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689B1 -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689B1
KR960000689B1 KR1019930022280A KR930022280A KR960000689B1 KR 960000689 B1 KR960000689 B1 KR 960000689B1 KR 1019930022280 A KR1019930022280 A KR 1019930022280A KR 930022280 A KR930022280 A KR 930022280A KR 960000689 B1 KR960000689 B1 KR 96000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ray
spare tire
spare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268A (ko
Inventor
남상민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689B1/ko
Publication of KR95001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 트렁크의 스페어타이어 수납부 단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3도 (a)(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트렁크 21 : 바닥면
22 : 트레이안착부 23 : 탄성후크편
30 : 타이어트레이 34 : 스터드볼트
36 : 받침간 40 : 타이어고정너트
50 : 타이어로딩벨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수납되는 스페어타이어의 로딩 및 언로딩에 적합하도록 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페어타이어 수납실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스페어타이어 수납실의 단면구성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10) 바닥면(11)에 스페어타이어(ST)의 외형에 맞춘 타이어안착부(12)가 하방으로 요입형성되어 트렁크(10)내측 깊숙히 위치되어 있으며, 타이어안착부(12)의 중앙에는 스터드볼트(1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타이어안착부(12)에 안착되고 스터드볼트(13)에 관통되어 끼어지는 스페어타이어(ST)를 고정시키기 위한 타이어고정너트(14)가 상기 스터드볼트(13)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스페어타이어 수납실로부터 스페어타이어(ST)를 탈거시키고 트렁크(1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고 머리와 양팔을 트렁크(10) 깊숙히에 위치된 타이어안착부(12)로 가져가서 타이어고정너트 (14)를 풀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자세가 불안정하여 허리와 양팔에 무리가 가게되며, 특히 어두운 밤에 작업을 행할 경우 트렁크(10)내부가 트렁크덮개에 의해 외부빛이 상당히 차단되어 어둡게 되므로 트렁크(10)내부를 밝게 해주는 별도의 조명램프가 구비되어야 작업이 가능하였으며 스페어타이어나 펑크난 타이어를 수납할 때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특별한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스페어타이어의 로딩 및 언로딩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면에 스페어타이어의 외형에 맞춘 트레이안착부를 요입형성하며, 이것의 일측에는 스페어타이어가 안착되는 타이어트레이를 수평·수직으로의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타이어트레이의 중앙에는 볼트지지대에 의해 수직입설된 스터드볼트를 고정설치하며, 스터드볼트와 나사결합되어 타이어를 협지하기 위한 타이어고정너트의 외부노출면상에 타이어로딩벨트의 일단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타이어트레이의 중앙에는 이 타이어트레이와 힌지결합된 지게다리형태의 받침간이 설치되며, 트레이안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타이어트레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후크편을 설치하여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20) 바닥면(21)에 스페어타이어(ST)의 외형에 맞춘 원형의 트레이안착부(22)를 요입형성하며, 이 트레이안착부(22)의 일측 바닥면에는 스페어타이어(ST)가 안착되는 타이어트레이(30)를 수평·수직으로의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이 타이어트레이(30)의 중앙에는 볼드지지대(32)를 수직입설하며 이 볼트지지대(32)의 중앙에 스터드볼트(34)를 수직입설하고 상기 볼트지지대(32)의 외각일측 타이어트레이(30)상에는 힌지결합되는 지게다리형태의 받침간(36)이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안착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타이어트레이(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후크편(23)이 설치되고, 상기 스터드볼트(34)와 나사결합되어 스페어타이어(ST)를 협지하기 위한 타이어고정너트(40)가 설치되며, 타이어트레이(30)의 상단에 타이어로딩벨트(50)의 일단을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특징을 가진다.
상기 타이어트레이(30)는 강관의 양단을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고, 중앙에 가로지르는 보강빔(31)을 용접하며, 좌·우 양단에 하향만곡면을 형성하고, 강관의 양끝단은 트레이안착부(22)에 설치된 지지브라켓(22a)에 힌지결합된 것이다.
상기 타이어트레이(30) 상단에 고정설치된 타이어로딩벨트(50)는 벨트고정나사(50a)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a)(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순서도로서 (a)는 스페어타이어가 배치된 상태이며, (b)는 스페어타이어가 트렁크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20)에 수납된 스페어타이어(ST)를 빼낼 경우 먼저 트렁크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트렁크(20) 바닥면(21)에 길게 늘어진 타이어로딩벨트(50)를 손으로 잡고 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타이어로딩벨트(50)의 일단에 고정된 타이어트레이(30)가 타이어로딩벨트(50)에 의해 딸려오는데 이때 타이어트레이(30)가 스페어타이어(ST)를 협지한 상태에서 트레이안착부(22)의 지지브라켓(22a)을 기점으로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후방선회되며, 이와 동시에 타이어트레이(30)는 탄성후크편(23)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받침간(36)이 자중에 의해 하방 선회되면서 바닥면의 고정홈(22a)에 걸리게 되면 타이어트레이(30)가 세워지게 되는 것이며 타이어트레이(30)가 소정각도로 선회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렁크로딩벨트(50)를 손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받침간(36)에 의해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에 스페어타이어(ST)를 협지하고 있는 타이어고정너트 (40)를 풀고 스페어타이어(ST)를 타이어트레이(30)로부터 빼내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스페어타이어나 펑크난 타이어를 수압할 경우 세워진 빈 타이어트레이(30)에 상기 스페어타이어(ST)를 끼우고 타이어고정너트(40)를 스터드볼트 (34)에 나사결합하게 되면, 끼워진 스페어타이어(ST)가 강하게 협지되며, 이 후 트렁크(20) 바닥면(21)에 늘어진 타이어로딩벨트(50)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은 타이어트레이(30)의 받침간(36)을 후방으로 잡아당겨 타이어트레이(30)가 세워져 고정된 것을 해제한 상태에서 타이어로딩벨트(50)를 서서히 후방으로 놓게되면 스페어타이어(ST)를 협지한 타이어트레이(30)가 자중에 의해 트레이안착부(22)에 진입케 되며, 진입되는 타이어트레이(30)가 트레이안착부(22)의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후크편(23)에 이르게 되며, 탄성후크편(23)은 타이어트레이(30)의 자중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따라서 타이어트레이(30)는 탄성후크편(23)에 강하게 협지되어 차량운행시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흔들림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자동차의 트렁크로부터 스페어타이어를 빼낼 경우 허리와 목을 숙일 필요없이 단지 손과 팔동작만으로도 트렁크 깊숙히에 위치한 스페어타이어를 간단히 빼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타이어 수납시에는 세워진 별도의 타이어트레이에 의해 간단히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트렁크(20) 바닥면(21)에 스페어타이어(ST)의 외형에 맞춘 원형의 트레이안착부(22)를 요입형성하며, 이 트레이안착부(22)의 일측 바닥면에는 스페어타이어(ST)가 안착되는 타이어트레이(30)를 수평·수직으로의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이 타이어트레이(30)의 중앙에는 볼트지지대(32)를 수직입설하며 이 볼트지지대(32)의 중앙에 스터드볼트(34)를 수직입설하고 상기 볼트지지대(32)의 외각일측 타이어트레이(30)상에는 힌지결합되는 지게다리형태의 받침간(36)이 선회가 자유롭도록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안착부(22)의 바닥면에는 상기 타이어트레이(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후크편(23)이 설치되고, 타이어트레이(30)의 상단에 타이어로딩벨트(50)의 일단을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KR1019930022280A 1993-10-26 1993-10-26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KR960000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280A KR960000689B1 (ko) 1993-10-26 1993-10-26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280A KR960000689B1 (ko) 1993-10-26 1993-10-26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268A KR950011268A (ko) 1995-05-15
KR960000689B1 true KR960000689B1 (ko) 1996-01-11

Family

ID=1936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280A KR960000689B1 (ko) 1993-10-26 1993-10-26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6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268A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09995A (ja) ルーフ荷物キャリヤの固定装置
KR960000689B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로딩장치
EP0979754B1 (en) Table apparatus
JPH09328040A (ja) 車両用リヤバンパーガード
JP4416454B2 (ja) 小型スペア・タイヤおよびフルサイズタイヤを固定するブラケット・アセンブリ
US6688820B2 (en) Cargo bed structure of truck
JP3129045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04352079A (ja) ジャッキの収納構造
JP6904748B2 (ja) 転落防止具
US1210985A (en) Gas-tank holder.
US3747814A (en) Spare tire carrier for automobile trunks
KR101328472B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KR0142599B1 (ko) 차량용 잭취부장치
KR0124030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커버 고정홀더
KR100259958B1 (ko) 컵홀더 어셈블리
KR200200113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행거장치
JP2580102Y2 (ja)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2507045Y2 (ja) 携行ジャッキを座席下に格納したフロア構造
JPS6230553Y2 (ko)
KR970002809B1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구조
KR970001984Y1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의 장착구조
JPH1029568A (ja) 車両用スペアタイヤの保持構造
JP2540917B2 (ja) ウインチフックの格納装置
JPH0235589Y2 (ko)
KR0123155Y1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회전후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