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87B1 - 메모리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메모리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87B1
KR960000887B1 KR1019870010720A KR870010720A KR960000887B1 KR 960000887 B1 KR960000887 B1 KR 960000887B1 KR 1019870010720 A KR1019870010720 A KR 1019870010720A KR 870010720 A KR870010720 A KR 870010720A KR 960000887 B1 KR960000887 B1 KR 96000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it line
columns
transisto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485A (ko
Inventor
크리티엔 마테우스 길라우무스 페닝스 레오나르두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8000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11C11/41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19Read-write [R-W]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모리 집적 회로
제1도는 종래 기술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본 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두개의 컬럼이 하나의 공통 제1트랜지스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구성의 제2실시예의 레이 아웃도.
제5도는 제4도의 실시예의 레이 아웃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3 : 엑세스 트랜지스터 17, 18 : 비트 라인 부하
본 발명은 메모리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리 회로에서 메모리 셀은 컬럼(columm)들로 배열되고 각각의 컬럼은 2개의 비트 라인에 접속되고, 한 컬럼의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셀은 선택수단에 의해서 선택되며, 상기 선택수단은 메모리 셀을 상기 두개의 비트 라인에 접속하며 상기 두개의 비트 라인을 데이타 버스에 접속시켜 메모리 셀에 정보를 공급하고, 상기 두개의 비트 라인 각각은, 각각의 부하를 통해서, 제1공급 단자로 접촉되며, 상기 데이타 버스는 신호를 제1비트 라인에 공급하는 라인을 포함하며, 제2비트 라인 상에 논리적 상보형 신호를 발생하는 반전수단이 컬럼마다 설치된다.
미국 특허 제4,133,661호(1979년 9월 1일)에는 이러한 메모리 회로가 개시되고 있다. 이 회로 구성에 있어서, 단일 데이타 공급 라인에 존재하는 정보 비트는, 데이타 공급 라인으로부터 비반전된 신호가 제1비트 라인상에 나타나기 전에 제1 및 제2반전 증폭기를 통과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컬럼의 비트 라인상에서 세트되며, 동일한 데이타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비반전된 신호는, 상기 반전된 형태(제18c도)로 제2비트 라인상에 나타나기 전에 제3반전 증폭기를 통과한다. 3상태 증폭기(tri-state amplifier)로 구성된 제2 및 제3증폭기는 상기 컬럼으로의 엑세스 게이트 역할을 한다.
상기 참조 특허에서 반전 증폭기는 적어도 두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3상태 증폭기는 적어도 네 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고, 상기 3상태 증폭기는 공급 라인에 접속되어야 한다. 이것은 단일 데이타 공급 라인과 컬럼의 두개의 비트 라인에 접속된 메모리 셀 사이에서 필요한 공급 소스 접속은 물론이고 적어도 열개의 트랜지스터가 존재함으로 의미한다. 메모리 IC상에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데이타 공급 라인과 메모리 셀 컬럼 사이의 구성요소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 라인에 접점수를 가능한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접속은 신뢰도를 높히기 위해 레이 아웃시 가능한 많아야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 버스 및 비트 라인 사이에서 선택 및 접속 수단이 소형 기판 영역상에서 실현되는 메모리 집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집적 회로는, 컬럼 선택시에 상기 컬럼내 제1비트 라인이 상기 데이타 버스에 접속되며 상기 컬럼내 제2비트 라인은 제어 전극이 데이타 버스에 접속되는 제1트랜지스터를 통해 제2공급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구성의 컬럼 선택은 전달 트랜지스터를 통해 실행되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공지의 컬럼 선택 모드이다. (일본 공개 특허 제60-129997호, 1985년 11월 7일)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의 장점은 엑세스 게이트 및 반전 수단이 컬럼당 단지 세개의 트랜지스터와 제2공급단자(VSS)와의 하나의 접점을 가지는 반면에 종래 기술에서는 적어도 열개의 트랜지스터와 공급 단자(VDD및 VSS)와의 두개의 접점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구성의 동작은 부하의 컬럼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2비트 라인은 상기 부하 및 제1트랜지스터에서 의해 형성되는 인버터부로서 제1급단자에 접속된다.
메모리 셀 컬럼과 데이타 버스 사이의 영역에서 VDD접촉부가 없으므로, VDD공급 라인은 생략되며, 이에 따라 소오 기판 영역이 더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의 제1실시예는, 두개의 평행한 컬럼중 하나를 선택할때 각각의 제2비트라인은 두 컬럼에 공통인 제1트랜지스터를 통해 제2공급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VSS와의 하나의 접촉부와 하나의 제1트랜지스터를 공통으로 이용함으로써 소요 기판 영역이 더 감소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회로의 제2실시예는, 메모리 회로의 레이 아웃시 두개의 평행한 컬럼중에서 제1컬럼의 제1비트 라인이, 상기 두개의 컬럼에 속한 컬럼 선택 라인과 상기 두개의 컬럼중 모든 메모리 셀이 존재하는 영역 사이의 제2컬럼의 제2비트 라인을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컬럼 선택 수단은 컬럼 선택 라인과 메모리 셀 사이의 영역에서 실현되어야 하는 컬럼마다 설치되므로, 컬럼쌍당 공통인 영역상에서 컬럼쌍당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선택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적은 기판 영역이 이용된다. 최적의 구성을 위해서, 비트 라인은 물론 선택 수단은 및 제1트랜지스터는 상기 영역내에서 교차되며 두 제1트랜지스터들은 VSS에 대한 하나의 공통 접속점을 이용한다.
또다른 실시예는, 데이타 버스 및 두개의 평행한 컬럼에 대한 VSS와의 단일 접촉부 레이 아웃에서 공통 이용에 관한 것이며 이후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의 메모리 회로부를 도시한다.
간격성을 위해서 메모리 셀들의 컬럼중 단자 하나의 메모리 셀 C만이 도시되는데, 메모리 셀은 로우(row) 선택부 RS에 의해 액세스 트랜지스터(12 및 13)를 통해 비트 라인 BL 및
Figure kpo00001
에 접속되며, 비트 라인은 비트 라인 부하(17 및 18)를 통해 공급 단자 VDD에 각각 접속된다. 상기 컬럼 선택부 CS는, 3상태 인버터에 의해 형성된 엑세스 게이트(14 및 15)를 통해 데이타 버스 D상의 정보에 비트 라인을 엑세스하게 할 수 있다. 셀 C에 먼저 저장되어야 하는 정보는 반전 증폭기(16)를 통과한 다음 비트 라인 BL상에 도달하기 전에 3상태 인버터(14)를 통과하며, 반전된 형태로 비트 라인
Figure kpo00002
상에 나타나는 정보는 3상태 인버터(15)를 통과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메모리 회로부를 도시한다. 간결성을 위해 메모리 셀의 컬럼의 단지 하나의 메모리 셀 C만이 도시되는데 메모리 셀은 엑세스 트랜지스터(22 및 23)를 통해 로우 선택 RS에 의해 비트 라인 BL 및
Figure kpo00003
에 접속된다. 비트 라인 BL 및
Figure kpo00004
은 공지된 방식으로 P채널 MOS 타입의 작은 부하 트랜지스터(20, 21)를 통해 공급 단자 VDD로 접속된다.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는 공급 단자 VSS에 접속된 제어 전극을 갖는다. 두개의 큰 트랜지스터(24 및 25)는 부하 트랜지스터(20 및 21)에 병렬로 설치되며, 두개의 비트 라인 BL 및
Figure kpo00005
은 트랜지스터(24 및 25) 및 트랜지스터(26)는 제어 전극에서 프리차지/이퀄라이즈 신호(PCH/EO)를 수신한다. 정보가 왜곡되므로써 비트 라인 사이에서 어떤 전압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보가 두개의 비트 라인상에 나타나기 전에, 트랜지스터 (24, 25 및 26)는 그 목적을 위해 두 비트 라인을 PCH/EO 신호 제어하에서, 동일 전위로 하여야 한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24, 25 및 26)은 제어된 밸런싱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컬럼 선택부 CS는 액세스 트랜지스터(27 및 28)에 의해 비트 라인 데이타 버스 D상의 정보에 액세스 가능케 한다. 선택시에 비트 라인 BL은 트랜지스터(28)를 통해 데이타 버스 D에 바로 접속되며, 비트 라인 BL은 트랜지스터(27) 및 그 제어 전극이 데이타 버스 D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29)를 통해 공급단자 VSS에 접속된다. 데이타 버스 D가 논리 하이 신호를 전달하여 컬럼 선택 CS가 논리 하이일 때, 도시된 컬럼이 선택되야 제1비트 라인 BL이 논리 하이로 유지된다. 왜냐하면 제1비트의 라인 BL의 방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제2비트 라인
Figure kpo00006
이 이 상태에서 전도 상태인 트랜지스터(27 및 29)를 통해 방전되며, 논리 로우 신호를 전달하기 시작한다.
데이타 버스 D가 논리 로우 신호를 전달하며 컬럼 선택 CS가 논리 하이 신호를 전달할 때, 비트 라인 BL은 트랜지스터(28)를 통해 방전되며, 비트 라인 BL은 트랜지스터(29)의 의 턴 오프와 부하(20)를 통한 VDD와의 접속으로 인해 논리 하이로 유지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공급 및 제어된 트랜지스터(29 및 20)는 인버터를 구성한다.
제3도는 메모리 셀의 두개의 컬럼이 하나의 공통 제1트랜지스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서, 등가 트랜지스터(27, 28, 29) 및 제2도의 등가 트랜지스터의 접속 관계가 두개의 컬럼에 대해 도시되며, 메모리 셀, 밸런싱 수단, 비트 라인 부하 및 VDD의 접속은 도시되지 않는다. 제1컬럼(1)의 비트 라인 BL1 및
Figure kpo00007
과 제2컬럼 2의 비트 라인 BL2 및
Figure kpo00008
가 표시된다. 컬럼 1은 컬럼 선택 신호 CS1에 의해 제어되는 엑세스 트랜지스터(31 및 32)를 포함하며, 컬럼 2는 컬럼 선택 신호 CS2에 의해 제어되는 엑세스 트랜지스터(33 및 34)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1 및 34)는 비트 라인 BL1 및 비트 라인 BL2를 데이타 버스 D에 각각 접속시킨다. 트랜지스터(32 및 33)는 제1트랜지스터(35)를 통해서 비트 라인
Figure kpo00009
및 비트 라인
Figure kpo00010
를 공급 단자 VSS에 접속시키며, 제1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은 데이타 버스 D상의 신호를 수신한다. 이 회로의 동작은 전술된 도면의 회로 동작과 유사하다. 제1트랜지스터(35)를 공통으로 사용한 결과, 두개의 컬럼당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절약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제2실시예 레이 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엑세스 트랜지스터, 제1트랜지스터, 및 데이타 버스 및 컬럼 단위의 컬럼 선택부와의 접촉부만이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도시된다.
제4도에는 두개의 컬럼(1 및 2), 비트 라인 BL1,
Figure kpo00011
및 BL2,
Figure kpo00012
, 비트 라인 접속점 M을 갖는 데이타 버스 D, 컬럼 선택 라인 CS1 및 CS2, 컬럼 선택 라인 T, U, W 및 Y 그리고 각각의 비트 라인 접점 P, Q, R 및 S상에 각각의 제어 전극 접촉부를 갖는 엑세스 트랜지스터(41, 42, 43 및 44), 제1트랜지스터(45 및 46)와 제2공급 단자 VSS상의 접속점 N이 도시된다. 레이 아웃시에 기관 영역은, 2개의 병렬 컬럼마다 두개의 컬럼에 공통인 영역에서 엑세스 트랜지스터 회로와, 접촉부에 대한 라인과, 접촉부 자체를 구성함으로써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각 컬럼에 대해 분리하여 엑세스 트랜지스터와, 접촉부에 대한 라인과 접촉부 자체로 영역이 보존되는 레이 아웃에 대한 공간의 이득은, 접촉부 및 라인을 공통으로 사용한 결과이며, 양호한 구성을 실선하기 위해 충분한 마진을 주는 폭에서 더 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BL1 및
Figure kpo00013
의 경우의 두 비트 라인의 X교차가 레이 아웃시에 실시된다. 여러 비트가 병렬로 기록되거나 판독되는 메모리에서, 기판 영역은, 컬럼쌍중 하나의 비트 라인 부하 트랜지스터가 엑세스 트랜지스터 및 후속 컬럼쌍의 제1트랜지스터에 근접하여 기판의 한 점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메모리셀 컬럼쌍을 배치함으로 절약된다. 판독 및 기록 수단과 데이타 라인은 칩상에서 펼쳐진다. 상기 구성은 엑세스 및 제1트랜지스터가 와이드 데이타 버스를 가능하게 하는 컬럼 폭의 4배의 기판 영역상에 메모리 셀 컬럼쌍 단위로 실현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5도는 제4도의 회로 장치의 가능한 레이 아웃으로,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제4도와 동일한 참조 보호로 언급된다.
상기 회로 장치는 공지된 CMOS 두개의 금속층 기술로 구성된다. 이 경우, 폴리실리콘 트랙(와이드 라인 쉐이딩 : wide line shading)은 한편의 제1 및 제2금속층(도면상에서 각각 회색과 공백으로 표시됨)과 다른 편의 확산 영역(파선으로 도시됨)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폴리실리콘 트랙은, 각각의 엑세스 및 제1트랜지스터의 제어 전극을 구성하며 제4도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다. 데이타 라인 D는 물론 컬럼 선택 라인 CS1 및 CS2도 제1금속층에 설치된다. 상기 비트 라인 BL1,
Figure kpo00014
, BL2,
Figure kpo00015
및 공급 라인 VSS는 제2금속층에 배치된다. 확산 영역 또는 폴리실리콘 트랙으로부터 제2금속층 라인(각각 M″, N, P, Q, R, S 및 M')으로 접촉부는 제1금속층 스트립을 통해 연장된다.
두개의 금속층 사이의 접촉부는 크로스(예를들면 M2, N2, P2, Q2, R2, S2)로 표시된다. 비트 라인 BL2를 비트 라인 BL1과 크로스는 제1금속층 스트립을 통해 연장된다. 간결성을 위해, 도면에서 비트 라인은 기저 확산 영역을 도시하기 위해 인터럽트되어 있다. 완전한 레이 아웃 CS1 및 CS2 라인 및 데이타 라인 D에 근접하하여 병렬로 배치된 나머지 컬럼 선택 라인 및 데이타 라인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복수의 데이타 라인 및 컬럼 선택 라인이 존재하므로, 확산 영역 및 폴리실리콘 트랙을 제1금속층 라인에 효율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촉부 M은 제2금속층 스트립을 통해 연장된다. 동일한 이유로 폴리실리콘 트랙(45 및 46)은 접촉부 M'까지 연장된다.

Claims (7)

  1. 메모리 셀이 컬럼들로 배치된 메모리 집적 회로에서, 각각의 컬럼은 두개의 비트 라인에 접속되며, 정보를 한 컬럼의 메모리 셀이 기록하기 위해서, 상기 메모리 셀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메모리 셀을 두개의 비트 라인에 접속시키고 두개의 비트 라인을 데이타 버스에 접속시켜, 정보를 상기 셀에 공급하며. 각각의 두 비트 라인은 각각의 부하를 통해 제1공급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데이타 버스는 신호를 제1비트 라인에 공급하는 라인을 포함하며, 제2비트 라인상에서 논리적 상보 신호를 발생하는 컬럼에 반전 수단이 설치되므로써, 하나의 컬럼이 선택될때 상기 컬럼 내 상기 제1비트 라인은 데이타 버스에 접속케되는 메모리 집적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반전 수단은 상기 제2비트 라인상의 부하와 단일 제1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비트 라인과 제2공급 단자 사이에 놓여진 도전 경로를 가지며 데이타 버스의 상기 라인에 접속된 제어 전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병렬 배치된 컬럼 중 하나를 선택할 시 각각의 제1비트 라인은 두개의 컬럼에 공통인 제1트랜지스터를 거쳐 제2공급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회로의 레이 아웃시 두개의 병렬 배치된 컬럼중 제1컬럼의 제1비트 라인은 상기 두개의 컬럼의 메모리 셀 모두가 존재하는 영역과 상기 컬럼에 속하는 컬럼 선택 라인 사이에서 제2컬럼의 제2비트 라인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직 회로.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회로의 레이 아웃시 병렬로 놓인 두개의 컬럼중 하나를 선택할때 각각의 제2비트 라인은 제1트랜지스터를 거쳐 두 컬럼에 공통인 접촉부의 제2공급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5.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레이 아웃시 두개의 병렬 배치된 컬럼중 하나를 선택할 때 상기 각각의 제1비트 라인은 두 컬럼에 공통인 접촉부를 거쳐 상기 데이타 버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6.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모리 회로의 레이 아웃시 두개의 평행한 컬럼중 하나를 선택할 때, 각각의 제2비트 라인은, 각각의 제1트랜지스터를 거쳐 두개의 컬럼에 공통인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제2공급 단자에 접속되므로써 상기 선택시에 각각의 제1비트 라인은 두 컬럼에 공통인 접점을 통해 데이타 버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7.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개의 평행한 컬럼중 하나를 선택할 때 각각의 제2비트 라인은 두 개의 컬럼에 공통인 제1트랜지스터를 거쳐 제2공급 단자에 접속되므로써 상기 선택시에 각각의 제1비트 라인은 두개의 컬럼에 공통인 접촉부를 통해 상기 데이타 버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집적 회로.
KR1019870010720A 1986-09-29 1987-09-26 메모리 집적 회로 KR960000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602450A NL8602450A (nl) 1986-09-29 1986-09-29 Geintegreerde geheugenschakeling met een enkelvoudige-schrijfbus circuit.
NL8602450 198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485A KR880004485A (ko) 1988-06-07
KR960000887B1 true KR960000887B1 (ko) 1996-01-13

Family

ID=1984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720A KR960000887B1 (ko) 1986-09-29 1987-09-26 메모리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23319A (ko)
EP (1) EP0270137B1 (ko)
JP (1) JP2643953B2 (ko)
KR (1) KR960000887B1 (ko)
DE (1) DE3777558D1 (ko)
IE (1) IE62419B1 (ko)
NL (1) NL86024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1902B (it) * 1987-10-20 1992-01-15 Sgs Microelettronica Spa Memoria elettronica cmos di sola lettura a funzionamento statico
KR910002034B1 (ko) * 1988-07-21 1991-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분할형 메모리 어레이의 충전등화회로
US4926387A (en) * 1988-12-27 1990-05-15 Intel Corporation Memory timing circuit employing scaled-down models of bit lines using reduced number of memory cells
KR920010345B1 (ko) * 1990-06-30 199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선충전수단을 구비한 라이트 드라이버(write driver)
US5155703A (en) * 1990-07-06 1992-10-13 Motorola, Inc. Bicmos bit line load for a memory with improved reliability
US5122986A (en) * 1990-11-21 1992-06-16 Micron Technology, Inc. Two transistor dram cell
JPH0660665A (ja) * 1992-08-10 1994-03-04 Nec Corp 半導体スタティックramのビット線負荷回路
EP0622801A3 (en) * 1993-03-31 1996-01-31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Hierarchical bit line memory architecture.
US6750107B1 (en) * 1996-01-31 2004-06-1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RAM cell
KR100600047B1 (ko) * 2004-05-06 2006-07-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5002A (en) * 1971-04-20 1973-10-09 Siemens Ag Accelerated bit-line discharge of a mosfet memory
JPS5088944A (ko) * 1973-12-10 1975-07-17
US4133611A (en) * 1977-07-08 1979-01-09 Xerox Corporation Two-page interweaved random access memory configuration
JPS55157194A (en) * 1979-05-23 1980-12-06 Fujitsu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4287571A (en) * 1979-09-11 1981-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transistor arrays
JPS592997B2 (ja) * 1980-05-22 1984-01-21 富士通株式会社 スタテイツクメモリ
US4355377A (en) * 1980-06-30 1982-10-19 Inmos Corporation Asynchronously equillibrated and pre-charged static ram
JPS6043296A (ja) * 1983-08-17 1985-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S60154394A (ja) * 1983-09-21 1985-08-14 ソーン、イーエムアイ、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半導体メモリのビツト線負荷
US4715014A (en) * 1985-10-29 1987-12-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dified three transistor EEPROM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872598L (en) 1988-03-29
EP0270137B1 (en) 1992-03-18
JPS63247992A (ja) 1988-10-14
DE3777558D1 (de) 1992-04-23
NL8602450A (nl) 1988-04-18
IE62419B1 (en) 1995-01-25
US4823319A (en) 1989-04-18
JP2643953B2 (ja) 1997-08-25
EP0270137A1 (en) 1988-06-08
KR880004485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5418A (en) Semiconductor memory
JP3104319B2 (ja) 不揮発性記憶装置
US455464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60000887B1 (ko) 메모리 집적 회로
US4682200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atched equivalent series resistances to the complementary data lines
KR017242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JPH0358184B2 (ko)
JPH051289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498236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potential level-setting circuit
US4779231A (en) Gate array arrangement in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technology
JPH06252366A (ja) メモリセルアレイ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5000642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H10112187A (ja) 半導体記憶装置
JPH0729372A (ja) マルチポート・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JPS61222090A (ja) フラツシユクリア機能をもつスタテイツクram
USRE33280E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856596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14436B1 (ko) 반도체 기억장치
JPH0680807B2 (ja) ゲートアレイlsi装置
JP3579068B2 (ja) 論理回路
KR900000178B1 (ko) 마스터 슬라이스형 반도체 회로장치
KR960001462B1 (ko) 다이나믹형 반도체기억장치
JP3198584B2 (ja)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JP2871962B2 (ja) 半導体記憶回路装置
JPH05258569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