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04B1 -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04B1
KR960000804B1 KR1019920002325A KR920002325A KR960000804B1 KR 960000804 B1 KR960000804 B1 KR 960000804B1 KR 1019920002325 A KR1019920002325 A KR 1019920002325A KR 920002325 A KR920002325 A KR 920002325A KR 960000804 B1 KR960000804 B1 KR 96000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veyor
guide
shaped product
wei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오 기구찌
가즈히꼬 호리고시
Original Assignee
안리쯔 가부시끼사이샤
스가이 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리쯔 가부시끼사이샤, 스가이 신지 filed Critical 안리쯔 가부시끼사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6Check-weighing of filled containers or recepta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003Details; specially adapted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5/00Arrangements for check-weighing of materials dispensed into removable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98/00Conveyors: power-driven
    • Y10S198/959Weigh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첫번째 본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구성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배열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배열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제1a도에서 선분 A-A를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1a도에서 선분 B-B를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1a도에서 선분 C-C를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에서 전동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8a에서 8c도는 제1실시예의 주요부분을 각각 나타내고 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9a도는 제1실시예의 제어회로를 나타내는 개요적인 블록 다이아그램.
제9b도는 제1실시예의 운전패널을 나타내는 상세도.
제10도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본체의 개요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평면도.
제12도는 제2실시예의 정면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측면도.
제14도는 후면측에서 관찰한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분 확대도.
제16a도에서 제16c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7a도에서 17c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8a도에서 18c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19도는 종래의 개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20도는 종래 기술의 다른예의 재래식 계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회전아암부재 46 : 슬라이드 로드
86 : 베이스 플레이트 94 : 유도판
95 : 회전로드 96 : 나선형 홈붙이
100 : 로드작업 조절장치 103 : 회전 유도체
113 : 로드 유도체 114 : 유도 플레이트
120 : 회전운반체 122 : 이송원판
135 : 지지 플레이트 150 : 언로드 유도부재
178 : 타이밍 벨트 185 : 운전 하우징
본 발명은 생산라인상에 직립 자세로 배열된 캔형 용기 등과 같은 제품(물품)의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장치(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용기를 계량컨베이어로 이동시켜 무게를 측정하는 계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와 같은 제품이 생산라인 상에서 이송되는 동안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재래식 저울(4)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저울(4)에 있어서,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된 제품이 컨베이어(1)의 경로와 연속되게 설치된 계얄컨베이어(2)에 전달되고, 제품의 무게는 계량컨베이어(2)를 통과하는 동안 계량기(3)의 신호에 기준하여 측정된다.
컨베이어(1)에서 계량 컨베이어(2)로 직접연결된 상기의 저울에서는 컨베이어(1)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들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격되지 않으면, 복수개의 제품이 동시에 계량 컨베이어(2)로 이송된 상태가 되어, 계량컨베이어(2)에 의한 무게측정이 어려워진다.
상기 문제점 때문에, 다른 형태의 저울도 개발됐다. 이 저울에서는, 이송된 제품이 일정한 간격으로 계량컨베이어에 이동하여 일정간격으로 언로드된다.
제20도는 상기형의 재래식 저울의 도식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구상도이다. 저울(10)에서, 하중 컨베이어(11)와, 계량컨베이어(12)와, 하중제거 컨베이어(13)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불규칙한 간격으로 로드 컨베이어(11)에 의해 이송된 제품들이 첫 번째 회전운반체(14)의 외주상에 동간격으로 형성된 노치부(15)에 실려 회전과 동시에 계량컨베이어(12)의 로드면으로 이동한다.
계량 컨베이어(12)의 로드부로 이동한 제품(W)는 계량 컨베이어(12)상을 이동하는 동안 선형안내판(12a)에 의해 유도된다. 상기 컨베이어에서 계량된 제품은 두 번째 회전 운반체(16)의 노치부(17)에 실려 회전과 동시에 언로드 컨베이어(13)로 이동한다.
소위 성형 바퀴과 불리우는 첫번째와 두번째 회전 운반체(14, 16)의 회전속도는 일정하게 고정한다. 첫번째 회전운반체(14)의 노치부의 회전상태는 한 제품이 계량 컨베이어(12)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주기 시간에 의하여 두번째 회전운반체(16)의 노치부의 회전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상기와 같이 배열함으로서, 제품이 계량 컨베이어(12)에 로드되는 시간은 첫번째 회전운반체(14)의 회전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의 시간이며, 제품들은 소정의 시간에 저울(10)로부터 언로드된다.
그러나 상기의 저울(10)에서는, 계량 컨베이어(12)의 이송방향이 첫번째 회전운반(14)에서 제품이 계량 컨베이어(12)로 로드되는 방향에 실제적으로 직각이면, 로드된 제품이 계량컨베이어(12)의 컨베이어 벨트에 걸려서 떨어지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캔용기로 된 제품과 같이 내용물이 액체로된 제품의 측정은 컨베이 방향의 급격한 변화때문에 내용물이 동요하여 측정의 정확도가 상당히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첫번째 회전운반체(14)의 회전속도와 계량 컨베이어(12)의 컨베이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두드러지므로서, 전체적인 계량속도를 감소시킨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계량컨베이어(12)를 첫번째와 두번째 회전운반체(14,16)의 공통의 접선을 따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계량 컨베이어(12)의 이송길이는 계량 컨베이어(12)에 전달된 한 제품이 노치부(15)에 접촉하여계량할 수 없는 이송길이에 상당하는 양 만큼 증가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계량속도를 증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라인상에 직립상으로 배열된 캔용기와 같은 제품들을 측정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계량장치(저울)을 제공하여, 계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계량속도를 증대시킴에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에 따라서, 상기의 계량장치는 제품을 대체로 아치형으로 된 경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차례로 이송하여 계량작업을 하기 위한 이송방법과, 이송부중 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이송과정에 있는 소정의 간격들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소정의 지점에 위치한 제품을 이송부에서 차례로 이탈시키는 작업 이탈방법과, 제품과 이송부간의 작업이 작업이탈 방법에 의하여 해소되는 지역의 아치형의 경로상 소정의 지점에 상반되게 선형으로 배열되어, 이송부로부터 이탈된 제품중 하나를 직선상 차례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와, 이송부에서 이탈된 제품중 하나가 이송장치에 의해 직선상으로 이송되는 동안 제품중 하나의 무게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계량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의하여, 상기의 계량장치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접한 유도로를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컨베이어의 일면에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을 로드하기 위한 로드장치와, 그 결과 한 제품이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송되는 동안 제품의 무게를 순차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컨베이어의 일면에 배치된 계량컨베이어와 로드장치의 유도로를 따라 로르된 제품을 외주부에 순차적으로 받아들여 유도로와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로에 실제적으로 접해있는 이음매없는 이송로를 따라서 제품을 이송하고 계량컨베이어의 일단에 제품중 하나를 순착적으로 로드시키는 회전운반체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에 의한 계량장치에서는, 컨베이어로 이송된 한제품이 컨베이어의 이송로와 실제적으로 접해있는 유도로를 따라 컨베이어의 일면으로 유도된다. 회전운반체는 유도로를 따라 로드된 제품을 외주부에 받아들여 유도로와 계량 컨베이어의 이송로에 접한 이송로를 따라 제품을 이송하고 계량컨베이어의 일단에서 제품을 로드한다. 계량컨베이어는 제품을 계량하는 동안 제품을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송한다.
더우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세번째 특징에 의하여,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을 컨베이어의 외부로 전달하여 제품을 차례대로 계량하고 계량된 제품을 컨베이어로 원상복귀시키는 본 계량장치는, 컨베이어의 이송로와 분연속적인 이송로를 갖고 이송도중 제품의 하나하나의 무게를 순차적으로 계량하는 계량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이송로와 연속한 유도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컨베이어의 일면에 제품을 유도하는 첫번째 유도장치와, 첫번째 유도장치와 계량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고 제품을 집거나 방출할 수 있도록 외주부에 형성된 집게팔을 갖고 첫번째 유도장치의 유도로를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로와 연결하는 회전로를 따라 집게팔을 회전이동시키는 회전클램프멤버와, 계량컨베이어에서 컨베이어로 회전이동하는 집게팔의 회전로에 연속된 유도로를 따라 컨베이어로 제품을 유도하는 두번째 유도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첫번째 유도장치의 유도로와 접한 위치로 회전이동하는 집게팔에 의해 클램프된 제품은 계량컨베이어의 로드위치에서 방출되고, 계량컨베이어의 언로드 위치에서 클램프되어 계량된 제품은 두번째 유도장치의 유도로에 접한 위치에서 방출된다.
세번째 특징에 의한 계량장치에서, 컨베이어로 이송된 제품은 첫번째 유도장치에 의해 컨베이어의 외부로 유도되고, 집게팔에 클램프된 상태에서 계량컨베이어의 로드위치로 회전이동한다. 계량컨베이어의 로드위치에서 집게팔로부터 방출된 제품은 계량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고 집게팔에 의해 다시 클램프되어 두번째 유도장치로 회전이동한다. 두번째 유도장치에서 집게팔로부터 방출된 제품은 두번째 유도장치에 의하여 컨베이어 상으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과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서 언급되며, 부분적으로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겠지만 발명의 실행으로 알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특별히 지적된 방법의 조합으로서, 실현되거나 얻어질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에서 9b도까지 참조하여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a도는 저울(계량장치)(8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에어로졸 용기와 같이 지름이 약 20(mm)이고 높이가 약 70(mm)인 제품이 회전운반체의 외주상에 형성된 노치부에 의해 계량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제2도는 장치의 정면도이고, 제3도는 장치의 측면도이며, 주목할 점은 제1b도가 제1도의 구성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저울(80)의 저부(81)는 네개의 높이 조정용 다리(82)에 의해 지지된다.
저부(81)내에 하나의 구멍부가 형성된다. 저부(81)의 하단면에 결합제품함(83,84)를 부착하여 방출슈트(170,171)로부터 방출된 결합제품을 저장한다.
(후에 설명됨)
저부(81)의 상단면(81a)에 구동하우징(85)을 선형켠베이어(79)에 면하게 설치한다. 구동하우징(85)내에 구동장치(제7도 참조)와 계량컨베이어(137)가 설치된다. 나중에 언급되겠지만 구동장치는 벨트를 통하여 회전로드(95)와 첫번째, 두번째의 회전유도체(103,104)를 구동시킨다.
구동하우징(85)의 상단면에 T형 평 베이스 플레이트(86)을 고정하고, 베이스 플레이트(86)의 주위로 프레임 플레이트(87)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전면부(87a)는 선형컨베이어(79)의 상측까지 확장되어 있으며, 노치부(88)는 프레임 플레이트(87)의 두측면(87b,87c)내에 설치하여 제품이 그 곳을 통과하도록 한다. 주목할 점은 상기 전면부(87a)는 내부에 설치된 지지판(80,91,92)에 의해 지지된다.
선형 컨베이어(79)상으로 이송된 제품(W)을 프레임 플레이트(87)로 유도하는 유도판(93,94)는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좌측면(87b)상에 탑재된다.
나선형 홈붙이(96)를 지지판(90,91) 사이에 탑재된 회전로드(95)의 표면에 형성하며, 이는 제품(W)을 수용한다. 구동하우징(85)내의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벨트(97)는 회전로드(9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벨트(97)가 구동되면 회전로드(95)가 회전하고, 나선형 홈붙이(96)에 수용된 제품(W)을 지지판(91)으로 이동시킨다.
주목할 점은 로드작업 조정장치(100)가 지지판(90)상의 베이스 플레이트(86)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로드(95)에 의해 이송된 제품(W)을 유도할 유도판(100a)을 수용하며, 비정상이 발생하거나 계량컨베이어(137)의 영점 보정시에는 게이트판(101)을 내부의에어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회전로드(95)로 이동시키므로서 제품의 로드를 조절한다.
로드작업 조절장치(100)와 지지판(91) 사이에 첫번째 회전유도체(103)를 설치하여 회전로드(95)에 의해 로드된 제품(W)을 소정의 간격으로 선형 컨베이어(79)의 축방으로 유도한다.
제4도에 도시된바, 첫번째 회전유도체(103)는 수직으로 설치된 두개의 레진유도원판(104,105)을 구성하며, 상기의 유도원판(104,105)는 스페이서( 108,109)를 통하여 회전축(107)상에 고정되며, 상기의 회전축(107)는 베이스 플레이트(86)에 고정된 베어링(106)상으로 걸쳐 있다.
주목할 점은 회전축(107)의 나사화된 종단부(107a)상에 고정부재(110)가 설치된다는 것이다.
두개의 유도원판(104,105)의 외주부(104a,105a)에 일정한 간격으로 6개의 J형 노치부를 형성하여 각각에 대하여 제품(W)의 표면에 맞물림시키며, 각 원판의 노치부의 간격은 일정하다. 회전로드(95)에 의해 로드된 제품(W)는 노치부(111)에 각각 맞물림되어 선형 컨베이어(79)의 축방으로 유도된다.
로드유도체(113)는 첫번째 회전유도체(103)와 지지판(91) 사이에 착설된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로드유도체(113)는 두개의 유도원판(104,105)이 설치된 지점과 사실상 같은 높이로 각각 위치한 상하 유도플레이트(114 ,115)에 의해 구성된다. 레진 방어부재(116)는 유도원판(104,105)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아치형 가장부에 부착된다.
첫번째 회전유도체(103)와 로드유도체(113)는 저울(80)의 로드유도장치를 구성한다.
회전운반체(120)는 베이스 플레이트(86)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도체(103)와 비슷하게 회전운반체(120)는 두개의 이송원판(121,122)를 갖는다. 상기 이송원판(121,122)는 베어링(123)으로부터 확장된 회전축(124)에 연결되고, 고정부재(128)에 의해 고정되어, 스페이서(125,126,127)사이로 끼워진다.
주목할점은 상측이송원판(121)는 첫번째 회전 유도체(103)의 상층 유도원판(104)의 위치에 비해 약간 하측에 위치하나, 하측 이송원판(122)는 하측유도 원판(105)의 위치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한다.
제품(W)의 지름보다 각각 큰 지름을 가진 열개의 원형 노치부(129)는 다른 원판의 노치부의 위치와 일치하게 이송원판(121,122)의 외주부(121a, 122a)에 각각 형성된다. 첫번째 회전유도체(103)의 노치부(111)에 의해 이송된 제품은 노치부(129)에 차례대로 수령되어 계량 컨베이어(137)의 이송부(138)로 이송된다.
외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0,131)는 로드유도체(113)의 상하유도플레이트(114,115)가 위치하는 높이와 똑같은 높이로 회전운반체(120) 주위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의 방어부재(116)는 외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0,131)의 내부 가장자리에 부착하여 노치부(129)에 수용된 제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이송원판(121)보다 작은 외부지름을 가지는 내부의 상측 유도플레이트(132)는 상측 이송원판(121)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면에, 내부의 상측 유도플레이트(132)와 같은 형태를 가진 내부의 하측 유도플레이트(133)는 하측 이송원판(122)의 하부에 설치된다.
내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2,133)는 외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0, 131)와 같은 높이로 지지된다. 방어부재(116)는 유도플레이트(132,133)의 외부 가장자리에 각각 부착하며, 내부 유도플레이트(132,133)는 노치부(129)의 제품(W)이 계량컨베이어(137)의 반대쪽에 위치할 경우를 제외하고 노치부(129)에 깊숙히 묻히지 않도록 유도하도록 작용을 한다.
외부의 상측 유도플레이트(130)에 의해 지지되는 양단부를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135)는 내부의 상측 유도플레이트(132) 상부에 설치된다.
내부의 상측 유도플레이트(132)는 상기의 지지플레이트(135)에 의해 상부로부터 지지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컨베이어(137)는 베이스 플레이트(86)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부(138)를 포함하며, 제품이 이송부(138)의 일단(138a)에서 타단(128b)으로 이송되는 동안 이송부의 일단에 로드된 제품의 무게를 측정하도록 설계된다.
주목할 점은 외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0,131)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30a,131a)를 각각 포함하여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138)의 일단(138a)상에 로드된 제품을 노치부(129)의 내측으로 약간 깊속히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내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2,133)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132a,133a)를 각각 포함하여 노치부(129)로 유도된 제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138a) 이송속도는 이송부(138)의 일단(138a )상에 로드된 제품을 노치부(129)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지 않고 타단(138b)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노치부(129)의 이송속도보다 약간 높게 조정한다.
이송부(138)의 타단으로 이송된 계량된 제품(W)은 유도플레이트(130 내지 133)를 따라 두번째 회전유도체(140)로 이송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회전유도체(140)는 첫번째 회전유도체(103)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두개의 유도원판(141,142)를 포함한다.
두개의 유도원판(141,142)는 스페이서(145,146)를 통과하고 베어링(143)상에서 연장된 회전축(144)상에 연결되어 상부의 고정부재(147)에 의해 고정된다.
J-형의 노치부(148)는 유도원판(141,142)의 외주부(141a,142a)에 형성되고, 언로드 유도부재(150)는 유도원판(141,142)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언로드 유도부재(150)는 상하 유도플레이트(151,152)에 의해 구성되며, 각각은 내부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32,133)의 하나와 대응하여 연속된 일단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하 유도플레이트(150,151)의 타단부는 제1a, 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전면부(87a)를 따라 지지플레이트(92)에 직선으로 연장된다.
첫번째와 두번째의 게이트장치(155,160)는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와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우측면(83c)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계량컨베이어(137)에 의한 계량 결과에 따라서 결합제품을 유도한다.
첫번째 게이트장치(155)는 내부 에어실린더(도시되지 않음)가 게이트(156)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조정하여 결합제품이 노치부(148)에 수용된 동안 결합제품을 회전운반체(120)로 이송하도록 한다.
두번째 게이트장치(160)는 초과 중량을 가진 결합제품을 하향된 경사플레이트(162)로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 에어실린더를 조정하여 게이트(161)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두번째 게이트장치(160)는 함량미달의 제품을 게이트(161)를 회전시키지 않고 경사플레이트(163)로 유도한다.
제품방출구멍(164,165)은 경사플레이트(162,163)의 말단부에 각각 설치하며, 상기 제품방출 구멍(164,165)은 구동하우징(85)과 저부(81)의 측면에 부착된 방출슈트(170,171)와 각각 연결된다.
주목할 점은 첫번째 회전유도체(103)와 회전운반체(120)와 두번째 회전 유도체(140)의 회전축(107,129,144)은 구동하우징(85)내에서 각각의 폴리(173,174,175)와 직접 결합되어 있다.
타이밍벨트(178)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연결된 구동폴리(176)를 통하여 각각의 폴리(173,175)와 릴레이 폴리(177) 주위로 연결되어 있다.
폴리(173 내지 175) 사이의 비율은 각각의 회전부재의 노치부가 각자 일치되도록 사전에 6 : 10 : 6의 비율로 고정한다. 주목할 점은 회전로드(95)가 폴리(173,175)에 비해 6배의 회전비를 갖도록 연결된다는 점이다.
저울(80)의 저울이송면을 구성하는 바닥 플레이트(180,181)는 첫번쩨 회전유도부재(103)와 회전운반체(120)의 사이와, 회전운반체(120)와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 사이의 저부에 위치한 베이스 플레이트(86)상에 착설된다.
로드면상의 바닥 플레이트(180)의 일단(180a)은 선형컨베이어(79)에 근접 우치하고 선형컨베이어(79)의 이송면(79a)이 위치하는 높이보다 조금 낮은 높이로 조정된다. 바닥 플레이트(180)의 타단(180b)는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 일단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이송부(138)가 위치하는 높이와 사실상 같은 높이로 조정된다.
언로드면상의 바닥 플레이트(181)의 일단(181a)은 또한 선형 컨베이어(79)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선형컨베이어(79)의 이송면(79a)이 위치하는 지점보다 약간높은 위치에 고정된다. 바닥 플레이트(181)의 타단(181b)는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가 위치하는 높이와 실제적으로 같은 높이로 고정된다.
부가하여, 결합제품용 이송면을 구성하는 바닥 플레이트(182)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의 하부, 우측지점에 착설된다.
주목할점은 운전하우징(185)이 저부(81)의 후방상부면에 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85)상에 운전패널(186)이 착설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9도는 상기 배열의 저울내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솔레노이드형 게이트에 의해 구성된 각각의 제품 입구 게이트(302)와 제품 선별게이트(303,304)는 CPU와 같은 장치로 구성된 제어장치(301)에 연결된다. 또한, 다음의 광인터럽터형 센서인 스트롤(회전로드)부에서 제품이송상태를 탐지하는 센서(305), 다음 단계에서 제품의 전상태를 탐지하는 센서(306,307), 결합제품의 전상태를 탐지하는 센서(308), 제품이송분할 타이밍을 탐지하는 센서(309,310), 입구에서 제품을 탐지하는 센서(311) 계량될 제품을 탐지하는 센서(312), 선별된 제품을 탐지하는 센서(313,314)는 제어장치(301)에 연결된다.
또한, 이송부 커버의 개폐유무를 탐지하는 센서(315)와 공기 압축기를 탐지하는 센서(316)는 제어장치(301)에 연결된다.
부가하여, 다음의 부품들 즉, 계량컨베이어(137)의 저울(1317), 운전부와 디스플레이부와 프린터부를 포함하는 운전패널(186), 모터구동 인터회로(318)도 제어장치(301)에 연결된다. 제품이송모터(M1)와 모터(M2)는 모터구동 인버터회로(318)에 연결된다. 모터(M1)는 상기의 구동폴리(176)와 벨트(97)을 통하여 회전로드(95)에 연결된 구동기구(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한다. 모터(M2)는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138)를 구동한다.
주목할점은 게이트(302 내지 304)와 센서(305 내지 314)는 제품이송로를 따라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다.
제9b도는 다양한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운전부(186b)로 구성된 운전패널(186)과, 계량결과를 다양하게 그래프형으로 도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6b)와, 계량결과를 다양한 형식으로 프린트하는 프린터부(186c)를 상세히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모터(M1,M2)는 구동된 상태에 있다고 보고, 선형컨베이어(79)상에서 이송된 제품(W)은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좌측면(87b)으로부터 차례로 투입되고, 유도플레이트(93,94)에 의해 회전로드(95)의 일단를 합하도록 유도된다. 회전로드(95)는 작동된 상태에 있으므로, 제품(W)는 간격이 늘어나면서 회전로드(95)의 나선형 홈붙이(96)에 의해 첫번째 회전유도부재(103)를 향하여 이송된다. 첫번째 회전 유도 부재(103)의 유도원판(104,105)의 노치부(111)내에 수용된 제품(W)은 로드유도부재(113)에 의해 선형 컨베이어(79)에서 바닥플레이트(180)로 유도되고, 구동상태에 있는 회전운반체(120)로 이송된다. 유도로를 따라 이송된 각각의 제품(W)은 유도로가 회전운반체(120)의 이송로와 접촉한 지점에위치한 노치부(129)의 하나에 대응하여 수용된다.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상태에 있는 회전운반체(120)의 노치부(129)에 의해 수용된 제품(W)은 각각의 유도플레이트(130 내지 133)에 의해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부(138)의 일단(138a)에 이송되도록 유도되고, 외부유도 플레이트(130,131)의 직선부(130a,131a)에 의해 노치부(129)의 거의 중심에 가깝게 약간 깊숙히 유도된다.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으로 이송상태에 있는 이송부(138)의 일단(138a)에 로드된 제품(W)은 노치부(129)의 이동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동작하는 이송부(138)에 의해 이송되면서 노치부(129)의 내부 가장자리로부터 분리된다. 그때 제품(W)의 무게가 저울(317)에 의해 계량된다.
계량되고 이송부(138)의 타단(138b)으로 이송된 제품(W)은 노치부(129)와 접촉하는 동안 이송부(138)로 부터 방출되며, 제8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상태에 있는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로 이송된다. 상기의 이송로를 따라서 이송된 제품(W)은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의 이송로와 접촉하고 있는 이송로가 위치하는 지점에 있는 노치부(148)에 수용된다.
구동상태에 있는 두번째 회전유도 부재(140)의 유도원판(144,142)의 노치부(148)에 수용된 제품(W)은 언로드 유도부재(150)에 의하여 바닥플레이트(181)로 부터 선형컨베이어(79)로 다시 유도된다.
선형 컨베이어(79)로 복귀한 양호한 제품(W)은 노치부(148)로 부터 방출되어 언로드 유도부재(150)와 첫번째 게이트장치(155) 사이부를 통과하여 프레임 플레이트(87)의 우측으로 방출된다.
만약 제품(W)에 하자가 있으면, 첫번째 게이트장치(155)의 게이트(156)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제품(W)은 노치부(148)에서 방출되지 않고 두번째 게이트장치(160)로 이송된다. 만약 결함제품(W)이 초과중량을 함유하면, 두번째 게이트장치(160)의 게이트(161)가 또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결함제품(W)은 경사플레이트(162)를 통하여 하나의 방출슈트(170)로 이송되어 결합제품함(84)에 저장된다.
또한, 중량미달의 결함제품은 경사플레이트(163)를 통하여 다른 또 하나의 방출슈트(171)로 이송되어 결함제품함(83)에 저장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선형컨베이어(79)로 부터 로드된 제품(W)은 연속적으로 계량되고, 결합제품(W)은 결함제품함(83,84)에 선별적으로 수용되는 동안 양호한 제품(W)만이 선형컨베이어(79)로 방출된다.
즉, 이러한 구성에서, 선형컨베이어(79)상의 제품(W)은 회전로드(95)의 나선형 홈붙이(96)에 수용전 상태에서 첫번째 회전유도부재(103)로 이동하면서 노치부(111)에 수용된다. 노치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형컨베이어(79)로 유도된 제품(W)은 회로운반체(120)의 외주부에 형성된 노치부(129)에 수용된다. 노치부(129)에 수용된 제품(W)은 노치부(129)의 이동속도보다 약간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부(138)로 로드되고, 노치부(129)의 내부 가장자리로 부터 이탈하는 동안에 계량된다. 계량된 제품(W)은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의 노치부(148)에 수용되어 선형컨베이어(79)로 방출된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의 저울(80)에서, 소정의 피치로 첫번째 회전유도부재(103)의 외주부에 형성된 노치부(111)에 의해 노선형 홈붙이(96)가 형성된 회전로드(95)를 통하여 선형컨베이어(79)로 부터 유도된 제품(W)은 회전운반체(120)의 외주부에 형성된 노치부(129)와 유도플레이트(130,131) 사이에 수용되면서 계량컨베이어(137)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로드 및 유도된다. 그러므로, 제품(W)은 추락이나 흔들임이 없이 계량컨베이어(137)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부가하여 계량된 제품(W)은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에 의하여 선형컨베이어(79)의 이송방향으로부터 선형컨베이어(79)로 복귀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본체의 저울(80)은 선형컨베이어(79)상에 입상으로 배열전 제품을 빠른 속도로 계량할 수 있다.
제11도에서 18c도까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하기에 기술한다. 제11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저울(계량장치)(2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12도는 정면도이며, 제13도는 본 기계의 측면도이다.
제13도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저울(20)은 직선이송로를 구성하는 선형컨베이어(18)의 일측부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에어러졸 용기와 같은 실린더형의 제품(W)을 계량하도록 설계되며, 제품을 선형컨베이어(18)상에서 이송하면서 동시에 축방으로 이동시키며 계량된 제품을 다시 선형컨베이어(18)로 복귀시킨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저울(20)의 저부(22)는 네귀퉁이에 위치한 다리(21)에 의해 지지되며, 사실상 직사각형 평행 6면체의 구동하우징(23)은 선형컨베이어(18)에 접한 저부(22)의 상측표면부(22a)에 고정된다.
구동하우징(23)의 상측표면(23a)은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면(18a)이 위치하는 높이와 같은 높이로 고정되며, 선형컨베이어(18)에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24)는 구동하우징(23)의 좌측면(23b)에 부착된다.
제품의 로드를 조절할 게이트기구(25)는 지지부재(24)의 말단부에 부설되며, 에어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내부의 게이트 플레이트(25a)를 이송로상으로 확장시켜 제품(W)의 로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플레이트(26a,26b)는 게이트기구(25)의 로드면상에 부설하여 선형컨베이어(18)상에 위치한 제품(W)을 게이트기구(25)로 유도한다.
회전로드(27)와 직선유도 플레이트(29)는 소정의 거리로 선형컨베이어(18)를 따라 게이트기구(25)의 언로드면상에 설치되며, 나선형 홈붙이(28)는 홈붙이(28)의 피치가 게이트기구(25)로 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도록 회전로드(27)의 표면에 형성된다. 게이트기구(25)를 통과한 제품(W)은 나선형 홈붙이(28)와 선형유도 플레이트(29) 사이에 수용되어, 제품의 간격을 점차 늘리면서 구동하우징(23) 방향으로 이송된다.
첫번째 유도원판(30)은 회전로드(27)의 말단(27a)의 면에 설치되어, 구동하우징(23)내 구동력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제11도 참조) 회전한다. 여섯 개의 반원형 노치부(30b)는 첫번째 유도원판(30)의 외주부(30a)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아치형의 원형유도판(31)는 소정의 거리로 노치부(30b)의 주위에 설치된다.
첫번째 유도원판(30)과 원형 유도플레이트(31)은 저울(20)의 유도와 로드기구를 구성한다. 회전로드(27)와 직선 유도플레이트(29) 사이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형컨베이어(18)상에서 이송되는 제품(W)은 첫번째 유도원판(30)과 원형유도 플레이트(31) 사이에 수용되어 구동하우징(23)상으로 로드된다. 주목할 점은 회전로드(27)의 회전속도를 첫번째 유도원판(30)의 속도에 1/6로 미리 조정하므로서, 제품(W)을 첫번째 유도원판(30)의 노치부(30b)로 하나하나씩 차례대로 이송한다는 점이다.
제2실시예의 회전운반체를 구성하는 회전아암부재(32)는 첫번째 유도원판(30 ) 후측에 설치된다.
회전아암부재(32)는 구동하우징(23)내의 구동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원판(33)과, 원판(33)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10쌍의 집게팔(34)로 구성된다.
제14도는 구동하우징(23)면으로 부터 관찰한 회전아암부재(32)를 보여주는 도시도이며, 제15도는 한쌍의 집게팔(34)의 확대도이다.
제15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W)을 클램프하기 위한 아치형 클램프부 (37,38)는 한쌍의 아암(35,36)의 일단(35a)과 일단(36a)상에 서로 마주보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암(35,36)의 타단(35b)과 타단(36b)는 피붓핀(39,40)을 통하여 회전원판(33)의 하측면(33a)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아암(35,36)은 피붓핀(39, 40)상에서 회전한다.
축(41,42)은 사실상 아암(35,36)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스프링(43)은 축(41,42) 사이에 연결되어 아암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아암(35,36)을 바이어스 한다.
축(41,42)은 링크로드(44,45)의 각각의 단부(44a,45a)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며, 링크로드(44,45)의 양타단(44b,45b)는 아암(35,36)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로드(46)의 일단(46a)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다.
축(47)은 슬라이드로드(46)의 경도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로드(46)의 타단(46b)상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롤러(48)는 축(47)에 잠겨있고, 또한 경도방향으로의 슬라이드로드(46)의 동작은 회전원판(33)에 고정된 유도부재(49)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의 배열로서, 슬라이드로드(46)가 롤러(48)측에서 회전원판(33)쪽으로 밀려나고, 링크로드(44,45)에 의해 형성되는 각은 스프링(43)의 바이어스힘에 대하여 증가하고, 두개의 아암(35,36)이 개방된다.
주목할 점은 슬라이드로드(46)의 스토퍼(50)는 유도부재(49)의 일단부(49a)에 접촉케하여, 아암(35,36)이 폐쇄전 상태에서 클램핑부(37,38) 사이의 거리가 제품의 외부지름보다 작은 위치에서 슬라이드로드(46)을 정지시킨다. 또한, 유도부재(49)의 길이는, 롤러(48)가 유도부재(49)의 타단부(49b)와 접속되는 지점으로 밀리드라도, 링크로드(44,45) 사이의 각이 180°미만으로 조절되도록 미리 정한다.
더욱이, 아암(35,36)은 회전원판(33)에 고정된 두 단부를 포함하는 지지플레이트(51)에 의해 하측면측방으로 부터 지지되며, 지지플레이트(51)에 의한 상기의 지지로, 클렘핑부(37,38)을 포함하는 아암(35,36)의 말단부는 하향이동이 없이 수평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플레이트(52)는 상기의 구성을 각각 포함하는 집게팔(34) 내부에 회전원판에 대하여 중심되게 배치된다. 캠플레이트(52)는 외주부가 롤러(48)의 측면과 접촉되는 높이 고정되는 형식으로 구동하우징(23)상에서 지지된다.
캠플레이트(52)의 첫번째와 두번째 대지름부(52a,52b)는 아암(35,36)을 충분히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각각의 집게팔(34)의 롤러(48)를 밀 정도의 충분히 큰 제품(회전원판(33)의 회전축(33b)를 중심으로 하는 지름)를 포함한다. 첫번째 대지름부(52a)는 집게팔(34)의 클램핑부가 계량컨베이어(55)의 로드부로 부터 언로드부로 회전이동하는 범위의 각내로 고정된다. 또한, 두번째 대지름부(52b)는 집게팔(34)의 클램핑부가 나중에 언급할 두번째 유도원판(60)의 외주부를 가로질러 접촉할 지점으로부터 첫번째 유도원판(30)의 외주부를 가로질러 접촉할 지점까지 회전이동할 범위의 각내로 고정된다.
첫번째와 두번째 대지름부(52a,52b) 사이에 형성된 첫번째와 두번째 소지름부(52c,52d)의 지름은 집게팔(34)의 롤러(48)와 접촉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주목할 점은 회전원판(33)의 회전축(33b)는 캠플레이트(52)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53)으로부터 구동하우징(23)내로 연장된다.
상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회전아암부재(32)는 첫번째 유도원판(30)의 속도에 6/10의 회전속도로 첫번째 유도원판(30)과 동시에 회전하여 첫번째 유도원판(30)의 노치부(30b)에 의해 유도된 제품을 하나하나 차례대로 클램프 한다.
계량컨베이어(55)는 구동하우징(23)의 후방면상에 고정되고, 회전아암부재(3 2)의 집게팔의 회전궤도의 접하고 있는 직선이송로를 포함한다.
계량컨베이어(55)는 이송부(56)의 일단(56a)상에 로드된 제품을 집게팔(34)과 같은 이동속도로 타단(56b)으로 이송한다.
계량컨베이어(55)의 이송부(56)에 타단(56b)으로 이송된 제품(W)은 집게팔( 34)에 다시 클램프되어 선형컨베이어(18)로 향하여 회전이동한다.
본 발명의 유도 및 방출기구를 구성하는 두번째 유도원판(60)과 원판형 유도플레이트(61)은 회전아암부재(32)와 선형컨베이어(18) 사이에 설치된다. 첫번째 유도원판(30)과 유사하게, 두번째 유도원판(60)은 구동하우징(23)내 구동력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제11도 참조), 여섯개의 반원형 노치부(60b)는 집게팔의 회전궤도와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방향에 접하고 있는 외주부(60a)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노치부(60b)를 통하여 제품을 집게팔(34)로 부터 하나씩 수용하기 위해서, 두번째 유도원판(60)은 각 노치부(60b)의 중심이 두번째 유도원판(60)의 회전 중심을 회전아암부재(32)의 중심에 연결하는 선상에 있는 집게팔(34)의 하나에 대응하는 클램핑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방법으로 첫번째 유도원판(30)과 같은 회전속도로 동시에 회전한다.
원형유도 플레이트(61)의 일단(61a)으로 부터 선형컨베이어(18)로 이송된 제품은 두번째 유도원판(60)의 노치부(60b)로 부터 분리되어 선형컨베이어(18)상으로 언로드된다.
방출게이트기구(65)와 방출슈트(66)는 선형컨베이어(18)의 언로드부의 양측에 설치되고, 방출게이트기구(65)는 결합제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며, 방출슈트(66)는 방출게이트(65a)에 의해 구동하우징(23) 방향으로 밀려난 결함제품을 구동하우징(23)의 우측면(23c) 방향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운전하우징(70)은 계량컨베이어(55) 후방에 직립되어 설치되고, 운전패널(71 )은 운전하우징(70)상에 설치되며, 상기 운전패널(71)은 첫번째와 두번째 유도원판 (30,60)과 회전아암부재(32)와 계량컨베이어(55)의 속도제어를 담당하고, 계량컨베이어(55)로부터 출력된 계량치를 기초하여 선별 및 결정을 수행하며, 선별 및 결정결과를 나타내며, 방출게이트기구(65)의 구동제여를 수행한다. 운전패널(71)과 각각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저울(20)의 전과정 제어회로는 첫번째 본체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언급은 제외한다.
저울(20)의 동작을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선형컨베이어(18)상으로 이송된 제품은 유도플레이트(26a,26b)에 의해 게이트기구(25)로 유도되며, 게이트기구(25)를 통과한 제품(W)은 구동상태에 있는 나선형 홈붙이(28)와 직선 유도플레이트(29) 사이에 수용되어 구동상태에 있는 첫 번째 유도원판(30)으로 이송된다.
첫번째 유도원판(30)의 노치부(30b)에 수용된 제품(W)은 원형유도 플레이트( 31)에 의해 구동상태에 있는 회전아암부재(32)로 이동되도록 유도된다.
제1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아암부재(32)의 집게팔(34)는 구동상태에 있는 첫번째 유도원판(30)의 노치부(30b)에 의해 유도된 제품(W)으로 집게팔(34)을 개방한 상태에서 접근한다.
제1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W)이 첫번째 유도원판(30)의 회전중심을 회전아암부재(32)의 회전중심에 연결하는 선상으로 이동할때, 집게팔(34)의 중심도 또한, 이 선상에 이르고, 캠플레이트(52)는 상기 지점에 위치한 첫번째 소지름부(52c)로 바뀐다. 결과적으로, 아암(35,36)은 폐쇄되고, 제품(W)은 클램핑부(37,38) 사이에 클램프 된다.
부가하여, 원형유도 플레이트(31)의 유도 효과가 상기 지점에서 사라지면, 집게팔(34)에 클램프된 제품(W)은 제16c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집게팔(34)에 고정된채 회전아암부재(32)의 회전궤도를 따라서 계량컨베이어(55)로 옮겨진다.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팔(34)에 클램프된 제품은 이송상태에서 캠플레이트(52)의 지름이 변함에 따라 계량컨베이어(55)의 이송부의 일단(56a)상에서 방출된다.
이송컨베이어(55)의 이송속도는 집게팔(34)의 이동속도와 같으므로, 이송부(5 6)는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면(18a)이 위치한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고정되므로, 제품은 요동이 거의 없이 계량컨베이어(55)에 로드되고, 짧은 시간내에 계량이 완료된다. 더구나, 제1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팔(34)이 계량 및 이송작업중에 제품과 접촉하지 않고 개방상태로 이동하므로, 집게팔(34)는 계량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7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컨베이어(55)에서 계량된 제품은 다시 집게팔(34)에 클램프되어, 이송컨베이어(55)에서 방출된다.
제18a도에서, 집게팔(34)에 클램프된 계량된 제품을 구동상태에 있는 두번째 유도원판(60)에 근접하여, 노치부(60b)에 수용된다. 이때, 집게팔(34)는 캠플레이트( 52)의 지름이 바뀌자마자 개방되어 제품을 방출한다. 제18c도에서, 노치부(60b)에 수용된 제품(W)은 노치부(60b)와 원형유도 플레이트(61) 사이에 맞물린 상태에서 선형컨베이어(18) 방향으로 유도 및 방출된다.
선형컨베이어(18)로 언로드되고, 두번째 유도원판(60)의 노치부(60b)로 부터 방출된 제품(W)은 방출게이트기구(65)의 일축부를 통과하며, 이때 통과하는 제품이 결함이 있으면, 제품은 방출게이트(65a)에 의해 방출슈트(66)로 밀려난다. 만약 제품에 결함이 없으면, 선형컨베이어(18)로 이송된다.
즉, 상기의 본체에서, 선형컨베이어(18)상의 제품(W)은 회전로드(27)의 홈붙이(28)에 수용된 상태로 첫번째 유도원판(30)으로 이동하여, 첫번째 유도원판(30)의 노치부(30b)에 수용된다. 노치부(30b)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형컨베이어(18)에서 축향으로 유도된 제품(W)을 회전아암부재(32)의 집게팔(34)에 의해 클램프된다. 집게팔(34)은 계량컨베이어(55)의 이송부(56)에서 수용된 제품(W)을 방출하고, 계량작업이 완료된 제품을 두번째 유도원판(60)의 노치부(60b)에 수용하기 위한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클램프한다. 두번째 유도원판(60)의 노치부(60b)에 수용된 제품(W)은 선형컨베이어(18)상으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두번째 본체에 따른 저울은, 컨베이어로부터 첫번째 유도기구에 의해서 측방으로 유도된 제품이 회전클램핑부재의 집게팔에 의해 클램프되어 계량컨베이어를 향하여 회전 및 이동하며, 계량컨베이어의 로드부에서 계량하기 위해 방출되며, 계량된 제품이 다시 집게팔에 의해 클램프되어 두번째 유도기구를 향하여 회전 및 이동하고, 두번째 유도기구에 의해 다시 컨베이어로 복귀하도록 설계된다. 부가하여, 계량컨베이어에 대한 제춤의 로드방향이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일치하도록 위치시키고, 또한 두번째 유도기구에서 컨베이어로 방출되는 제품의 방향을 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일치시키므로서, 아직 계량되지 않은 제품을 계량컨베이어상으로 로드하는 것과, 컨베이어에 대하여 계량된 제품을 언로드시키는 작업이 제품을 떨구거나 요동시킴이 없이 매우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재래식 장치보다 높은 정밀도와 더 빠른 속도로 계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장치는 선별작업을 위해 방출게이트기구(65)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선별기구는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부가하여, 결함제품은 계량컨베이어(55)에서 방출되는데, 이 경우, 각각의 집게팔의 클램프작업을 계량 및 선별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고, 결함제품을 제거하기 위한 기구는 집게팔(34)이 폐쇄되기 전에 결함제품을 방출할 수 있도록 계량컨베이어의 방출면상에 설치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방향은 계량컨베이어(55)의 방향에 평행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집게팔의 회전궤도를 따라 설정되어 있는한,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은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방향에 평행할 필요는 없다.
상기한 제2실시예의 저울에 의하면, 나선형 홈붙이(28)을 포함하는 회전로드( 27)을 통하여 첫번째 유도원판(30)의 외주부(30a)에 형성된 노치부(30b)에 의해 선형컨베이어로 부터 유도된 제품(W)이 회전아암부재(32)의 집게팔(34)에 클램프되고, 계량컨베이어(55)의 이송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로드되므로, 제품(W)이 추락이나 요동이 최소화한 상태하에 계량컨베이어(55)상에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계량된 제품(W)이 두번째 유도원판(60)에 의해 선형컨베이어(18)의 이송방향에 따르는 방향에서 복귀하므로, 제품(W)을 높은 속도와 정확도로 계량 및 선별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 회전운반체로서 집게팔(34)을 포함하는 회전아암부재(32)가 사용된다. 그러나, 첫번째 본체와 같이, 노치부는 제품이 노치부에 의해 계량컨베이어(55)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운반체의 외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의 회전운반체(120)는 두번째 본체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집게팔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가 한층 간단하다.
제2실시예에서, 제품은 하나의 선형컨베이어를 따로 이동중 로드되고, 계량된 제품은 선형컨베이어상으로 다시 복귀한다. 그러나, 예를들면, 첫번째 회전유도부재(1 03)에 의해 첫번째 컨베이어(200)의 일단부에서 로드될 수 있고,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된 제품은 두번째 회전유도부재(140)에서 두번째 컨베이어(201)의 타단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계량컨베이어에 의해 계량된 제품은 그것을 이송하지 않고 회전운반체를 사용하여 계량컨베이어에서 타이송로로 직접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두가지 실시예에서, 결함제품은 저울에서 선별제거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출기구는 저울에서 떼어낼 수 있으며, 결함제품은 저울의 후측지점에서 제거할 수 있다.
더우기, 제2실시예에서, 각각의 집게팔의 클램핑작업은 결함제품만 이 계량컨베이어로부터 저장고 등으로 직접 방출될 수 있도록 계량 및 선별결과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두가지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제품을 계량하기 위한 저울이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도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각각의 부품들의 형상을 수정함으로서 다른 형태의 제품을 계량하는 저울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울은 로드 및 유도기구에 의해 컨베이어에서 측방으로 유도된 제품을 로드 및 유도의 유도로와 계량컨베이어의 이송로에 접하고 있는 이송로를 포함하는 회전운반체에 의해 계량컨베이어의 일단부로 로드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계량컨베이어상으로 제품을 로드하는 방법이 제품의 추락이나 요동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계량작업을 재래 저울보다 더 높은 정확도와 높은 속도로서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예시 목적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일탈치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계량할 캔형 제품을 차례로 수용하고 그 캔형 제품을 아치형로를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회전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회전 및 이송수단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노치부를 갖고 있는 회전 및 이송원판을 갖고 있으며, 상기 노치부 각각의 직경은 상기 캔형 제품 각각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회전 및 이송원판의 외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및 이송원판보다 큰 직경을 가진 외부 유도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전 및 이송원판의 외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및 이송원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내부 유도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아치형로는 상기 외부 및 내부 유도부재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외부 및 내부 유도부재는 각각 상기 아치형로의 중간부분에서 계단부를 갖고 있으며; 캔형 제품은 상기 노치부의 입구부와 차례로 맞물려 상기 아치형로를 따라 이송되고, 캔형 제품이 상기 외부 및 내부 유도부재의 계단부가 있는 가진 상기 중간부분에 도달할때에 캔형제품은 각 노치부에 들어가 자유상태에 놓여지며; 상기 아치형로의 상기 중간부분에서 자유상태에 놓여진 캔형 제품을 직선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선형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선형 이송수단에 의해 직선상으로 이송되는 캔형 제품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캔형 제품은 상기 중간부분을 통과하여 계량된 뒤 상기 노치부의 상기 입구부와 다시 맞물려 상기 아치형로를 따라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도부재는, 캔형 제품들이 차례로 내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중간부분에 위치한 직선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이송수단의 이송속도는, 캔형 제품이 자유상태에 놓여 각 노치부의 내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 및 이송원판의 회전속도보다 약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계량할 캔형 제품들을 소정간격으로 상기 아치형로의 일단에 순차 로드(적재)시키기 위한 로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로드수단은 상기 아치형로 및 상기 첫번째 컨베이어의 이송로와 접촉하고 있는 첫번째 유도로를 따라 첫번째 컨베이어에서 이송되고 있는 캔형 제품을 소정간격으로 상기 컨베이어의 일단측으로 차례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캔형 제품을 소정간격으로 순차 언로드하기 위한 언로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언로드수단은 상기 첫번째 유도로를 따라 개량된 제품을 순차 이송하고, 그 제품을 상기 아치형로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첫번째 컨베이어에 언로드하기 위한 첫번째 언로드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드수단은, 상기 아치형로 및 두번째 컨베이어의 이송로와 접촉하고 있는 두번째 유도로를 따라 계량된 캔형 제품을 언로드 및 유도하기 위한 두번째 언로드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로가 상기 두번째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로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수단은 켄형 제품을 맞물기 위한 나선형 홈붙이를 가진 회전로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장치.
KR1019920002325A 1991-02-26 1992-02-17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KR960000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3882 1991-02-26
JP5388291 1991-02-26
JP91-185663 1991-06-28
JP3185663A JP2972967B2 (ja) 1991-02-26 1991-06-28 計量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804B1 true KR960000804B1 (ko) 1996-01-12

Family

ID=2639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325A KR960000804B1 (ko) 1991-02-26 1992-02-17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36337A (ko)
EP (1) EP0501208B1 (ko)
JP (1) JP2972967B2 (ko)
KR (1) KR960000804B1 (ko)
DE (1) DE6920227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193295A (en) * 1994-08-12 1996-03-07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Charging and measuring apparatus
AU4562597A (en) * 1996-10-08 1998-05-05 Autosystem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rticles
US6689963B2 (en) 1996-10-08 2004-02-10 Autosystems, Ltd. Poultry conveyor which splits into two different weighing conveyors for enhanced accuracy
US5929387A (en) * 1997-06-16 1999-07-27 Hi-Speed Checkweigher Co., Inc. Indexed worm conveyor
GB9723951D0 (en) * 1997-11-14 1998-01-07 Autosystem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rticles
US6075212A (en) * 1998-09-11 2000-06-13 General Chemical Corporation Method of weighing railroad cars without uncoupling them
DE202005002470U1 (de) * 2005-02-16 2005-11-10 Krones Ag Transportsystem für Behälter-Behandlungsmaschinen
DE102005018395A1 (de) * 2005-04-20 2006-10-26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Fördereinrichtung
ITBO20050453A1 (it) * 2005-07-05 2007-01-06 Ima Spa Apparato e relativo metodo per la pesatura di contenitori
DE102005060039B4 (de) * 2005-12-15 2007-08-30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Wägestation mit Förderelement
ITBO20070318A1 (it) * 2007-05-03 2008-11-04 Marchesini Group Spa Stazione per la pesatura di contenitori
ITBO20070641A1 (it) * 2007-09-24 2009-03-25 Ima Libra S R L Apparato e metodo per pesare contenitori.
KR101047565B1 (ko) * 2007-12-12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횡안정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횡안정 제어 장치
DE202008000567U1 (de) * 2008-01-14 2008-03-20 Wipotec Wiege- Und Positioniersysteme Gmbh Wägesystem
IT1390889B1 (it) * 2008-07-18 2011-10-19 S I P A Societa' Ind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 P A Impianto di convogliamento di contenitori in materiale plastico
IT1396149B1 (it) * 2009-11-10 2012-11-16 Neri S P A Dispositivo per pesare in continuo articoli provenienti da un organo di trasporto
US8247711B2 (en) * 2009-12-17 2012-08-21 Mettler-Toledo, LLC Intermittent motion checkweigher with offset product pockets
ITBO20110551A1 (it) * 2011-09-27 2013-03-28 Ima Life Srl Gruppo e metodo per pesare contenitori
CN102502008B (zh) * 2011-10-28 2013-12-11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药瓶用在线称重方法及装置
BE1025281B9 (nl) * 2017-06-02 2019-01-22 Cnh Ind Belgium Nv Gewaselevator en maaidorser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94A (en) * 1904-01-04 1904-08-16 Pneumatic Scale Corp Weighing and filling machine.
US782874A (en) * 1904-04-08 1905-02-21 Pneumatic Scale Corp Weighing and packaging machine.
US2098260A (en) * 1933-12-27 1937-11-09 American Can Co Filled can weighing and sorting apparatus
US2359786A (en) * 1941-06-27 1944-10-10 American Can Co Can-weighing machine
US2308154A (en) * 1941-09-24 1943-01-12 Schenley Distillers Corp Mechanism for handling and feeding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US2612254A (en) * 1945-09-14 1952-09-30 Meyer Geo J Mfg Co Conveyer mechanism
US2781995A (en) * 1951-04-13 1957-02-19 Magnuson Apparatus for weight filling of containers
US2702120A (en) * 1951-05-09 1955-02-15 American Can Co Discharge device for article weighing and sorting machines
US2826289A (en) * 1954-11-30 1958-03-11 Owens Illinois Glass Co Article transfer means
US3162258A (en) * 1962-11-13 1964-12-22 Ima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filling liquid containers
US3333648A (en) * 1964-08-12 1967-08-01 Pneumatic Scale Corp Packaging machine with sampler
GB1174453A (en) * 1967-08-01 1969-12-17 Pneumatic Scale Corp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 Weighed Load.
US4168773A (en) * 1975-10-03 1979-09-25 Jagenberg-Werke Aktiengesellschaft Bottle labeling machine with turntable having resiliently urged clamping jaws
DE2548988C3 (de) * 1975-11-03 1980-01-31 Optima-Maschinenfabrik Dr. Buehler Kg, 7170 Schwaebisch Hall Einrichtung zum Wägen von Serienerzeugnissen
US4344493A (en) * 1981-03-06 1982-08-17 Campbell Soup Company High-speed weigh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4512456A (en) * 1982-09-29 1985-04-23 Industrial Automation Corp. Force balanced actuator for mechanically actuated container grippers
GB2160985B (en) * 1984-06-27 1988-01-06 Hunting Hivolt Ltd Weighing machine
US4596107A (en) * 1984-10-30 1986-06-24 Pfleger Sr Fred W Reject mechanism for bottle capping machine
US4848479A (en) * 1985-03-27 1989-07-18 Preston, Suprenant & Company, Inc. Straight line checkweigher
US4624098A (en) * 1985-10-23 1986-11-25 Owens-Illinois, Inc. Container restraint system
GB2192407B (en) * 1986-07-07 1990-12-19 Metal Box Plc Electro-coating apparatus and method
ATE55957T1 (de) * 1986-07-22 1990-09-15 Preston Surprenant & Co Hochgeschwindigkeitsbehaelterstellapparat.
JPH01274883A (ja) * 1988-04-26 1989-11-02 Yamato Scale Co Ltd 自動重量選別機
JP2615893B2 (ja) * 1988-08-17 1997-06-04 澁谷工業株式会社 回転式物品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2273T2 (de) 1995-12-14
DE69202273D1 (de) 1995-06-08
EP0501208A1 (en) 1992-09-02
JPH04348231A (ja) 1992-12-03
JP2972967B2 (ja) 1999-11-08
US5236337A (en) 1993-08-17
EP0501208B1 (en) 199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804B1 (ko) 생산라인상에 있어 직립 자세의 캔형 제품 등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장치
JPH05208173A (ja) 重量で球形の品物を選別する装置
US4238027A (en) Weighing apparatus for weighing conveyed products
EP1014053B1 (en) Weight sorter
US4299326A (en) Weight sorting memory circuit
US6877611B2 (en) Weight sorter
US4044891A (en) Can testing conveyor
CN209720797U (zh) 一种产品零件的检测生产线
US7025194B2 (en) Article moving apparatus and direction changing apparatus for sticks
JPH11152110A (ja) 農産物選別用受皿の向き揃え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受皿
JP2013181860A (ja) 重量選別装置
US20040173388A1 (en) Measuring apparatus
JP3168494B2 (ja) 搬送型計量機
JPH0760199A (ja) 物品選別装置
JP2000266590A (ja) 容器式重量検出装置
GB2160985A (en) Weighing machine
JPH069332Y2 (ja) 物品供給装置
JPS62201708A (ja) 振動コンベヤ−の中間排出装置と方法
SU8786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JPH06123651A (ja) 電子計量装置
JP3546107B2 (ja) 搬送計量装置
JP2559881Y2 (ja) 計量装置
JP3214131B2 (ja) 自動重量測定搬送装置
JPS6171323A (ja) 組合せ計量装置
JPH07222959A (ja) 長物農産物の重量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