 정면도.
제3도는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기 프린터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상기 프린터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리본 유니트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제2도에 대응하는 정면도.
제6도는 리본 유니트 및 지지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도는 지지기구가 신장된 상태를 리본 유니트의 일부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리본 유니트의 평면도.
제10a도는 축단부의 정면도.
제10b도는 축단부의 단면도.
제10c도는 회전축 단부의 정면도.
제10d도는 회전축 단부의 측면도.
제11a도는 중계코어의 정면도.
제11b도는 중계코어의 단면도.
제12a도∼제12c도는 축단부와 구동축 단부의 연결동작을 각각 나타낸 단면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리본 유니트와 슬라이더의 각각 상이한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14a도 및 제14b도는 걸어맞춤핀과 걸어맞춤구멍의 상이한 걸어맞춤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제15도는 리본세트축의 사시도.
제16도는 보조위치결정부재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XVII-XVII선 단면도.
제18도는 리본세트축에 긴 권심을 장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19도는 리본세트축에 짧은 권심을 장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0도는 리본세트축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1도는 상기 변형예에 관한 리본세트축의 평면도.
제22도는 리본세트축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예를들면 라벨에 품명이나 바코드를 인장하는 라벨프린터등의 프린터, 특히 용지에 접촉한 전사리본을 인장헤드로 가열하여 전사리본상의 잉크를 용지에 전사하여 인장하는 전사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전사식 프린터, 예를들면 라벨프린터는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와, 이 플래튼 롤러와 누름접촉하는 라인 서어멀 헤드를 가지는 인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인장부 상측에는 전사리본의 공급축 및 권취축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 등에 의하여 권취축이 회전하면, 전사리본은 공급축에서 인출되어 가이드축 및 인장부를 거쳐서 권취축에 감겨진다. 공급축에는 부하기구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하기구에 의하여 공급축의 회전에 제동함으로써 전사리본에 소망의 벡텐션이 주어진다.
종래, 전사리본을 교환할 때에는 프린터 본체 내부의 좁은 공간내에서 다른 구성부품을 피하면서 전사리본의 착탈(着脫)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불량하다.
그래서, 최근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용이화하기 위하여, 리본이 감겨진 공급축 및 권취축을 케이스내에 수납하여 유니트화 하고, 이 유니트를 플니터 본체내에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장착한 프린터가 개발되어 있다. 이 프핀터에 의하면, 유니트를 프린터 본체에서 떼어내어 프린터 외측에서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전사리본, 공급축 및 권취축을 유니트화한 경우, 전사리본 자체의 교환작업은 용이하게 되지만, 프린터에 대한 리본 유니트의 착탈작업은 여전히 프린터 본체 내부의 좁은 공간내에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하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란 쉽지 않다.
리본 유니트에 있어서, 공급축 및 권취축 각각은 리본세트축과 이 리본세트축에 빼내기 가능하도록 장착된 원통형상의 권심을 가지며, 이 권심에 소모품인 전사리본이 감겨져 있다.
리본세트축의 일단부에는 권심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권심빠짐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권심고정부에는 권심의 일단부가 빼내기 가능하도록 끼워맞춰지며, 이 끼워맞춤에 의하여 리본세트축에 대한 지름방향 및 축방향 일단측으로의 권심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다. 권심빠짐방지부는 권심의 타단에 벗기기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며, 권심을 권심고정부와의 사이에 끼워서 리본세트축의 타단측으로서의 권심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 부분을 개재시킴으로써, 권심이 리본세트축에 지지되어 세트축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리본세트축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권심고정부 및 권심빠짐방지부는 모두 이동이 불가능하며, 이들 양 부분 사이의 간격은 사용할 전사리본의 폭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전사리본에는 그 폭이 2인치, 3인치, 4인치 및 6인치의 것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사용될 전사리본에 대하여 리본세트축이 전용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서로 상이한 폭으로 된 용지에 적합한 폭으로 된 전사리본을 동일 리본세트축에 부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들어 4인치 폭으로 된 전사리본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이하의 폭으로 된 용지에 대하여 상기 전사리본의 일부를 사용하여 인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사리본의 낭비가 크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도 리본 유니트가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탈작업성의 향상, 여러종류의 전사리본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등, 리본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사식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사식 프린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인장헤드 및 인장헤드에 대향하여 위치한 플래튼을 가지며, 인장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장하는 인장수단과; 상기 인장헤드와 기록매체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공급장치-이 리본공급장치는 상기 전사리본과 전사리본이 감겨진 공급축 및 권취축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서 떼어내기 가능하게 형성된 리본 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부착된 리본 유니트를 구동하는 리본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본 유니트의 공급축 및 권취축 각각은, 리본세트축과; 상기 리본세트축에 빼내기 가능 하도록 이것과 대략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사리본이 감겨지는 원통형상의 제1권심과, 상기 리본세트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리본세트축에 부착된 제1권심의 일단과 걸어 맞춰져서 리본세트축에 대하여 제1권심의 상기 일단을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리본세트축의 타단부에 상기 위치결정수단에서 상기 제1권심의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며, 상기 제1권심의 타단과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유지수단 사이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권심을 대신하여 상기 리본세트축에 부착되며, 상기 전사리본 보다도 폭이 좁은 다른 전사리본이 감겨지는 원통형상의 제2권심-이 제2권심은 상기 제1권심 보다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지수단에 걸어맞춰지는 타단부를 가지고 있다-과; 상기 걸어맞춤부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빼내기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2권심의 일단부와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위치결정하는 보조위치결정수단을;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프린터에 의하며, 리본세트축의 일단부에 형성된 위치결정수단과 타단부의 유지수단 사이의 거리는 리본세트축의 축 길이에 가까운 폭으로 된 전사리본 및 제1권심의 길이와 일치한다. 상기 폭의 전사리본을 리본세트축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1권심이 유지수단측에서 위치결정수단을 향하여 리본 세트축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권심의 일단부가 위치결정수단에 끼워맞춰져서 지지됨과 아울러, 권심의 타단부가 유지수단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제1권심은 위치결정수단과 유지수단 사이에 협지(挾持)되어 상기 폭의 전사리본이 리본세트축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는 보조위치결정수단이 사용되지 않는다.
보조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전사리본보다도 폭이 좁은 전사리본을 리본세트축에 부착할 경우에 사용된다. 이 경우, 보조위치결정수단은 폭이 좁은 전사리본이 부착되기 전에 리본세트축에 부착되며, 이 전사리본의 폭에 적합하게 미리 리본세트축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부에 의하여 리본세트축의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부착에 의하여, 보조위치결정수단은 위치결정수단보다도 유지수단측에 배치되며, 이 보조위치결정수단과 유지수단사이의 거리가 상기 폭이 좁은 전사리본 및 이것에 적합한 제2권심의 길이와 일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2권심이 유지수단측에서 보조위치결정수단을 향하여 리본세트축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제2권심의 일단부가 보조위치결정수단에 끼워맞춰져서 지지됨과 아울러, 권심의 타단부가 유지수단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유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권심이 상기 보조위치결정수단과 유지수단 사이에 협지되어 상기 폭이 좁은 전사리본이 리본세트축에 부착된다.
그리고, 리본세트축에 대하여 보조위치결정수단을 위치결정하는 걸어맞춤부를 복수개 리본세트축에 형성한 경우에는, 이것들의 위치에 대응한 폭의 전사리본을 상술한 바와같이 하여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이 폭으로 된 전사리본을 부착하여 인장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리본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사식 프린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된 인장헤드 및 인장헤드에 대향하여 위치한 플래튼을 가지며, 인장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장하는 인장수단과; 상기 인장헤드와 기록매체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공급장치-이 리본공급장치는 상기 전사리본과 전사리본이 감겨진 제1 및 제2회전축을 가지는 리본 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리본 유니트를 구동하는 리본구동부; 를 구비하고 있다-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리본 유니트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와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지지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본 유니트는 상기 본체내에 위치하여 상기 리본구동부와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상기 전사리본은 상기 인장헤드와 기록매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위치에 있어서, 상기 리본 유니트는 상기 구동부에서 떨어져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떼어내기 자유롭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전사식 프린터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에 의하여 리본 유니트를 상기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본체의 외측으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사리본의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리본 유니트가 지지수단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전사리본의 교환을 일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전사리본을 교환한 후에는 리본 유니트를 지지수단에 의하여 제1위치로 이동시켜 리본구동부에 걸어맞춤으로써, 리본 유니트를 용이하게 프린터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사식 프린터를 라벨프린터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라벨프린터는 대략 장방형상의 상자형으로 된 본체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 케이스(1)는 장방형상의 베이스(2)와, 1쌍의 측벽 및 상벽을 일체로 가지며 베이스(2)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치된 단면 U자형상의 사이드 패널(3)과, 베이스(2)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으모가 아울러 인장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구(4)를 가진 L자형상의 제1전면판(5a)과, 사이드패널(3)과 일체로 형성된 제1전면판(5a) 상부에 연속하여 위치한 제2전면판(5b)과, 베이스(2)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전면판(5a, 5b)측방에 연속하여 형성된 제3전면판(5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 부호 8은 프린터에 인장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본체 케이스(1)내에는 인장을 하기 위한 인장기구(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하 이 인장기구(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장기구(11)는 지지체로서의 본체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2)은 상기 베이스(2) 상면에 고정된 수평한 저판(13)과, 저판(13)의 좌, 우 양단부에 세워 설치된 프레임 측판(14, 15)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2장의 프레임 측판(14, 15)은 수직으로 세워져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인장기구(11)는 플래튼 유니트(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래튼 유니트(21)는 프레임 측판(14, 15)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프레임 측판(14, 1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 유니트(21)는 지지점축(22)과, 2장의 단판(23)과, 플래튼 롤러(24)와, 중간축(25)과, 도시하지 않은 토션스프링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지지점축(22)은 프레임 측판(14, 15)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가설(架設)되며, 그 양단부는 프레임 측판(14, 15)에 각각 고정되어 회동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2장의 단판(23)은 평판구조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 측판(14, 15)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단판(23)의 후단부는 각각 지지점축(22)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지지점축(22) 둘레에서 각각 개별로 회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각 단판(23)의 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축받이에는 플래튼 롤러(24)의 플래튼 축(28)이 관통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플래튼 롤러(24)는 양단판(23)의 전단부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가설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24)의 일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용지이송기구에 접속되며, 이 용지이송기구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중간축(25)은 지지점축(22)과 플래튼 롤러(24) 사이에 위치하며, 1쌍의 단판(23) 사이에 걸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박리판(26)은 플래튼 롤러(24)의 전방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1쌍의 단판(23)의 전단부에 걸쳐서 가설되어 있다.
지지점축(22)에 감겨진 상기 토션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지지점축(22)에 고정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받이에 걸쳐 있으며, 그 타단부가주간축(25)에 그 하측에서 걸어서 부착되어 있다. 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플래튼 유니트(21)의 지지점축(22) 이외의 부분이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24)는 후술하는 라인 서어멀 헤드(34)에 하측에서 밀어붙이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튼 유니트(21)의 지지점축(22) 이외의 부분은 필요에 따라, 예를들면 후술하는 리본 유니트를 장진하거나 혹은 떼어낼때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수동 또는 자동제어에 의하여 지지점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래튼 유니트(21)의 상측위치에는 헤드 프레임(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 프레임(31)의 부착구조는 제2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다. 즉, 헤드 프레임(31)의 후단부는 측판(14)에서 측판(15)측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지지축(32)에 끼워맞춰져 있다. 헤드 프레임(31)에 있어서의 측판(14)측의 전단부 면에는 지지판(33)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핀(33)은 측판(14)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통공에 끼워맞춰져있다. 지지축(32)의 선단부는 헤드 프레임(31)의 측판(15)측의 단벽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이 단벽의 전단부에는 지지핀(34)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축(32)의 선단부와 지지핀(34)은 측판(15)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클램프판(35)에 형성된 대응하는 구멍(32a, 34a)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와같이 하여 헤드 프레임(31)은 그 일단측이 지지축(32) 및 지지핀(33)을 통하여 측판(14)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측이 지지축(32)의 선단부 및 지지핀(34)을 통하여 측판(15)의 클램프판(35)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36은 클램프판(35)의 회동축, 37은 걸어붙임구멍이다. 걸어붙임구멍(37)에는 헤드 프레임(31) 상면에 부착된 판스프링제의 걸어붙임판(38)이 걸고 빼기 가능하게 걸려져 있다.
걸어붙임판(38)이 클램프판(35)에 걸어붙여짐으로써 헤드 프레임(31)의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중 화살표 A방향으로 걸어붙임판(38)의 선단부(38a)를 눌러내린후에 클램프판(35)을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헤드 프레임(31)의 측판(15)측의 지지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 프레임(31)을 우측으로 빼낼 수 있다. 헤드 프레임(31)에는 라인 서어멀 헤드(39)가 부착되며,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 라인 서어멀 헤드(39)에는 그 하측에서 플래튼 롤러(24)가 맞대어져 있다. 헤드 프레임(31)을 지지하는 지지축(32)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사리본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30)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헤드 프레임(31)의 상측에는 후술하는 리본공급장치(45)의 리본 유니트(46)를 지지하는 리본지지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기구(44)는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신장된 단면 U자형상의 고정암(43)과 가이드기구(92)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24)의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도록 고정함(43)위에 놓여진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슬라이더(91)를 구비하며, 리본 유니트(46)는 슬라이더(91)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놓여져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암(43)은 그 일단이 프레임 측판(14)에 고정되며, 타단은 프레임 측판(15) 근방까지 신장되어 있다. 즉, 고정암(43)은 일측 지지로 되어 있다. 고정암(43)의, 선단부 양측면에는 슬라이더(91)위에 놓여진 리본 유니트(46)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판스프링으로 된 1쌍의 걸어붙임판(92a)이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91)의 상면은 플래튼 롤러(24)와 평행하게, 즉 수평으로 연장되어 리본 유니트(46)가 놓여지는 지지면(91a)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측판(15)은 측판(14)보다도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고정암(43)에 대향하는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이드기구(92)는 하부레일(93), 1쌍의 중간레일(95, 96) 및 상부레일(97)을 구비하며, 이들 레인은 고정암(43)과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암(43)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하부레일(93)은 나사(94)에 의하여 고정암(43)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레일(96)은 하부레일(93)내에 끼워넣어지며, 이들 레일 사이에는 다수의 안내롤러(9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레일(96)은 하부레일(9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중간레일(95)은 중간레일(96)위에 고정되며, 상부레일(97)은 중간레일(95)과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91)는 1쌍의 나사(98)에 의하여 상부레일(9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91)는 제4도에 나타내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으며 제2위치에 있어서 슬라이더(91) 전체가 거의 본체(1)외측으로 돌출된다.
또, 슬라이더(91)의 지지면(91a)에는 상기 나사(98)를 이용하여 1쌍의 걸어맞춤핀(100)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핀(100)은 슬라이더(91)의 축방향으로 따라서 소정 간격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각 걸어맞춤핀(100)은 그 선단부측의 지름이 하단부측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본공급장치(45)의 리본 유니트(46)가 지지기구(44)의 슬라이더(91)을 걸터앉도록 부착되어 있다.
리본 유니트(46)는 제2도 내지 제7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본지지프레임(48)과 1쌍의 리본세트축(49, 50)과 텐션축(51)과 리본구동축(52)을 구비하고 있다.
리본지지프레임(48)은 서로 대향하는 2장의 측판(53, 54)의 저부를 하부횡가재(55)로 연결함과 아울러, 측판(53, 54)의 상부중앙에 형성된 돌출부(57)을 손잡이부로서의 상부횡가재(56)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 횡가재(56)는 둥근 봉으로 형성되며, 이것은 리본 유니트(46)를 운반할 때의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 횡가재(55)에는 1쌍의 걸어맞춤구멍(101)이 2조(組)로 형성되어 있다. 일측 1조의 걸어맞춤구멍(101)에 슬라이더(91)에 형성된 걸어맞춤핀(100)이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본 유니트(46)가 슬라이더(91)위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2조의 걸어맞춤구멍(101)은 하부 횡가재(55)의 길이방향의 중심을 경계로 한 대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측판(53, 54)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상부 축받이(58)가 돌출부(57) 앞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서로 대향하는 제2상부 축받이(59)가 상기 돌출부(57) 후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측판(53, 54)에는 그 앞측 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60)가 각각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측 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6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상부 축받이(58, 59)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U자형상의 축받이부(62)와 이 축받이부(62) 상측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후크부(63)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후크부(63)의 근원측 부분은 가요(可撓)변형이 가능한 얇은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근원축 부분을 가요변형시킴으로써, 후크부(63)는 축받이부(62)의 개방부 상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본세트축(49)은 그 양측의 축단부(49a)가 리본지지프레임(48)의 후측에 위치하는 제2상부 축받이(59)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 54) 사이에 옆걸기되어 있다. 이 리본세트축(49)은 제2상부 축받이(59)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상부 축받이(59)에 끼워맞춰져서 지지되는 리본 세트축(49)의 양 축단부(49a)의 상부 둘레면 후크부(63)가 누름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 후크부(63)에 의하여 리본세트축(49)이 제2상부 축받이(59)에서 상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리본지지프레임(48)에 부착된 리본세트축(49)을 떼어내기 위해서는, 리본세트축(49)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후크부(63)가 탄성변형하여 축단부(49a)가 축받이부(59)에서 상측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리본세트축(49)을 떼어낼 수 있다.
리본세트축(50)도 그 양측의 축단부(50a)가 리본지지프레임(48)의 앞측에 위치하는 제1상부 축받이(58)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 54) 사이에 옆걸기되어 있다. 이 리본세트축(50)도 제1상부 축받이(58)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착탈의 순서는 상기한 리본세트축(49)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리본세트축(49, 50)은 서로 동일한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세트축(49)과 리본세트축(50)은 전후 2조의 축받이(58, 59)에 대하여 상기한 착탈 수순에 따라 교환가능하게 리본지지프레임(48)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리본세트축(49)과 리본세트축(50)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58, 59) 각각은 모두 리본 유니트(46)의 전후방향 중심을 지나는, 즉 리본세트축(49, 50)사이로 이것들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면(H)(제9도 참조)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리본세트축(49, 50) 각각에는 후술하는 여러종류의 폭으로 된 전사리본(29)이 감겨지는 원통체로 된 여러권심(64)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전사리본(29)은 공급축으로서 작용하는 리본세트축(49)에 지지된 권심(64)에 감겨져 있으며, 여기서 인출되어 텐션축(51) 및 리본구동축(52) 등을 순차경유한 후에, 권취축으로서 작용하는 리본세트축(50)에 지지된 권심(64)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전사리본(29)의 텐션축(51)에서 리본구동축(52)에 이르는 부분은 인장부를 구성하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사이를 통과한다.
리본구동축(52)은 그 양측의 축단부(52a)가 축방단(6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 54) 사이에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동축(52)은 헤드 프레임(31) 앞측에 위치하여 인장부와 리본세트축(5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리본구동축(52)의 외주면에는 인장부에서 세트축(50)으로 향하는 전사리본(29)이 감싸지도록 걸쳐지며, 그 접촉부분은 전사리본(29)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 예를들면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축(51)은 그 축단부(51a)가 축받이(6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2장의 측판(53, 54) 사이에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이 텐션축(51)은 헤드 프레임(31) 후측에 위치하여 인장부와 리본세트축(49)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축(51)의 외주면에도 리본세트축(49)에서 인장부로 향하는 전사리본(29)이 감싸지도록 걸쳐지며, 그 접촉부분은 전사리본(29)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 예를들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축(51)은 리본구동축(52)과 동일한 위치,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축(51, 52)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60, 61) 각각은 상기 가상면(H)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지지프레임(48)에 옆걸기된 회전가능한 4개의 축(49, 50, 51, 52)은 리본 유니트(46)의 중심(P)제9도에 있어서 가상면(H)위를 축(49, 50, 51, 52)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하고 있다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축단부(49a, 50a, 51a, 52a)에는 각기 접속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축단부(49a)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면, 접속구멍(66)은 제10a도 및 제10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단부(49a)의 접속구멍(66) 내주면에, 예를들면 3개의 돌기(67)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접속구멍(66)의 바닥에 원통형상의 보스(49b)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구멍(66)내에는 제12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상의 중계코어(102)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중계코어(102)의 외주면에는 제11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홈(103)이 형성되며, 이들 홈(103)내에 상기 축단부(49a)의 돌기(67)가 끼워맞춰져 있다. 또, 중계코어(102)의 내주면에는 제11a도 및 제11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방향을 따라서 6개의 돌부(10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중계코어(102)의 저벽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는 보스(49b)가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접속구멍(56)의 바닥과 중계코어(102) 사이에는 탄성부내로서의 코일스프링(105)이 설치되며, 이 코일스프링(105)에 의하여 중계코어(102)가 접속구멍(66)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105)에 의하며 밀려나는 중계코어(102)는 보스(49b)에 나사고정된 스톱퍼(106)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중계코어(102)의 돌부(104)의 선단부(104a)는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제2도 내지 제5도 등을 참조하여 리본구동부(47)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구동부(47)는 각각의 단부가 직각으로 꺽여진 장방형상인 베이스(68)를 가지고 있으며, 하측의 수평한 판부분이 프레임 측판(14)의 단부상면에 나사(14a)에 의하여 나사공정되어 있다. 베이스(68)의 수직이 되는 판부분에는 4개의 회전축(69, 70, 71, 72)이 수평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회전축(69, 70, 71, 72)은 리본 유니트(46)의 축(49, 50, 51, 52)의 배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68)의 앞측 하부에 배치된 회전축(69)에는 동축적(同軸的)으로 치차(75)가 설치되며, 이 치차(75)에는 치차(76)가 맞물려져 있다. 치차(76)에는 동축적으로 톱니가 형성된 풀리(77)가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68)의 앞측 상부에 배치된 회전축(71)에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78)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이 베이스(68)의 중앙측 하부에는 톱니가 형성된 풀리(79) 및 구동치차(80)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톱니가 형성된 풀리(77, 78, 79)에는 타이밍벨트(81)가 걸려있다. 이 타이밍벨트(81)에는 텐션롤러(82)가 누름접촉되어 있으며, 이 타이밍벨트(81)에 대하여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구동치차(80)는 상기 플래튼 롤러(24)의 구동계 치차(85)가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는 플래튼 롤러(24)에 동기하여 구동된다.
상기 각 회전축(69, 70, 71, 72)의 구성은 제10c도 및 제10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외측둘레에 축방향을 따르는 3개의 돌부(84)를 가지고 있다. 각 돌부(84)는 상기 접속구멍(66)내에 끼워져 있는 중계코어(102)의 돌부(104)사이에 걸어맞춰져서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들 돌부(84)의 선단부(84a)도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서어멀 프린터에 전사리본(29)를 세트할 때에는 본체케이스(1)의 사이드 패널(3)(제1도 참조)을 떼어낸 상태에서의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우선, 플래튼 롤러(24)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시켜서 서어멀 헤드(39)에서 떨어뜨리고, 이어서 리본지지기구(44)의 슬라이더(91)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이와같이 하면, 상부레일(97) 및 중간레일(95, 96)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됨으로써, 슬라이더(91)가 본체(1) 외부로 인출된다.
이어서, 리본지지프레임(48)에 전사리본(29)을 부착하고, 리본지지프레임(48)의 텐션축(51)과 리본구동축(52) 사이의 리본부분을 약간 늘어지도록 하측으로 잡아당긴다. 이 상태에서 전사리본(29)의 늘어진 부분을 슬라이더(91)에 걸은 후, 리본 유니트(46)를 슬라이더(91)위에 얹어놓는다. 이 리본유니트(46)를 슬라이더(91)위에 얹어놓을 때에는, 우선 제13a도 및 제14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슬라이더(91)의 걸어맞춤핀(100)이 리본 유니트(46)의 하부 횡가재(55)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101)이 대경부(大輕部)내에 각각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하부 횡가재(55)가 슬라이더(91)위에 놓여진다. 그후, 리본 유니트(46)를 제13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1)측을 향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4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걸어맞춤핀(100)의 머리부가 걸어맞춤구멍(101)의 소정부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리본 유니트(46)가 슬라이더(91)위에 유지된다.
이와같이, 리본 유니트(46)를 유지한 후, 리본 유니트(46)는 슬라이더(91)와 함께 프린터의 본체 케이스(1)내로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슬라이더(91)는 제1위치까지 이동되어 리본 유니트(46)가 본체 케이스(1)내에 수납된다.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 50, 51, 52)의 접속구멍(66)내에 끼워진 중계코어(102)는 측판(14)위에 고정되어 있는 리본구동부(47)의 회전축(69, 70, 71, 72)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와 리본 유니트(46)가 연결된다. 이때, 고정암(43)에 걸어붙임과(92a)이 리본지지프레임(48)의 측판(54)에 의하여 눌려지므로 일단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변형된다. 그후, 측판(54)이 걸어붙임판(92a)을 통과하면, 걸어붙임판(92a)이 복귀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판(54)과 걸어맞춰져서 리본 유니트(46)를 고정한다. 따라서, 리본공급장치(45)가 조립된다. 또, 리본 유니트(46)를 구동부(47)에 연결할 때, 중계코어(102)의 돌부(104)의 선단부(104a)와 회전축(69, 70, 71, 72)의 돌부(84)의 선단부(84a)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개코어(102)가 코일스프링(10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퇴함과 동시에 회전축(69)(또는 70, 71, 72)이 화살표방향으로 회통하여, 상기 돌부(84)의 선단부(84a)가 주게코어(102)의 돌부(104)의 선단부(104a)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끼워진다. 이때, 중계코어(102)가 코일스프링(10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나므로 그 돌부(104)가 회전축의 돌부(84)사이로 끼워져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리본구동부(47)와 리본 유니트(46)가 연결되어 리본장치(45)가 조립된다.
이어서, 전사리본(29)의 늘어진 부분을 서로 떨어져 있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사이에 끼운다. 이때, 클램프판(35)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측으로 회동하여 헤드 프레임(31)의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리본(29)을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사이에 끼운 후, 클램프판(35)을 헤드 프레임(31)에 끼워맞춘다. 이 상태에서, 권취축(50)을 손으로 돌려서 전사리본(29)의 잉여분을 감는다. 이어서, 본체 케이스(1)의 후면에 부착된 용지홀더(106)(제1도 참조)에 장착된 롤러(107)에서 다수의 라벨이 붙여진 용지가 인출되어 본체 케이스(1)의 후면을 통하여 본체 케이스(1)내로 도입된다. 이 용지는 전사리본(29)이 하측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는 플래튼 롤러(24)와 라인 서어멀 헤드(39)사이를 통과한다. 그후, 플래튼 롤러(24)를 상측으로 회동하여 라인 서어멀 헤드(39)에 접촉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세트된 전사리본(29)은, 공급축(49)에 권취축(50)에 이르는 부분이 인장부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 서어멀 헤드(39)의 동작에 의하여 전사리본(29)의 잉크가 용지의 라벨에 전사되어 인장가 실시된다.
또한,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부호 108은 박리판(26)과 함께 용지에서 인장된 라벨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기구를 나타낸다.
이 박리기구(108)는 플래튼 롤러(24)에 그 하측에서 누름접촉하는 박리롤러(109)를 가지고 있으며, 박리판(26)을 경유하여 유도된 용지의 라벨이 박리된 부분을 이 박리롤러(109)와 플래튼 롤러(24)사이에 끼움과 아울러 이 박리롤러(109)를 플래튼 롤러(24)에 종동회전시킴으로써, 용지에 인장력을 주어 인장된 라벨을 박리판(26)의 위치에서 용지에서 박리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은, 전사리본(29)이 검겨지는 권심(64)의 상기 리본세트축(49, 50)에 대한 부착구조를 제9도, 제15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리본세트축(49, 50)은 동일한 구조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본세트축(49)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리본세트축(49)은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그 축본제(115)의 일단부는 권심(64)이 지름방향 및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권심위치결정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권심위치결정부(116)는 외면에 축단부(49a)가 돌출설치된 원반형상의 플랜지(117)와 이 플랜지(117)의 내면에 일체로 돌출설치된 원형상의 권심지지부(118)와 이 권심지지부(118)의 둘레면의 일부에서 일체로 돌출설치된 돌기부(119)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권심지지부(118)는 축본체(115)의 지름보다 크나 플랜지(117)의 지름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 권심지지부(118)의 외경 치수는 권심(64)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으며, 권심(64)의 일단부에 끼워맞춰진다. 돌기부(119)는 권심(64)의 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홈에 끼워맞춰지며, 이 끼워맞춤에 의하여 리본세트축(49)에 대한 권심(64)의 둘레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축본체(115)의 타단측에는 제1, 제2권심유지부(121, 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제2권심유지부(121, 122)는 동일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각 축본체(115)를 사이에 두고서 그 지름방향 일측에 배치된 1쌍의 암(123)을 가지고 있다. 각 암(123)은 탄성변형 가능하며, 축본체(115)의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타단측으로 갈수록 축본체(115)로부터 점차 떨어져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벌어져 있다. 또한, 암(123)의 선단에는 권심(64)의 타단부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본체(115)에는 권심위치결정부(116)와 제2권심유지부(122)사이에 위치하는 1개의 걸어맞춤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125)는 축본체(115)보다 큰 지름으로 된 원반형상의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권심지지부(118)와 동일한 지름으로 하여 권심 지지부를 겸하고 있다.
또, 축본체(115)는 제1, 제2권심유지부(121, 122)사이에 위치하는 권심지지부(1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권심유지부(122)와 걸어맞춤부(125)사이에 위치하는 권심지지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권심지지부(126, 127)는 모두 원형의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권심지지부(118)와 동일한 지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축본체(115)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125)와 권심지지부(127)사이의 축부분(115a)은 제15도 내지 제18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단면 "干"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변부분(128)의 일부분이 절취되어 있다. 부호 129는 이 절취부를 나타낸다.
제15도에 있어서, 부호 131은 리본세트축(49)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보조위치결정부재이며, 이것은 폭이 좁은 전사리본을 사용할 경우에 리본세트축(49)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이 보조위치결정부재(131)는 플랜지(117)와 동일한 외경 치수를 가지는 원반형상의 끼움구로서, 그 일면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권심지지부(132) 및 돌기부(1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권심지지부(132) 및 돌기부(133)는 상기 권심위치결정부(116)의 권심지지부(118) 및 돌기부(119)와 같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조위치결정부재(31)에는 축부분(115a)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구멍(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부분과 동일한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리본세트축(49)에는, 예를들면 4인치폭으로 된 전사리본(29)용 권심(64), 또는 2인치 폭으로 된 전사리본(29')용 권심(64)이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4인치 폭의 권심(64)이 부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위치결정부재(131)가 사용되지 않는다. 우선, 제1, 제2권심유지부(121, 122)의 각 암(123)을 축본체(115)측으로 휘어지도록 탄성변형시켜 권심(64)의 내부에 수납되게 한다. 이어서, 이 권심(64)이 리본세트축(49)의 둘레에 끼워맞춰지도록 밀어넣어서 권심(64)의 일단부가 권심위치결정부(116)의 플랜지(117)의 내면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권심지지부(118)에 끼워 맞춘다. 또한, 권심지지부(118)에 형성된 돌기부(119)에 권심(64)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홈을 끼워맞춘다. 이와같이 하면,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권심(64)의 일단부가 권심위치결정부(116)에 지지됨으로써, 권심(64)이 리본세트축(49)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플렌지(117)의 지름방향으로 권심(64)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이 권심(64)의 일단부가 권심위치결정부(116)에 지지되면, 동시에 제1권심유지부(121)를 이루는 암(123)의 걸어맞춤돌기(124)가 권심(64)의 타단부에 돌출되고, 암(123)이 그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짐으로써, 이 걸어맞춤돌기(124)가 권심(64)의 타단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권심(64)의 타단부는 제1권심유지부(121)에 의하여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돌기(124)에 의하여 권심(64)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권심(64)은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권심위치결정부(116)와 제1권심유지부(121)사이에 협지되어 리본세트축(49)중앙에 부착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권심(64)의 중간부분은 그 내측에서 권심지지부(126, 127) 및 걸어맞춤부(125)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하여 부착된 권심(64)을 빼내기 위해서는, 우선 제1권심유지부(121)를 이루는 1쌍의 암(123)을 축본체(115)측을 향하여 손가락으로 탄성변형시켜 그 걸어맞춤돌기(124)와 권심(64)의 타단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서 권심(64)을 제18도의 좌측방향으로 빼내면 된다.
2인치 폭의 권심(64')이 부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보조위치결정부재(131)가 사용된다.
이 보조위치결정부재(131)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끼워맞춤구멍(134)를 리본세트축(49)의 절취부(129)에 화살표 X방향으로 끼운 후, 걸어맞춤부(125)에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리본세트축(49)에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는 보조 위치결정부재(131)의 끼워맞춤구멍(134)중 상부의 T자 형상의 홈부분(134a)이 축부분(115a)의 상벼누분(128)과 이것과 연이어 형성된 수직부로 이루어진 단면 T자 형상부분에 끼워맞춰진다(제15도 및 제16도 참조) 따라서, 보조위치결정부재(131)는 리본세트축(49)과 직각인 방향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그 후, 2인치 폭의 권심(64')이 리본세트축(49)에 부착되는데, 이 부착은 상기 4인치 폭의 권심(64)을 부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권심(64')을 제1권심유지부(121)측에서 권심위치결정부(116)측을 향하여 끼워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하면, 권심(64')의 일단부가 보조위치결정부재(131)에 맞닿음과 동시에 그 권심지지부(132)에 끼워맞춰지고 또 권심(64')의 일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홈이 돌기부(133)에 끼워맞춰진다. 이와 동시에, 제2권심유지부(122)를 이루는 암(123)의 걸어맞춤돌기(124)가 권심(64')의 타단부에서 돌출되고, 암(123)이 그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짐으로써, 이 걸어맞춤돌기(124)가 권심(64')의 타단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권심(64')은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조위치결정부재(131)와 제2권심유지부(122)사이에 협지되어 리본세트축(49)의 중앙에 부착된다. 또, 이 상태에서 권심(64')의 중간부분은 그 내측에서 권심지지부(127)에 의하여 지지된다.
권심(64')을 리본세트축(49)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상기한 4인치 폭의 권심(64)을 빼내는 경우와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보조위치결정부재(131)의 사용유무에 의하여 폭이 넓은 권심(64)과 폭이 좁은 권심(64')을 임의로 바꾸어서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권심(64, 64')에 대하여 리본세트축(49)을 공통으로 사용할수 있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라벨프린터를 사용할 때의 리본공급장치(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용지이송구동장치의 동작에 연동하여 플래튼 롤러(24)가 회전하면, 치차(85)를 통하여 리본구동부(47)의 치차(80)가 회전된다. 따라서, 톱니가 형성된 풀리(79)를 통하여 타이밍벨트(81)가 주행하고, 치차(76 및 75)를 통하여 회전축(69)이 회전된다. 또, 톱니가 형성된 풀리(78)를 통하여 회전축(71)이 회전된다.
회전축(69)에는 리본 유니트(46)의 리본구동축(52)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리본구동축(52)이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측둘레에 접하고 있는 전사리본(29)을 주행시킨다. 또, 회전축(71)에는 권취축(50)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권심축(50)이 제3도에 나타낸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리본구동축(52)을 경유한 전사리본(29)을 감는다.
또한, 이 때에는 전사리본(29)의 권취력에 의해 공급축(49) 및 텐션축(51)이 종동회전되므로, 전사리본(29)이 공급됨과 아울러 텐션축(51)에 의하여 전사리본(29)에 장력이 부여된다. 전사리본(29)의 주행에 동기하여 용지도 소정 방향으로 주행되며, 라인 서어멀 헤드(39)에 의하여 용지 위의 라벨에 소망한 정보가 인자된다.
그런데, 상기한 인자가 계속되어 전사리본(29)이 모두 감겨지면, 전사리본(29)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본체 케이스(1)의 사이드 패널(3)을 떼어내고서, 플래튼 롤러(24)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시켜 라인 서어멀 헤드(39)와 떨어지게 한다. 이와같이 한후, 리본 유니트(46)를 앞측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걸어붙임판(92a)이 탄성변형하여 리본지지프레임(48)의 측판(54)에서 벗겨져 고정이 해제된다. 또, 구동부(47)의 회전축(69∼72)에서 리본 유니트(46)의 축(49∼52)이 떨어진다. 리본 유니트(46)를 앞측으로 더 잡아당기면, 슬라이더(91), 상부레일(97) 및 중간레일(95, 96)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됨으로써, 리본 유니트(46)가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인출된다.
이 상태에서 리본 유니트(46)의 축받이(58, 59)에 형성된 후크부(63)를 가요변형시켜서 공급축(49)과 권취축(50)을 떼어내고서, 새로운 전사리본(29)이 검겨진 공급축(49)과 권취축(50)을 리본 유니트(46)의 축받이(58, 59)에 부착한다.
그후, 상기한 바와같이 하여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내에 끼워넣어 세트하고, 교환을 종료한다.
또한, 잉크가 남아있는 전사리본(29)의 재사용은 다음과 같이 하여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리본 유니트(46)는 대칭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리본 유니트(46)의 횡가재(손잡이) (56)를 손으로 쥐고서 슬라이더(91)에 떼어낸다. 그리고, 리본 유니트(46)를 가상면(H)상의 P선을 축으로 하여 전후 반전시킨후 슬라이더(91)위에 부착하다. 그리고, 슬라이더(91)와 함께 리본 유니트(46)를 본체 케이스(1)내로 끼워넣고, 리본구동부(47)와 연결한다. 이 교환에 있어서,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52)의 축단부(49a∼52a)에 형성된 접속구멍(66)내의 중계코어(102)는 이것들과 상대향하여 위치하는 리본구동부(47)의 회전축(69, 70, 71, 72)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중계코어(102)의 복수의 돌부(104)와 회전축(69, 70, 71, 72)의 복수의 돌부(84)가 걸어맞춰져서, 리본구동부(47)에서 리본 유니트(46)의 각 축(49∼52)으로의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구성의 프린터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에 리본 유니트를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설치하여 이 지지기구의 슬라이더를 이동시킴으로써, 리본 유니트는 리본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위치와, 리본구동부에서 떨어져서 본체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따라서, 리본구동부에 대한 리본 유니트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잉크리본의 교환작업을 본체 케이스의 외측에서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성이 대폭으로 향상되어 리본 유니트를 효율좋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리본 유니트는 걸어맞춤핀 및 리본지지프레임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슬라이더 위에 유지됨과 아울러, 걸어붙임판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고정된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가 유동됨이 없어 양호하게 인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본 유니트의 각 축의 축단부에 형성된 접속구멍내에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된 중계코어가 설치되고, 이 중계코어의 내면에 복수의 독부가 형성되어 있다. 리본구동부의 각 회전축에는 중계코어의 돌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돌부가 형성되며, 또 중계코어의 돌부 및 회전축의 돌부의 선단부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의 각 축과 리본 구동부의 각 회전축을 끼워맞출 때에 그 돌부의 선단부끼리 충돌하였을 경우에는, 중계코어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게 되므로 이 탄성부재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된다. 또, 회전축이 회동하여 그 돌부의 선단단부가 중계코어의 돌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중계코어가 복귀되어 중계코어의 돌부와 회전축의 돌부가 서로 끼워져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접속이 종료된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의 각 축과 리본구동부의 회전축을 끼워맞출 때, 그돌부의 선단부끼리가 충돌하더라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돌부의 선단부끼리가 충돌한 경우에도 탄성부재에 의하여 그 충격력이 흡수되므로 리본구동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리본 유니트에 의하면, 리본세트축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보조위치결정부재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리본세트축의 축 길이에 가까운 폭으로 된 전사리본용 권심을 권심위치결정부와 제1권심유지부 사이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또, 리본세트축에 보조위치결정부재를 부착한 경우에는, 리본세트축의 축 길이에 가까운 폭으로 된 전사리본 보다도 폭이 좁은 적어도 1종류의 전사리본용 권심을 보조위치결정부재와 권심유지부 사이에 끼워서 부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리본세트축에 의하면, 각종의 용지 폭에 적합한 전사리본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폭이 좁은 용지에 인자할때에는 이 용지의 폭 보다도 넓은 폭의 전사리본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사리본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리본 유니트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20도 및 제21도는 리본세트축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리본세트축(49)에는 제1, 제2권심유지부(121, 122)외에 또다른 제3권심유지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권심유지부(145)도 탄성병형이 가능하며, 산단에 걸어맞춤돌기(124)를 가지는 1쌍의 암(123)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본세트축(49)에는 제1걸어맞춤부(125)외에 제2걸어맞춤부(146)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부분(115a)외에 제2축부분(115b)이 형성되어 있다. 제2걸어맞춤부(146) 및 제2축부분(115b)은 제1걸어맞춤부(125) 및 축부분(115a)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제2축부분(115b)은 절취부(129)를 가진 상변부분(128)을 가지고 있다. 리본세트축(49)에 착탈가능한 보조위치결정부자재(131)는 제1걸어맞춤부(125)는 또는 제2걸어맞춤부(146)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보조위치결정부재(13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권심위치결정부(116)와 제1권심유지부(21)사이에 6인치 폭으로 된 권심을 착탈가능하게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위치결정부재(131)를 제2걸어맞춤부(146)에 위치결정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이것과 제2권심유지부(122)사이에 3인치 폭으로 된 권심을 착탈가능하게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또, 보조위치결정부재(131)를 제1걸어맞춤부(125)에 위치결정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이것과 제3권심유지부(145)사이에 2인치 폭으로 된 권심을 착탈가능하게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러종류의 폭으로 된 권심을 리본세트축(49)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권심위치결정부 또는 제1권심유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권심이 부착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걸어맞춤부(125)는 제1권심유지부(121)에는 권심(64')의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된다. 그리고, 권심(64')은 그 양단이 걸어맞춤부(125)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보조위치결정부재(131)와 제1권심유지부(121)에 각각 걸어맞춰진 상태로 리본세트축(49)에 장착된다. 이 경우, 제2권심유지부(123)를 생략할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인자헤드 및 인자헤드에 대향하여 위치한 플래튼을 가지며, 인자헤드와 플래튼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수단과 ;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공급장치-이 리본공급장치는 상기 전사리본과 전사리본이 겸겨진 공급축 및 권취축을 가지며 상기 본체에서 떼어내기 가능하게 형성된 리본 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부착된 리본 유니트를 구동하는 리본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와; 상기 리본 유니트의 공급축 및 권취축 각각은, 리본세트축과; 상기 리본세트축에 빼내기 가능하도록 이것과 대략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사리본이 겸겨지는 원통형상의 제1권심과; 상기 리본세트축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리본세트축에 부착된 제1권심의 일단과 걸어맞춰져서 리본세트축에 대하여 제1권심의 상기 일단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리본세트축의 타단부에 상기 위치결정수단에서 상기 제1권심의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형성되며, 상기 제1권심의 타단과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수단과;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유지수단 사이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권심을 대신하여 상기 리본세트축에 부착되며, 상기 전사리본보다도 폭은 좁은 다른 전사리본이 감겨지는 원통형상의 제2권심-이 제2권심은 상기 제1권심 보다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지수단에 걸어맞춰지는 타단부를 가지고 있다-과; 상기 걸어맞춤부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빼내기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2권심의 일단부와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위치결정하는 보조위치결정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상기 리본세트축에 이것과 거의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권심이 일단부가 맞닿는 원반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권심의 일단부내에 끼워맞춰지는 원형상의 권심지지부; 를 가지며,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리본세트축에서 상기 위치결정수단 반대방향으로 또한 리본세트축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암과; 각 암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권심의 타단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 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위치결정수단은 상기 제2권심의 타단부 및 상기 걸어맞춤부와 맞닿는 원반형상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서 이것과 동축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권심의 일단부내에 끼워맞춰지는 원형상의 권심지지부와; 상기 플랜지 및 권심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리본세트축이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구멍; 을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권심보다도 작은 지름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본세트축에 이것과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유지수단에서 사익 제2권심의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세트축에는 상기 유지수단과 걸어맞춤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권심의 타단부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유지하는 제2유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2유지수단에서 상기 제2권심의 길이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은 상기 리본세트축에서 상기 위치결정수단과 반대방향으로 또한 리본세트축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암과; 각 암의 선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권심의 타단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 를 가지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축 및 권취축 각각은,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유지수단 사이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되며, 상기 보조위치결정수단을 위치결정하는 제2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권심을 대신하여 상기 리본세트축에 부착되며, 상기 다른 전사리본 보다도 폭이 좁은 또다른 전사리본이 감겨지는 원통형상의 제3권심-이 제3권심은 상기 제2권심 보다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걸어맞춤부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리본세트축에 장착된 상기 보조위치결정수단에 걸어맞춰지는 일단부를 가지고 있다-와; 상기 제2유지수단과 제2걸어맞춤부 사이에서 상기 리본세트축에 형성되며, 상기 제3권심의 타탄부와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유지하는 제3유지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리본 유니트가 이 리본 유니트가 상기 리본구동부와 걸어맞춰지는 제1위치와 이 리본 유니트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전사식 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유니트는 상기 지지수단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전사식 프린터.
KR1019950005879A 1990-03-30 1995-03-20 전사식 프린터 KR950008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3959 1990-03-30
JP90-83952 1990-03-30
JP2083959A JP2547463B2 (ja) 1990-03-30 1990-03-30 転写式プリンタ
JP90-83956 1990-03-30
JP2083956A JP2778796B2 (ja) 1990-03-30 1990-03-30 転写式プリンタ
JP8395290A JP2641957B2 (ja) 1990-03-30 1990-03-30 転写式プリンタ
KR1019910005030A KR960000968B1 (ko) 1990-03-30 1991-03-29 전사식 프린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030A Division KR960000968B1 (ko) 1990-03-30 1991-03-29 전사식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88B1 true KR950008988B1 (ko) 1995-08-10

Family

ID=2746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879A KR950008988B1 (ko) 1990-03-30 1995-03-20 전사식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98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4619A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n ink ribbon cassette in a heat transferable line printer
CA2133121C (en) Printer and method
KR960000968B1 (ko) 전사식 프린터
US3918569A (en) Endless printer ribbon cartridge apparatus
US5188029A (en) Label printer
US20020051652A1 (en) Card cleaning device
JPH0796646A (ja) コンピューター駆動プリンターならびに、該プリンター用のキャリッジ支持装置および印刷媒体移動装置
KR940010996B1 (ko) 서어멀 프린터
EP0422649B1 (en) Thermal printer
KR960000969B1 (ko) 전사식 프린터
KR960000967B1 (ko) 전사식 프린터
KR100266393B1 (ko) 서멀 프린터
US5238314A (en) Transfer printer with ribbon lock
JP2724457B2 (ja) プリンタの用紙搬送装置
US5597249A (en) Ink ribbon cartridge
EP0638432B1 (en) Rotating clamp asssembly
KR950008988B1 (ko) 전사식 프린터
US3728963A (en) Ribbon feed cartridge
US4998834A (en) Slide assembly for mounting a print ribbon
JPH01502175A (ja) カード取出し装置
US5030969A (en) Ribbon charging mechanism in a multicolor thermal transfer printer
US4955738A (en) Printer with disengageable ribbon feed
JP2641957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2778796B2 (ja) 転写式プリンタ
JP2547463B2 (ja) 転写式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