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02B1 -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02B1
KR960000402B1 KR1019880701153A KR880701153A KR960000402B1 KR 960000402 B1 KR960000402 B1 KR 960000402B1 KR 1019880701153 A KR1019880701153 A KR 1019880701153A KR 880701153 A KR880701153 A KR 880701153A KR 960000402 B1 KR960000402 B1 KR 960000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piece
wire
spiral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210A (ko
Inventor
노보루 사사기
도모아끼 노무라
가주오 하라
이사무 요시노
도시오 우수이
Original Assignee
프랑스 베드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베드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다 미노루 filed Critical 프랑스 베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70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6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spring mat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3/00Tool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handling or processing wire fabrics or the like
    • B21F33/04Connecting ends of helical springs for mat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 B21F35/02Bending or deforming ends of coil springs to special shap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합스프링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조합스프링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 표시한 조합스프링을 구성하는 스프링 요소중의 하나를 부분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일부분의 부품을 제거하고 제4도의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한 부분도.
제6도는 일부분의 부품을 제거하고 제4도의 장치의 나머지 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4도에서 표시한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해서 표시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에서 표시한 기구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제9a도, 제9b도, 제9c도는 제4도에 표시한 장치에 의해 조합 스프링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순서의 3단계를 표시한 부분 측면도.
제10도는 제3도에서 표시한 1개의 스프링 조편(條片, band)을 이형예(異型例)의 안내부재와 함께 표시한 단면도.
제11도는 장치전체의 정면도.
제12도는 제2도의 단말처리장치의 정면도.
제13도는 동 측면도.
제14도는 동 사시도.
제15도는 슬라이더의 단면도.
제16도는 굴곡제거부의 평면도.
제17도는 송급기구의 단면도.
제18도는 성형기구의 피치조절기구의 단면도.
제19도는 상기 피치조절기구와 조절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32, 38 : 스프링 조편 21, 22, 84 : 나선상 와이어
23 : 코일 스프링 25, 29, 30 : 측부암
32 : 기부 33 : 슬리브
34 : 돌출암 35 : 스핀들
37 : 원형판 39 : 핀
40 : 마찰밸드 43 : 프레임
44, 46 : 안내홈 49 , 50 : 링크
52, 68 : 피스톤 실린더 54 : 샤프트
56 : 반송체 63, 64, 65, 66 : 죠오부재
67, 82 : 피봇핀 72, 73 : 롤러
76 : 레버 79 : 스톱퍼
83 : 컷터 블록 89 : 브래킷
201 : 단말 처리장치 203 : 가이드 레일
204 : 슬라이더
본 발명은 메트리스 등에 이용도는 조합스프링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합스프링의 제조장치로서는 일본 실공소 53-35573호 공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력성이 있는 1개의 선재를 만곡시켜서 복수의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고 다시 이들 코일스프링을 그 각각의 측부 암이 인접하도록가롤 일렬로 나란히 하여 형성한 두께가 있는 스프링 조편에 대해서 이 스프링 조편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향해 나선상 와이어를 나사와 같이 회동시키면서 이 나선상 와이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축부암의 부분에 쵸차 권착(감아서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조편에 권착된 나선상 와이어는 단부가 공구에 의해서 절단된 후 절곡되어 단말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스프링 조편이 매트리스용의 것인 경우, 그 폭의 치수는 더블사이즈, 세미더블사이즈, 혹은 싱글 사이즈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따라서, 스프링 조편의 폭치수에 따라서 상기 나선상 와이어이 공급 길이를 바꿀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조합스프링 제조장치에서는 상기 나선사 와이어의 공급길이를 스프링 조편의 폭치수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어한다는 것은 전혀 행해지지 않았다.
또, 스프링 조편에 권착된 나선상 와이어는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공구에 의해 절단된 후 절곡하는 단말처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공구는 상기 스프링조편의 폭방향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조편의 폭방향이 위와 가이 더블 사이즈에서 세미더블 혹은 싱글 사이즈로 변했을 때, 상기 공구가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어긋난 위치가 되어버리므로 상기 공구에 의한 나선상 와이어의 단말처리를 행할 수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다시, 상기 공보에 제시된 종래의 조합스프링 제조장치에서는 직선상의 와이어를 나선상으로 성형하고 이 나선상 와이어를 스프링 조편의 측부암의 부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나선상 와이어를 스프링 조편에 조합시키는 공정이 별도의 공정이 되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스프링 조편의 폭 치수에 따라서 나선상 공급길이를 제어함과 함께 상기 스프링조편의 폭 치수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나선상 스프링의 단말처리를 행할 수가 있도록 한 조합스프링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직선상의 와이어를 나선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그 나선상 와이어를 스프링 조편이 측부 암에 권착하는 공정을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행하도록 한 조합스프링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조합스프링 제조장치는, 나선상 와이어의 공급길이를 스프링 조편의 폭 치수와 거의 같은 길이가 되도록 측정 제어해서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상기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에 따라서 위치결정 자재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선상 와이어의 송급방향 선단측의 상기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 링단측에 위치하는 단부를 절단한 후 절곡하는 단말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급장치와 단말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면 스프링 조편의 폭 치수에 따라서 나선상 오이어의 공급 길이를 제어할 수가 있으며 상기 나선상 와이어의 송급방향 선단측의 단부를 절단한 후 절곡시킬 수가 있다. 이결과, 상기 스프링 조편의 더블 사이즈, 세미더블사이즈 혹은 싱글 사이즈와 같이 폭치수가 다르더라도 이에 맞추어서 나선상 와이어를 적당한 길이로서 공급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나선상 와이어의 단말처리를 확실히 행하게 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합 스프링 제조장치는 스프링 조편의 측부암의 부분에 나선상 와이어를 교차 권착하는 공정 앞에 직선상 와이어를 보내는 송극비구와 이 송급기구에서 보내온 와이어를 나선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구와 이 성형기구에서 성형된 나선의 피치를 조절하는 피치 조절 기구를 포함한 성형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성형공급장치에 의해서 나선상 와이어는 스프링 조편에 자동공급된다.
이와 같은 성형공급장치가 조합 스프링 제조 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면 나선상 와이어의 성형공정과 이 나선상 와이어를 스프링 조편에 조합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행하게 할 수가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나선상 와이어의 나선의 피치는 피치조절기구에 의해서 조절을 할 수가 있으므로 와이어의 재질 등에 의한 피치의 고르지 못함을 없애고 스프링 조편의 측부암의 부분에 확실하게 권장(감아서 장착)할 수가 있다.
제1도와 제2도에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제조된 조합스프링의 약도가 표시도어 있다. 이 조합스프링은 스프링 식의 매트리스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스프링은 또 그외의 가구, 쿠숀, 자동차의 좌석, 및 이에 준하는 것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도시한 조합스프링은 다수의 스프링 조편(20)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들 스프리 조편이 1개의 형상이 제3도에 표시되어 있고 그 형상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들 스프링 조편은 가로질러서 연장되어 있는 나선상의 오이어 (21)(2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2도에서 표시하 것처럼 이들의 나선상 와이어는 2조 있으며 1조의 것은 조합된 스프링의 상면에 사용되고 부호(21)로서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조의 것은 조합된 스프링의 하면에 사용되며 부호(22)로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장치의 상면과 하면에 설치된 이들 2조의 나선상 와이어는 조합스프링에 따라서 그 상하면에 순차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스프링 조편(20)은 각각이 1렬로 엎으로 나란히 한 복수의 코일, 즉 코일스프링(23)을 형성하도록 해서 코일상으로 절곡시킨 어느 기이를 가진 탄성의 와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코일스프링(23)은 대체로 나선상으로 감겨져서 순차로 교대로 왼쪽으로 꼬인 것과 오른쪽으로 꼬인 것으로해서 배치도며 각각의 코일스프링(23)은 일단부가 그 상대쪽에 있는 코일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부는 반대측에 있는 코일에 접속되어 있다. 인접해서 각각 쌍을 이루고 있는 코일스프링(23)은 이들의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일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루프(2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루프(24)는 거의 구형의 3변의 형상, 즉 거의 평행한 2개의 측부암(25)과 이들 암의 사이에 있는 접속부(26)를 가지는 U자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 루프(24)는 대체로 평평하며 스프리조편(20)의 한 연부(가장자리)와 같은 평면에 있다. 측부암(25)은 스프링 조편의 길이 방향을 자로지르도록 뻗어 있고 접속부(26)는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접속부(26)의 길이는 측부암(25) 사이에 2개의 코일스프링(23)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있다. 루프(24)는 스프링 조편(20)의 양측연부를 따라서 순차로 배치되며 따라서 2군의 루프(24)가 설치되어 있다. 즉, 1군의 것은 스프링 조편의 한쪽편의 연부를 따라, 다른 1군의 것은 스프링조편의 반대측의 연부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루프(24)는 각 군에서의 순차로 인접하는 루프(24) 사이에 거의 또는 전혀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만약 각 군에서의 순차로 인접하는 루프중의 어느 것 2개의 인접하는 것, 예컨대, 루프(27)와 루프(28)가 서로 격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한쪽의 루프(27)의 한 측부암(29)이 다른쪽 루프(28)의 한 측부암(300에 근접하고 또한 이것과 평평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제1도에서와 같이, 나선상 와이어(21)(22)는 각 스프링 조편의 인접한 1쌍의 측부암(25)을 결합한다. 즉, 각 인접하는 한쌍의 측부암(25)이 한 나선상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각 스프링 조편에 있는 코일 스프링(23)은 각각 그 감김 부분의 일부를 인접하는 2개의 코일의 감김 부분의 일부에 접속함으로써 양측이 이들 2개의 인접하는 코일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관계가 제3도에 표시되어 있다(도면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제1도에는 이 접속관계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단면에서보면, 각각의 스프링조편(20)은 꼬불꼬불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그 한쪽의 연부에서 다른쪽의 연부에 이르는 어느 곳에도 이 스프링 조편을 형성하고 있는 와이어의 굵기보다 큰 굵기를 가지고 있는 부분은 없다. 제10도에서는 1개의 스프링조편(31)이 단면도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조편은 축선이 이 스프링 조편의 코일과 거의 평행하며 각각의 코일의 감김 부분이 인접하는 코일의 감김 부분과 근접해서 이것과 교차하는 드럼 모양으 코일형을 형성하도록 해서 감을 수가 있다.
제4도 내지 제8도에 표시한 장치는 이와 같은 형상의 코일형상으로 감긴 스프링 조편을 사용해서 조합스프링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코일형상으로 감긴 스프링 조편(복수)을 적당한 지지대위에 장치한다(제4도에서는 이 지지대의 1개가 표시되어 있다). 이 지지대는 직립이 기둥 부재를 가지는 기부(32)를 가지며 이 기둥부재에는 복수의 슬리브(33)가 장착되어 있어서 이들 스리브에서는 각각 바로방향으로 돌출한 암(34)의 단부에는 직립한 스핀들(35)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스핀들은 회전자를 지지하고 있고 이 회전자는 스핀들(35)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 관(36)과 이 관에 부착된 원형의 판(37)으로 되어 있다. 전체를 부호(38)로서 표시한 코일이 감긴 스프링 조편은 원형의 판(37) 위에 장착되고 이 스프링조편의 중심부에는 관(36)의 상부에 설치한 핀(39)이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회전자는 스프링 조편(38)이 뒤돌려 감기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완성된 조합스프링에 부착되는 스프링조편은 소망에 따른 수만큼 이 제조장치에 의해서 장착할 수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주 부분이 제4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주부분은 지지대(42)를 포함하며 이 지지대에는 프레임(43)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43)에는 가로로 나란히 된 복수의 안내홈(4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43)은 또 서로 간격을 두고 인접하나 이들이 안내로를 형성하는 평향한 직립의 판(46)을 가지는 평평한 바닥부(45)(제5도)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홈(46)은 후단부가 부호(47)로 표시한 것처럼 밖으로 열리도록 되어 있고, 또 직립의 판(46)은 상하로 뻗어서 스프링 조편이 지지대에서 장치내로 쉽게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세히는 나타내지 않고 있으나, 변형한 기구의 장치에서 안내홈(44) 대신에 복수의 보조용의 막대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 조편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한 관계로 배치된 3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이 막대에 의해 안내된다. 이 변형된 구조의 장치에서는 순차로 배열한 막대는 스프링 조편의 양측에 위치해서 스프링 조편의 꼬불꼬불 구부러진 형상에 의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인장하는 홈속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는 스프링 조편(38)을 그 일단에서 보조 이해할 수 있다. 제10도에는 3개의 막대(48)를 사용했을 경우의 전형적인 배치가 표시되어 있다.
안내홈(44)의 스프링 조편 수용측단부와 반대측의 단부는 곧고 수평으로 그리고 서로 평행한데,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접속작업소까지 연장하고 있다. 제조장치의 1회의 작동 사이클에서 몇 개의 스프링 조편을 결합해서 그것들을 모두 함께해서 전방으로이동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송급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이 송급수단은 장치의 각 측에 2개씩 합계 4개의 평행한 링크(49)(5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링크는 하단부가 지지대(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부에서 상방의 개소에서 1쌍의 조절 가능한 접속링크(5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링크(51)는 압축공기 작동의 피스톤 실린더(52)에 의해 오아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 실린더는 고정된 프레임(43)에 장착되고 샤프트(54)에 장착된 암(53)에 접속되고, 이 샤프트는 양단부 개소에서 암(55)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들 암(55)은 후측의 쌍으로 된 링크(50)에 접속되어 있다. 차륜이 붙은 반송체(56)가 고정된 프레임(43) 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반송체는 안내홈(44)의 개방된 상부를 넘어서 연장되어 있는 1쌍의 평행한 막대(57)를 가지고 있다. 막대(57)는 각각 복수의 핑거(58)를 지지하고 있는데(제7도), 이 핑거(57)는 각각 복수의 핑거(58)를 지지하고 있는데(제7도), 이 핑거(58)는 각각 그 안내홈(44)속에까지 하방으로 현수되어 있다. 제7도에서와 같이 각 핑거(58)는 전방으로는 요동하나 후방으로는 요동하지 못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들의 핑거(58)는 피스톤 시린더(52)가 1회 작동할때마다 스프링 조편에 결합해서 전바응로 향해 2개의 코일의 폭에 상당한 거리만큼 이동 시키고, 이어서 원래로 되돌아와서 다시 스프링조편에 이전에 결합한 곳에서 2개의 코일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후방에서 결합도록 배치되어 있다(제7도).
가로막대(59)가 앞측의 링크쌍(49) 사이에 뻗어 있고 이 가로막대에는 포올(손톱)(60)이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스프링 조편에 대해서 1쌍의 포올이 대응하고 있으며, 한쪽의 포올은 스프링 조편의 상방에 다른쪽의 포올은 스프링 조편의 하방에 위치 정해져 있다. 포올(60)은 어느것이나 동일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1개의 전형적인 포올이 제6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6도에서와 같이 포올(60)의 앞측부분 (61)은 1개의 스프링 조편에 결합하여 포올자신이 전방으로 운동함에 따라 이 스프링 조편을 전방으로 잡아당기고, 다른쪽 포올(60)의 후측 부분(62)은 그것이 관계하고 있는 스프링 조편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해 있으며, 따라서, 포올이 후방으로 운동함에 따라 포올은 이 스프링조편과의 결합상태로부터 떨어진다. 핑거(58)의 배치는 장치가 1회의 작업사이클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 조편을 2개의 코일의 폭에 상당한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접속작업소에는, 포촉수단을 형성하는 2조의 죠오부재(63)(6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중 1조의 죠오부재(63)는 스프링 조편 하방에 또다른 1조의 죠오부재 (64)는 스프링 조편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측 죠오부재(64)의 하측 죠오부재 (63)는 상하방향으로 대체로 상기 코일 스프링(23)의 두께분만큼 이격되고 있고 또한 수평방향으로 대체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분만큼 이간되어 있다. 각 조의 죠오부재는 스프링 조편의 수에 따라서 몇 개의 쌍으로된 죠오부재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쌍의 죠오부재가 1개의 스프링조편에 작용한다. 각 쌍의 죠오부재중 1개의 죠오부재(65)는 고정되어 있고 제6도에서 상세하게 표시한 것처럼 거의 수직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죠오부재(66)는 스프링 조편의 송급방향을 가로지르고 있는 수평의 피봇트핀(67)에 의해 고정죠오부재(65)에 대해서 상당히 큰 선회 각도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6도에는 1조의 하방의 죠오부재(63)만을 표시하고 있는데, 하방의 죠오부재의 나머지의 쌍도 도시한 것과 같으며, 상방의 조의 쌍으로 된 죠오부재도 같은 것이나,역으로 행해있는 점이 상이한 점을 유의해야 한 것이다. 각 쌍의 죠오부재는 각각의 압축공기 작동의 피스톤 실린더(68)에 의해 제어되며, 피스톤 실린더의 실린더는 프레임(43)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또 피스톤은 피봇트 핀(67)을 넘어서 연장되어 있는 죠오부재(66)의 연장부(69)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하방 조의 죠오부재(63)의 고정 죠오부재(65) 각각의 후단부에는 경사판(41)이 장착되어 있어서 스프링 조편의 연부가 죠오부재에 걸리지 않고 죠오부재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제5도).
상기에서의 장치를 작동시키면, 상하에 배치된 조의 쌍으로 된 죠오부재 (63)(64)가 개구되어 송급수단이 작동하기 시작해서 스프링 조편을 상기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보낸다. 스프링 조편이 소정의 전진운동을 끝냈을때에는 루프상의 쌍으로 돈 측부암(25)은 고정 죠오부재(65)의 후단부를 모두 통과하며 이 죠오부재의 열린 개구속으로 꼭 알맞게 삽입된다. 몇쌍의 측부암(25)이 인접하는 고정죠오부재 (65)의 내면에 압접하고 있는 동안에, 전부는 아닐지라도 태반의 측부암(25)은 고정안 죠오부재를 짧은 거리만큼 넘어서 운동하지만 이 죠오의 개구내에는 머물러 있도록 된다. 다음에, 가동의 죠오부재(66)가 고정의 죠오부재(65)쪽으로 향해 스프링 조편의 송급방향에 대해서 뒤로 향해 회전되고 그리하여 쌍으로 된 측부암 (25)이 고정 죠오부재(65)를 향해 후바응로 진입되어 이 측부암(25)이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측부암(25)이 이와 같이 운동하는 거리는 비교적 짧으므로 측부암 (25)이 운동함으로써 스프링 조편전체는 운동을 하지 못하고 어느정도로 휘는 것 뿐이다.
제6도에서, 회전하게 된 죠오부재(66)는 완전하게 열렸을때와 완전하게 닫혔을때와의 중간위치에 있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작업사이클이 제9도에 예시되어 있다. 제9a도는 죠오부재가 열려서 스프링 조편이 핑거(58)에 의해 전진하게 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9b도는 핑거(58)가 가장 전진한 위치에 있으며, 쌍으로 된 측부암(25)이 죠오부재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9c도는 죠오부재가 닫히고 측부암(25)이 약간 후방으로 잡아 당겨있는 상태와 핑거가 가장 후방의 위치에 뒤돌아와서 죠오부재가 재개할때에 스프링 조편을 다시 전방으로 밀어내기 위한 준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각 쌍의 죠오부재(65)(66)의 내면, 즉 이들 죠오부재가 닫혀지면 서로 합해지는 표면에는, 부호(70)로서 표시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서(제6도), 스프링 조편의 1쌍의 측부암(25)을 수용하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관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다시 또, 이 관상 부분을 경계로 하는 벽에는 부호(71)로서 표시한 것처럼 몇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홈이 죠오부재가 닫혔을때에 이들 홈이 연속된 나선을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쌍의 죠오부재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남아 측부암 (25)에 차례로 접속되어 있는 나선상 와이어(21)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나선홈은 1개의 나선상 와이어(21)를 수용해서, 위에서 설명했고 또 제1도와 제2도에서 표시한 것처럼, 1쌍의 측부암을 서로 접속하고 따라서 인접하는 스프링 조편을 서로 결착시킨다. 나선상의 와이어(21)는 죠오부재가 당힌 직후에 나사모양으로 되어 각 쌍의 죠오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의 나선홈에 도입된다. 제6도에서와 같은 기구에 의해 각 나선상 와이어(21)는 회동됨녀서 축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기구는 제4도에서 표시돈 장치와 맞보도록 고정프레임 (43)에 장착되어 환상의 홈을 설치하고 있으며,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1쌍의 평행한 롤러(72)를 갖추고 있다. 역시 환상홈이 설치되어 있는 제3의 롤러(73)는, 프레임(43)에 부호(75)로서 표시한 곳에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지지수단(74)에 장착되어 있다. 하단부가 프레임(43)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수동의 레버(76)가 암(77)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들 암은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수단(74)에 설치된 슬롯트를 중심결정하다. 레버(76), 코일스프링(76)에 의해 도시된 위치에 압압되어 조절 가능한 스톱퍼979)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이 레버를 사용할때는 장치의 조작원이 이 레버를 아래로 잡아당겨 1개의 나선상 와이어(21)의일단부를 롤러(72)(73) 사이에 끼워 넣고 이어서 레버를 놓으면 이 나선상 와이어는 이들 롤러에 의해 파지되어 회동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인장된다. 이 나선상 와이어의 운동 거리는, 장치의 상기 송급기구를 설치한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고정한 스톱퍼 등에 의해 제한된다.
2개의 나선상 와이어(21)를 스프링 조편에 접속한 후, 쌍으로된 죠오부재를 넘어서 짧은 거리만큼 돌출한 이들 와이어(21)의 단부를 절단해서,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죠오부재에 접근해서 새로 형성된 와이어 단부를 안쪽으로 절곡시켜 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 조편의 인접 부분의 둘레에 감아 루프(24)를 형성한다. 각각의 나선상 와이어(21)의 단부를 이와 같이 절단한다든가 절곡하는데는 스프링 조편의 송급방향과 평행하는 평탄한 핀(81)에 의해 쌍으로 된 죠오부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고정 부재(8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의 단말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공구(80)에 으해서 행한다(제6도, 제8도, 제11도). 상기 제1의 단말처리장치는, 제11도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 조편(38)의 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간된 1쌍의 고정공구(80)가 상기 나선상 와이어(21)의송급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간되어 설치도어 있다. 즉, 나선상 와이어(21)의 송급방향 입구측에 위치하는 상하1쌍의 후방 고정공구(80)와 전방측에 위치하는 1쌍의 전방 공정공구(80)는, 스프링 조편(38)이 더블 사이즈의 경우의 폭치수와 거의 같은 간격으로 이간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서의 고정공구(80)는 인접한 죠오부재(65)로부터 분리되어 표시되어 있으며, 제8도에 표시된 고정 컷터블록(83)은 고정부재(81)에 접착되어 있다. 이 제8도에서는 또 나선상의 와이어(84)도 표시되어 있다. 이 고정공구(80)를 사용할때는, 그 피스톤(85)(제6도)이 피봇편(82)을 넘어 고정공구(80)의 연장부(86)에 접속되어 있는 압축공기 작동형 피스톤 실린더에 의해, 고정공구(8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직립의 러그987)가 고정 컷터블록(83)에 나선상 와이어(84)를 밀어서 이 와이어의 단부를 절단해서, 이 절단된 단부를 이 단부가 닫혀졌거나 거의 당혀진 루프를 형성하게 될 때까지 인접하는 스프링 조편의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이 절단, 절곡작업이 끝난후에 고정공구(80)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죠오부재를 열어서 나선상 와이어를 방출하고 송급수단을 다시 작동시켜서 스프링 조편과 조합 스프링중 완성 부분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링크(49)는 그 하단부를 중심으로해서 회동하게 되므로, 포올(60)은 그것들이 접속된 스프링 조편을 전방으로 인장할 때 상승해서 스프링 조편을 잡아 올린다. 이로인해 스프링 조편은 하방 조의 죠오부재(63)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스프링 조편일 이들의 죠오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작용은, 스프링 조편의 하방에 위치하고 브래킷(89)에 의해 링크에 고착된 가로막대(88)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그렇지만, 스프링 조편이 상방으로 운동하면, 스프링 조편이 상측의 조의 죠오부재(64)를 통과하는 것을 도와주기 보다는 오히려 저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 곤란함을 극복하기 위해, 가로막대(88)와 평행하게 해서 고정된 막대(90)가, 죠오부재와 링크(490의 사이에서 스프링조편에서 상방의 개소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조편(38)이 세미더블 사이즈 혹은 싱글 사이즈의 경우 나선상 와이어(21)를 송급하는 방향 선단측은 상기 제1의 단말처리장치의 선단측 고정 공구(80)에서 절단과 절곡의 처리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때는 제4도에서와 같이 스프링 뭡녀938)의 송급방향에 배치된 제2의 단말처리장치(201)에 의해서 처리된다. 이 제2의 단말처리장치(201)는 개대(202)를 갖는다. 이 가대(202)에는 제12도 내지 제15도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203)이 상기 스프링 조편(38)의 폭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203)에는 슬라이더(204)가 슬라이드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204)는 제15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3)의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배설된, 저판(205), 측판(206) 및 상판(207)으로 이루어지며, 상판(207)을 상기 측판(206)에 장착한 뒤에 고정했던 나사(208)를 풀면, 슬리아더(204)는 가이드 레일(203)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204)에는 장착부재(209)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2조의 죠오부재(211)(212)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죠오부재(211)(212)는, 제조장치의 주부분에 설치된 죠오부재(63)(64)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말하자면, 제14도에서와 같이 1개의 죠오부재(213)는 고정되어 있으며 또 1개의 죠오부재(214)는 핀(2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죠오부재(214)는 각각 제1의 피스톤 실린더 (215)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상기 장착부재(209)에는 제8도에서와 고정공구(80)와 같은 구조의 상하 한쌍의 이동 공구(2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 공구(216)는 고정부재(217)에 피봇축(218)에 의해서 장착되며 또 이 고정부재(217)에는 컷터블록(2190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한쌍의 각 이동공구(216)는 제2의 피스톤 실린더(221)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공구(216)가 구동되면, 제8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선상 와이어(84)가 컷터 블록(219)에 밀어 붙여져 이 와이어의 단부가 절단된 후 이 단부가 닫히거나 거의 닫힌 루프를 형성할때까지 인접하는 스프링 조편의 방향으로 절곡된다.
즉, 스프링 조편(38)이 더블 사이즈로부터 세미더블사이즈 혹은 싱글 사이즈로 변했을 경우, 이 폭치수의 변화에 따라서 슬라이더(204)(204)를 슬라이드 시켜서 이동 공구(216)가 스프링 조편(38)의 폭방향 선단면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을 하면, 스프링 조편(38)의 폭방향 선단면측에서 나선상 와이어(84)의 단부의 절단과 절곡의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때의 동작은, 먼저 제1의 피스톤 실린더(215)가 작동해서 상하 1쌍의 죠오부재(211)(212)가 닫혀져서 나선상 와이어(84)를 고정 유지한다. 다음에, 제2의 피스톤 실린더(221)가 작동해서 이동 공구(216)가 구동되고 나선상 와이어(84)의 단부가 절단된후 절곡된다.
이러는 동안에 제1의 피스톤 실린더(215)가 작동해서 상하 1쌍의 죠오부재 (211)(212)가 열리고 나선상 오이어(84)를 개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대(202)에 설치된 제3의 피스톤 실린더(221)가 작동해서 송급 로드(222)를 이 하단을 지점으로 해서 제4도에서 화살표를 가르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송급로드(222)의 상단에는 포올(223)이 설치되어 이 송급포올(223)이 스프링 조편(38)에 결합해서 이 스프링 조편을 다음 공정으로 보낸다. 그리고, 제2의 단말처리장치(201)는 상술한 제1의 단말처리장치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2도 내지 제14도 속의 (224)는 스프링 조편(38)의 두께치수보다도 약간 큰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간시켜서 배설된 1쌍의 가이드부재이다. 이들 가이드 부재(224)에는 상기 스프링 조편(378)의 폭방향 선단측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여러 공정들은 장치의 조작원이 순차로 개시할 수 있으며 이 조작원은 다음의 공정을 개시하기 이전에 그 앞에서 행해진 작업의 결과를 점검할 수가 있다. 혹은, 또 상기의 공정중 어떤 것 또는 전부를, 먼저 행해진 공정이 끝났을때에는, 자동적으로 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의 송급수단은 스프링 조편에 결합하는 핑거(58)와 포올(60)로 되어 있는데 만약 장치가 이들 부품의 어느것을 생략하더라도 만족하게 작업한다는 것을 알게 되면 그와 같은 부품을 생략해서 송급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나선상 와이어(21)(22)는 제11도에서의 성형공급장치(101)에 의해서 직선상 와이어(21a)(22a)가 형성되어 제6도에서의 롤러(72)(73) 사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성형공급장치(101)는 송급기구(102)와 성형기구(103)를 구비하고 있다. 송급기구(102)는 1쌍의 롤러군을 상하 방향에 배치한 직선상 와이어 (21a)(22a)의 잘못 감김을 제거시켜 주는 1쌍의 굴곡제거부(104)와, 이들 굴곡제거부(104)를 통과한 직선상 와이어(21a)(22a)의 비뚤어짐(변형)을 제거하는 비뚤어짐 제거부(변형제거부)(105)와, 상기 굴곡제거부(104)와 비뚤어짐 제거부(105)를 통과한 상기 직선상 와이어(21a)(22a)를 상기 성형기구(103)로 보내는 구동부9106)를 가진다. 제16도에서와 같이 굴곡제거부(104)를 형성하는 롤러군중의 1개의 롤러 (250)에는 엔코더(251)가 치차열(252)를 개재시켜서 접속되어 있고 이 엔코더(251)에 의해서 상기 롤러(250)의 회전수가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전기신호는 도시하지 않는 카운터에 입력되어 상기 롤러(250)의 회전수가 카운트된다. 롤러(250)의 회전수에 의해서 직선상 와이어(21a)(22a)의 송급되는 양이 산출된다. 따라서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수를 미리 설정해두면, 상기 와이어 (21a)(22a)의 송급 양의 소정 길이가 된 시점에서 상기 직선상 와이어(21a)(22a)의 공급이 정지되며,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컷터에서 절단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서 조합스프링이 싱글 사이즈, 세미더블 사이즈, 혹은 더블사이즈와 같은 다른 사이즈의것이라도 거기에 대응한 길이로서 나선상 와이어(21)(22)를 공급할 수가 있다. 즉, 엔코더(251)와 롤러(250)는 직선상 와이어(21a)(22a)의 공급길이를 측정 제어하는 공급장치를 이루고 있다. 상기 구동부9106)는 제17도에서와 같이 하우징(107)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107)과 평행하게 이간 대향한 측판 사이에는 상부로부터 제1축(108), 제2축(109) 및 제3축(111)이 각각 호전자재하게 가설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9107)의 상부에는 제1모터(112)가 하부에는 제2모터(113)가 배치되어 있다.
제1모터(112)의 회전축에는 제1스프로켓(114)이 장착되고 이 제1스프로켓 (114)과 상기 제1축(108)의 일단에 장착된 제2스프로켓(115)과의 사이에는 제1체인 (1169)이 장설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축(108)의 일단부에는 제1치차(112a)가 장착되고 이 제1치차(112a)는 상기 제1축(109) 의 타단부에는 상호 회전접촉하는 제1송급롤러(117)와 제2송급롤러(118)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송급롤러(117)(118)의 외주면에는 한쪽의 직선상 와이어(21a)가 진입하는 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112)가 작동을 하면, 제1축(108)과 제2축(109)이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므로, 상기 1쌍의 송급롤러(117)(118) 사이에 끼워진 직선상 와이어(21a)가 송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축(109)의 타단부에는 제3치차(112)와 제3송급롤러(122)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치자(121)와 송급롤러(122)는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모터(113)의 회전측에는 제3스프로켓(123)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3스프로켓(123)과 상기 제3축(111)의 일단부에 장착된 제4스프로켓(124)과의 사이에는 제2체인(125)이 장설되어 있다. 상기 제3축(111)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3치차(121)에 맞물린 제4치차(126)와 상기 제3송급롤러(122)에 회전접촉된 제4송급롤러(12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송급롤러(122)와 제4송급롤러(127)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른쪽의 나선상 와이어(22a)가 끼워져 들어가는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모터 (113)가 작동해서 제3축(121)이 회전구동하면, 상기 제2축(109)의 회전상태에 관계없이, 제3, 제4치차(121)(126)의 맞물림에 의해서, 제3송급롤러(122)와 제4송급롤러(127)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들 송급롤러(122)(127) 사이에 까워져서 들어간 다른쪽의 직선상 와이어(22a)가 한쪽의 직선상 와이어(21a)와 같은 방향으로 송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송급기구(102)에 의해서 송급되는 1쌍의 직선상 와이어(21a)(22a)는 각각 상기 성형기구(103)에 공급된다. 이 성형기구(103)는 제18도에서와 같이 가이드체(131)를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체(121)는 일단측이 테이퍼부(132)로 형성되며, 이 테이퍼부(132)를 제11도에서와 같이 상기 송급기구 (102)의 1쌍의 직선상 와이어(21a)(22a)가 송급되는 곳에 대향 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체(131)에는 소경공(133)과 대경공(134)이 축방향으로 연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경공(133)은 상기 직선상 와이어(21a)(22a) 보다도 약간 큰 내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대경공(134)에는 성형로드(135)가 일단측에 삽입되어 나사(136)로서 고정되어 있다. 이 성형로드(135)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체(132)가 소경공(133)에 연통하는 직선홈(137)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일단을 상기 직선홈(137)에 연통시킨 나선홈(1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로드 (135)의 나선홈(138)이 형성된 타단부에는 칼러9139)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칼러(139)는 양단에 차양(141)을 가지는 상기 칼러(139)와 같은 직경이 가이드통(142)에 의해서 상기 성형로드9135)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통(142)은 성형공급장치(10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급기구(102)에 의해서 상기 성형기구(103)의 가이드체(131)로 송급된 직선상 와이어(21a)(22a)는 상기 성형 로드(135)의 나선홈(138)을 통과함으로써 상술한 나선상 와이어(21)(22)로 성형된다.
상기 나선상 와이어(21)(22)는 피치조절기구(143)로 송급된다. 이 피치조절기구(143)는 제18도에서와 같이 성형공급장치(101)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베이스 (144)를 가진다. 이 베이스(144)에는 상기 나선상 와이어(21)(22)가 송급되는 방향에 다라서 슬라이드홈(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홈(145)에는 조절체(146)가 슬라이드 자재를, 또한 제19도에서의 정지나사(147)에 의해서 임의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베이스(144)에는 상기 조절체 (146)의 슬라이드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나사(14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절체 (146)에는 그 두께방향으로 뻗은 장착공(14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공9149)에는 상기 나선상 와이어(21)(22)와 동일 피치의 나선홈(151)이 형성된 피치측(152)이 삽입되고 정지나사(153)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선상 와이어(21)(22)는 상기 성형기구(103)에서 성형시킨 후 상기 피치축(152)의 나선홈(151)을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피치축(152)를 제18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나선홈(151)의 상기 화살표 방향에 따르는 위치를바꾸면, 나선상 와이어(21)(22)가 여기를 통과함으로써 그 피치가 변경된다. 즉, 성형기구(103)에서 성형된 나선상 와이어(21)(22)는 그때의 와이어의 재질 등에 의해서 피치가 다소 달라지므로 상기 피치조절기구(143)에 의해서 피치가 조정된다.
상기 피치조절기구(143)에서 피치가 조정된 나선상 와이어(21)(22)는 통모양의 안내체(153)를 통과하여 제6도에서의 롤러(72)(73) 사이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한쪽의 롤러(72)는 제11도에서와 같이 모터(154)에 의해서 무단 주행하는 벨트(155)로서 회전구동된다.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각 1쌍의 롤러(72)(73) 사이에 공급된 나선상 와이어(21)(22)는 한쪽의 롤러(72)가 회전구동하게 됨으로써 이들 롤러에 파지되어 회전하면서 스프링 조편(20)의 축부암(25)쪽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이들 나선상 와이어(21)(22)는 상술한 것처럼 스프링 조편(38)의 측부암(25)의 부분에 교차 권착하게 된다.
상기 제1모터(112)와 제2모터(113)는 상기 엔코더(251)에 접속된 카운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정지한다. 즉, 직선상 와이어(21a)(22a)가 스프링 조편(38)의 폭 치수에 따라서 소정 길이로 보내지면 상기제2, 제2의 모터(112)(113)가 정지해서 상기 와이어(21a)(22a)를 그 이상 보내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하스프링 제조장치는 크기가 다른 매트릭스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어서 크게 공헌하며 매트리스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탄력성이 있는 1개의 선재를 만곡시켜서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형성하고 다시 이들 코일 스프링을 그 각각의 측부암이 인접하도록 횡 1렬로 나란히하여 형성한 두께가 있는 스프링 조편에 대하여 이 스프링 조편을 자로지르는 방향을 향해 나선상 와이어를 나사처럼 회동시키면서 그 축방향으르 이동시켜, 상기 측부암의 부분에 교차 권착시켜 조합스프링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 조합 스프리 제조장치는 와이어의 성형공급장치와 단말처리장치를 가지며, 상기 성형 공급장치는, 직선상 와이어의 감김성을 제거하는 굴곡 제거부와 직선상 와이어의 비뚤어짐(변형)을 제거하는 비뚤어짐 제거부와, 굴곡제거부와 비뚤어짐 제거부를 통과한 직선상 와이어를 성형기구에 송급함과 동시에 그 공급길이가 상기 스프링 조편의 폭치수와 대략 같은 길이 치수가 되도록 측정 제어하여 공급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송급기구와, 이 송급기구로부터 송급되어 온 와이어를 나선상으로 성형하는 성형기구와, 이 성형기구에서 성형된 나선의 피치를 미조절하는 피치조절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처리장치는, 상기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결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사 와이어의 송급방향 선단측의 상기 스프링 조편의 폭방향으로부터 돌출한 단부를 절단한 후 절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스프링 제조장치.
KR1019880701153A 1986-08-20 1988-02-26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KR960000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94905A JPH0673708B2 (ja) 1986-08-20 1986-08-20 組合せばね製造装置
PCT/JP1988/000209 WO1989007994A1 (en) 1986-08-20 1988-02-26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bined springs
CA000564541A CA1327120C (en) 1986-08-20 1988-04-19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r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210A KR900700210A (ko) 1990-08-11
KR960000402B1 true KR960000402B1 (ko) 1996-01-06

Family

ID=3730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1153A KR960000402B1 (ko) 1986-08-20 1988-02-26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72736A (ko)
EP (1) EP0417276B1 (ko)
JP (1) JPH0673708B2 (ko)
KR (1) KR960000402B1 (ko)
AU (1) AU622107B2 (ko)
CA (1) CA1327120C (ko)
DE (1) DE3853833T2 (ko)
WO (1) WO1989007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936A (ja) * 1988-03-25 1989-10-02 France Bed Co Ltd 組合せばねの製造装置
US5516037A (en) * 1993-11-19 1996-05-14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and stopper applying apparatus for paper containers
US5782273A (en) * 1997-03-21 1998-07-21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Dual lacing wire mechanism for a coil spring assembly machine
KR100626607B1 (ko) 2005-06-29 2006-09-25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조립체의 노출회선부 봉입 기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2552A (en) * 1935-03-08 1936-12-01 Burton Dixie Corp Wire forming machine
US2388106A (en) * 1942-07-11 1945-10-30 Simmon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pring assemblies
GB653021A (en) * 1948-05-20 1951-05-09 Johnson Spring Cushion Compan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pring unit lacing machine
US2742934A (en) * 1951-05-10 1956-04-24 Charles O Weston Spring assembly machines
US2898950A (en) 1955-01-20 1959-08-11 Us Bedding Co Spring assembly machines
US3334665A (en) * 1965-01-21 1967-08-08 Barber Mfg Company Inc Spring lacing machine
JPS5335573Y1 (ko) * 1970-06-29 1978-08-31
JPS5335573U (ko) * 1976-09-01 1978-03-29
JPS5335573A (en) * 1976-09-13 1978-04-03 Nissan Motor Mass flowmeter
JPS53123363A (en) * 1977-04-05 1978-10-27 Nhk Spring Co Ltd Coil spring free length adjusting process and device
DE2837918B1 (de) * 1978-08-31 1979-12-06 Bielomatik Leuze & Co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Wendeln aus Draht
JPS5775237A (en) * 1980-10-28 1982-05-11 Osawa Press Seisakusho:Kk End processing machine for wire rod
EP0248661A1 (en) 1986-06-04 1987-12-09 Multilastic Limited Apparatus for use in making spring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17276A1 (en) 1991-03-20
EP0417276A4 (en) 1991-07-03
AU622107B2 (en) 1992-04-02
AU1367188A (en) 1989-09-22
DE3853833D1 (de) 1995-06-22
CA1327120C (en) 1994-02-22
KR900700210A (ko) 1990-08-11
EP0417276B1 (en) 1995-05-17
WO1989007994A1 (en) 1989-09-08
DE3853833T2 (de) 1995-10-12
JPH0673708B2 (ja) 1994-09-21
US5172736A (en) 1992-12-22
JPS6352727A (ja) 198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4464A2 (en) Method of forming a coil spring
US6584823B2 (en) Two wire spring making machine and method
CN111884013B (zh) 一种电器线及其生产方法
US44526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lastic screen panels
KR960000402B1 (ko) 조합스프링 제조 장치
KR100339710B1 (ko) 와이어 연속 권취장치
JP4252656B2 (ja) ステータコアへの巻線装置
US471395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ring units
US2286326A (en) Spring construction assembling machine
CN110817594B (zh) 一种电线卷绕装置
CN109275205B (zh) 电子烟发热组件制造装置
JPH04266443A (ja) ポケット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217937A (en) Coil winding machine
CN108634504B (zh) 一种高精度全自动水晶珠串接装置
US1382258A (en) Wire-coiling machine
US2817206A (en) Apparatus for making coils and other twisted and mated elements
JPH0438507Y2 (ko)
JPH0692015B2 (ja) 組合せばね製造装置
SU13971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роволочной сетки
CN214779941U (zh) 一种收丝机的收线结构
US2902060A (en) Cutting and twisting device for coiled wire
EP0130616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ring units
RU2001709C1 (ru) Станок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арматурных каркасов
JPH01245936A (ja) 組合せばねの製造装置
JP2691634B2 (ja) コイル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