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996B1 - 서어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서어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996B1
KR940010996B1 KR1019900016404A KR900016404A KR940010996B1 KR 940010996 B1 KR940010996 B1 KR 940010996B1 KR 1019900016404 A KR1019900016404 A KR 1019900016404A KR 900016404 A KR900016404 A KR 900016404A KR 940010996 B1 KR940010996 B1 KR 94001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bon
shaft
head
fram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682A (ko
Inventor
가즈아끼 스미모도
사도시 기다하라
아끼오 야마모도
이꾸조오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도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685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282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685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28274A/ja
Application filed by 도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쥰 filed Critical 도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22Supply arrangements for webs of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17/24Webs supplied from reels or spools attached to the machine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어멀 프린터
제 1 도 ∼ 제 18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서어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
제 1 도는 상기 프린터의 외관사시도.
제 2 도는 케이스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프린터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IV-IV선 단면도.
제 5 도는 서어멀헤드 및 플래튼유니트의 확대사시도.
제 6 도는 헤드프레임의 사시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VII-VII선 단면도.
제 8 도는 제 2 도의 VIII-VIII선 단면도.
제 9 도는 리본장치의 평면도.
제 10 도는 리본유니트의 정면도.
제 11 도는 리본유니트의 측면도.
제 12 도는 측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 13 도는 리본구동작치를 용지이송장치 접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 14 도는 리본구동장치를 용지이송장치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15 도는 동력전달부의 측면도.
제 16 도는 동력전달부의 정면도.
제 17 도는 박리기구를 나타낸 일부파단 측면도.
제 18 도는 리본유니트를 반전하여 리본구동부에 연결한 상태에 있어서의 리본장치의 평면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관한 프린터에 있어서의 리본구동부와 용지이송장치의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라벨용지등의 기록매체를 플래튼롤러와 인자헤드사이로 유도하는 상기 인자헤드로 기록매체에 인자하는 서어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라벨용지에 물품명이나 바코등을 인자하는 라벨프린터는 플래튼롤러와 라인서어멀헤드로 구성되는 인자부와, 상기 인자부로 라벨용지를 보내는 용지이송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서어멀헤드를 사용하여 인자할 경우, 종래에는 감열식 혹은 전자식의 인자방식을 채용하였다. 검열식의 경우는 감열지로 된 라벨은 라인서어멀헤드로 직접 가열함으로써 인자하는 것이고, 전사식의 경우는 라벨에 전사리본을 겹쳐놓고 상기 전사리본을 라인서어멀헤드로 가열하여 전사리본상의 잉크를 라벨에 전사함으로써 인자한다.
따라서, 전사식의 인자방식으로 인자하기 위해 프린터는 인자부와 용지이송기구이외에 상기 전사리본의 공급축과 권취축을 구비한 리본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라벨프린터에 있어서는, 전사식의 인자방식에 필요한 리본장치가 프린터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고, 이 리본장치만을 단일체로 착탈하는 것이 구성적인 면에서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전사리본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감열식으로 인자하는 경우에는 값비싼 리본장치가 그대로 프린터측에 부수되기 때문에, 프린터자체의 값이 비싸게 되고, 전사리본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감열식 인자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없었다.
또, 리본장치는 일반적으로 인자부의 후방에 설치된 리본 가이드축과 전사리본의 공급축을 구비하고 있다. 권취측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면, 인자부를 통과한 전사리본을 감음과 동시에 공급축에서 전사리본을 인출한다. 공급축에는 부하기구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부하기구에 의하여 공급축의 회전을 제동하여 전사리본에 백텐션을 준다.
권취축에 직접 부여되는 모터의 회전력은 일정하나 전사리본에 작용하는 권취력(卷取力)은, 권취축에 감겨진 전사리본의 지름(이하 단순히 "권경(卷經)"이라 한다)에 따라서 변동한다. 전사리본의 권경이 작을수록 권취력이 커지고, 반대로 전사리본의 권경이 클수록 권취력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같은 권취력의 변동으로 인하여 전사리본을 일정한 힘으로 감을수 없게 됨으로써, 초기에는 전사리본이 단단하게 감기고 반대로 후기에는 전사리본이 느슨하게 감긴다. 따라서, 이와같이 감김상태가 불균일하게 된 한번 사용된 전사리본을 반복해서 사용할 경우, 이 전사리본의 주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향이 크다. 그러므로 한번 사용되어 불균일하게 감아진 전사리본을 재차 사용하기에는 적합치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권취력이 큰 초기에 있어서는 리본의 끊킴, 스멋지(Smudge : 전사리본이 지나치게 인장됨으로써 리본의 베이스필름에서 잉크층이 벗겨지고 용지에 마찰되어 용지가 더러워지는 것)가 발생하기 쉽다. 반대로 권취하여 작은 후기에 있어서는 스틱킹(Sticking : 전사리본이 설정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것으로, 그 발생으로 인하여 인자품질이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본장치를 효율좋게 유효하게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인자품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서어멀 프린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서어멀 프린터는, 라인서어멀헤드와 상기 헤드에 부착된 플래튼을 가지며, 플래튼과 서어멀헤드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인자하는 인자수단과 ; 상기 플래튼과 서어멜헤드사이를 통과하도록 기록매체를 보내는 이송수단과 ; 상기 서어멀헤드와 기록매체사이를 통과하도록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장치 ; 를 구비하여, 상기 리본장치는, 리본유니트와, 이 리본유니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가지며, 상기 리본유니트는 리본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사리본이 감겨진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서 인출되어 상기 서어멀헤드와 기록매체사이를 통과한 전사리본을 감는 제 2 회전축을 구비하며, 이들 제 1 회 전축 및 제 2 회 전축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리본지지프레임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고 또 각각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서 리본지지프레임에 부착가능하게 형성되며 ; 상기 구동부는 제 2 회 전축을 회전시켜 제 1 회전축에서 인출된 전사리본을 상기 플래튼과 서어멀헤드사이를 통하여 제 2 회전축에 감는다.
상기 구성에 위하면,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어 리본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서로의 위치를 바꾼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회전축은 리본지지프레임의 후측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공급축으로 사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앞측, 즉 서어멀헤드에 인접한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권취축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을 바꿔서 리본지지프레임에 부착함으로써, 전사리본을 공급축으로 되감는 일 없이 재차 전사리본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서어멀 프린터에 의하면, 전사리본장치의 리본유니트 및 구동부는 서어멀헤드를 지지하고 있는 헤드프레임에서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사리본을 사용하지 않는 감열식으로 인자할 경우는 리본장치를 헤드프레임에서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측에 값비싼 리본장치를 항상 설치해 놓을 필요가 없어 프린터 및 리본장치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리본유니트는,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상기 인자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축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 결쳐지는 전사리본에 접하는 리본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이 구동축과 상시 제 2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회전축에 리본구동축과 전사리본사이의 마찰력보다도 큰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구동축에서 제 2 회전축으로의 회전력의 전동(傳動)을 차단하는 크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본구동축은, 제 1 회전축, 즉 공급축에서 인출되어 인자수단을 통과한 전사리본이 제 2 회전축, 즉 권취축에 감겨지기 전에, 이 리본에 접하여 권취축측으로 전사리본을 이동시킨다. 전사리본의 이동은 리본구동축과 전사리본의 마찰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때에 전사리본을 권취축에 집적 감는 경우와 같이 전사리본에 주는 이동력이 크게 변화하는 일이 없다. 권취축은 리본 구동축을 경유한 전사리본을감는다. 크러치는 권취축으로의 전사리본의 감김에 있어서, 권경의 변화에 따라 리본구동축과 전사리본의 마찰력보다도 큰 힘이 권취축에 작용하였을 때에 「끊음」상태로 되어 구동부에서 권취축으로의 회전력의 전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권취축으로의 전사리본의 권경의 변호에 의한 권취력의 변동이 인자부를 통과하는 전사리본에 대하여 직접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자부에서 리본구동축에 걸쳐지는 부분에서의 전사리본으로의 이동력을 거의 일정한 힘으로 유지하여 이 리본을 감을 수 있다. 즉 거의 일정한 권취력으로 전사리본을 감기 때문에, 전사리본이 단단하게 감겨지거나 느슨하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사리본이 모두 인출된 제 1 회전축과 거의 일정한 권취력으로 전사리본을 모두 감은 제 2 회전축을 상기 전후위치의 축받이에 각각 바꾸어 부착함으로써, 한번 사용된 전사리본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어멀 프린터에 의하면, 리본유니트는, 상기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 및 리본구동축에 텐션축을 더 구비하며, 이 텐션축은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회전축에서 인자수단사이에 걸쳐지는 전사리본의 부분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은 동일한 형상 및 크게로 형성되고, 텐션축과 리본구동축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고, 또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끼리 및 텐션축, 리본구동축끼리는 리본유니트의 전후방향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평면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본유니트를 상기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하고 각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축을 중심으로 반전하여 기본구동부에 접속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유니트를 전후로 반전하여 리본구동부에 바꿔 부착함으로써, 전사리본이 모두 인출된 제 1 회전축을 권취축으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거의 일정한 권취력으로 전사리본을 모두 감은 제 2 회전축을 공급축으로서 사용하고 또 텐션축을 리본구동축으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리본구동축을 텐션축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번 사용된 전사리본을 용이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본구동부는, 제 1 회 전축에 접속되어 제 1 회전축의 회전에 대하여 저항을 주는 제 1 부하기구와, 텐션축에 접속되어 상기 제 1 부하기구보다도 큰 저항을 텐션축의 회전에 대하여 주는 제 2 부하기구와, 제 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제 2 회전축사이에 설치되며, 제 2 회전축에 리본구동축과 전사리본상의 마찰력보다도 큰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 구동축에서 제 2 회전축으로의 회전력의 전등을 차단하는 크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부하기구는 공급축이 되는 일측의 회전축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한 저항을 주어서 이 공급축의 회전을 제동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하기구는 텐션축이 되는 타측외 회전축의 회전에 대하여 일정한 저항를 주어서 이 텐션축의 회전을 제동한다. 이들은 제동에 의하여 전사리본에 백텐션이 주어진다. 제 2 부하기구는 제 1 부하기구보다도 큰 제동력을 줌과 동시에, 이 제 2 부하기구에 의하여 회전제동력을 주는 텐션축과 전사리본과의 관계는 공급축과 같이 전사리본의 권경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달리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공급축에서의 전사리본의 권경의 변화에 의한 백텐션의 변동이 인자수단을 통과하는 전사리본에 대하여 직접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인자수단에서 텐션축에 걸쳐지는 전사리본의 백텐션을 일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급축에서의 전사리본의 권경의 변화에 의한 벡텐션의 변동은 인자부를 통과하는 전사리본에 대하여 집적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따라서 거의 일정한 권취력으로 전사리본을 권취축이 되는 일측의 회전축에 감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라벨프린터로서 사용되는 서어멀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서어멀 프린터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본체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는 직사각형 형상의 베이스(2)와, 1쌍의 측벽 및 상벽을 일체로 가지며 베이스위에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부착된 단면 U자형상의 측판(3)과, 베이스(1)위에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인자된 용지가 통과하는 배출구(4)를 갖는 L자형상의 제 1 전면판(5a)과, 측판(3)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전면판의 상부에 연속하여 위치한 제 2 전면판(5b)과, 베이스(2)에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전면판의 측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제 3전면판(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 8은 프린터에 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나타낸다.
본체케이스(1)내에는 인자하기 위한 인자기구(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하 이 인자기구(1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자기구(11)는 지지체로서의 본체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2)은 케이스(1)의 베이스(2)의 상면에 고정된 수평한 저판(13)과, 저판의 좌우 양단부에 세워 설치된 프레임측판(14,15)을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2장의 프레임측판(14,15)의 수직으로 세워져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도어 있다. 프레임측판(14,15)의 전후방향 중간부 상단에는 각각 지지돌부(16)가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측판(14,15)의 상단부에 있어서 돌부(16)보다도 일측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신장된 가이드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인자기구(11)는 플래튼유니트(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니트(21)는 프레임측판(14,15)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측판(14,1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래튼유니트(21)는 지지접축(22)과, 2장의 지지판(23)과, 플래튼롤러(24)와, 중간축(25)과, 가압수단으로서의 가압스프링(26)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도∼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지점축(22)은 프레임측판(14,15)사이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며, 그 양단부는 측판(14,15)에 각각 고정되어 회동불가능으로 되어 있다.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2장의 지지판(23)은 평판구조로 되어 있으며, 측판(14,15)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지점축(22)은 각 지지판(23)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신장되며, 따라서 지지판은 지지점축의 둘레에서 각각 개별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점축(23)에 지지되어 있다.
각 지지판(23)의 전단부에는 축받이(27)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축받이(27)에는 플래튼롤러(24)의 플래튼축(28)이 관통하여 지지되고, 이것에 의해 플래튼롤러(24)는 양 지지판(23)의 전단부사이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축(28)은 롤러 본체의 양단에서 각각 돌출한 대경(大經)축부(29)를 갖고 있다. 플래튼축(28)은 지지점축(22)과 마찬가지로 2장의 프레임측판(14,15)간의 거리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래튼축(28)의 양단부가 프레임측판(14,15)과 간섭하지 않도록 이들 측판(14,15)의 전단부에는 오목형상의 도피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측(25)은 지지점축(22)과 플래튼롤러(24)사이에 위치한 프레이측판(14,15)에 결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중간축(25)은 지지판(23)을 회동이 자유롭도록 관통하여 신장되며, 그 양단부는 측판(14,15)의 가이드구멍(17)에 미끄럼동작이 자유롭도록 끼워져 있다.
따라서, 중간축(25)의 각 단부가 가이드구멍(17)을 따라서 이 가이드구멍의 양단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지지판(23)은 대응하는 중간축단부의 이동량에 따른 각도만큼 서로 독립하여 지지점축(22)의 둘레에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23)의 회동에 따라서 플래튼롤러(24)는 후술하는 라인서어멀헤드(75)와 접촉하는 작동위치와 서어멀헤드에서 떨어지는 비작동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가압스프링(26)은 예를 들면 토션스프링으로 된다. 스프링(26)은 1개만 사용되며 지지점축(22)의 길이방향중앙부에 감겨져 있다. 가압스프링(26)의 역점부(力点部)가 되는 일단부(31)는 지지점축(22)에 고정된 스프링받이(32)의 핀(33)에 걸려 있다. 가압스프링(26)의 작용부가 되는 타단부(34)는 중간축(25)의 길이방향 중심부, 정확하게는 지지판(23)사이의 거리 1/2지점에 상당하는 부분에, 중간축(25)의 하측으로부터 걸려져 있다. 따라서, 플래튼롤러(24)는 중간축(25) 및 지지판(23)을 통하여 스프링(26)에 의하여 상측으로, 즉 서어멀헤드(75)를 향하여 탄지되어 있다.
또 제 3 도에 있어서 부호 35는 인자부, 즉 플래튼롤러(24)와 서어멀헤드(75)사이를 향하여 용지를 안내하기 위한 최종용지가이드를 나타낸다. 가이드(35)는 지지판(23)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플랜튼유니튼(21)의 상측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중, 좌측 프레임측판(14)에는 용지이송구동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41)는 제 2 도 및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동모터(42)와, 제 1 및 제 2 전동기구(43,44)와, 1쌍의 전동치차(45,46)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42)는 펄스모터로서 측판(14)의 내면에 고정되며, 그 구동축(47)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전동기구(43)는 구동축(47)에 연결된 풀리(48)와, 프레임측판(14)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풀이(49)와, 이들 양 풀리(48,49)에 걸쳐서 감겨진 전동벨트(50)를 갖고 있고, 제 2 전동기구(44)는 플래튼유니트(21)의 지지점축(22)의 좌단(제 2 도에 있어서)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폴리(51)와, 플래튼축(23)의 좌단(제 2 도에 있어서)에 고정된 풀리(52)와, 이들 양 풀리(51,52)에 걸쳐서 감겨진 전동벨트(53)를 구비하고 있다. 풀리(49)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는 전동치차(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풀리(51)도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는 전동치자(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동치차(45,46)는 서로 맞물려져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41)의 구동모터(42)의 구동축(47)이 제 4 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 1 전동기구(43)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은 전동치차(45,46)이 맞물림을 통하여 제 2 전동기구(44)에 전달된다. 따라서, 전동기구(44)의 풀리(52)와 함께 플리튼롤러(24)는 제 4 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용지가 이송된다.
프레임측판(14,15)사이에는 용지이송롤러(54)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옆걸기되어 있으며, 대략 수평으로 신장되어 있다. 롤러(54)는 플래튼유니트(21)의 후단부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용지이송롤로(54)의 롤러 축은 그 양단부가 프레임측판(14,15)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롤러축(55)의 측판(14)측의 단부에는 치차(56)가 부착되어있다. 이 치차(56)는 전동치차(45)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롤러(54)는 구동장치(41)에 연동하여 제 4 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하 바와같이, 용지이송롤러(54)의 후방위치에는 대략 수평으로 신장된 입구측 용지가이드(61)가 설치되며, 프레임측판(14,15)사이에 결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가이드(61)의 상측에는 이것에 근접하게 또 대향하여 용지가이드(62)가 설치되어 있다. 용지가이드(62)는 인자될 용지폭에 따라 용지가이드(61)에 대한 좌우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용지가이드(61)의 앞부분에는 중간용지가이드(63)의 후단부가 지지축(64)의 둘레에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용지가이드(63)의 후단부는 용지가이드(62)의 전단부에 이어지고, 또 전단부는 상기 최종용지가이드(35)의 뒷부분 상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중간용지가이드(63)는 판금제이고, 그 중간부 하면에는 용지이송롤러(54)가 접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의 후벽에는 롤홀더(57)가 부착되며, 이 홀더에는 기록매체(예를 들면 긴 대지(臺紙)에 떼어내기 가능한 다수의 라벨이 대지의 길이방향으로 순차 붙여진 용지)의 롤(58)이 장착되어 있다. 롤(58)에서 인출된 용지는 케이스(1)의 후벽에 형성된 도입구(6), 용지가이드(61,62)사이를 지나서 용지이송롤러(54)와 중간용지가이드(63)사이로 유도된다. 그리고, 용지는 롤러(54)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중간용지가이드(63) 최종용지가이드(35)사이로 보내지고, 용지가이드(35)의 상면에 의하여 안내되어 인자부로 유도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부호 66은 용지가이드(61)의 앞부분에 부착한 발광다이오드를 갖는 투광기, 67은 투광기(66)에 대향하여 중간용지가이드(63)에 부착한 광전변환소자를 갖는 수광기이다. 투광기(66)와 수광기(67)에 의하여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의 유무가 검출된다.
상기 플래튼유니트(21)의 상측위치에는 헤드프레임(7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71)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 가장자리부가 직각으로 굽혀진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프레임(71)의 후단부에는 대략 수평으로 신장된 지지축이 끼워져 있으며, 이 지지축은 프레임측판(14,15)의 지지돌부(16)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71)은 제 3 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 수평으로 위치하는 작동 위치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지지축(72)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축(7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헤드프레임(71)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하면에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U자형상의 판스프링(90)이 부착되어 있다. 헤드프레임(71)이 도시한 작동위치에 유지되면, 각 판스프링(90)은 중간용지가이드(63)를 하측으로 탄지하여 이 가이드(63)를 용지이송롤러(54)에 눌러 붙인다.
헤드프레임(71)의 전단부의 하면은 평탄한 헤드부착면(73)을 구성하고 있다. 또 프레임(71)의 전단부에는 부착면(73)에 일단이 트여지는 부착구멍(74)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착구멍(74)은 헤드프레임(71)의 전후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 헤드프레임(71)의 좌우방향, 즉 플래튼롤러(24)의 축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구멍(74)은 예를들면 프레임(71)의 전후방향으로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타원구멍 또는 둥근구멍이어도 된다.
헤드부착면(73)에는 라인서어멀헤드(75)가 부동(浮動)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헤드(75)는 얇고 또 길고 좁은 직사각형을 이루며, 그 길이방향이 플래튼롤러(24)의 축방향으로 신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헤드프레임(71)이 제 3 도에 도시한 작동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헤드(75)는 플래튼롤러(24)에 접촉하고, 헤드프레임이 화살표 B방향으로 세워지면 플래튼롤러에서 떨어진다.
헤드(75)를 헤드프레임(71)에 대하여 부동시킬 수 있는 부착구조는 제 5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라인서어멀헤드(75)의 길이방향중심부에는 2개의 연결핀(76)이 상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핀(76)은 부착구멍(74)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된 것으로서, 대응하는 부착구멍(74)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러므로, 부착구멍(74)의 내면과 핀(76)사이에는 라이서멀헤드(75)을 헤드프레임(71)에 대하여 다수 변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틈이 형성된다. 헤드프레임(71)에서 돌출한 연결핀(76)의 상단부에는 스톱링(77)이 부착되며, 이것과 헤드프레임(71)의 상면사이에는 평와셔(78,79,80) 및 웨브와셔(81)가 각각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웨브와셔(81)는 탄성을 가지며, 평와셔(78,79)에 끼워져 있다. 평와셔(80)는 헤드프레임(71)의 상면에 겹쳐져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웨이브와셔(81)의 탄지력에 의하여 라인서어멀헤드(75)는 헤드부착면(73)에 밀접하도록 치켜 올려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틈의 범위에서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웨브와셔(81) 대신에 다른 탄지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또 제 5 도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인서어멀헤드(75)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U자형상의 위치결정판(91)이 각각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판(91)은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래튼축(28)의 대경축부(29)에 끼워맞춰지는 홈(9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홈(92)의 트인구멍부는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넓어져 있음과 아울러, 이 트인구멍부에 이어지는 평행부분의 틈(P)(제 7 도 참조)은 대경축부(29)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헤드프레임(71)의 상면에는 제 2 도∼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본장치(151)가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리본장치(151)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본유니트(152)와, 이것이 착탈되는 리본구동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리본유니트(152)는 헤드프레임(71)의 상면 4모서리부에 돌출설치된 유니트 지지수단으로서의 지지대(117)(제 6 도 참조)위에 놓여지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상기 유니트(152)는 제 3 도, 제 9 도∼제 11 도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리본지지프레임(154)과, 제 1 회 전축으로서의 공급축(155)과, 제 2 회전축으로서의 권취축(156)과, 텐션축(157)과, 리본구동축(158)을 구비하고 있다.
리본지지프레임(154)은, 서로 대향하는 2자의 측판(161,162)의 저부를 하부옆걸기부재(163)로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측판(161,162)의 상부중앙에 형성된 돌부(165)를 상부옆결기부재(164)로 서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부옆결기부재(164)는 둥근 붕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리본유니트(152)를 옮길 때의 손잡이 할 수 있는 구조 예를 들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텐션축(157)은 그 양측의 축단부(157a)가 축받이(17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상태로 2장의 측판(161,162)에 걸쳐서 구동축(158)과 평행하게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텐션축(157)은 헤드프레임(71)의 뒷축에 위치하고 인자부와 공급축(15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축(157)의 외주면에도 공급축(155)에서 인자부를 향하는 전사리본(122)이 걸리면, 텐션축의 외주부분은 전사리본(122)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 예를들면 고무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측(157)은 리본구동축(158)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이들 텐션축(157)과 리본구동축(158)의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170,171)의 각각은, 상기 가상의 평면(H)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지지프레임(154)에 옆걸기된 회전가능한 4개의 축(156∼158)은 리본유니트(153)의 중심(P)(제 9 도에 있어서 가상평면(H)상에 있다)에 대하여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각 축단부(155a∼158)에는 각각 접속구멍(174)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멍(174)은 제 12 도에 축단부(157a)를 대표로 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축단부와 동축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예를들면 6개의 홈(175)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제 2 도, 제 9 도, 제 13 도 및 제 14 도등을 참조하여 리본구동부(153)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부(153)는 리본지지프레임(154)의 측판(161)에 대향하여 위치한 대략 직사각형사의 베이스판(181)을 갖고 있다. 이 베이스판(181)은 그 상하 및 전후의 측 가장자리에서 리본지지프레임(154)을 향하여 연장시킨 연출벽부(181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측의 연출벽부(181a)를 헤드프레임(71)의 프레임측판(14)측의 단부 상면에 나사고정함으로써 베이스판(181)이 헤드프레임(71)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되어있다. 즉,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헤드프레임(71)의 일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한 평판상의 시트부(179)가 일체로 형성되어 헤드프레임의 상면과 이어져 있다. 시트부(179)의 상면의 3곳에는 원주형상의 위치결정돌기(178)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프레임의 전후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 있다. 또, 시트부(179)에는 1쌍의 나사구멍(10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판(181)의 하측 연출벽부(181a)에는 상기 돌기(178)에 대응한 3개의 끼워맞춤구멍(171)과, 나사구멍(105)에 대향한 2개 삽통구멍(1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돌기(178)를 대응하는 끼워맞춤구멍(177)에 끼워맞춤으로써 베이스판(181)은 헤드프레임(71)위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삽통구멍(176)을 통하여(177a)를 나사구멍(105)에 나사조임함으로써 베이스판(181)이 헤드프레임(71)에 고정된다.
이들 돌기(178), 끼워맞춤구멍(177), 나사구멍(105) 및 나사(177a)에 의하여 리본구동부(153)를 헤드프레임(71)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판(181)의 수직으로 세워진 판부분에는 제 1 지지축∼제 4 지지축(182∼185)이 수평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지지축(182∼185)은 리본유니트(152)의 상기 각 축(155∼158)의 배치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판(181)의 앞측하부에 배치되어 설치된 지지축(182)에는 구동축(18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86)의 선단부에는 리본구동축(158)의 접속구멍(174)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워 맞춰지는 동력전달부(18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판(181)에는 기어열(18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열(188)의 최종기어(189)는 구동축(186)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축(186) 및 최종기어(189)에 의하여 제 1 구동부가 구성되어 있다. 기어열(188)의 입력기어(190)는 헤드프레임(17)을 작동위치에 배치하였을 때, 플래튼축(28)에 고정된 전동치차(115)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본장치(151), 권취축(156), 구동축(158)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측판(161,162)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상부 축받이(166)가 상기 돌부(165)의 앞측에 위치하여 부착됨과 아울러, 서로 대향하는 제 2 상부 축받이 (167)는 상기 돌부(165)의 후측에 위치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 측판(161,162)에는 그 앞축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170)가 각각 부착됨과 아울러, 후측하부에 서로 대향하는 축받이 (17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축받이(166,167)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있으며, 모두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가 개방된 오목부를 갖는 축받이부(168)와, 이 축받이부(168)의 상측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탄성지지수단으로서의 후크부(169)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169)의 근원부는 가요변형이 가능하도록 두께가 얇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근원축 부분을 가요변형시킴으로써 후크부(169)는 축받이부(168)의 오목부의 상측에서 그 오목부내를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공급축(155)은 그 양측의 축단부(155a)가 제 2 상부 축받이(167)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2장의 측판(161,162)에 겹쳐서 옆걸기되어 있다. 상기 공급축(155)은 축받이(167)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즉, 축받이(167)의 오목부에 끼워져 지지된 공급축(155)의 양 축단부(155a)의 상부 둘레면에는 후크부(169)가 탄성적으로 맞닿아 있다. 따라서 공급축(155)은 축받이(167)에서 상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후크부의 근원부를 가요변형시켜서 이것을 공급축(155)의 축단부(155a) 상면에서 벗겨냄으로서 공급축(155)을 축받이(167)로부터 상측으로 이탈시킬 수 있다.
권취축(156)도 그 양측의 축단부(156a)가 헤드프레임(71)의 앞측에 위치되는 제 1 상부 축받이(16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2장의 측판(161,162)에 걸쳐서 공급축(155)과 평행하게 옆걸기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156)도 축받이(166)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그 착탈순서는, 이미 설명한 공급축(155)에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권취축(156)은 공급축(155)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권취축(156)과 공급축(155)은 전후 2조의 축받이(166,167)중 어느것에 대하여도 상기 착탈순서에 의하여 바꿔붙임이 가능하게 리본지지프레임(154)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공급축(155)과 권취축(156)의 각각 및 전후 2조의 축받이(166,167)의 각각은, 모두 리본유니트(152)의 전후방향의 중심을 자나며, 즉 공급축과 권취축사이 및 리본구동축과 텐션축사이를 지나 지지프레임(154)의 저벽(163)과 직교하는 가상 평면 H(제 9 도 및 제 11도 참조)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급축(155) 및 권취축(156)의 각각에는 전사리본(122)이 감겨지는 원통체로 된 권심(172)이 착탈가능하게 또 동축적으로 부착된다. 이들 권심(172)은 그 단부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홈을 공급축(155) 및 권취축(156)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173)에 끼워 맞춤으로써 축(155,156)에 대하여 각각 고정된다. 전사리본(122)은 공급축(155)에 지지된 권심(172)에 감아져 있고, 여기서 인출되어 텐션축(157) 및 리본구동축(158)등을 차례로 경유한 후에 권취축(156)에 지지된 권심(172)에 감겨진다. 전사리본(122)의 텐션축(157)에서 리본부동축(158)에 이르는 부분은 헤드프레임(71)에 형성된 절결부(125)(제 4 도, 제 6 도 참조)를 통과함과 동시에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로 된 인자부를 통과한다.
리본구동축(158)은 그 양측의 측단부(158a)가 축받이 (17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상태로 2장의 측판(161,162)에 결쳐서 권취축(156)과 평행하게 옆걸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158)은 헤드프레임(71)의 앞측에 위치하고 인자부와 권취축(156)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리본구동축(158)의 외주면에는 인자부에서 권취축(156)을 향하는 전사리본(122)이 걸리며, 구동축의 외주부분은 전사리본(122)과의 마찰력을 크게 확보 등은 용지이송구동장치(41)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장치(41)의 모터(42)를 동력원으로서 공용하고 있다.
베이스판(181)의 후측 하부에 배치된 지지축(183)에는 미끄럼크러치구조을 갖는 제 2 부하기구(1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부하기구(191)는 압압축 부하부재(192)와 수압축 부하부재(193)와 마찰판(194)과 압압 스프링(195)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부하부재(192,193) 및 마찰판(194)은 모두 지지축(1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찰판(194)은 압압축 부하부대(192)에 고정되어 각 부하부대(192,193)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압압스프링(195)은 압압축 부하부대(192)를 수압축 부하부재(193)로 밀어붙이고 있다. 수압측 부하부재(193)에는 텐션축(157)의 접속구멍(17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동력전달부(196)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축 부하부재(192)와 지지축(183)사이에는 일방향 크러치(19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크러치(197)는 전사리본(122)이 인출될 때만 「연결」상태로 되어 제 4 도중 화살표 E방향으로의 텐션축(157)의 회전을 방해하고, 또 그 이외는「끊음」상태로 되어 상기 화살표 E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텐션축(157)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베이스판(181)의 앞측 상부에 배치된 지지축(184)에는 제 2 구동부를 구성하는 크러치기구(201)와 풀리(202)가 설치되어 있다. 크러치기구(201)는 제 2 부하기구(19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압압측 부하부재(203)와 수압측 부하부재(204)와 마찰판(205)과 압압스프링(206)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부하부재(203,204) 및 마찰판(205)은 모두 지지축(18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마찰판(205)은 압압측 부하부재(203)에 고정되어 각 부하부재(203,204)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압압스프링(206)은 압압측 부하부재(203)를 수압측 부하부대(204)로 밀어 붙이고 있다. 수압측 부하부재(204)에는 권취축(156)의 접속구멍(17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동력전달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풀리(202)는 압압축 부하부재(203)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풀리(202)와 기어열(188)에 설치된 풀리(209)에는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동벨트(210)가 감겨져 있다. 이 전동벨트(210)에 의하여 풀리(202)는 리본구동축(158)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게 되어 있다. 풀리(202)와 압압축 부하부대(203)사이에는 일방향 크러치(208)가 설치되어 있다. 크러치(208)는 전사리본(122)이 감겨질 때만「연결」상태로 되어 제 4 도중 화살표 F방향으로 권취축(156)을 회전시키고, 또 그 이외는「끊음」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 크러치기구(201)의 수압축 부하부재(204)와 마찰판(205)사이의 마찰력은 리본구동축(158)과 전사리본(122)의 마찰력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마찰력의 조절은 압압스프링(206)에 적당한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베이스(181)의 뒷측 상부에 배치되어 설치된 지지축(185)에는 제 1 부하기구(2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 부하기구(211)는 압압측 부하부재(212)와 수압측 부하부재(213)와 토션스프링(214)과 마찰판(215)과 고정판(216)과 압압스프링(217)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부합재(212,213)는 모두 지지축(18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판(216)은 판금제로 되어 있으며, 지지축(185)이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여 신장되어 있다. 이 고정판(216)에는 이것과 압압축 부하부재(21)사이에 배치되는 마찰판(213)이 고정되어 있다. 토션스프링(214)은 그 단부를 각 부하부재 (212,213)에 고정하여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토션스프링(214)으로서는 코이스프링이 사용되며 공급축(155)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감겨져서 공급축(155)에 백텐션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스프링(217)은 고정판(216) 및 마찰판(215)을 통하여 압압축 부하부재(212)를 수압측 부하부재(212)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수압측 부하부재(213)에는 공급축(155)의 접속구멍(174)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동력전달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측 부하부재(212)와 수압축 부하부재(213)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걸어맞춤돌부(219,220)가 각각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어맞춤돌부(219,220)는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며, 공급축(155)의 회전에 따라서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제 1 부하기구(211)가 공급축(155)의 회전에 대하여 부여하는 저항의 크기는 제 2 부하기구(191)가 텐션축(157)의 회전에 대하여 부여하는 저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조절은 상기 압압스프링(195,217)의 각각에 적당한 탄성을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각 동력전달부(187,196,207,218)의 구성은, 제 15 도 및 제 16 도에 도시한 동력전달부(218)의 구성을 대표로 하여 도시한 바와같이 원주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에 3개의 돌기(221)를 갖고 있다. 각 돌기(221)는 상기 접속구멍(174)의 홈(175)에 걸어맞춰져 이들 사이에서의 동력전달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또, 제 4 도 및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프레임(171)의 절결부(125)는 상기 인자부보다도 후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5)는 헤드프레임(71)의 일측(상기 본체프레임(1)의 착탈가능한 측판을 떼어냄으로써 노출되는 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향하는 헤드프레임(71)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25)의 앞가장자리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르고 상측으로 경사지게 신장된 센서부착부(126)가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절결부(125)의 뒷가장자리부에도 그 길이방향을 따르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신장된 센서부착부(127)가 고정되어 있다. 앞측의 센서부착부(126)에는 광전기변환소자로 된 수광기를 내부에 수납한 제 1 리본센서(135)가 부착되어 있다. 뒷측의 센서부착된(127)에도 발광다이오드로 된 투광기를 내부에 수납한 제 2 리본센서(137)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수광기와 투광기는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설치되며, 리본의 종단이나 리본의 유무등을 검출한다.
상기 헤드프레임(71)의 측벽간에는 가이드축(82,138)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옆걸기되어 있으며, 절결부(125)와 인자부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축(82,183)은 절결부(125)에서 인자부에 이르는 전사리본(122)을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축(82)의 양 단부는 헤드프레임(71)의 측벽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지지기구(84)의 돌기걸림부로서 이용된다. 가이드축(82)의 양단부에 돌기부(83)가 걸리고 벗겨지기 가능하게 걸려짐으로써, 헤드프레임(71)이 작동위치에 유지되어 라인서어멀헤드(75)를 플래튼롤러(24)와 접촉하는 인자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지기구(84)는 회동축(85)과 1쌍의 후크판(86)과 1쌍의 코일스프링(87)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85)은 그 양단부가 프레임측판(14,15)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가이드축(82)과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다. 후크판(86)은 회전축(85)에 고정되어 각각 프레임측판(14,15)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이 축(85)과 일체로 회동하다. 각 후크판(86)은 회전축(85)에서 가이드축(82)을 향하여 상축으로 신장한 연출부를 가지며, 이 연출부의 상단에 가이드축(85)의 돌기 걸림부와 걸어맞춤이 가능한 돌기부(8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후크판(86)은 회전축(85)에서 하축으로 연장시킨 암부(86a)를 가지며, 이암부와 대응하는 프레임측판(14)사이에 인장스프링으로 된 코일스프링(87)이 걸려져 있다. 이 코일스프링(87)에 의하여 후크판(86)은 회전축(85)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돌기부(83)가 가이드축(82)의 돌기걸림부에 걸어맞춰지므로써 헤드프레임(71)을 도시한 작동위치에 로크하고 있다. 또 돌기부(83)에는 헤드프레임(71)이 개방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하향 회동되었을 때에 가이드축(82)과 미끄럼접촉하는 경사면(8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헤드프레임(71)이 개방위치에서 작동위치로 회동하면 후크판(86)은 가이드축(82)에 의하여 스프링(87)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일단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헤드프레임이 작동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다시 스프링(87)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돌기부(83)는 가이드축(82)의 돌기걸림부에 자동적으로 걸리므로써 헤드프레임(71)을 작동위치에 로크한다. 이때, 헤드프레임(71)은 플래튼로롤러(24) 및 헤드(75)를 통하여 작용하는 압압스프링(26)의 탄지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압압되고, 이 압압력에 의하여 돌기부(83)가 얼눌려짐으로써 작동위치에 로크된다. 압압스프링(26)의 탄지력은 헤드프레임(71) 및 후술하는 리본장치의 중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헤드프레임(71)에 하측으로의 과도한 부하가 작용한 경우에는 프레임(71)의 앞쪽 아래가장자리가 프레임측판(14,15)에 맞닿아 헤드프레임의 하축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제 2 도중 우측 프레임측판(15)에는 통공(88)(제 3 도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측판(15)과 대향하여 위치한 후크판(86)은 그 일부를 구부려서 형성한 해제레버(89)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버는 통공(88)을 통하여 측판(15)의 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레버(89)가 통공(88)의 둘레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각 후크판(86)의 회동량이 제한된다. 또, 해제러버(89)는 본체케이스(1)의 측판(3)을 떼어냄으로써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된 레버(89)를 하측으로 눌러 후크판(86)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돌기부(83)와 회동축(82)의 단부와의 걸어맞춤을 벗겨 헤드프레임(71)의 로크를 해제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프린터는 필요에 따라 플래튼롤러(24)을 서어멀헤드(75)에서 떨어지게 하는 비작동위치로 절환하는 절환기구(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절환기구(110)는 프레임측판(15)에 부착된 치차상자(95)를 구비하여, 여기에는 복수의 치차로 된 감속치차기구(96)가 수납되어 있다. 감속치차기구(96)의 최종치차(97)는 회동축(102)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회동축(102)은 측판(14,15)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는 다른 축(22,85)등과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다. 또, 치차상자(95)에는 펄스모터로된 구동모터(98)가 부착되어 있다.
회동축(10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캠(99)이 고정되어 있다. 또, 플래튼유니트(21)의 지지점측(32)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레버형상으로 된 캠플로워(100)가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이 캠플로워(100)의 후단부는 캠(99)에 상측에서 접촉하고 있다. 캠플로워(100)의 전단부는 유니트(21)의 중간측(25)의 상측면에 걸어 맞춰져 있다. 회동축(102)의 우단부는 프레임측판(15)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우단부에는 조작레버(101)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절환기구(110)는 예를들면 인자동작에 있어서 여백부가 있는 경우등에 작동된다. 즉, 구동모타(98)가 작동되면, 회동축(102) 및 캠(99)이 제 3 도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캠(99)에 연동하는 캠플라워(100)는 지지점축(22)을 중심으로 제 3 도중 화살표 C방향으로회동된다. 따라서, 중간축(25)이 캠플로워(100)에 의하여 눌려 내려짐과 동시에 지지판(23)을 통하여 플래튼롤러(24)가 하측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롤러(24)는 라인서어멀헤드(75)에서 떨어지며, 용지를 용지이송롤러(54)에 의하여 신속하게 보낼수 있다. 또, 모터(98) 대신에 조작레버(101)를 조작하여 회동축(102)을 제 3 도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도 있다.
리본장치를 장착하고서 전사방식에 의하여 인자조작을 실시할때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여백부를 보내는 경우는 물론, 1행의 인자가 끝난 후의 1행 피치분의 용지이송을 하는 동안에는 구동모터(98)가 동작된다. 그러므로, 1피치분의 용지이송이 실시되는 동안 플래튼롤러(24)는 헤드(75)에서 떨어지고 전동치차(115)가 입력치차(190)에서 떨어진다. 그러므로, 종이이송은 그대로 계속되나, 전사리본(22)의 감김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잉크리본의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함으로써 리본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측판(14,15)의 전단부에는 박리(剝離)롤러(230)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박리롤러(230)는 인자가 끝난 라벨용지를 밴드상의 대지에서 떼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플래튼롤러(24)에 대하여 하측에서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박리롤러(230)는 브래킷(231)을 통하여 프레임측판(14,15)에 지지되어 있다. 브래킷(231)은 판금제로 되어 있으며, 프레임측판(14,15)의 외측에 위치하는 좌우 1쌍의 부착암(232)과 이들 암을 연결하는 판상의 연결부(23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부착암(232)의 상연부에는 박리롤러(23)의 롤러축(235)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홈부(2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암(232)의 선단부에는 플래튼유니트(21)의 중간축(25)의 양 단부가 끼워지는 끼워맞춤구멍(2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구멍(237)은 중간축(25)에 대하여 축둘레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한 상태로 끼워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박리롤러(230)는 플래튼유니트(21)의 가압스프링(26)(제 3 도 참조)에 의하여 플래튼유니트와 함께 상향으로 회동되도록 탄지되어 있으며, 플래튼롤러(24)의 하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박리롤러(230)는 플래튼롤러(24)사이에 플래튼롤러와 라인서어멀헤드(75)사이에서 풀려나온 라벨용지의 대지를 유도함으로써 대지는 플래튼롤러(24)의 직후에 대략 U자형상으로 반전되어 이 대지위에 붙여져 있는 라벨이 자연스럽게 벗겨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라벨의 박리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브래킷(231)에 플래튼롤러(24)의 전방으로 신장되는 박리가이드를 설치하여 대지를 플래튼롤러의 직후에서 예각으로 구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서어멀프린터에 있어서의 전사리본(122)의 세트는 본체케이스(1)의 측판(3)을 떼어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먼저, 지지기구(84)의 해제레버(89)를 하측으로 눌러 각 후크판 (86)을 회동시켜서 돌기부(83)를 가이드축(82)의 단부에 벗겨 헤드프레임(71)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헤드프레임(71)을 제 3 도중 점선으로 나타낸 비작동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켜 세운다.
다음에, 리본장치(151)의 리본구동부(153)을 헤드프레임(71)에 부착한다. 즉, 베이스판(181) 하측의 연출벽부(181a)를 헤드프레임(71)의 시트부(179)위에 놓는다. 이때, 시트부(179)상의 돌기(178)를 연출벽부(181a)측의 끼워맞춤구멍(177)에 끼워맞춰서 구동부(153)와 헤드프레임(71)의 위치를 맞추고, 그후, 나사(177a)를 삽통구멍(176)을 통하여 나사구멍(105)에 나사조임함으로써 구동부를 헤드프레임의 소정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구동부(153)의 부착이 완료되면, 리본유니트(152)의 리본지지프레임(154)에 전사리본(122)을 장착하고, 이 리본지지프레임을 헤드프레임(71)의 지지대(117)위에 놓는다. 그리고, 리본유니트(152)의 공급축(155), 텐션축(157), 권취축(156) 및 구동축(158)을 구동부(153)측의 동력전달부(207,187,218,196)에 각각 끼워 맞춰서 리본유니트(152)와 구동부(153)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전사리본(122)의 텐션축(157)에서 추동축(158)에 이르는 부분을 하측으로 인출하고, 이 전사리본의 인출부분을 서로 떨어져 있는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사이로 측방에 끼워넣어서 통하게 함과 동시에 헤드프레임(71)의 절결부(125)에 그 트인구멍측에서 끼워 넣는다.
다음에, 롤홀더(57)에서 인출되어 입구측 용지가이드(61,92)를 통하여 도입되는 라벨용지를 용지이송롤러(54) 및 최종용지가이드(35)를 거쳐서, 서로 떨어진 상태로 있는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사이에 있어서의, 리본(122)의 하측으로 통과시킨다. 그후, 헤드프레임(71)을 작동위치를 향하여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라인서어멀헤드(75)가 플래튼롤러(24)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라벨용지와 전사리본(122)이 끼워진다. 동시에, 가이드축(82)의 단부가 후크판(86)의 돌기부(83)에 걸려서 헤드프레임(71)이 작동위치에 유지된다. 또, 구동부(153)의 입력치차(190)가 플래튼롤러(24)측의 전동치차(115)와 맞물리게 되므로 구동부(153)가 용지이송구동장치(41)의 구동모터(42)에 의하여 구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음에, 조직레버(101)를 조작하여 인자부를 열어서 전사리본(122)을 자유롭게 하고, 이 상태에서 권취축(156)을 손으로 돌려서 전사리본(122)의 여유분을 감는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전사리본(122)이 가이드축(82,138)에 접촉하여 팽팽하게 설치된다.
최후로, 조작레버(101)를 해방한다. 이와같이 하면, 제 4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전사리본(122) 및 라벨용지가 플래튼롤러(24)와 서어멀헤드(75)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므로 전사리본 및 라벨용지의 세트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세트된 전사리본(122)은, 공급축(155)에서 권취축(156)에 이르는 부분이 라벨용지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플래튼롤러(24)와 서어멀헤드(75)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서어멀헤드(75)의 동작에 의하여 전사리본(122)의 잉크가 용지의 라벨에 전사되어 인자된다.
다음은, 상기 라벨프린터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리본장치(15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지이송구동장치(41)의 동작에 의하여 플래튼롤러(24)가 회전되면, 치차열(188,189)을 통하여 구동축(186)이 회전된다. 동시에, 풀리(209,202) 및 전동벨트(210)를 통하여 크러치기구(201)의 압압측 부하부재(203)가 회전된다.
구동축(186)에는 리본구동축(158)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구동축(158)이 제 4 도중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외주에 접하여 있는 전사리본(122)을 이동시킨다. 이때 압압측 부하부재(203)와 풀리(202)사이의 일방향 크러치(208)는 「연결」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하부재(203)가 회전된다. 이 회전은 압압스프링(206)에 의하여 서로 누름접촉하고 있는 각 부하부재(203,204) 및 마찰판(205)를 통하여 권취축(156)에 전달된다. 따라서, 권취축(156)이 제 4 도중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본구동축(158)을 경유한 전사리본(122)을 감는다.
이 리본 (122)을 감을 때에, 권취축(156)의 권취축(156)의 권취력이 리본구동축(158)과 이것에 접하고 있는 전사리본(122)과의 마찰력과 동등 이상으로 된 경우에는 , 크러치기구(201)의 수압측 부하부재(204)가 마찰판(205)에 대하여 미끌어지게 된다. 즉, 크러치기구(201)가 「끊음」상태로 되어 권취축(156)으로의 권취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전사리본(122)의 권취력의 변화가 인자부에 미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리본구동축(158)과 전사리본(122)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사리본(122)의 이동력이 변화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권취축(156)으로의 전사리본(122)의 권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자부를 통과하는 전사리본(122)에 대한 권취용의 이동력을 일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리본(122)의 권취초기에 있어서, 이 리본(122)이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전사리본이 단단하게 감겨지거나 혹은 리본의 끊킴이 발생되거나 혹은 스멋지 또는 스타킹을 발생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축(156)에 대한 전사리본(122)의 감김을 공급축(155)에 가까운 측에서 감겨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내측에서의 감김을 실시함으로써, 리본의 권경이 커질수록, 따라서 권취력이 감소할수록 리본구동축(158)에 대한 전시리본(122)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리본구동축(158)에 의하여 전사리본(122)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고, 리본구동축(158)에 대하여 권취축(156)방향으로 전사리본(122)을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이상과 같이 감겨짐으로써 이동되는 전사리본(122)은 텐션축(157)을 회전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텐션축(157)에는 제 2 부하기구(191)가 접속되어 있고, 이 기구(191)의 일방향 크러치(197)은 「연결」상태에 있다. 따라서, 마찰판(194)과 수압측 부하부재(193)사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텐션축(157)의 자유로운 회전이 제한되고, 상기 마찰력보다도 큰 회전력이 전사리본(122)에 의하여 가해진 경우만, 텐션축(157)은 마찰판(194)와 수압측 부하부재(193) 사이에서의 미끄럼을 수반하면서 회전된다. 따라서 전사리본(122)에는 백텐션이 걸린다.
동시에, 이상과 같이 감겨짐으로써 공급축(155)이 전사리본(122)을 통하여 회전력을 받아 전사리본(122)이 인출됨과 동시에, 이 공급축(155)과 일체로 제 1 부하기구(211)의 수압측 부하부대(213)가 회전된다. 이 부재(213)의 회전은 토션스프링(214)에 저항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이 스프링(214)의 탄지력에 의해 공급축(155)이 수압측 부하부재(213)를 통하여 백텐션을 받는다.
이 수압측 부하부재(213)가 일정각도 회전되면, 그 걸어맞춤돌부(220)가 압압축 부하부재(212)의 걸어맞춤돌부(219)와 걸어맞춰져서 이 부하부재(212)를 회전시킨다. 이 압압축 부하부재(212)와 고정판(216)사이에는 마찰판(2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공급축(156)의 회전동작이 제동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공급축(155)의 회전이 제동됨으로써 전사리본(122)에는 백텐션이 걸린다.
전사리본(122)에 대하여 제 1 부하기구(211)가 주는 백텐션은 제 2 부하기구(191)가 주는 백텐션보다도 작기 때문에, 공급축(155)으로의 전사리본(122)의 권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텐션축(157)에서 인자부에 이르는 전사리본(122)의 백텐션을 일정화 할 수 있다. 따라서, 텐션축(157)에서 인자부에 이르는 전사리본(122)의 백텐션을 일정화 할 수 있다. 또한 텐션축(157)은 제 2부하기구(191)에 의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항상 일정한 백텐션을 전사리본(122)에 주고 있다.
따라서, 권취축(156)으로의 전사리본(122)의 권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자부를 통과하는 전사리본(122)에 대한 권취용의 이동력을 일정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권취 후기에 있어서 전사리본(122)이 주름지거나 스틱킹을 발생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즉, 이상과 같이하여, 전사리본(122)의 주행동작에 있어서의 리본의 끊킴, 스틱킹, 스멋지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자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거의 일정한 권취력으로 전사리본(122)을 감기 때문에, 전사리본(122)이 단단하게 혹은 느슨하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백텐션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사리본이 주름지게 감겨지는 일도 있다.
따라서, 전사리본(122)이 모두 인출된 제 1 회전축(공급축155)과 전사리본(122)이 모두 감겨진 제 2 회전축(권취축156)을 리본지지프레임(154)에서 일단 떼어내고, 상기 제 1 회전축을 앞측의 축받이(166)에 권취축(156)으로서 바꿔끼움과 동시에 상기 제 2 회전축을 후측의 축받이(167)에 공급축(155)으로서 바꿔끼움으로써, 한번 사용된 전사리본(122)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축받이 (166,167)에 대한 양 회전축의 착탈조작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후크부(169)의 근원부를 가용변형시켜서 실시함은 물론이다.
또, 전사리본(122)의 재사용은, 상기한 바와같이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의 교환작업을 다음과 같이 실시함으로써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즉, 리본유니트(152)는 가상편면 H에 대하여 대칭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리본유니트(152)를 헤드프레임(71)에서 떼어내고, 가상평면(H)상에 위치하여 각 축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중심축(P)을 중심으로 반전하여 헤드프레임(71)에 세트함으로써, 리본구동부(153)에 대하여 리본유니트(152)를 바꿔끼울 수 있다. 이 바꿔끼움에 있어서, 리본유니트(152)의 각 축(155∼158)의 축단부(155a∼158a)에 형성된 접속구멍(174)은 이것들과 대향하여 위치되는 리본구동부(153)의 동력전단부(187,196,207,218)에 각각 끼워맞추어진다. 따라서 접속구멍(174)의 복수의 홈(175)과 동력전달부(187,196,207,218)의 복수의 돌기(221)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리본구동부(153)에서 유니트(152)의 각축(155∼158)으로의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리본구동부(153)에서 유니트(152)의 각 축(155∼158)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번거로운 연결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리본유니트(152)의 반전세트에 의하여, 전사리본(122)이 모두 인출된 제 1 회전축(공급축155)을 권취축(166)으로 세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사리본(122)이 모두 감겨진 제 2 회전축(권취축156)을 공급축(155)으로서 세트할 수 있다. 동시에, 텐션축(157)으로서 사용되었던 헤드프레임(71)의 앞측에 위치되어 리본구동축(158)으로서 세트됨과 동시에 리본구동축(158)으로서 사용되었던 회전축이 헤드프레임(71)의 후추에 위치되어 텐션축(157)으로서 세트된다. 또한, 리본유니트(152)를 반전하여 세트한 상태가 제 1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이와같은 수순에 의하여 사용된 전사리본(122)를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의 세트작업에서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리본유니트(152)를 반전하여 세트하기 때문에, 전사본(122)에 손을 댈 필요가 없어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을 바꿔끼우는 경우에 비해 극히 용이하게 세트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감열지로 된 라벨을 사용하여 감열식으로 인자할 경우에는 전사리본(122)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지지기구(84)의 조작레버(89)를 하측으로 눌러서 로크를 해제하고, 헤드프레임(71)을 상향으로 회도시켜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을 떨어지게 한다. 그리고, 전사리본(122)의 텐션축(157)에서 구동축(158)에 이르는 부분을 서로 떨어진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사이에서 측방으로 인출함과 동시에 헤드프레임(71)의 절결부(125)를 통하여 측방으로 인출하여, 이어서 리본유니트(152)를 헤드프레임 위에서 떼어낸다. 이와 동시에, 구동부(153)를 헤드프레임(71)에 고정되어 있는 나사(177a)를 풀어 이 구동부를 헤드프레임에서 떼어낸다.
이 상태에서 헤드프레임(71)을 작동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키면 라벨용지만이 플래튼롤러(24)와 라인서어멀헤드(75)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라벨용지의 라벨이 라인서어멀헤드에 의하여 가열되어 직접인자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프린터에 의하면, 전사인자에 필요한 리본장치(151)가 한 개의 유니트로 되어 헤드프레임(7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리본장치(151)를 제외한 기타의 부분, 즉 인자에 필요한 라인서어멀헤드(75)나 플래튼롤러(24)를 비롯하여 본체케이스(1)축의 각종 장치류, 예를들면 용지이송구동장치(41), 지지기구(86) 및 절환기구(110)등은 인자방식 전사식 혹은 감열식중 어느 경우라도 공통의 구성부분으로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방식에 따라 리본장치(161)를 준비하고서 헤드프레임(71)의 시트부(179)에 나사고정하면 되기 때문에, 프린터측에 값비싼 리본장치(151)를 항시 설치해 둘 필요가 없어 그만큼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의 경우, 헤드프레임(71)을 작동위치에 배치하면, 리본장치(151)의 압력치차(190)가 플래튼롤러(24)와 일체로 회전하는 전동치차(115)와 맞물리기 때문에, 이 리본장치(151)의 권취축(155)이나 구동축(157)을 용지이송구동장치(41)에 의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41)의 모터(420의 동력을 이용하여 전사리본(122)을 공급축(156)에서 권취축(155)를 향하여 주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사리본을 감기위한 전용의 모터등이 필요없다. 따라서, 부품점수가 적어 단가를 낮출 수 있음과 아울러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인지가 끝난 라벨을 밴드상의 대지에서 벗겨내는 박리롤러(230)는 브랫킷(231)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 브랫킷(231)의 양단의 끼워맞춤구멍(237)을 프레임측판(14,15)에서 돌출된 중간축(25)의 양단에 끼워맞춤으로써 이 프레임측판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박리롤러(230)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그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프레임측판(14,15)측에 박리롤러(230)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1대의 프린터로 박리롤러(230)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2장의 프레임측판(14,15)에 걸쳐서 옆걸기된 플래튼유니트(21)의 지지점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는 플래튼유니트(21)를 그 지지점축(22)에 부착된 가압스프링(26)으로 탄지하여 플래튼롤러(24)를 헤드프레임(71)에 지지된 라인서어멀헤드(75)에 밀어붙이고 있다. 플래튼유니트(21)의 지지판(23)이 각각 단독으로 지지점축(22)의 축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판(23)을 개별로 회동시켜서 라인서어멀헤드(75)에 대하여 한쪽 닿음이 없도록 플래튼롤러(24)의 위치를 자동조절할 수 있다. 또, 위치결정판(91)의 플래튼축(28)으로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부동(浮動)가능한 상기 헤드(75)를 자동적으로 다소 움직여서 플래튼롤러(24)의 축선과 상기 헤드(75)의 축선을 평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자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본장치(151)의 입력치차(190)를 플래튼롤러(24)와 일체로 회전하는 전동치차(115)와 맞물리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제 1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하여도 된다. 단, 이 제 19 도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 19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53)의 베이스판(181)의 하부중앙에 지지축(240)을 통하여 입력치차(190)가 지지되어 있다. 입력치차(190)의 상측에 지지축(241)을 통하여 종동치차(242)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종동치차(242)는 입력치차(190)와 맞물려 있다. 이 종동치차(242)는 풀리(24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 풀리(244)와 중간치차(188)의 풀리(209)사이에는 벨트(245)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입력치차(190)는 헤드프레임(71)을 작동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롤러축(55)상의 연동치차(56)와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치차(56)를 통하여 입력치차(190)가 제 19 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풀리(244,209), 벨트(245) 및 중간치차(188)를 통하여 구동치차(189) 및 구동축(182)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풀리(202) 및 구동축(184)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리본유니트(151)의 리본구동축(158) 및 권취축(156)이 전사리본(122)을 감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와같이 구상된 실시예에서도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인자헤드와 상기 헤드에 대향한 플래튼을 가지며, 플래튼과 인자헤드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인자하는 인자구단과 ; 상기 플래튼과 인자헤드와의 사이를 통하여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와의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장치 ; 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장치는, 리본지지프레임과,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사리본이 감겨진 제 1 회전축과,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전축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회전축에서 인출되어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와의 사이를 통과한 전사리본을 감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회전축과 인자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사리본에 접촉하는 텐션축과, 상기 텐션축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상기 인자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축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사리본에 접촉하는 리본구동축을 구비하며, 이들 축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리본유니트 ; 와, 상기 리본유니트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접속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제 1 회전축에서 인출된 전사리본을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장치와의 사이를 통하여 제 2 회전축에는 감는 리본구동부 ; 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구동부는 상기 리본구동축, 텐션축, 제 2 회전축 및 제 1 회 전축에 각각 걸어맞춤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지지축 내지 제 4 지지축과 ; 상기 제 2 지지축에 설치되며 제 2 지지축과 걸어맞춰진 텐션축에 회전방향의 저항을 주는 부하기구 ; 를 구비하며,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을 반전하여 상기 리본구동부에 연결함으로써 텐션축, 리본구동축,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이 상기 제 1 지지축 내지 제 4 지지축에 각각 걸어맞춰지도록, 상기 제 1 회전축 및 텐션축이, 제 1 회전축과 제 2 회전축과의 사이 및 텐션축과 리본구동축과의 사이를 이것들의 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평면에 대하여, 제 2회전축 및리본구동축과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멀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수단은 상기 인자헤드를 지지한 헤드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리본유니트 및 리본구동부는 각각 상기 헤드프레임위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놓여지며, 상기 리본유니트는 상기 리본구동부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서어멀 프린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구동부를 상기 헤드레임위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수단과 ; 상기 리본구동부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상기 헤드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 상기 리본유니트를 상기 리본구동부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헤드프레임위에 지지하는 수단 ; 을 더 구비하고 있는 서어멀 프린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 제 2 회전축, 리본구동축 및, 텐션축 각각은 1쌍의 축단부를 가지며, 각 축단부는 내면에 복수의 홈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걸림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축 내지 제 4 지지축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걸림구멍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동력전달부를 가지며, 각 동력전달부는 대응하는 걸림구멍의 홈과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서어멀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의 동력을 상기 리본구동부에 전달하며, 이송수단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리본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연동수단을 가지고 있는 서어멀 프린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프레임은, 상기 인자헤드가 상기 플래튼과 맞닿는 작동위치와 인자헤드가 플래튼에서 덜어지는 비작동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헤드프레임이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이송수단과 걸어맞춰지는 입력부재를 가지고 있는 서어멀 프린터.
  7. 제 5 항에 있어서, 리본구동부는, 상기 제 1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연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리본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부와 ; 상기 제 3 지지축에 상기 제 1 구동부에 연동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며, 제 1 구동부에 연동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부 ; 를 구비하고 있는 서어멀 프린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구동부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본구동축과 전사리본과의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큰 회전력이 상기 제 2 회전축에 작용하였을 때 상기 제 2 구동부에서 제 2 회전축으로의 회전력이 전달을 차단하는 크러치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서어멀 프리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구동부는, 상기 제 4 지지축에 설치되며, 제 4 지지축과 걸어맞춰진 제 1 회전축에, 상기 부하기구보다도 작은 회전방향의 저항을 주는 다른 부하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멀 프린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은, 서로 대향한 1쌍의 제 1 축받이 및 서로 대향한 제 2 축받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축받이 및 제 2 축받이 각각은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트여진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축은 상기 제 1 축받이의 오목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 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측으로 트여진 부분을 통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떼어내기 가능한 1쌍의 축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회전축은 상기 제 2 축받이의 오목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춰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외측으로 트여진 부분을 통하여 상기 오목부에서 떼어내기 가능한 1쌍의 측단부를 가지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은 상기 전사리본과 함께 각각 서로의 위치를 바꾸어 리본지지프레임에 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멀 프린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지지프레임은 서로 대향한 1쌍의 측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축받이는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축받이는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서어멀 프린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상기프레임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의 각 측단부를 대응하는 축받이의 오목부에 대하여 떼어내기 가능하도록 지지한 탄성지지수단을 가지고있는 서어멀 프린트.
  13. 인자헤드를 지지한 헤드프레임과 상기 인자헤드에 대향한 플래튼을 가지며, 플래튼과 인자헤드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에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수단과 ; 상기 플래튼과 인자헤드와의 사이를 통하여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메체와의 사이를 통하여 전사리본을 주행시키는 리본장치 ; 를 구비하여 상기 리본장치는, 상기 헤드프레임위에 착탈가능하게 놓여진 리본 지지프레임과, 각각 상기 프레임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사리본이 감겨진 제 1 회전축 및 제 2 회전축을 구비한 리본유니트와 ; 상기 헤드프레임위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놓여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리본 유니트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제 1 회전축에서 인출된 전사리본을 상기 인자헤드와 기록매체와의 사이를 통하여 제 2 회전축에 감는 리본구동부와 ; 상기 이송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리본구동부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수단에 연동하여 리본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전달수단을 ; 구비하며,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리본구동부에 접속되며 상기 리본구동부가 상기 헤드프레임위에 놓여졌을 때에 상기 이송수단과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멀 프린터.
KR1019900016404A 1989-10-16 1990-10-15 서어멀 프린터 KR940010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68553 1989-10-16
JP1-268549 1989-10-16
JP1268553A JPH03128277A (ja) 1989-10-16 1989-10-16 転写式プリンタ
JP1268549A JPH03128274A (ja) 1989-10-16 1989-10-16 ラベル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682A KR910007682A (ko) 1991-05-30
KR940010996B1 true KR940010996B1 (ko) 1994-11-22

Family

ID=2654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6404A KR940010996B1 (ko) 1989-10-16 1990-10-15 서어멀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38335A (ko)
EP (1) EP0423647B1 (ko)
KR (1) KR940010996B1 (ko)
DE (1) DE6902008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813A1 (ko) * 2014-01-24 2015-07-30 프리닉스 주식회사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53601T1 (de) * 1990-09-13 1997-06-15 Canon Kk Kassette und aufzeichnungsgerät zu dieser kassette
US5921687A (en) * 1991-05-24 1999-07-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JPH05112022A (ja) * 1991-10-24 1993-05-07 Sony Corp プリンタ
US5429443A (en) * 1992-04-06 1995-07-04 Alp Electric Co., Ltd. Thermal transfer printer with ink ribbon feed controller
US5513920A (en) * 1992-10-29 1996-05-07 Eastman Kodak Company Dye donor web loading apparatus for a thermal printer
EP0646469A3 (de) * 1993-09-24 1996-05-15 Esselte Meto Int Gmbh Druckmaschine.
FR2713552B1 (fr) * 1993-12-15 1996-02-09 Sagem Sabot de chargement de ruban encreur pour imprimante à impression par transfert thermique.
JP3491790B2 (ja) * 1996-01-18 2004-01-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US5833377A (en) * 1996-05-10 1998-11-10 Monarch Marking Systems, Inc. Core, spindle and combination thereof
GB9621475D0 (en) * 1996-10-15 1996-12-04 Itw Ltd A method of operating a thermal printer
US6991388B2 (en) 1998-01-06 2006-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having takeup-side cover with opening positioned beneath protrusion in cover
DE69924542T2 (de) * 1998-01-06 2006-02-23 Brother Kogyo K.K., Nagoya Farbbandkassette
US20020186993A1 (en) 1998-01-06 2002-12-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GB2334235B (en) * 1998-02-13 2002-01-09 Graseby Allen Ltd Print apparatus with movable printhead for user access
US5951177A (en) * 1998-03-02 1999-09-14 Brady Worldwide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ribbon tension
ES2286353T3 (es) 2000-03-31 2007-12-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para formar imagen y cartucho de lamina de tinta montado en el dispositivo para formar imagenes.
EP1577106A1 (en) 2004-03-15 2005-09-2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CN2858275Y (zh) * 2005-09-15 2007-01-17 深圳市博思得通信发展有限公司 带有碳带调节装置的条码标签打印机
US8646998B2 (en) * 2012-04-17 2014-02-11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Core holding structure and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4478A (ja) * 1981-08-06 1983-02-14 Fujitsu Ltd 記録装置
JPS59212287A (ja) * 1983-05-17 1984-12-01 Fujitsu Ltd 熱転写記録装置
JPS6216180A (ja) * 1985-07-15 1987-01-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3158278A (ja) * 1986-12-22 1988-07-01 Canon Inc インクシ−トロ−ルユニツト
US4797690A (en) * 1987-03-04 1989-01-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ibbon feed mechanism
JPS63306067A (ja) * 1987-06-08 1988-12-14 スター精密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JPH01229680A (ja) * 1988-03-10 1989-09-13 Brother Ind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H02116584A (ja) * 1988-10-25 1990-05-01 Minolta Camera Co Ltd 熱転写型印字用リボンカセ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813A1 (ko) * 2014-01-24 2015-07-30 프리닉스 주식회사 승화형 포토 프린터의 리본 테이크업 릴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682A (ko) 1991-05-30
EP0423647A3 (en) 1991-10-23
US5138335A (en) 1992-08-11
EP0423647A2 (en) 1991-04-24
EP0423647B1 (en) 1995-06-14
DE69020089T2 (de) 1995-10-26
DE69020089D1 (de)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996B1 (ko) 서어멀 프린터
US6267521B1 (en) Computer driven printer with a stripper roller and latching assembly
JPH0140695Y2 (ko)
US5308173A (en) Self-propelled composite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either on a tape or on a flat surface
US5427460A (en) Label printer and label strip feed mechanism therefor
EP0200938B1 (en) Transfer medium feed mechanism for printers
EP0157076A2 (en) Ink delivery system including reversible ribbon cartridge
JPH03128254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S61266271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KR960000968B1 (ko) 전사식 프린터
US6313861B2 (en) Thermal transfer printer with print film saving system and print media tensioning system
KR960000967B1 (ko) 전사식 프린터
KR960000969B1 (ko) 전사식 프린터
US5714996A (en) Thermal printer ink ribbon cassette apparatus
US5137378A (en) Thermal printer having ribbon conserving mechanism
JPH01502175A (ja) カード取出し装置
JPS61266277A (ja) サ−マル転写プリンタ
US5135315A (en) Transfer printer with ribbon transmission drive gear
US5355155A (en) Envelope stop position finger and retraction apparatus for a thermal postage meter
JPS63297085A (ja) インクリボンの搬送機構
JPH029985Y2 (ko)
JPH03128275A (ja) サーマル転写プリンタ
JP2924836B2 (ja) ラベルプリンタ
JPH0333482Y2 (ko)
JP2502150Y2 (ja) カセット式ラベル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